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표트르 차이콥스키(Piotr Ilyitch Tchaikovsky) - The Sleeping Beauty Op.66(잠자는 숲속의 공주)

林 山 2017. 11. 30. 10:09

<잠자는 숲속의 공주(Sleeping Beauty Op.66)> 또는 <잠자는 숲속의 미녀>는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Pyotr Il'yich Tchaikovsky, 1840~1893)가 1889년에 완성해서 이반 우세볼로쥬스키에게 헌정한 발레곡이다. 초연은 1890년 1월 15일 황실 마린스키극장에서 이뤄졌다. 〈백조의 호수〉의 혹평 이후, 오랜 시간 발레 작품과 담쌓고 있던 차이콥스키가 다시 발레 작품을 작곡하게 되면서 완성된 작품이다. 이 작품은 〈백조의 호수〉처럼 혹평을 받지는 않았지만, 그렇다고 큰 호평을 받은 작품도 아니다.


차이콥스키(Piotr Ilyitch Tchaikovsky) - The Sleeping Beauty Op.66(잠자는 숲속의 공주)

BBC Symphony Orchestra. Gennady Rozhdestvensky. London, October 1979

00:00:00 Introduction and Prologue. 00:31:23 Act 1. 01:03:16 Act 2. 01:40:35 Act 3


구성은 프롤로그와 3막으로 되어 있다. 편성은 피콜로, 플루트 2, 오보에 2, 잉글리시 호른, 클라리넷 2, 바순 2, 호른 4, 코넷 2, 트럼펫 2, 트롬본 3, 튜바, 팀파니, 큰북, 작은북, 탬버린, 심벌즈, 탐탐, 트라이앵글, 글로켄슈필, 피아노, 하프2, 현5부로 되어 있다. 


차이콥스키(Piotr Ilyitch Tchaikovsky) - The Sleeping Beauty Op.66(잠자는 숲속의 공주)


〈잠자는 숲속의 공주〉는 프롤로그와 전 3막의 장대한 작품으로 그 당시에 그 예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의 호화스러운 작품이었다. 이 작품은 1881년 페테르부르크 황실 마린스키극장의 감독관인 우세볼로쥬스키(Ivan Usevolozhsky, 1835~1909)의 의뢰로 착수되었다. 그는 차이콥스키에게 〈운디나〉를 의뢰하였지만, 이미 〈운디나〉를 오페라로 작곡한 차이콥스키의 흥미를 끌지는 못했다. 이후 1888년 우세볼로쥬스키는 차이콥스키에게 페로의 동화 《잠자는 숲속의 공주》를 제안한다. 차이콥스키는 그렇게 〈백조의 호수〉이후 십여 년만에 발레 작품을 다시 작곡하기에 이른다.


차이콥스키(Piotr Ilyitch Tchaikovsky) - The Sleeping Beauty Op.66(잠자는 숲속의 공주)

Teatro alla Scala, with Roberto Bolle and Diana Vishneva. 2002.

Conducted by Kevin Rhodes


대본은 마리우스 프티파가 썼는데, 그는 마린스키극장의 발레 마스터로 70세의 고령에도 새 작품에 대한 열정을 보였다. 프티파는 차이콥스키에게 상세한 구성 대본과 길이, 박자, 조성 등 상당히 상세한 것까지 지정하였다. 차이콥스키는 작곡 과정에서 아당과 들리브 등의 프랑스 작곡가의 발레 작품을 연구하였다. 그렇게 〈잠자는 숲속의 공주〉는 프롤로그와 전3막 8장 구성으로 서주와 29개의 곡이라는 대규모 장편 발레로 탄생하였다. 무엇보다 《잠자는 숲속의 공주》를 원작으로 하는 다른 어떤 발레보다 차이콥스키의 작품은 이야기를 한층 더 성숙하고 친밀하게 만들면서 클래식 발레를 정점으로 이끌었다.



차이콥스키(Piotr Ilyitch Tchaikovsky) - The Sleeping Beauty Op.66(잠자는 숲속의 공주)

Mariinsky Orchestra and Ballet. Cond. Viktor Fedotov. Artistic Director Oleg Vinogradov

Larissa Lezhnina, Farukh Ruzimatov, Yulia Makhalina, Vadim Guliayev


〈잠자는 숲속의 공주〉를 작곡할 당시 차이콥스키는 상당히 바쁜 일정을 소화하고 있었다. 〈교향곡 5번〉 초연 준비와 연주여행 등에도 차이콥스키는 이 발레 음악에 열의를 다해서 작곡하였다. 폰 메크 부인에게 보내는 편지에 “이 작품은 저의 전 생애에서 그 무엇보다도 뛰어난 작품이 될 것”이라고 말할 정도로 작품에 대한 애정을 보이기도 하였다.


그러나 음악이 완성되고 발레 연습에 들어가면서 안무와 음악의 밸런스가 조금씩 무너지기 시작하였다. 차이콥스키는 다이내믹하게 주제를 전개하고 음악에 통일성을 부여하였으나, 프티파는 작품을 하나의 소품으로 구성하면서 전편을 정리하였기 때문이다. 프티파는 안무가의 입장에서 대본을 정리하였기 때문에 매우 상세하고 구체적인 반면, 작곡가인 차이콥스키는 음악 전체의 구성을 중요시하였기 때문이다. 이렇게 안무가와 작곡가가 작품을 바라보는 시각의 차이가 이 작품에 부조화를 만들어냈고, 이 부조화가 이 발레의 특징이 되었다.


오로라 공주의 명명식이 거행되는 날이다. 많은 이들이 오로라 공주의 탄생을 축하하며 요정들도 공주에게 각각의 재능과 성격을 선물한다. 이때 초대받지 못한 노파가 나타나 공주가 16살이 되면 뜨개질바늘에 찔려 죽는다는 저주를 내린다. 노파는 요정 카라보스이다. 아직 공주에게 선물을 전하지 않은 요정 리라가 공주의 죽음 대신 100년 동안 잠이 들며, 왕자의 입맞춤으로 그녀가 눈을 뜰 것이라고 말하며 모두의 불안을 해소한다.


시간이 흘러, 16살이 된 오로라 공주의 생일 연회 날이다. 4명의 왕자가 오로라 공주에게 청혼을 하고 공주는 이들 왕자와 춤을 춘다. 어느 순간 나타난 노파가 공주에게 뜨개질바늘을 건네주자, 공주는 바늘을 들고 춤을 춘다. 이를 본 모두는 카라보스의 저주에 불안해하고, 역시나 공주는 뜨개질바늘에 찔려 실신한다.


'잠자는 숲속의 공주' 발레 모음곡(Tchaikovsky 'Sleeping Beauty' Ballet Suite)


100년이 흘러, 사냥을 즐기는 데지레 왕자 앞에 요정 리라가 나타나 잠자는 공주의 이야기를 들려주며 그녀의 환영을 불러낸다. 공주의 아름다움에 빠진 왕자는 공주의 환영을 쫒아간다. 요정 리라의 안내로 성에 도착한 왕자는 잠자는 공주에게 다가가 입을 맞춘다. 그 순간 잠자는 공주에게 생기가 불어나며 모두 잠에서 깨어난다. 그렇게 깨어난 오로라 공주와 데지레 왕자는 결혼을 하게 된다. 요정 리라에 대한 감사와 두 사람의 결혼을 축하하면서 발레의 막이 내린다.


'잠자는 숲속의 공주' 왈츠(Tchaikovsky 'Sleeping Beauty' Waltz)

Gimnazija Kranj Great Christmas Concert 2010. 

Gimnazija Kranj Symphony Orchestra. Conductor: Nejc Bečan


〈잠자는 숲속의 공주〉를 감상하고 있으면 귀에 익은 선율들이 많이 나오는 것을 알 수 있다. 요정 카라보스가 자신을 초대하지 않은 것에 화를 내며 등장하는 장면에서 차이콥스키는 바그너의 〈뉘른베르크의 마이스터징거〉에서 ‘베크메서의 동기’와 작곡가 본인의 피아노곡 〈어린이 앨범〉Op.39의 〈바바야가〉를 교묘하게 사용하고 있다. 데지레 왕자가 요정 리라의 안내로 잠자는 성으로 가는 길에 들리는 음악의 주선율은 차이콥스키의 오페라 〈스페이드의 여왕〉 1막 2장에 나오는 게르만의 아리오조에서 발췌한 것이다. 또한 공주가 왕자의 입맞춤으로 눈을 뜨는 장면에서는 바그너의 음악극 〈니벨룽겐의 반지〉를 떠올리게 한다. 차이콥스키는 이 장면에서 바그너의 음악극에서 브륀힐데가 눈을 뜨는 장면을 의식하고 작곡하였다고 한다.



'잠자는 숲속의 공주' 왈츠(Tchaikovsky 'Sleeping Beauty' Waltz)

State Symphony Orchestra of Russia(Svetkanov Symphony Orchestra)

Conductor -Terje Mikkelsen. Sala São Paulo


차이콥스키는 〈잠자는 숲속의 공주〉에서 다섯 곡을 추려 〈연주회용 모음곡〉op.66a를 만들었다. 이 안에는 ‘서주: 리라의 정령’(Introduction: Dance of the Lilac Fairy), ‘파 닥시옹. 아다지오’(Pas d'Action. Adagio), ‘장화 신은 고양이’(Pas de caractère: Puss in Boots and the White Cat), ‘파노라마’(Panorama), ‘왈츠’(Waltz)이다. 이 중에서 마지막 곡 ‘왈츠’가 가장 유명하며 독립해서 많이 연주한다.


오로라 공주의 16세 생일을 축하하는 날, 뜨개질바늘을 들고 있던 소녀들의 이야기에 격노한 왕이 소녀들을 사형에 처할 것을 명한다. 왕비를 비롯하여 다른 이들이 공주의 생일을 축하하는 기쁜 자리임을 상기시키며 소녀들의 용서를 구한다. 〈화려한 왈츠〉는 소녀들이 사면된 후, 연회의 분위기로 돌아오면서 나오는 음악이다. 이 음악에 맞춰 무용수들이 왈츠를 추기 시작한다. 이 왈츠는 1막에 포함되어 있으며, 발레 전체에서는 6번째 곡이다. 음악은 알레그로로 호화롭다. 강렬한 현악의 도입부가 끝난 후, 현악이 왈츠 선율을 노래하듯이 연주한다.(클래식 백과)


2017. 9.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