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7월 19일 중국(中國) 지린성(吉林省) 방문 이틀째 되는 날 한강토(조선반도, 한반도) 최고봉이자 조선민족(朝鮮民族, 한겨레)과 만주족(滿洲族)의 영산(靈山)인 흰머리뫼(백두산, 白頭山, 2,744m) 북파(北坡) 천문봉(天文峰, 2,620m)에 올랐다. 신령한 하늘연못(천지, 天池) 북쪽에 우뚝 솟은 천문봉 기슭에 끝없이 펼쳐진 천상(天上)의 화원(花園)에는 두메양귀비, 좁은잎돌꽃, 천지괭이눈, 바위구절초, 구름송이풀, 두메자운, 구름범의귀, 호범꼬리, 나도개미자리, 하늘매발톱, 두메분취, 나도황기, 씨범꼬리, 바위솜나물, 바위돌꽃, 노랑만병초, 담자리꽃나무, 구름국화, 좀참꽃, 둥근범꼬리, 고산봄맞이 등 온갖 뫼꽃 들꽃들이 피어나 저마다 아름다움을 자랑하고 있었다.
고산봄맞이를 마지막으로 천문봉 정상부에서 조금 내려와 헤이펑커우(黑風口)로 자리를 옮겼다. 한자어로 '흑풍구(黑風口)'라 불리는 곳이다. '헤이펑(黑風)'은 '폭풍(暴風), 광풍(狂風)', '펑커우(風口)'는 '바람받이, 바람이 통하는 곳, 바람구멍'을 뜻한다. 곧 '강풍 또는 미친 바람이 부는 바람받이'라는 뜻이다. 지명처럼 헤이펑커우에는 사람을 날려버릴 듯한 강풍이 불어오고 있었다. 하지만 헤이펑커우에서 바라보는 비룡폭포(飛龍瀑布, 白頭瀑布)는 그야말로 장관이었다. 선경(仙境)이 있다면 바로 이런 곳을 두고 한 말이 아닐까! 중국인들은 비룡폭포를 창바이푸부(長白瀑布)라고 부른다.
헤이펑커우에는 천문봉 정상부와는 또 다른 야생화의 세계가 펼쳐져 있었다. 헤어펑커우에서는 고본(藁本), 가는다리장구채, 오랑캐장구채, 긴개싱아 등을 만났다. 긴개싱아를 마지막으로 헤이펑커우를 떠나 비룡폭포 대협곡과 소천지(小天池)가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전망대에 이르렀다. 전망대 근처에서 설령쥐오줌풀에 이어 선명한 붉은색 꽃이 예쁘게 피어 있는 패랭이꽃도 만났다.
천문봉 기슭에서 자라는 들꽃 뫼꽃들을 보고 창바이산(長白山) 북파 산문(山門)으로 내려왔다. 천문봉을 오르는 관문인 북파 산문에는 창바이산빙설훈련기지(長白山高原氷雪訓鍊基地)가 있다. 이 기지는 말하자면 중국 국가대표팀 동계 훈련 선수촌이다. 선수촌 주변에는 천문봉 북파와는 또 다른 들꽃 뫼꽃의 세계가 펼쳐져 있었다. 북파 산문에서 큰오이풀과 꿩의다리, 금매화(金梅花), 미역취, 나래박쥐나물, 귀박쥐나물, 어리곤달비, 좁은잎어수리에 이어 도깨비엉겅퀴를 만났다. 도깨비엉겅퀴는 중부 이북 지방의 높은 산에서 자라기에 남한에서 그리 쉽게 만날 수 있는 식물은 아니다. 그런 도깨비엉겅퀴를 머나먼 백두산까지 와서 만나니 무척이나 반가왔다.
백두산에 오기 위해 남의 나라 중국(中國) 땅을 거쳐 참으로 먼 길을 돌아서 왔다. 백두산은 판문점을 거쳐 육로로 가면 단 몇 시간이면 닿을 수 있는 거리다. 지름길을 두고도 남의 나라로 돌아서 가야만 하는 상황에 치미는 분노를 금할 수 없다. 남한과 북한이 상호불가침협정(相互不可侵協定)을 체결하고, 대사 교환(大使交換)을 한 뒤 민간인 자유 왕래를 실현했더라면 이렇게 남의 나라 땅을 통해 빙 돌아서 오지 않아도 되었을 것이다. 남과 북으로 갈라져 아직도 같은 민족끼리 오가지도 못하는 못난 민족이다. 남북간 민간인 자유 왕래를 가로막는 세력이 영원히 사라지기를 천지신명(天地神明)님께 빌고 또 빈다. 민간인 자유 왕래 실현을 가로막는 악(惡)의 세력을 몰아내는 것이야말로 시대적 사명이라고 할 수 있다.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국생관)에는 도깨비엉겅퀴가 피자식물문(被子植物門, Magnoliophyta) > 목련강(木蓮綱, Magnoliopsida) > 국화아강(菊花亞綱, Asteridae) > 국화목(菊花目, Asterales) > 국화과(菊花科, Asteraceae) > 엉겅퀴속(Cirsium) > 도깨비엉겅퀴종(schantarense)의 여러해살이풀로 분류되어 있다. 네이버벡과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생정)에는 쌍자엽식물강(Dicotyledoneae) > 초롱꽃목(Campanulales)으로 분류되어 있다.
쌍자엽식물강은 속씨식물 중 떡잎이 두 장 나는 식물 분류군으로서 목련강과 같은 개념이다. 초롱꽃목은 크론퀴스트 분류 체계에서 쌍떡잎식물강 국화아강에 속했던 목 분류군이다. APG II 분류 체계에서는 목으로 인정하지 않고, 가지목(Solanales)으로 분류하는 스페노클레아과(Sphenocleaceae)를 제외하고 모든 과를 국화목으로 분류한다.
국가표준식물목록(국표), 국제식물명색인(IPNI), 큐(KEW) 등재(登載) 도깨비엉겅퀴의 학명(學名, Scientific name)은 키르슘 스칸타렌세 트라우트페터 앤 C.A.마이어(Cirsium schantarense Trautv. & C.A.Mey.)다. 국표 등재 학명이명(學名異名, synonymy)에는 Cirsium pendulum Fisch. ex DC. var. oligocephalum Regel & Tiling, Cnicus japonicus (Fisch. ex DC.) Maxim. var. schantarensis (Trautv. & C.A.Mey.) Maxim., Cnicus diamaticus Nakai, Cirsium diamanticum (Nakai) Nakai, Cirsium maackii Maxim. var. spiniferum Nakai, Cirsium fusenense Nakai 등이 있다.
속명(屬名, generic name) '키르슘(Cirsium)'은 '일종의 엉겅퀴, 엉겅퀴 종류(kind of thistle)'라는 뜻의 고대 그리스어 '키르숀(kírsion)'에서 유래한 다국어(Translingual) 고유명사다. 국화과(Asteraceae) 내의 분류학적 속을 나타낸다.
종명(種名, specific name) '스칸타렌세(schantarense)'는 '볼쇼이 샨타르 섬(Bolshoi Shantar Island)'을 뜻하는 '스칸타르(Schantar)'에 '~에서 온' 또는 '~에 속하는'의 뜻으로 쓰이는 접미사 '-엔세(-ense)'가 붙은 것이다. 자생지 또는 최초 발견지가 러시아 오호츠크해에 있는 샨타르 제도의 주요 섬인 볼쇼이 산타르 섬임을 표현한 이름이다.
명명자 '트라우트페터(Trautv.)'는 발트해 연안 출신 독일 식물학자 에른스트 루돌프 폰 트라우트베터(Ernst Rudolf von Trautvetter, 1809~1889)다. 그는 상트페테르부르크 식물원 관리자 겸 책임자가 되었으며, 코카서스와 중앙아시아의 식물을 전문적으로 연구했다. 'C.A.마이어(C.A.Mey.)'는 독일계 제정 러시아 식물학자 칼 안톤 폰 마이어(Carl Anton von Meyer, 1795~1855)다. 마이어는 발트해 연안 출신 독일 식물학자 카를 프리드리히 폰 레데부어(Karl Friedrich von Ledebour, 1786~1851)의 제자이다. 마이어는 레데부어와 함께 크리미아로 과학 여행을 떠났다. 또, 그는 레데부어, 러시아 식물학자 알렉산드르 폰 분게(Alexander von Bunge, 1803~1890)와 함께 알타이 산맥과 키르기스 대초원(카자흐스탄) 탐험에 참여했다. 그는 상트페테르부르크 과학 아카데미에서 프리드리히 에른스트 루트비히 폰 피셔(Friedrich Ernst Ludwig von Fischer, 1782~1854)와 함께 연구를 수행했고, 칼 베른하르트 폰 트리니우스(Carl Bernhard von Trinius, 1778~1844)의 뒤를 이어 아카데미 식물 박물관장이 되었으며, 피셔에 이어 러시아 제국 식물원장이 되었다. 마이어와 트라우트페터는 1856년 'Middend. Reise (Fl. Ochot. 58)'에서 도깨비엉겅퀴의 학명을 최초로 출판했다.
국표 등재 학명 Cirsium schantarense Trautv. & C.A.Mey.의 추천 국명(國名, Korean common name)은 도깨비엉겅퀴(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등, 1937), 비추천명은 부전엉겅퀴(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수그린엉겅퀴(한국식물명감 이춘녕 & 안학수, 1963), 큰엉겅퀴(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흰도깨비엉겅퀴, 거친엉겅퀴(조선식물지, 임록재, 1996+) 등이 있다. '엉겅퀴'는 '피를 엉기게(응고되게)하는 효능이 있는 풀'이라는 뜻에서 유래한 이름이고, '도깨비'는 잎 가장자리와 엽병(葉柄)에 나 있는 큰 가시가 도깨비와 관련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이 있다.
국표 등재 도깨비엉겅퀴의 추천 영문명(英文名, English common name)은 우드랜드 씨슬(Woodland thistle, 한반도 자생식물 영어이름 목록집 개정판, 국립수목원, 2022)이다. '삼림지대(Woodland)에 자라는 엉겅퀴(thistle)'라는 뜻이다. 엉겅퀴는 스코틀랜드(Scotland)의 국화(國花), 프랑스 북동부 로렌느(Lorraine) 주의 주화(州花)이다.
국표 등재 도깨비엉겅퀴의 일본명(日本名, Japanese common name)은 죠우센키세루아자미(チョウセンキセルアザミ, 朝鮮煙管薊)다. '조선(朝鮮)에 나는 담뱃대(煙管) 엉겅퀴(薊)'라는 뜻이다. 줄기 끝에 달린 꽃 모양이 담뱃대(煙管)를 연상케 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Flora of Mikawa(三河の植物観察, FOM) 등재 일본명은 오쿠에조아자미(オクエゾアザミ, 奥蝦夷薊)다. '오쿠에조(奥蝦夷, 樺太, サハリン, 사할린)에 나는 엉겅퀴(薊)'라는 뜻이다.
중국식물지(中国植物志, FRPS), FOM 등재 도깨비엉겅퀴의 중국명(中國名, Chinese common name)은 린지(林蓟, 东北植物检索表)다. '숲(林)에 나는 엉겅퀴(蓟)'라는 뜻이다. '지(蓟, 엉겅퀴)'는 '지(髻, 쪽, 상투)'라는 글자에서 유래했다. '지(髻)'는 여성의 머리에 둥글게 틀어 올린 쪽을 말한다. 본종(本種)의 꽃차례는 상투 모양(髻状)으로 비교적 커서 '따지(大蓟)'라고 부른다.
도깨비엉겅퀴는 한강토 전국의 심산(深山) 지역에서 자란다(국생정). 도깨비엉겅퀴는 중부 이북 높은 산의 숲속과 풀밭에 자란다. 중국 동북(東北) 지방에도 분포한다(국생관).
오쿠에조아자미(奥蝦夷薊)의 원산지는 한국(韓国, 한강토), 중국 헤이룽쟝성(黒竜江省), 지린성(吉林省), 랴오닝성(遼寧省, 러시아이다(FOM). 린지(林蓟)는 헤이룽쟝, 지린, 랴오닝에 분포한다. 숲과 숲 가장자리의 습한 곳, 강변 또는 초원에서 자란다. 러시아 극동 지역에도 분포한다. 기준 표본은 샨타르 군도(러 Шантарские острова, 영 Shantar Islands, 중 善塔尔群岛)에서 채집한 것이다(FRPS).
도깨비엉엉겅퀴의 줄기는 높이 50~150cm 정도이다. 원줄기에는 홈이 파진 줄이 있으며, 윗부분에 거미줄 같은 털이 있다. 근생엽(根生葉)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거나 없어지며 밑부분의 잎보다 작다. 줄기잎(莖葉)은 어긋나기하고 밑부분의 것은 타원형(楕圓形) 또는 피침상 타원형(披針狀楕圓形)이며, 길이는 20~40㎝로서 밑으로 흘러 엽병의 날개로 되거나 원줄기를 약간 감싸고 우상(羽狀)으로 깊게 갈라지며 가시가 있다. 중앙부의 잎은 긴 타원형(長楕圓形)으로서 밑부분이 귀처럼 되어 원줄기를 둘러싸고 가장자리가 우상으로 깊게 갈라진다. 열편(裂片)은 흔히 뒤로 젖혀지고 윗부분의 잎은 점차 작아져서 난상 피침형(卵狀披針形)으로 된다.
꽃은 7~9월에 자주색(紫朱色)으로 핀다. 머리 모양 꽃차례(頭狀花序)는 지름 4~5㎝로서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1개씩 밑으로 처진다. 총포(總苞)는 둥글며 길이 15~20mm, 너비 30~40mm이고 포편(苞片)은 6줄로 배열되며 끝이 뾰족하고 뒷면에 점질(粘質)이 있거나 없다. 꽃부리는 18~22mm이다.
열매는 수과(瘦果, achene)이다. 수과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4mm 정도이고 털이 없으며 칙칙한 갈색(褐色)이다. 관모(冠毛, 갓털, 우산털)는 길이 16~18mm로서 갈색이 돈다. 수과는 씨앗이 하나 들어 있으며, 익어도 벌어지지 않는 열매를 말한다.
국표 등재 도깨비엉겅퀴의 유사종(類似種, similarity species) 자생식물(自生植物, indigenous plant)은 가시엉겅퀴(Cirsium japonicum Fisch. ex DC. var. spinossimum Kitam.), 개엉겅퀴(Cirsium japonicum Fisch. ex DC.), 고려엉겅퀴[Cirsium setidens (Dunn) Nakai], 동래엉겅퀴(Cirsium toraiense Nakai ex Kitam.), 물엉겅퀴[Cirsium nipponicum (Maxim.) Makino], 바늘엉겅퀴[Cirsium rhinoceros (H.Lév. & Vaniot) Nakai], 버들잎엉겅퀴[Cirsium lineare (Thunb.) Sch.Bip.], 엉겅퀴[Cirsium japonicum Fisch. ex DC. var. maackii (Maxim.) Matsum.], 점봉산엉겅퀴(Cirsium zenii Nakai), 정영엉겅퀴[Cirsium chanroenicum (Nakai) Nakai], 좁은잎엉겅퀴[Cirsium japonicum Fisch. ex DC. f. nakaianum (H.Lév. & Vaniot) W.T.Lee], 큰엉겅퀴(Cirsium pendulum Fisch. ex DC.), 흰잎고려엉겅퀴[Cirsium setidens (Dunn) Nakai var. niveo-araneum Kitam.], 흰잎엉겅퀴(Cirsium vlassovianum Fisch. ex DC.) 등 14종이 있다.
가시엉겅퀴(영 Spined Korean thistle, Spined Japanese thistle, 일 トゲアザミ, 刺薊, YList는 Cirsium japonicum Fisch. ex DC. var. horridum Nakai가 표준)는 한강토 제주도에 나며, 일본에 분포한다. 줄기는 곧추서고 높이 약 25cm,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전체에 부드러운 흰털이 난다. 뿌리잎은 줄기잎보다 크고 꽃이 필 때 남아 있다. 잎몸은 타원형 또는 도피침형이며 깃꼴로 갈라진다. 갈래조각은 난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 깊이 파여 들어간 모양의 톱니와 가시가 있다. 줄기잎은 타원상 피침형이며, 촘촘히 붙어 난다. 꽃은 7~8월 붉은색으로 핀다. 가지와 줄기 끝 머리 모양 꽃차례에 1~3개씩 달리고 지름 3~5cm이다. 모인꽃싸개는 둥글며, 모인꽃싸개 조각은 뾰족한 줄 모양으로 7~8줄이 배열한다. 열매는 수과, 긴 타원형이고, 털이 없다. 열매는 9월에 익는다. 관모는 길이 1.6~1.9cm이다. 엉겅퀴에 비해 잎의 가시가 뾰족하고 길고 많아서 구분된다. 어린순은 나물로 먹고 전초는 약용한다.
개엉겅퀴(영 East Asian thistle, Japanese thistle, 일 ノアザミ, 野薊, 중 大薊, 大薊茇, 南國小薊)는 국표, 국생정, 국생관에 학명, 국명 등만 등재되어 있다. 한강토 전남, 제주도의 길가, 풀밭, 해안가에서 자란다. 엉겅퀴에 비해 전체적으로 거미줄 같은 흰색 털이 적은 편이다. 잎 가장자리 톱니 끝 부분의 가시가 길이 2~10mm로 긴 것이 특징이다. 줄기잎은 흔히 깃털 모양으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4~5쌍이며 열편과 톱니 끝에는 긴 가시가 있다. 잎 양면에 털이 있으며, 뒷면은 엉겅퀴와 달리 거미줄 같은 흰색 털이 거의 없다. 가시엉겅퀴에 비해 줄기의 털이 적고, 잎의 가시도 비교적 약한 편이다. 꽃은 무수한 보라색 실올들이 솟구쳐 나오는 것처럼 핀다. 총포(總苞)는 난상 구형(卵狀球形) 또는 구형이며, 총포편(總苞片)의 끝은 짧게 뾰족하다. 열매는 관모에 긴 털이 있다.
고려엉겅퀴(영 Gondre, Korean thistle, 일 チョウセンヤナギアザミ, 朝鮮柳薊)는 전국 각지에 분포하는 한강토 특산종이다. 뿌리는 곧고 줄기는 높이 1m 정도, 곧추서고 상부에서 많은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잎과 아래쪽 잎은 꽃이 필 때 스러진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중간에 붙는 잎은 잎자루가 있다. 잎몸은 길이 15~35cm의 난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이며 잎끝은 대개 뾰족하고 밑은 자른 모양이거나 넓게 뾰족하다. 잎 앞면은 털이 약간 있으며, 뒷면은 흰빛이 돌고 털이 없다.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가시 같은 톱니가 있다. 줄기 위쪽 잎은 작고 잎자루가 짧으며 장타원상 피침형, 피침형, 선상 피침형이고 끝이 대개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바늘 같은 톱니가 있다. 꽃은 7~10월에 자주색으로 핀다. 꽃부리는 길이 1.5~1.9cm, 지름 3~4cm이고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머리 모양 꽃차례로 달린다. 모인꽃싸개는 길이 2cm, 폭 2~3cm의 둥근 종형이고 거미줄 같은 털이 밀생한다. 모인꽃싸개잎 조각은 7줄로 늘어선다. 모인꽃싸개 조각은 끝이 뾰족하고 뒷면에 점질이 있다. 열매는 수과, 길이 3.5~4mm의 장타원형이며, 길이 1.1~1.6cm의 갈색 우산털이 있다. 정영엉겅퀴에 비해 모인꽃싸개가 크고 강하며 꽃부리가 자색으로 백황색이 아니므로 구별된다. 도깨비엉겅퀴, 구멍이, 곤드래라고도 한다. 어린잎은 식용한다.
동래엉겅퀴(영 Dongrae thistle, 일 국표 トウライアザミ, FOM アキノアザミ)는 부산 동래, 해운대에 자생하는 한강토 고유종이다.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는 35cm 정도이다. 줄기에는 털이 약간 있으며 골이 진 줄이 있다. 줄기잎은 어긋나고 밑부분의 잎은 좁은 타원형으로 양 끝이 좁으며, 가시가 있고 털이 없다. 또한 가장자리가 깃꼴로 갈라지며 줄기 위로 갈수록 작아진다. 꽃은 7~8월에 자색으로 핀다. 두화(頭花)는 꽃이 필 때 가지나 줄기 끝에 1개씩 곧게 달린다. 꽃싸개 조각은 6줄로 배열되며 바깥조각은 끝이 뾰족하고 가운뎃조각은 뒷면에 점질이 있고 검은빛이 돌며 바깥조각과 더불어 곧추 퍼진다. 열매는 수과로 관모는 다소 갈색이다.
물엉겅퀴(영 Island thistle, 일 국표 ナンブアザミ, 南部薊, FOM キタカミアザミ, 北上薊)는 한강토 울릉도 성인봉에 자생하며, 일본에 분포한다. 키는 높이 1~2m 정도로 자란다. 줄기에 골이 파진 능선이 있으며 자줏빛이 돈다. 뿌리잎은 꽃이 필 때에 없어지고, 중앙부의 잎은 끝이 뾰족하며 때로는 5~6쌍의 깃꼴로 갈라진다. 잎 가장자리는 대개 밋밋하고 이 모양 또는 결각상으로 갈라지며 끝에 가시가 있다. 꽃은 8~11월에 자주색으로 핀다. 머리 모양 꽃은 꽃이 필 때 아래로 처진다. 모인꽃싸개잎은 종형이고 밑부분이 들어가며 거미줄 같은 털이 있는 것도 있다. 열매는 수과, 우산털은 오갈색(汚褐色)이다.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다. 섬엉겅퀴라고도 부른다.
바늘엉겅퀴(영 Korean prickly thistle, 일 ハリアザミ, 針薊)는 한강토 경기도 덕적도, 경남 남해도, 전남 보길도, 제주도 한라산 등에 나며, 일본, 중국 만주, 러시아 아무르, 우수리 등에 분포한다. 뿌리는 방추형이다. 줄기는 곧게 서며 높이 50cm이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줄과 털이 있다. 뿌리잎은 길이 16cm로 깃 모양으로 깊게 갈라지며 줄기잎은 어긋나고 도피침형으로 깃꼴로 갈라진다. 열편은 흔히 2~3개로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딱딱하고 날카로운 가시가 있다. 꽃은 7~8월에 자색으로 핀다. 지름 3~3.5cm의 머리 모양 꽃차례가 잎 같은 포로 싸여 있다. 모인꽃싸개잎은 길이 2.2~3cm이고 꽃싸개잎 조각은 7열 배열하며 외편은 침형으로 털이 있다. 꽃부리는 길이 18~19mm이다. 열매는 수과, 9~10월에 익으며 길이 3.5mm, 상부는 황색이고 다른 부분은 자색이다. 우산털은 길이 13~16mm로 갈색이다. 엉겅퀴에 비해 잎이 규칙적인 깃꼴로 갈라지며 딱딱하고 날카로운 가시가 있다. 동래엉겅퀴에 비해 모인꽃싸개잎 조각의 바깥 조각이 가운데 조각의 중상부에 달하므로 구별된다. 탐라엉겅퀴라고도 한다.
버들잎엉겅퀴(영 Linear-leaf thistle, 일 ヤナギアザミ, 柳薊, 중 线叶蓟)는 한강토 경기도에서 자생하며,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전체에 털이 많지 않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50~100cm이다. 뿌리잎은 꽃이 필 때 시든다. 줄기잎은 마주나며, 가운데 잎은 선형 또는 좁은 피침형, 길이 6~20cm, 폭 0.5~1.5cm, 끝이 길게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길이 1~2mm의 가시가 있다. 잎 앞면은 털이 없고, 뒷면은 거미줄 같은 털이 있다. 짧은 잎자루가 줄기 아래쪽에는 있지만, 위쪽에는 없다. 꽃은 9~10월에 줄기와 가지 끝에서 머리 모양 꽃이 1개씩 피며, 자주색이다. 머리 모양 꽃은 지름 2~2.5cm, 길이 1.5~1.7cm이다. 모인꽃싸개잎은 지름 약 2cm, 모인꽃싸개잎 조각이 6~7줄로 배열하며, 바깥쪽 모인꽃싸개잎 조각이 가장 짧다. 열매는 수과, 9~11월에 익으며, 긴 타원형, 길이 3~4mm이다. 한강토 자생 엉겅퀴속 식물들에 비해서 잎은 선형 또는 좁은 피침형으로 가늘고 길므로 구분된다. 솔엉겅퀴라고도 부른다.
엉겅퀴(영 Ussuri thistle, 일 カラノアザミ, 중 野蓟)는 한강토 전역에 나며, 중국, 타이완, 일본, 러시아 등에 분포한다. 줄기는 곧추서ㄱ고, 높이 50~100cm다. 처음에 줄기 아래쪽에 털이 나지만 없어지고, 위쪽에 거미줄 같은 털이 난다. 뿌리잎은 모여나며, 도란상 긴 타원형, 길이 15~30cm, 폭 4~8cm, 꽃이 필 때 남아 있다. 잎몸은 깃꼴로 얕게 또는 반쯤 갈라지며, 갈래는 5~6쌍, 끝에 길이 2~3mm의 가시가 있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긴 타원형, 깃꼴로 깊게 갈라지며, 밑이 줄기를 감싼다. 꽃은 6~8월 줄기와 가지 끝에서 붉은 보라색 또는 드물게 흰색으로 핀다. 머리 모양 꽃은 지름 2.5~3.5cm다. 모인꽃싸개 조각은 끝이 뾰족한 선형, 7~8줄로 배열하며, 점액질이 있다. 꽃은 모두 관 모양 꽃이며, 전체 길이가 1.9~2.4cm다. 열매는 수과이며, 긴 타원형, 8월에 익는다. 각 결각이 서로 겹쳐지지 않는 점에서 서로 겹치는 바늘엉겅퀴와 다르고, 가장자리의 가시가 길이 1~4mm인 점에서 0.5~1cm 정도로 긴 가시엉겅퀴와 구별된다. 어린순을 식용하며, 뿌리를 약용한다.
점봉산엉겅퀴(영 Jeombongsan thistle)는 강원도 점봉산에 매우 드물게 분포하는 한강토 고유종이다. 줄기는 곧추서고 거미줄 같은 털이 있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길이 6~12cm, 폭 2~5cm의 타원형이고 깃 모양으로 갈라진다. 갈래조각의 가장자리에는 가시가 있으며, 표면은 거미줄 모양의 털이 성글게 있으고 뒷면은 털이 많다. 꽃은 8~9월 줄기나 가지 끝에 적자색(赤紫色)으로 핀다. 모인꽃싸개는 길이 1.5~1.7cm, 지름 1~1.5cm로 종 모양이며 모인꽃싸개 조각은 5~6줄로 배열한다. 바깥쪽 모인꽃싸개 조각은 선형이고 안쪽 모인꽃싸개 조각은 긴 선형이다. 줄기에 거미줄 모양의 흰 털이 있고, 잎이 긴 타원형이며 잎자루가 거의 없는 점 등 흰잎엉겅퀴와 유사한 점이 많으나, 뿌리 형태가 덩이뿌리가 아닌 점에서 덩이뿌리를 갖는 흰잎엉겅퀴와 구분된다. 관상식물로 이용할 수 있다.
정영엉겅퀴(영 Jeongyeong thistle, 일 국표 チョウレイアザミ)는 한강토 지리산, 가야산, 조령, 구례 등 강원도 이남에 분포하는 한강토 특산종이다. 고산 지대 풀밭에서 자란다. 키는 높이 50~100cm이다. 전체에 가시 같은 털이 많다. 뿌리는 굵고, 땅속 깊이 들어간다. 줄기는 곧추서고 골이 파진 능선이 있으며,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잎은 꽃이 필 때 흔히 시들어 없어지고 중앙부 잎은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다소 좁아져서 잎자루의 날개로 되며 털이 다소 있다. 꽃은 7~10월 머리 모양 꽃차례에 노란빛을 띠는 흰색으로 핀다. 3~4개가 모여 달리거나 이삭 모양으로 배열되며 지름 2.5~3cm이다. 모인꽃싸개는 종형이며 거미줄 같은 털이 있다. 모인꽃싸개잎 조각은 6줄로 배열된다. 열매는 수과로 밑부분이 좁으며 자주색 줄이 있고, 우산털은 지저분한 갈색이다. 고려엉겅퀴에 비해 꽃이 노란색이 조금 도는 흰색이므로 구분된다. 어린잎을 나물로 먹는다. 한방에서는 전초를 약재로 쓴다.
좁은잎엉겅퀴(영 Narrow-leaf Korean thistle, Narrow-leaf Japanese thistle)는 한강토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줄기는 높이 50~100cm로서 전체에 백색 털과 더불어 거미줄 같은 털이 있으며 가지가 갈라진다. 근생엽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고 줄기잎보다 크며 타원형 또는 피침상 타원형이고 길이 15~30cm, 폭 6~15cm로서 밑부분이 좁으며 6~7쌍의 우상으로 갈라진다. 잎 양면에는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톱니와 더불어 가시가 다소 많이 있다. 줄기잎은 피침상 타원형이며 원줄기를 감싸고 우상으로 갈라진 가장자리가 다시 갈라진다. 잎이 보다 좁고 가시가 다소 많다. 꽃은 6~8월에 자주색 또는 적색으로 핀다. 꽃 지름은 3~5cm이다. 꽃은 가지끝과 원줄기 끝에 달린다. 총포는 둥글며 길이 18~20mm, 지름 25~35mm이고, 포편은 7~8줄로 배열되며 겉에서 안으로 약간씩 길어지고 끝이 뾰족한 선형이다. 꽃부리는 길이 19-24mm이다. 수과는 길이 3.5~4mm이며 관모는 길이 16-19mm이다.
큰엉겅퀴(영 Pendulous thistle, 일 タカアザミ, 高薊, 중 烟管蓟)는 한강토 중부 이북에서 자라며, 일본, 중국 만주, 러시아 동시베리아 등에도 분포한다. 엉겅퀴 종류 중 가장 대형이다. 키는 높이 1~2m, 때로는 그 이상도 자란다. 원줄기는 곧추서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세로줄과 거미줄 같은 털이 있다. 뿌리잎은 타원형으로 끝이 꼬리처럼 길며, 밑부분이 잎자루의 날개로 되고, 꽃이 필 때 스러진다. 잎몸은 가장자리가 깃꼴로 갈라진다. 열편에는 결각상의 톱니와 가시가 있다. 줄기잎은 길이 40~50cm, 폭 20cm로 깊게 갈라지며, 갈래조각은 끝이 뾰족하며 양면에 털이 있다. 꽃은 8~9월에 피는데 관 모양 꽃으로만 된 지름 3~4cm의 머리 모양 꽃이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달려서 밑을 향한다. 모인꽃싸개잎은 난형이고 꽃부리는 자주색이다. 열매는 수과, 긴 타원형이며 4개의 능선이 있고, 길이 20mm 정도의 백색 우산털이 있다. 10월에 익는다. 꽃부리통이 열편보다 1.5~2.5배 정도 큰 점에서 도깨비엉겅퀴를 비롯하여 꽃부리통이 열편보다 짧은 대부분의 종들과도 구별된다. 어린잎을 식용한다. 장수엉겅퀴라고도 한다.
흰잎고려엉겅퀴(영 White-leaf Korean thistle)는 전국 각지에 분포하는 한강토 고유종이다. 뿌리는 곧고 줄기는 높이 1m 정도에 달하며 곧추서고 상부에서 많은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잎과 하부잎은 꽃이 필 때 스러진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중부잎은 잎자루가 있고 잎몸은 길이 15~35cm의 난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이며 끝이 대개 뾰족하고 잎밑은 자른 모양 또는 넓게 뾰족하다. 잎 윗면은 털이 약간 있으며 하면은 모시풀 같은 흰빛이 돌고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가시 같은 톱니가 있다. 상부잎은 작고 잎자루가 짧으며 장타원상 피침형, 선상 피침형이며 끝이 대개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바늘 같은 톱니가 있다. 꽃은 7~10월에 머리 모양 꽃차례로 피는데 지름 3~4cm이고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달린다. 모인꽃싸개는 길이 2cm, 너비 2~3cm의 둥근 종형이고 거미줄 같은 털이 밀생하며 꽃싸개잎 조각은 7줄로 늘어선다. 모인꽃싸개 조각은 끝이 뾰족하며 뒷면에 점질이 있다. 꽃부리는 길이 1.5~1.9cm이고 자주색이다. 열매는 수과이고 길이 3.5~4mm의 장타원형이며 11월에 익는다. 우산털은 길이 1.1~1.6cm이고 갈색이다. 고려엉겅퀴의 변종으로 잎 뒷면이 모시풀처럼 흰빛을 띠므로 구분된다. 어린잎을 식용한다.
흰잎엉겅퀴(영 Vlassoviana thistle, 일 ウラジロヤナギアザミ, 裏白柳薊, 중 绒背蓟)는 한강토 함경남북도, 평안남북도, 경기도, 강원도 등에 자라며, 러시아 아무르, 우수리, 중국 만주, 일본 등에 분포한다. 줄기는 곧게 자라며, 높이 60~100cm, 거미줄 같은 털이 있다. 뿌리잎은 모여나고 피침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7~18cm, 너비 2~4cm, 꽃이 피기 전에 시든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피침형, 길이 8~20cm, 폭 2~4cm, 가장자리에 가시털이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잔 톱니가 있다. 잎 앞면은 털이 거의 없으며 뒷면에 흰 털이 많다. 줄기 아래에 있는 잎은 짧은 잎자루가 있으나, 중간 이상에 달린 잎은 잎자루가 없으며, 줄기 위로 올라가면서 잎 크기가 작아진다. 꽃은 8월에 피는데 지름 3~3.5cm의 머리 모양 꽃이 줄기와 가지 끝에 달리며, 보라색이다. 모인꽃싸개는 구형, 길이 15~20mm, 모인꽃싸개 조각은 6줄로 배열한다. 열매는 수과, 끝이 한쪽으로 기울어졌다. 우산털은 길이 약 15mm, 갈색이다. 고려엉겅퀴에 비해 잎 뒤에 흰 털이 빽빽하게 나며, 줄기 중간 이상에 달린 잎은 잎자루가 없으므로 다르다.
국표 등재 도깨비엉겅퀴의 유사종 외래식물(外來植物, alien plant)은 서양가시엉겅퀴[Cirsium vulgare (Savi) Ten.], 카나다엉겅퀴[Cirsium arvense (L.) Scop.] 등 2종이 있다.
서양가시엉겅퀴(영 Scotch thistle, Bull thistle, Yellow spine thistle, Scottish thistle, plumed thistle, spear thistl, 일 アメリカオニアザミ, 亜米利加鬼薊, 중 翼蓟)는 유럽 원산의 귀화식물이다. 한강토에서는 인천 북항에서 처음 확인되었으며, 세계적으로 북아프리카, 아시아, 아메리카 등에 귀화하여 분포한다. 두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게 자라며 높이 50~150cm, 위쪽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끝이 가시처럼 되는 톱니 모양 날개가 있다. 잎은 어긋나며, 줄기 가운데에 달리는 잎은 잎자루가 없고 잎몸은 피침형, 길이 10~15cm, 폭 4~5cm, 깃꼴로 깊게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예리한 가시가 있으며, 뒷면은 회백색이다. 꽃은 6~10월에 자주색으로 핀다. 줄기나 가지 끝에서 관 모양 꽃(管狀花, 筒狀花)으로만 이루어진 머리 모양 꽃이 여러 개 달린다. 모인꽃싸개는 끝이 좁은 종 모양으로 지름 3~5cm, 조각은 약 10줄로 붙으며 끝이 예리한 바늘처럼 된다. 열매는 수과, 갈색, 길이 3~4mm, 우산털은 흰색, 길이 3cm쯤이다.
카나다엉겅퀴(영 California thistle, Canada Thistle, Creeping Thistle, boar thistle, field thistle, perennial thistle, 일 セイヨウトゲアザミ, 西洋刺薊, 중 絲路薊)는 유럽 원산의 귀화식물이다. 한강토 경기도 안산을 중심으로 퍼져 나가 자라며, 세계적으로 아시아, 북아메리카에 귀화하여 분포한다. 땅속줄기는 길게 옆으로 뻗는다. 줄기는 곧게 자라며 높이 30~160cm,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 깃꼴로 깊게 갈라지며 가장자리 끝에 가시가 있다. 꽃은 6~8월에 암수딴포기에 보라색 또는 간혹 흰색으로 핀다. 머리 모양 꽃은 지름 1.5~2.5cm, 전체가 산방꽃차례((繖房花序)를 이룬다. 모인꽃싸개 조각은 5~7줄로 붙는다. 열매는 수과, 타원형, 길이 3.0~4.5mm, 폭 1mm쯤이다. 우산털은 흰색이다. 서양가시엉겅퀴와 달리 땅속줄기로 번식하여 군락을 이루고 꽃은 암수딴포기로 핀다. 어린순은 식용한다.
2025. 1. 5. 林 山
#도깨비엉겅퀴 #Woodlandthistle #チョウセンキセルアザミ #朝鮮煙管薊 #オクエゾアザミ #奥蝦夷薊 #林蓟
'야생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두산 야생화] 금방망이 (1) | 2025.01.06 |
---|---|
[백두산 야생화] 꽃쥐손이 '새색시' (0) | 2025.01.03 |
[백두산 야생화] 좁은잎어수리 (1) | 2025.01.01 |
[백두산 야생화] 어리곤달비 (1) | 2024.12.31 |
[백두산 야생화] 귀박쥐나물 (3) | 2024.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