[백두산 야생화] 사상자(蛇床子) '순결, 결백'
2024년 7월 17일 한강토(조선반도, 한반도) 최고봉이자 조선민족(朝鮮民族, 한겨레)과 만주족(滿洲族)의 영산(靈山) 흰머리뫼(백두산, 白頭山, 2,744m)에서 살아가는 들꽃 뫼꽃을 만나기 위해 인천 국제공항에서 국적기를 타고 중국(中國) 지린성(吉林省, 길림성) 옌볜 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 옌지(延吉, 연길) 차오양촨국제공항(朝阳川国际机场)에 내렸다.
옌볜(延邊, 연변) 차오양촨(朝阳川, 조양천)에서 처음 만난 야생화(野生花)는 황금색 꽃이 인상적인 금혼초였다. 차오양촨에는 수만 평 규모의 구릉이 있었는데, 온갖 들꽃 뫼꽃이 피어 있는 그야말로 야생화의 천국이었다. 구릉 지대에는 금혼초, 애기우산나물, 도라지, 좁은잎사위질빵, 가는금불초, 딱지꽃, 가는장대, 너삼(苦蔘, 너삼), 짚신나물, 꼬리풀, 가는쑥부쟁이, 용머리, 참시호, 꽃층층이꽃, 큰뱀무, 까치수염, 박주가리, 메꽃, 솔체꽃, 둥근잎삽주, 원지(遠志), 무릇, 벼룩이울타리, 갈퀴나물, 백리향(百里香), 가는기린초, 조뱅이, 흰솔나물, 선이질풀, 까마중 등이 저마다 터를 잡고 살아가고 있었다.
차오양촨에서 겹산형화서(複繖形花序)에 작은 흰색 꽃들이 피어난 사상자(蛇床子)도 만났다. 사상자는 남한(南韓, 대한민국, 한국, 남조선) 전역(全域)에서 자라기에 매우 낯익은 식물이다. 하지만, 사상자는 전호(前胡)나 기름나물, 개사상자와 비슷해서 혼동하기 쉽다. 이들을 구별하려면 줄기나 잎 등의 생김새를 비교해야 한다. 백두산(白頭山)으로 가는 머나먼 만주(满洲) 여정에서 만난 사상자가 반가운 느낌으로 다가왔다. 사상자를 바라보면서 한강토와 만주가 생태학적으로 가깝게 연결되어 있음을 느꼈다.
백두산에 오기 위해 중국(中國) 땅을 거쳐 참으로 먼 길을 돌아서 왔다. 백두산은 판문점을 거쳐 육로로 가면 단 몇 시간이면 닿을 수 있는 거리다. 한강토의 지름길을 두고도 남의 나라로 돌아서 가야만 하는 어처구니없는 상황에 안타까움과 서글픔을 금할 수 없다. 남한과 북한(北韓,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 북조선)이 상호불가침협정(相互不可侵協定)을 체결하고, 대사 교환(大使交換)을 한 뒤 민간인 자유 왕래를 실현했더라면 이렇게 남의 나라 땅을 통해 빙 돌아서 오지 않아도 되었을 것이다. 한강토의 인민들이 자유롭게 남과 북을 오갈 수 있는 세상이 도래하기를 바란다.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국생관)에 사상자는 피자식물문(被子植物門, 속씨식물문, Magnoliophyta) > 목련강(木蓮綱, Magnoliopsida) > 장미아강(薔薇亞綱, Rosidae) > 미나리목(Apiales) > 미나리과(Apiaceae) > 사상자속(蛇床子屬, Torilis) 한해살이풀로 분류되어 있다. 국립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생정)에는 두해살이풀로 분류되어 있다.
국가표준식물목록(국표), 국제식물명색인(International Plant Names Index, IPNI), 왕립식물원 큐(Royal Botanic Gardens, Kew) 등재(登載) 사상자의 학명(學名, Scientific name)은 토릴리스 자포니카 (후투인) 드 캉돌[Torilis japonica (Houtt.) DC.]이다. 국생관 등재 원기재명(原記載名)은 Caucalis japonica Houtt, 학명이명(學名異名, synonymy)은 Torilis anthriscus var. japonica (Houtt.) H.Boissieu이다.
속명(屬名, generic name) '토릴리스(Torilis)'는 파슬리 비슷한 미나릿과 식물, 사상자(hedge parsley) 등을 포함한 미나리과(Apiaceae)에 속하는 분류학적 속을 나타내는 횡단언어(橫斷言語, Translingual)이다. '토릴리스(Torilis)'의 어원(語源, Etymology)은 불분명하지만 'round(둥근), swelling(부풀어오름, 돌기, 팽윤), elevation(융기), protuberance(돌기, 융기)'를 의미하는 라틴어 '토루스(torus)'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프랑스의 식물학자이자 박물학자 미셸 에단손(Michel Adanson, 1727~1806)은 '토릴리스(Torilis)'의 유래를 알 수 없으며, 사상자를 두고 부르는 프랑스 어느 지방의 방언에서 유래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에단손은 4만여 종에 이르는 동식물의 이름을 알파벳 순으로 정리했다.
종명(種名, specific name) '자포니카(japonica)'는 라틴어 형용사 '자포니쿠스(japonicus, 영어 of Japan, 일본의)'의 주격/호격/여성 단수형이다. 최초(最初) 발견지(發見地) 또는 자생지(自生地)가 일본(日本)임을 나타낸다.
원명명자(原命名者) '후투인(Houtt.)'은 네덜란드 박물학자 마르티뉘스 후투인(Martinus Houttuyn, 1720~1798)이다. 후투인이 관심을 가졌던 식물 분야는 선태식물(Bryophytes, 蘚苔植物)과 종자식물(Spermatophytes, 種子植物)이었다.
괄호 안의 인명(人名)은 원명명자다. 린네가 창안한 이명법(二名法, binomial nomenclature)에서는 식물의 학명이나 속명이 바뀌는 경우 먼저 학명을 출판한 원명명자를 괄호 안에 기재한 뒤 신명명자(新命名者)를 기재해야 한다.
신명명자 '드 캉돌(DC)'은 두 사람이 있다. 식물의 내부 생체시계 발견으로 유명한 스위스의 식물학자 오귀스탱 피라뮈 드 캉돌(Augustin Pyramus de Candolle, 1778~1841)이다. 오귀스탱 드 캉돌은 1830년 'Prodromus systematis naturalis regni vegetabilis, sive, Enumeratio contracta ordinum generum specierumque plantarum huc usque cognitarium, juxta methodi naturalis, normas digesta'에서 사상자의 속명을 카우칼리스속(Caucalis)에서 사상자속(Torilis)으로 변경한 학명을 출판했다.
오귀스탱 드 캉돌의 아들 알퐁스 루이 피에르 피라뮈 드 캉돌(Alphonse Louis Pierre Pyramus de Candolle, 1806~1893)은 프랑스-스위스 식물학자이며, 식물학적 저자 약어(著者略語, Author abbrev.)는 'A.DC.'이다. 알퐁스 드 캉돌이 1855년에 출판한 '식물지리학(Géographie botanique raisonnée)'은 하버드 대학교 식물학자 아사 그레이(Asa Gray, 1810~1888)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국표 등재 학명 Torilis japonica (Houtt.) DC.의 추천 국명(國名, Korean common name)은 사상자(蛇床子,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비추천명은 뱀도랏(조선식물지, 임록재, 1996+), 진들개미나리 등이 있다. 꽃말은 '순결(純潔), 결백(潔白)'이다.
사상자라는 이름은 뱀이 이 식물의 옆에서 서식한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이 있다. 또, 살무사가 이 풀 아래에 눕기를 좋아하고, 그 씨앗을 먹는다고 하여 '뱀의 침대(蛇床)'라는 뜻에서 유래했다고도 한다.
국표 등재 사상자의 추천 영문명(英文名, English common name)은 이렉트 헤지파슬리(Erect hedgeparsley, 한반도 자생식물 영어이름 목록집 개정판, 국립수목원, 2022)이다. '똑바로 선(Erect) 파슬리 비슷한 미나리과 식물, 사상자(hedgeparsley)'라는 뜻이다. Flora of Mikawa(三河の植物観察, FOM)에는 업라이트 헤지-파슬리(upright hedge-parsley), 재퍼니즈 헤지 파슬리(Japanese hedge parsley) 등의 영문명도 등재되어 있다.
국표, FOM 등재 사상자의 추천 일본명(日本名, Japanese common name)은 야부지라미(ヤブジラミ, 藪虱)이다. '덤불(藪)에서 자라며 씨앗이 이(虱)처럼 옷가지 달라붙는 식물'이라는 뜻이다. 덤불(藪)에서 자라며, 열매에 열쇠 모양으로 휘어진 가시가 있어 이(虱)처럼 옷가지에 달라붙는다 하여 야부지라미(藪虱)라는 이름이 붙었다. 꽃말은 '놓치지 않는(逃がさない), 지킬과 하이드(ジキルとハイド)'이다.
중국식물지(中国植物志, FRPS, 1979), FOM 등재 사상자의 중국명(中國名, Chinese common name)은 샤오치에이(小窃衣, 中国高等植物图鉴)다. '작은(小) 개사상자(窃衣, Torilis scabra)'라는 뜻이다. '치에이(窃衣)'가 '사상자'라는 뜻도 있다. 도깨비바늘을 샤오치에이(小窃衣)라고도 한다. FRPS 등재 속명(俗名)은 포즈차오(破子草, 中国高等植物图鉴), 따예샨후뤄보(大叶山胡萝卜, 河北) 등이 있다.
사상자는 한반도 전역에 분포한다. 유럽, 코카서스, 북아메리카, 북아시아, 동아시아에도 분포한다. 들에 난다(국생정). 사상자는 한강토 전역에 나며, 아시아, 유럽 등에 분포한다. 숲속의 계곡이나 개울가 습한 곳에 자란다(국생관).
야부지라미(藪虱)는 일본 재래종(在来種)이다. 원산지는 일본 전토(全土), 타이완(台湾), 조선(朝鮮, 한강토, 조선반도, 한반도), 중국, 아시아, 유럽, 모로코 등지다(FOM). 샤오치에이(小窃衣)는 헤이롱쨩(黑龙江), 네이멍구(内蒙古), 신쟝성(新疆省)을 제외한 중국 전역의 해발 150~3,060m 지대 혼합림 아래, 숲 가장자리, 길가, 강과 개울가에서 자란다. 유럽, 북아프리카, 아시아의 온대 지역에도 분포한다(FRPS).
사상자의 키는 높이 30~70cm 정도이다. 전체에 짧은 복모(伏毛, sericeous)가 있다. 줄기는 곧게서며 원주형(圆柱形)이고 윗부분에서 가지를 내며 가는 홈줄이 있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3출엽(三出葉)이고 2회 우상(羽狀)으로 전열(全裂)하며 길이 5~10cm로서 끝이 뾰족하고 녹색이다. 소엽(小葉)은 난상 피침형(卵状披针形)이고 뾰족한 톱니가 있으며 엽병(葉柄) 밑부분이 넓어져서 원줄기를 싸안는다.
꽃은 6~8월 줄기끝이나 가지 끝에 정생(頂生)하는 겹우산 모양 꽃차례(複繖形花序)에 흰색으로 핀다. 꽃잎은 5개이다. 소산경(小傘梗)은 5~9개이며 길이 1~3cm로서 6~20개의 꽃이 달린다. 꽃자루는 길이 2~4mm로서 긴 화경(花莖)과 더불어 복모가 있다. 총포조각(總苞片)은 4~8개이며 선형(線形)으로 길이 1cm 정도이고, 소총포(小總苞)는 선형으로서 꽃자루에 붙어 있다. 수술은 5개이다. 씨방은 하위(下位)로서 1개이고, 악치편(萼齒片)은 가시털 모양이다.
열매는 분과(分果)이다. 분과는 4~10개씩 달리며 달걀 모양(卵形)이고 길이 2.5~3mm로서 짧은 가시같은 털이 있어 다른 물체에 잘 붙는다. 과실(果實)을 사상자(蛇床子)라고 한다. 종자(種子)는 6~7월에 익는다.
사상자의 어린 순을 나물로 하고 열매는 약용(藥用)으로 한다(다음백과 국생정). 사상자의 열매를 염증(炎症, inflammation)이나 어혈(瘀血) 치료에 쓴다(다음백과 국생관). 사상자는 봄에 어린순을 캐서 나물로 먹는 것이 일반적이다. 꽃이나 열매도 식용하는데, 차를 우려내어 마시거나 술을 담가 먹는다. 열매를 채취할 때에는 익은 뒤 따서 바로 사용하거나 햇볕에 말린 뒤 사용한다. 전체 식물은 효소로 담가 먹는다(다음백과).
Torilis japonica (Houtt.) DC.의 과실을 사상자(蛇床子)라 하며 약용한다. 온신장양(溫腎壯陽), 거풍조습(祛風燥濕), 살충(殺蟲)의 효능이 있다. 남자 양위(陽痿), 음낭습양(陰囊濕痒), 여자대하음양(女子帶下陰痒), 부인음중종통(婦人陰中腫痛), 자궁한냉불임(子宮寒冷不姙), 풍습비통(風濕痺痛), 개선습창(疥癬濕瘡)을 치료한다(다음백과 국생정).
샤오치에이(小窃衣)는 열매와 뿌리를 함께 약으로 쓴다. 열매는 정유를 함유하고 있어 회충을 구제할 수 있다. 외용하면 소염제로 사용할 수 있다.(果和根供药用. 果含精油, 能驱蛔虫.外用为消炎药. FRPS).
사상자(蛇床子, 뱀도랏열매)의 성질은 평(平)하고(따뜻하다고도 한다) 맛은 쓰며[苦] 맵고[辛] 달며[甘] 독이 없다(조금 독이 있다고도 한다). 부인의 음부가 부어서 아픈 것과 남자의 음위증(陰痿證), 사타구니가 축축하고 가려운 데 쓴다. 속을 덥히고 기를 내린다. 자궁을 덥게 하고 양기를 세게 한다. 남녀의 생식기를 씻으면 풍랭(風冷)을 없앤다. 성욕을 세게 하며 허리가 아픈 것, 사타구니에 땀이 나는 것, 진버짐이 생긴 것 등을 낫게 한다. 오줌이 많은 것을 줄이며 적백대하를 치료한다. ○ 어느 곳에나 다 있는데 작은 잎은 궁궁이(천궁)와 비슷하며 꽃은 희고 열매는 기장쌀알(黍粒) 같으며 누르고 흰빛이며 가볍다. 습지대에서 나고 자란다. 음력 5월에 열매를 받아 그늘에서 말린다[본초]. ○ 알약, 가루약에 넣어 쓸 때 약간 닦은 다음 비벼서 껍질을 버리고 알맹이만 가려서 쓴다. 만일 달인 물로 환처를 씻으려면 생것을 그대로 쓴다[입문](동의보감 탕액편).
사상자(蛇床子, 本經)는 벌사상자[Cnidium monnieri (L.) Cusson]의 성숙한 과실을 건조한 것이다. 한강토에서는 사상자[Torilis japonica (Houtt.) DC.]의 성숙한 과실을 대용(代用)하고 있다. 본초명 사상자의 이명(異名)에는 사상(蛇床), 사주(蛇珠), 사상인(蛇床仁) 등이 있다. 사상자는 보익약(補益藥) 가운데 보양약(補陽藥)으로 분류된다. 성질은 따뜻하고(溫) 독이 없으며, 맛은 맵고 쓰다(辛苦). 신(腎), 비경(脾經)으로 들어간다. 온신조양(溫腎助陽), 거풍조습, 살충의 효능이 있다. 남자 양위(勃起不全, 早漏症), 음낭습양(음낭 습진, 가려움증), 여자대하음양(대하가 나오면서 음부가 가려운 증), 자궁한냉불임(자궁이 차가워 임신이 안 되는 증), 풍습비통, 개선습창 등을 치료한다(전국 한의과대학 본초학 교과서).
한강토에 벌사상자[Cnidium monnieri (L.) Cusson]가 자생하고 있음에도 사상자[Torilis japonica (Houtt.) DC.]의 성숙한 과실을 한약재로 대용한 것은 무슨 까닭일까? 조선시대만 해도 본초학(本草學)은 중국이 세계 최고의 선진국이었다. 다들 아다시피 조선의 본초학은 중국에서 들어왔다. 그래서, 사상자라는 본초명을 처음 접한 조선의 본초학자들이 Torilis japonica (Houtt.) DC.를 벌사상자로 오인(誤認)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셔촹즈(蛇床子)는 셔촹[蛇床, 神农本草经, Cnidium monnieri (L.) Spreng.]의 과실이다. Cnidium monnieri (L.) Spreng.(셔촹, 蛇床)의 학명이명(學名異名, synonymy)은 Cicuta sinensis, Seseli daucifolium, Ligusticum monnieri, Ligusticum mongolicum, Selinum monnieri, Pinasgelon monnieri, Cnidium mongolicum, Cicuta monnieri, Cnidium microcarpum 등이 있다. 셔촹(蛇床)의 속명(俗名)은 샨후뤄보(山胡萝卜), 셔미(蛇米), 셔수(蛇粟), 셔촹즈(蛇床子) 등이 있다. 셔촹(蛇床)은 중국 화똥(华东), 쫑난(中南), 시난(西南), 시베이(西北), 화베이(华北), 똥베이(东北) 등지의 들판, 길가, 초원, 강변 습지에서 자란다. 러시아, 조선(朝鲜), 베트남(越南), 북아메리카(北美), 유럽에도 분포한다. 셔촹즈(蛇床子)는 조습(燥湿), 살충지양(杀虫止痒), 장양(壮阳)의 효능이 있다. 피부습진(皮肤湿疹), 음도적충(阴道滴虫, 膣鞭毛蟲症, 트리코모나스증), 신허양위(肾虚阳痿) 등의 증상을 치료한다(FRPS).
국표 등재 사상자의 유사종(類似種, similarity species) 자생식물(自生植物, indigenous plant)은 개사상자[Torilis scabra (Thunb.) DC.] 1종이 있다. 개사상자(영 Rough hedgeparsley, 일 オヤブジラミ, 雄藪虱, 중 窃衣)의 국명이명(國名異名, synonymy)은 큰사상자, 긴사상자 등이 있다. 한강토 경상남도, 전라남도, 제주도 등에서 자라며, 일본 남부, 오키나와, 중국 동남부, 타이완 등에 분포한다. 북아메리카에는 귀화하여 자란다. 숲속, 골짜기, 개울가, 풀숲 등에서 자라는 두해살이풀이다. 키는 60cm 정도이고 잎과 줄기에 잔털이 산재해 있다. 줄기잎은 어긋나고 막질(膜質)이며 2회 깃꼴겹잎이고 길이 5~10cm이며 최종 갈래는 깃 모양으로 좁게 갈라진다. 꽃은 5~6월에 피는데 꽃잎은 흰색 또는 자주색이고 겹산형꽃차례이며 작은산형꽃차례(小繖形花序)는 2~4개이고 작은화축(小花軸)의 길이는 2~3cm이다. 모인꽃싸개잎(總苞葉)은 없거나 1개이고 실 모양이며, 작은모인꽃싸개잎(小總苞葉)은 선형이다. 열매는 분과이고 3~6개씩 달리며 길이 4.5~6.0cm이고 긴 타원형(長楕圓形)이다다. 종자는 6~7월에 익는데 자줏빛이 돌고 가시 같은 돌기(突起)와 누운털(伏毛, sericeous)이 밀생(密生)한다. 사상자와 유사하나, 꽃차례의 꽃싸개잎이 없고 모든 꽃들이 수술과 암술이 있는 양성화이며, 분과의 형태가 타원형인 점에서 구분된다. 열매는 염증, 어혈 등에 약용한다. 개사상자, 큰뱀도랏이라고도 부른다(국생관).
2025. 5. 7. 林 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