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팝송 884] Kanye West - Ultralight Beam
'Ultralight Beam(울트라라이트 빔)'은 2016년 2월 14일 발매된 US 가수/음반 제작자 카니예 웨스트(Kanye West)의 일곱 번째 스튜디오 앨범 'The Life of Pablo(더 라이프 오브 파블로)'의 오프닝 트랙이다. 곡목 'Ultralight Beam'은 직역하면 '초경량(초광속) 빛줄기'란 뜻이지만, 가사를 참고하면 '은총(恩寵)' 정도로 해석된다. 이 노래를 쓴 작곡가 중 한 명인 데릭 왓킨스(Derek Watkins)는 '울트라라이트 빔(ultralight beam)'에 대해 '천국으로의 직통 연결(the connection that goes straight to heaven)'이라고 설명했다. 카니예는 킴 카다시안(Kimberly Noel Kardashian)의 전 남편으로도 유명하다.
Kanye West - Ultralight Beam
'Ultralight Beam'의 녹음 세션에는 카니예, 싱어송라이터/음반 제작자 챈스 더 래퍼(Chance the Rapper), 가스플(gospel) 뮤지션 커크 프랭클린(Kirk Franklin), R&B 싱어송라이터/음반 제작자 더-드림(The-Dream), R&B 가스플 싱어 켈리 프라이스(Kelly Price, 이상 보컬), 내털리 그린 & 사모리아 그린(Natalie Green & Samoria Green, 인트로 보컬), 도니 트럼핏(Donnie Trumpet, 트럼핏), 마이크 딘(Mike Dean, 키보드, 베이스 기타), 애런 엔시나스(Aaron Encinas), 샤니카 비리얼(Shanika Bereal), 크리스털 루이스 레이(Crystal Lewis Ray), 케년 딕슨(Kenyon Dixon), 레이철 휘틀로우(Rachel Whitlow), 조지 영(George Young), 레이크샤 샨텔(Lakesha Shantell), 티퍼니 스티븐슨(Tiffany Stevenson), 샤본 스튜어트(Chavonne Stewart, 이상 합창) 등이 참여했다.
Kanye West - Ultralight Beam (Madison Square Garden)
'Ultralight Beam'의 음악은 카니예, 마이크 딘, 켈리 프라이스, 테리우스 내쉬(Terius Nash, 더-드림의 본명), 니코 시걸(Nico Segal, 도니 트럼핏의 본명), 커크 프랭클린, 카심 딘(Kasseem Dean, 스위즈 비츠), 챈슬러 베닛(Chancelor Bennett, 챈스 더 래퍼), 노아 골드스타인(Noah Goldstein), 저롬 포터(Jerome Potter), 새뮤얼 그리스머(Samuel Griesemer), 사이델 영(Cydel Young, 사이하이 더 프린스), 데릭 왓킨스 등이 공동으로 작곡했다. 가사는 챈스 더 래퍼가 썼다. 음반은 카니예, 마이크 딘, 챈스 더 래퍼, 스위즈 비츠가 함께 제작했다. 장르는 힙 합(Hip hop), 가스플, 러닝 타임은 5분 21초다.
Kanye West - Ultralight Beam (Demo Version)
'Ultralight Beam'은 신(神)에 대한 카니예의 믿음에 관한 곡이며, 소울과 가스플 음악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가사는 '파블로의 삶(The Life of Pablo)'과 사도 바울(Saint Paul the Apostle)의 삶을 밀접하게 연관시킨다. 바울(당시 사울)은 기독교인들을 박해하기 위해 다마스쿠스로 향하던 중 하늘에서 내려온 빛줄기(울트라라이트 빔)에 의해 시력을 잃었다. 그는 3일 동안 앞을 보지 못했지만, 시력을 회복하고 그의 주(主, Lord)를 섬기는 데 헌신했다. 신약전서(新約全書) 27권 중 13권을 쓴 것으로 알려진 바울은 초기 교회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중 한 명이다. 그의 저서는 여호수아(히브리어 יהושוע, Jehoshua, 축약형 יושוע, Jeshua, 예슈아, 영어 Jesus, 지저스) 부활 이후 기독교 신학과 교리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오프닝은 4살 소녀 내털리 그린이 신에 대해 이야기하는 인스타그램 비디오에서 따온 것이다.
Stan Walker - Ultralight Beam (Official video)
'Ultralight Beam'은 2016년 US 빌보드 핫 100 차트 67위, UK 싱글 차트 63위를 기록하고, 뉴질랜드, 아일랜드, 캐나다 차트에도 진입했다. 차트 성적은 그다지 좋지 않았지만, 음악 평론가들로부터 찬사와 호평을 받으면서 피치포크 선정 2016년 최고의 노래 1위, 피치포크 선정 2010년대 최고의 노래 77위, 롤링 스톤 잡지 선정 2010년대 최고의 노래 70위에 올랐다. 2017년 제59회 그래미 어워드에서는 최우수 랩/노래 퍼포먼스, 최우수 랩 노래 부문상 후보로 지명되기도 했다. 이 노래를 리메이크한 아티스트는 스탠 워커(Stan Walker), 해리 스타일스(Harry Styles), 스톰지(Stormzy), 오스틴 글리슨(Austin Gleason), 로컬 네이티브스(Local Natives) 등이 있다.
Kanye West(카니예 웨스트) - Ultralight Beam(울트라라이트 빔)
[Intro: Samoria Green & Natalie Green]
(Yes, God) (예, 신이여)/We don't want no devils in the house, God (Yes, Lord) 우리 가정에 악마가 들지 않게 하소서, 신이여(예, 주여)/We want the lord (Yes, Jesus) 우리는 주(主, Lord)님을 원합니다 (예, 예수여)/And that's it (Yes, God) 그리고 그게 다입니다 (예, 신이여)/Hallej— hand over Satan (Yes, Jesus) 할렐루야— 사탄을 내쫓으소서 (예, 예수님)/Jesus praise the Lord (Yes, God) 예수님은 주님을 찬양하나니 (예, 신이여)/Hallelujah, God (Yes, God) 할렐루야, 신이여 (예, 신이여)/We don't want no devils in the house, God (Yes, Lord) 우리 가정에 악마가 들지 않게 하소서, 신이여(예, 주여)/We want the lord (Yes, Jesus) 우리는 주님을 원합니다 (예, 예수님)/And that's it (Yes, God) 그리고 그게 (바라는) 전부입니다 (예, 신이여)/Hallej— hand over Satan (Yes, Jesus) 할렐루야— 사탄을 내쫓으소서 (예, 예수님)/Jesus praise the Lord (Yes, God) 예수님은 주님을 찬양하나니 (예, 신이여)
[Chorus: Kanye West & The-Dream]
I'm tryna keep my faith 난 믿음(신념, 신앙)을 지키려 애쓰고 있어/We on an ultralight beam 우린 울트라라이트 빔(은총) 세례를 받고 있어(신의 은총이 광속보다 빠르게 이른다는 뜻)/We on an ultralight beam 우린 울트라라이트 빛줄기 셰례를 받고 있어/This is a God dream 이게 신의 꿈(바람)이야/This is a God dream 이건 신의 꿈이라고(신이 바라는 세상이라고)/This is everything 이게 다(신의 뜻이)야/This is everything 이게 다(신의 뜻이)라고
[Verse 1: Kanye West]
Deliver us serenity 우리에게 평온함을 주시기를/Deliver us peace 평화를 주시기를/Deliver us loving 사랑을 주시기를/We know we need it 우린 그게 필요한 걸 알아/You know we need it 당신은 우리가 그게 필요한 걸 알아/You know we need it 당신은 우리가 그게 필요한 걸 알아/That's why we need You now, oh 그래서 우린 지금 당신(神)이 필요해요, 오/Pray for Paris 파리를 위해 기도해(2015년 11월 파리 테러 희생자를 위한 기도)/Pray for the parents 모든 부모들을 위한 기도/This is a God dream 이게 신의 꿈(바람)이야/This is a God dream 이게 신의 바람이야/This is a God dream 이게 신이 꿈꾸는 세상이야
[Chorus: Kanye West & Choir, Kanye West]
We on an ultralight beam 우린 울트라라이트 빛줄기의 세례 속에 있어/We on an ultralight beam 우린 울트라라이트 빛줄기의 세례를 받고 있어/This is a God dream 이건 신의 꿈이야/This is a God dream 이건 신이 꿈꾸는 세상이야/This is everything 이게 다야(이 모든 게 신이 꿈꾸는 세상이야)/Everything (Thing, thing, thing) 모두 다라고(다, 다, 다)
[Post-Chorus: The-Dream with Choir]
I'm tryna keep my faith 난 믿음을 지키려 애쓰고 있어/But I'm looking for more 하지만 더 많은 것을 바라/Somewhere I can feel safe 안전함을 느낄 수 있는 곳/And end my holy war 그리고 내 성전(聖戰)을 끝내기를/I'm tryna keep my faith 난 믿음을 지키려 애쓰고 있어
[Verse 2: Kelly Price & Choir]
So why send oppression, not blessings? 그런데 어찌하여 제게 축복은 안 주고, 억압만 주시나요?/Why, oh, why'd You do me wrong? (More) 왜, 오, 왜 저를 잘못 대하시나요? (더욱)/You persecute the weak 당신은 약자를 박해합니다/Because it makes You feel so strong (Safe) 왜냐면 그걸 통해 당신을 매우 강하다고 느끼게 해주니(당신의 힘을 확인할 수 있으니)/Don't have much strength to fight 싸울 힘이 많지 않아요/So I look to the light (War) 그래서 난 빛을 바라봅니다 (전쟁)/To make these wrongs turn right 이 잘못된 것들을 바로잡기 위해/Head up high, I look to the light 고개를 높이 들고 빛을 바라봅니다/Hey, 'cause I know that You'll make everything alright 이봐요, 당신이 모든 것을 잘되게 하실 거라는 걸 알기에/And I know that You'll take good care of Your child 그리고 당신은 당신의 자녀를 잘 보우하실 거라는 걸 알기에/Oh, no longer am afraid of the night 오, 더 이상 밤이 두렵지 않아요/'Cause I, I look to the light 왜냐면 난, 나는 빛을 바라보기 때문이죠
[Bridge: Chance the Rapper]
When they come for You, I will shield Your name 그들이 당신을 찾을 때, 당신의 이름을 지키겠나이다/I will field their questions, I will feel Your pain 난 그들의 질문에 답하고, 당신의 고통을 느낄 겁니다/No one can judge 아무도 판단할 수 없어요/They don't, they don't know 그들은 몰라요, 모른다니까요/They don't know 그들은 몰라요
[Verse 3: Chance the Rapper]
Foot on the Devil's neck 'til it drifted, Pangaea 사탄의 목을 밟아, 초대륙 판게아처럼 갈라져 산산조각날 때까지/I'm moving all my family from Chatham to Zambia 내 가족을 US 채텀에서 아프리카 잠비아로(Back-to-Africa Movement, 백 투 아프리카 운동에 대한 언급)/Treat the demons just like Pam 악마들을 팸처럼 대해(팸은 시트콤 'Martin'에 나오는 늘 무시당하는 캐릭터)/I mean, I fuck with your friends, but damn, Gina 내 말은, 난 네 친구들이랑 자고 다녀, 근데 제기랄, 지나(시트콤 'Martin'에서 마틴은 '댐 지나'를 입에 달고 다님, 지나는 마틴이 좋아하던 캐릭터)/I been this way since Arthur was anteater 난 아서가 개미핥기였을 때부터 쭉 이래왔어(어린이 TV 애니메이션 'Arthur'에 대한 챈스 더 래퍼의 친밀감을 표현한 것)/Now they wanna hit me with the woo wap, the bam 그들은 이제 계속 그렇게 날 치려고(보내려고) 하지('woo wap the bam'은 시카고에서 흔히 사용되는 속담으로 'so on and so forth'와 같은 말. '계속해서 그렇게, 그리고 등등, 등등'의 뜻)/Tryna snap photos of familia 가족사진을 찍으려고 했어/My daughter look just like Sia, you can't see her 딸이 시아처럼 하고 왔더라고, 얼굴을 볼 수 없었지(시아는 무대 위에서 청중을 등지거나 커다란 리본과 가발로 얼굴을 가리고 노래하는 여가수)/You can feel the lyrics, the spirit coming in braille 넌 내 가사에서 브라유식 점자를 통해 영혼을 느낄 수 있어/Tubman of the underground, come and follow the trail 난 지하세계의 터브먼, 내 발자취를 따라와(Tubman은 Harriet Tubman, 해리엇 터브먼을 말함. 태어날 때부터 노예였던 터브먼은 탈출 후 '지하철도'라는 반노예 운동가 네트워크와 아지트를 통해 해방 시설 열세 곳을 세워 노예 칠십여 명을 구함)/I made 'Sunday Candy', I'm never going to hell 난 'Sunday Candy(선데이 캔디)'를 만들었으니, 지옥엔 가지 않아('Sunday Candy'는 챈스 더 래퍼의 믹스 테이프로 그래미 3관왕을 달성한 곡)/I met Kanye West, I'm never going to fail 난 카니예 웨스트를 만났으니 절대 실패하지 않을 거야/He said, "Let's do a good ass job with 'Chance 3'" 그가 말했지, "내 믹스 테이프를 가지고 함께 앨범 'Good Ass Job'을 같이 만들자고('Good Ass Job'은 2010년 발매된 카니예 웨스트의 앨범을 말함. 'Let's do a good ass job' 자체는 '좋은 일을 해보자'의 뜻임. 'Chance 3'는 챈스 더 래퍼가 공식석상에서 항상 '3'이라고 새겨진 야구모자를 쓴 것과 관련이 있음. '3' 심볼의 기원에 대해서는 그의 세 번째 프로젝트인 2016년작 'Coloring Book'과 관련이 있으며, 세 번째 믹스 테이프, 삼위일체, 챈스 더 래퍼와 딸, 그리고 그의 딸로 이루어진 세 갈래의 가족을 상징하기도 함)/I hear you gotta sell it to snatch the Grammy 난 그래미상을 받으려면 상업용 음반을 내야 한다고 들었어(무료로 공개한 곡들은 그래미상 후보에 오르지 못하던 시기가 있었음. 그래미 어워드에서는 원래 CD로 낸 음반에 대해서만 후보 자격을 부여했는데, 챈스 더 래퍼가 스트리밍만 할 수 있는 음반을 내면서 규정이 바뀌었음)/Let's make it so free and the bars so hard 자유로우면서도 강렬한 랩으로 만들어 보자(bar는 랩에서 마디를 뜻하는 말. 랩의 템포와 박자에 따라 한 곡에 16마디, 8마디, 또는 그보다 더 적은 마디가 있을 수 있음)/That there ain't one gosh darn part you can't tweet 트윗 못 할 파트가 하나도 없을 정도로('gosh darn'은 '이런 젠장', '빌어먹을' 정도의 뜻)/This is my part, nobody else speak 이건 내 파트야, 아무도 말하지 마/This is my part, nobody else speak 이건 내 파트야, 누구도 목소리를 얹지 못해/This little light of mine 이 작은 나의 빛/Glory be to God, yeah 영광을 신에게 돌려, 그래/I'ma make sure that they go where they can't go 난 그들이 갈 수 없는 곳도 갈 수 있게 할 거야(챈스 더 래퍼는 고향 시카고의 빈곤이나 폭력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자선단체 소셜웍스(SocialWorks)를 설립한 주인공)/If they don't wanna ride, I'ma still give 'em raincoats 그들이 (방주에) 오르지 않는다면, 난 우비를 건넬 거야(구약에 나오는 창세기 히브리인의 대홍수와 노아의 방주 신화를 은유적으로 표현한 가사인 듯)/Know what God said when He made the first rainbow 신이 처음으로 무지개를 만들 때 하신 말씀을 기억해(대홍수 이후 신은 다시는 물로 땅을 멸하지 않겠다는 약속의 표시로 무지개를 주었다고 함)/Just throw this at the end if I'm too late for the intro 인트로에 넣기에 너무 늦었다면 이 가사는 마지막에 넣어줘(카니예 웨스트의 엘범 'Late Registration'의 마지막 트랙 'Late'의 가사 1절에서 가져온 가사임. 'Ultralight Beam'은 원래 TLOP(The Life of Pablo)의 마지막 트랙이었다고 함)/Ugh, I'm just having fun with it 으, 난 그걸 그냥 즐기고 있었을 뿐이야('약에 취해 있었을 뿐이야'로도 해석 가능함)/You know that a nigga was lost 알잖아, 흑인이(내가, 챈스 더 래퍼는 흑인) 길을 잃었단(방황했단) 걸/I laugh in my head 난 속으로 웃어/'Cause I bet that my ex looking back like a pillar of salt 왜냐면 내 전 여자친구는 소금 기둥(이 된 롯의 아내 이야기)처럼 옛날을 그리워할 테니까(구약 창세기에 나오는 소돔과 고모라 두 도시에 대한 신화)/Ugh, 'cause they'll flip the script on your ass like Wesley and Spike 으, 왜냐면 그들은 웨슬리와 스파이크처럼 대본을 뒤엎어버릴 테니까(스파이크 리 감독, 웨슬리 스나입스 주연의 영화 '시라크(Chi-Raq)'에 대한 언급. 'flip the script'는 '대본을 뒤엎다', '허를 찔리다' 등 두 가지 뜻이 있음. 영화 '시라크'는 시카고의 모습을 단편적으로 비춘다고 해서 비판을 받았음)/You cannot mess with the light 빛을 흐리게 둘 수는 없지/Look at lil' Chano from 79th 79번가의 어린 챈스를 기억해(챈스 더 래퍼가 성장한 채텀 79번가를 말함)
[Chorus: Kanye West & Choir, Kanye West]
We on an ultralight beam 우린 은총을 받고 있어/We on an ultralight beam 우린 은총을 받고 있다고/This is a God dream 이게 신이 꿈꾸는 세상이야/This is a God dream 이게 신이 바라는 세상이라고/This is everything 이 모든 게 신의 뜻이야/Everything 모든 게
[Post-Chorus: The-Dream, The-Dream & Choir, Natalie Greene]
(Yes, God) (예, 신이여)/(Hallelujah) (할렐루야)/I'm tryna keep my faith 나는 믿음을 지키려 노력해/(Yes, Jesus) (예, 예수님)/But I'm looking for more 하지만 난 더 많은 걸 바라고 있어/Somewhere I can feel safe 안전함을 느낄 수 있는 곳/And end my holy war 그리고 내 성전을 끝낼 수 있는 곳
[Outro: Kirk Franklin & Choir]
Father, this prayer is for everyone that feels they're not good enough 아버지, 이 기도는 자신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모든 사람들을 위한 것입니다/This prayer's for everybody that feel that they're too messed up 이 기도는 자신이 너무 엉망이라고 느끼는 모든 사람을 위한 것입니다/For everyone that feels they've said "I'm sorry" too many times 줄곧 "미안하다"라는 말만 해온 사람들을 위한 기도입니다/You can never go too far when you can't come back home again 다시는 집으로 돌아올 수 없다는 걸 알면 멀리 떠나지 못하는 법이죠/That's why I need... 내게 필요한 것은.../Faith, more, safe, war 믿음, 더욱이, 안전함, 성전
(誤譯이 있을 수 있음요)
2025. 5. 28. 林 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