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사 김정희의 묵향을 찾아가는 여행 16 - 팔공산(八公山) 백흥암(百興庵) (2) 여섯 폭 주련의 내용도 시홀방장 및 유마거사와 관련이 있다. 숭나라 대문장가인 쑤둥포(蘇東坡)가 유마경(維摩經)의 내용을 인용해 지은 시구를 추사가 쓴 것이다. 주련의 원본은 은해사 성보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은해사 성보박물관의 여섯 폭 주련(柱聯, 출처 인터넷) 쑤둥포는 아..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9.12.10
추사 김정희의 묵향을 찾아가는 여행 15 - 팔공산(八公山) 은해사(銀海寺) (1) 미지의 세계를 처음 찾아갈 때는 언제나 가슴이 설레곤 한다. 팔공산(八公山, 1,192.3m) 은해사(銀海寺)를 찾아갈 때도 그랬다. 팔공산은 두어 번 와본 적이 있지만 은해사는 초행길이었다. 은해사에는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 1786~1856)의 현판 글씨가 있다고 해서 그의 묵향(墨香)을 찾아..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9.11.30
추사 김정희의 묵향을 찾아가는 여행 5 - 추사고택 안채 추사고택(秋史古宅) 안채 대문을 지나 안마당으로 들어서면 사방이 건물로 가로막혀 다소 답답한 공간이 나타난다. 폐쇄적인 ㅁ자형으로 건물을 지은 것은 화순옹주(和順翁主)를 비롯한 부녀자들이 생활하는 공간이었기 때문일 것이다. 안채의 안쪽 기둥에도 주련들이 걸려 있다. 안채 ..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9.04.08
추사 김정희의 묵향을 찾아가는 여행 4 - 추사고택 안채 추사고택(秋史古宅) 안채는 ㅁ자형 구조로 되어 있다. 안채는 6칸의 대청, 2칸통의 안방과 건넌방, 광 등을 갖춘 대가집 규모다. 중정을 중심으로 대청이 있고, 좌우로 방을 엇갈리게 배치하였다. 화순옹주(和順翁主)가 살았던 방은 안채에서 시야가 가장 잘 터진 곳이다. 안채의 부엌은 난..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9.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