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련 4

추사 김정희의 묵향을 찾아가는 여행 16 - 팔공산(八公山) 백흥암(百興庵) (2)

여섯 폭 주련의 내용도 시홀방장 및 유마거사와 관련이 있다. 숭나라 대문장가인 쑤둥포(蘇東坡)가 유마경(維摩經)의 내용을 인용해 지은 시구를 추사가 쓴 것이다. 주련의 원본은 은해사 성보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은해사 성보박물관의 여섯 폭 주련(柱聯, 출처 인터넷) 쑤둥포는 아..

추사 김정희의 묵향을 찾아가는 여행 15 - 팔공산(八公山) 은해사(銀海寺) (1)

미지의 세계를 처음 찾아갈 때는 언제나 가슴이 설레곤 한다. 팔공산(八公山, 1,192.3m) 은해사(銀海寺)를 찾아갈 때도 그랬다. 팔공산은 두어 번 와본 적이 있지만 은해사는 초행길이었다. 은해사에는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 1786~1856)의 현판 글씨가 있다고 해서 그의 묵향(墨香)을 찾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