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7월 중순 한강토(조선반도, 한반도)의 최고봉 백두산(白頭山, 2,744m)에서 자라는 야생화를 만나기 위해 중국 땅을 밟았다. 백두산은 조선민족(朝鮮民族, 한민족)의 영산(靈山)이기에 누구나 한 번쯤은 가보고 싶어하는 산이다. 하지만, 외세에 의한 국토 분단으로 북한을 통해서 백두산을 가지 못하고 중국을 거쳐 빙빙 돌아서 가야만 하는 현실에 슬픔을 넘어 분노까지 치밀어 오른다. 같은 민족이면서 서로 오가지도 못하는 세계 유일의 나라..... 이 얼마나 비극적인가! 남한과 북한 정부는 지금이라도 상호불가침협정을 체결하고, 대사 교환을 한 뒤 민간인 자유 왕래를 실현해야 한다. 그게 역사의 명령이고, 배달겨레 조상님들의 불호령이다.
7월 19일 백두산 운동원촌 숙소에서 새벽 4시에 일어나 북파(北坡) 천문봉(天文峰, 2,620m)으로 향했다. 천문봉에 오르자 먼동이 터오기 시작했다. 북파 천지(天池, 하늘연못)에는 대륙을 가로질러 몰려오는 태풍급 강풍이 불고 있었다. 그럼에도 새벽의 희미한 하늘빛에 드러난 천문봉 산기슭에는 온갖 야생화들이 피어나 천상의 화원을 이루고 있었다. 풀꽃들은 몸을 바싹 낮추고 대륙의 강풍을 견디고 있었다. 수많은 외세의 침략을 당하고도 이를 견뎌내고 정체성을 잃지 않은 조선민족처럼.....
새벽 하늘빛을 받아 어둠을 밝히는 등불처럼 유난히 눈길을 잡아끄는 풀꽃이 있었다. 바로 황금빛 꽃을 활짝 피워올린 천지괭이눈이었다. 천지괭이눈은 남한에서는 만나기 어려운 풀꽃이기에 더 반가왔다. 백두산 고산지대에서의 첫 만남이라서 그럴까! 선명한 황금색으로 피어난 천지괭이눈이 강렬한 느낌으로 다가왔다.
하지만, 천지괭이눈은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생정) 미등재(未登載) 종이다. 국가표준식물목록(국표)과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생물다양성(국생관)에는 학명(學名, Scientific name)과 국명(國名, common name)만 등재되어 있고, 표본이나 도감조차도 없다.
국생관은 천지괭이눈을 피자식물문(被子植物門, Magnoliophyta, Angiospermae) 목련강(木蓮綱, Magnoliopsida) 장미목(薔薇目, Rosales) 범의귀과(Saxifragaceae) 괭이눈속(Chrysosplenium)으로 분류하고 있다.
국표, 국생관 등재 천지괭이눈의 학명은 크리소스플레늄 마크로스페르뭄 김용인 & 김영동(Chrysosplenium macrospermum Y.I.Kim & Y.D.Kim)이다. 속명(屬名, generic name) '크리소스플레늄(Chrysosplenium)'은 라틴어 명사 '스플레늄(splenium, spleenwort, 차꼬리고사리속)' 앞에 그리스어 접두사 '크리스(chrys, gold, 황금, 황금빛의)'가 붙어서 된 이름이다.
'크리스(chrys)'는 고대 그리스어 '크루소스(khrusós)'에서 유래한 '크리소(chryso)'의 대체어다. '스플레늄(splenium)'은 '스플렌(splēn, spleen, 비장)' 기원의 고대 그리스어 '스플레니온(splēnion, pad or compress of linen, 린넨 패드 또는 압축)'에서 유래했다. 직역하면 '황금색 비장(golden spleen)'이라는 뜻이다. 비장(脾臟) 모양의 황금색 꽃잎을 표현한 것이거나 꽃이 노란색으로 필 때 꽃을 둘러싼 잎도 황금색으로 물드는 특징을 표현한 이름으로 보인다. 하지만 비장의 개념이 다소 모호하다. 꽃에서 비장이 연상되지 않기 때문이다.
'스플레늄(splenium)'은 '밀트웨이스트(Miltwaste)'란 뜻도 있다. '밀트웨이스트(Miltwaste)'는 과거 의학에서 사용되었던 작은 유럽산 양치식물(Asplenium ceterach)이다.
종명(種名, specific name) '마크로스페르뭄(macrospermum)'은 '크다(large)'는 뜻의 고대 그리스어 '마크로스(Makros)'와 '씨앗(seed), 정액(semen), 정자(sperm)'를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 기원 라틴어 '스페르마(Spérma)'의 합성어에서 유래되었다. 같은 속의 다른 종보다 씨앗(種子)이 현저하게 큰 것을 표현한 이름이다. 메리엄-웹스터(Merriam-Webster)는 '-스페르뭄(-macrospermum)'에 대해 '-spermus -spermous(정자의, 정자 같은)의 중성형(neuter)에서 유래한 근대 라틴어(New Latin)'라고 설명하고 있다.
'Y.I.Kim & Y.D.Kim'은 논문 '한강토 신종 가지털괭이눈[Chrysosplenium ramosissimum Y.I.Kim & Y.D.Kim (Saxifragaceae), a new species from Korea]'을 쓴 조성현(Seong-Hyun Cho), 이중훈(Jung-Hoon Lee), 강대현(Dae-Hyun Kang), 박진희(Jin Hee Park) 등과 함께 공동 저자로 올라가 있는 김용인(Yong-In Kim), 김영동(Young-Dong Kim)이다. 김용인과 김영동은 2019년 'PhytoKeys 135 : 40'에서 최초로 학명 Chrysosplenium macrospermum Y.I.Kim & Y.D.Kim(천지괘괭이눈)을 공동으로 출판했다.
국표 등재 학명 Chrysosplenium macrospermum Y.I.Kim & Y.D.Kim의 추천 국명은 천지괭이눈이다. 괭이눈은 작은 꽃송이 사이로 살짝 보이는 수술이 고양이 눈을 닮았다고 하여 얻은 이름이라는 설이 있다. 또, 열매인 삭과(蒴果)가 반으로 갈라질 때 드러나는 까만색 씨가 고양이 눈처럼 보여서 괭이눈이라고 했다는 설도 있다. 천지괭이눈은 백두산 하늘연못(天池)에서 처음 발견되었거나 자생지(自生地)라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국표 등재 천지괭이눈의 추천 영문명(英文名, English name)은 백두 골든 색서프리지(Baekdu golden saxifrage)다. '백두산(Baekdu)에 자라는 괭이눈(golden saxifrage)'이라는 뜻이다.
중국어판 위크원드(Wikiwand) 등재 천지괭이눈의 중국명(中國名, Chinese name)은 톈치진야오(天池金腰)다. '천지 또는 백두산(长白山)에서 자라는 괭이눈(金腰, 猫眼草)'이라는 뜻이다.
천지괭이눈은 해발 약 2,600m의 중국 지린성(吉林省) 창바이산(長白山) 툰드라에만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천지 화산 분화구 근처의 습하고 반그늘진 지역에서 두메양귀비, 호범꼬리, 구름범의귀, 좁은잎바위돌꽃, 구름송이풀 등과 함께 자라고 있는 천지괭이눈은 지금까지 약 5,000 개체의 소집단만이 발견되었다. 천지괭이눈에 대한 추가 정보가 없으므로 현재 IUCN 적색 목록 기준(IUCN 2001)에 따라 정보 부족(DD)으로 평가한다.
천지괭이눈은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는 두껍고 섬유질이다. 줄기의 키는 7cm까지 자란다. 꽃줄기는 1~3개가 곧게 서고, 길이는 2~7cm이다. 때때로 가지가 갈라지는데, 횡단면은 사각형이고, 가장자리를 따라 듬성듬성한 털이 있으며, 밝은 녹색에서 녹색이다. 줄기 밑부분에서 2~3개의 꽃이 피지 않는 무성지(無性枝)가 솟아오른다. 무성지는 굵고, 길이 1~1.5cm, 아치 모양이며, 듬성듬성한 털이 있다. 잎은 단순하고, 탁엽(托葉)이 없으며, 잎자루가 있다. 기부 잎은 1개 또는 2개가 마주나며, 잎자루 길이 3~15mm, 잎몸 길이 약 1cm, 너비 1cm, 부채꼴 모양이다. 꽃줄기 잎은 1~4개가 마주나거나 드물게 어긋나며, 줄기의 1/2 또는 아래에 붙어 있다. 잎자루는 길이 1~10mm이고, 전체적으로 섬모(纖毛)가 있다. 잎꼭지는 길이 2~10mm, 너비 3~11mm, 부채꼴 모양이며, 끝은 반쯤 잘린 모양에서 둥근 모양이고, 밑부분은 가늘어지며, 가장자리는 모호하게 물결 모양에서 톱니 모양이거나 뚜렷하게 둔한 톱니 모양(3~7개의 이빨)이고, 반투명한 흰색 또는 갈색 섬모가 있다. 잎 앞뒤 표면에 털이 없다. 무성지 잎은 4~8개가 마주나고. 잎자루는 길이 4~15mm, 전체적으로 섬모가 있다. 잎은 길이 1.5cm, 너비 1.5cm, 아구형(亞球形) 또는 넓은 난형(廣卵形)에서 난형(卵形), 끝은 둥글고, 밑부분은 쐐기형에서 좁은 쐐기형이다. 잎 가장자리는 3~10개의 편평하고 모호한 이빨이 있는 톱니 모양이며, 반투명의 흰색 또는 갈색 섬모가 있다. 잎 윗면은 가장자리 근처에 털이 드문드문 나고, 녹색(綠色)에서 연녹색(軟綠色)이며, 아랫면은 맥을 따라 털이 드문드문 나고, 녹회색(綠灰色)이다.
꽃은 양성화(兩性花)로서 5월 하순~7월 중순 취산꽃차례(聚繖花序)에 5~30개가 노란색으로 달리며, 잎과 같은 포(苞)로 둘러싸여 있다. 소화경(小花梗)은 길이 1~3mm이고 털이 드문드문 있다. 포엽(苞葉)은 꽃이 필 때 노랗게 변하고 개화 후에는 녹황색으로 변한다. 소화경(小花梗)은 길이 1~3mm이고 전체적으로 섬모가 있다. 꽃은 4수성이고, 방사대칭(放射對稱)을 이룬다. 꽃받침조각은 4개가 2쌍을 이룬다. 꽃잎은 없다. 수술은 8개, 암술은 2개다.
열매는 삭과다. 삭과는 밝은 녹색이고, 털이 없으며, 길이 약 6mm, 뿔 모양이며, 봉합선(縫合線) 축을 따라 벌어진다. 씨앗은 많고, 밝은 갈색, 타원형이며, 한쪽에 등줄이 있다. 씨앗 표면은 작은 탈락성 유두로 덮여 있고, 결절은 없다. 결실기는 7~8월이다.
천지괭이눈은 천마괭이눈과 매우 비슷하다. 두 종 모두 무성지 잎 앞면에 부드러운 털(柔毛)이 있다. 하지만, 천지괭이눈은 무성지 줄기가 짧고 아치형으로 발달한다. 천마괭이눈은 무성지 줄기가 아치형이 아니다. 그리고, 꽃이 진 뒤 무성지 줄기가 자라지 않고 방석 모양으로 퍼진다(로제트). 연노랑괭이눈은 꽃이 진 뒤 무성지 줄기가 길게 자라지만, 방석 모양으로 퍼지지 않는다. 천지괭이눈의 꽃줄기는 최대 3개까지 나오고, 종자 표면은 돌기가 없어 매끄럽다. 천지괭이눈은 필로사(Pilosa) 계열의 다른 종보다 30~50% 더 크다(Chrysosplenium macrospermum Y.I.Kim & Y.D.Kim, 2019).
국표 등재 천지괭이눈의 유사종(類似種, similarity species) 자생식물(自生植物, Indigenous plant)에는 가지괭이눈(Chrysosplenium ramosum Maxim.), 가지털괭이눈(Chrysosplenium ramosissimum Y.I.Kim & Y.D.Kim), 괭이눈(Chrysosplenium grayanum Maxim.), 기는괭이눈(Chrysosplenium epigealum J.W.Han & S.H.Kang), 녹빛괭이눈(Chrysosplenium baicalense Maxim.), 누른괭이눈(Chrysosplenium flaviflorum Ohwi), 바위괭이눈(Chrysosplenium macrostemon Maxim. ex Franch. & Sav.), 사술괭이눈[Chrysosplenium japonicum (Maxim.) Makino f. tetrandrum H.Hara], 산괭이눈[Chrysosplenium japonicum (Maxim.) Makino], 선괭이눈(Chrysosplenium pseudofauriei H.Lév.), 시베리아괭이눈(Chrysosplenium serreanum Hand.-Mazz.), 애기괭이눈(Chrysosplenium flagelliferum F.Schmidt), 연노랑괭이눈(Chrysosplenium aureobracteatum Y.I.Kim & Y.D.Kim), 천마괭이눈[Chrysosplenium valdepilosum (Ohwi) S.H.Kang & J.W.Han], 털괭이눈(Chrysosplenium pilosum Maxim.), 흰털괭이눈(Chrysosplenium barbatum Nakai) 등 16종이 있다.
가지괭이눈(Many-branch golden saxifrage, マルバネコノメソウ, 丸葉猫の目草, 多枝金腰)은 한강토(조선반도, 한반도)에서는 강원도 이북, 세계적으로 러시아 아무르, 우수리, 중국 만주, 일본 홋카이도, 혼슈 북부 및 중부에 분포한다. 국내 괭이눈속 중 가장 늦게 꽃이 피고, 유일하게 꽃줄기 잎이 마주나면서 꽃받침잎이 수평으로 펼쳐지며, 삭과가 잔 모양으로 벌어지므로 구별된다. 꽃은 5~7월에 녹색이나 녹색 바탕에 자주색 또는 자갈색으로 핀다. 기는줄기는 옆으로 길게 자라면서 갈라지고, 편원형의 잎이 달린다. 긴 털이 약간 있다. 가지털괭이눈(Branched golden saxifrage)은 오대산 질뫼늪, 선자령 일대에 분포한다. 무성지(無性枝) 잎의 거치가 둔하고, 잎 표면에 작은 백색 점들이 덮여 있다. 2018년에 발표된 신종으로 한강토에만 분포하는 고유종이다. 꽃이 진 후 무성지가 그물망처럼 가지를 많이 치는 것이 특징이다.
괭이눈(Gray's golden saxifrage, ネコノメソウ, 猫の目草)의 원산지는 일본 홋카이도(北海道)와 혼슈(本州), 조선(朝鮮, 한강토), 러시아이다. 줄기가 옆으로 뻗어가면서 지면에 닿는 부분에서 새로운 뿌리가 내리는 특징이 있다. 꽃은 4~5월에 연한 노란빛을 띤 녹색으로 가지 끝 부분에 모여 달린다. 선괭이눈에 비해 로제트형 잎이 나지 않으므로 다르다. 기는괭이눈(Creeping golden saxifrage)은 무성지가 땅 위를 긴다. 씨앗에는 돌기가 없다. 녹빛괭이눈(Baical golden saxifrage)은 한강토에 분포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되는 종이다. 국표, 국생관에는 국명, 학명 등만 등재되어 있다. 국생정 미등재종이다. 누른괭이눈(Yellow golden saxifrage)은 중부 이북 지방의 깊은 산에 분포한다. 한강토 고유종이다. 전체에 털이 많고 옆으로 뻗는 가지가 있다. 꽃은 5월 3~10cm의 꽃대 끝에 연한 황색으로 핀다. 북괭이눈이라고도 한다.
바위괭이눈(Big-leaf golden saxifrage)은 한강토 중부 이북의 산골짝 냇가 습지에서 자란다. 줄기는 자줏빛이 돌며 꽃이 핀 다음 옆으로 뻗는 가지가 자란다. 전체에 털이 밀생한다. 꽃은 6~8월에 황록색으로 핀다. 사술괭이눈(Northern golden saxifrage, ヨツシベヤマネコノメ)은 수술이 4개라서 붙은 이름이다. 하지만, 수술이 3개 또는 5개인 것도 있다. 선괭이눈과 비슷한데 꽃술로 구별한다. 산괭이눈(Mountain golden saxifrage, ヤマネコノメソウ, 山猫の目草, 日本金腰, 日本貓兒眼晴草)은 경기도 수원 이북에 분포한다. 일본 혼슈, 시코쿠(四国), 규슈(九州), 오키나와(沖縄), 중국, 타이완(台湾)에도 분포한다. 꽃은 4~5월 연한 녹색으로 핀다. 암술대는 2개가 서로 젖혀진다. 털괭이눈과 비슷하여 혼동되기도 한다. 꽃이 진 다음 지면 가까이에 작은 살눈(구슬눈)이 달린다.
선괭이눈(Upright golden saxifrage, オオイワボタン)은 제주, 강원, 평남, 함남북, 중국 동북 지방, 러시아 극동 지방에 분포한다. 바위괭이눈과 비슷하지만 꽃대가 모여서 나오며, 줄기잎이 보다 작은 것이 다르다. 땅 위에 퍼져 있는 방사상 잎의 기부를 제외한 전체에 털이 없고 잎에 작은 둔거치가 많으며, 종자 표면에 막대형 돌기가 나 있는 특징으로 식별된다. 큰웅예괭이눈이라고도 한다. 시베리아괭이눈(Siberian golden saxifrage, タイリクネコノメソウ, 五台金腰)은 강원도 오대산 북대사 근처, 함경도에서 자란다(국생정). 한가토 북부 지역 백두산 근처에 나며, 시베리아, 몽골 북부, 히말라야, 중국 북부와 동북 지방, 일본 홋카이도, 북중 아메리카 등지에 분포한다(국생관). 전체적으로 털이 약간 있다. 꽃대는 길이 5~12cm로서 중앙부에 1장의 잎만 달린다. 꽃은 4~6월에 노란색으로 핀다. 꽃받침조각은 4개이며 옆으로 퍼진다. 기본종에 비해 키나 잎의 크기가 작고, 전체에 탄닌 세포가 없다는 특징으로 구분된다. 오대산괭이눈, 노랑괭이눈이라고도 한다.
애기괭이눈(Stolon golden saxifrage, ツルネコノメソウ, 蔓猫の目草, 蔓金腰)은 한강토 제주도를 제외한 전역에 나며, 러시아 아무르, 우수리, 중국 만주, 일본 등에 분포한다. 다른 괭이눈보다 줄기가 가늘게 자라는 특징이 있다. 줄기는 모여나기하고 긴 털이 다소 있다. 잎은 어긋나기한다. 줄기잎이 어긋나는 점에서 시베리아괭이눈 및 산괭이눈과 비슷하다. 하지만 금괭이눈을 비롯한 마주나는 종들과 구별된다. 덩굴괭이눈이라고도 한다. 연노랑괭이눈(Yellowish-bract golden saxifrage)의 원산지는 한강토이다. 꽃이 필 때 포의 색깔이 연한 노란색인 데서 그 이름이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줄기 전체에 긴 털이 밀생한다. 열매 표면의 돌기 위에 유두상 돌기가 있다. 천마괭이눈(Cheonma golden saxifrage)은 한강토 거의 전역에 나며, 러시아 우수리 남부, 중국 만주 남부, 중국 북부 및 중부 등지에 분포한다. 꽃줄기는 곧게 서고, 자줏빛이 돈다. 꽃은 4∼5월에 노란색으로 핀다. 종자 표면에 작은 돌기가 있으나 이들이 모여 능선을 이루지 않으며, 꽃싸개잎이 꽃이 필 때 밝은 노란색으로 변하므로 큰괭이눈과 구별된다. 원래 이름은 금괭이눈이다. 식물명에 지명을 붙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원래 이름인 금괭이눈으로 바꿀 것을 강력하게 제안한다. 식물명은 식물학자들의 전유물이 아니다.
털괭이눈(Hairy golden saxifrage, ケネコノメソウ, 黄金猫の目草, 毛金腰)은 한라산, 지리산 및 함경북도의 깊은 산에서 자란다. 전체에 털이 많고 옆으로 뻗는 가지가 있다. 꽃은 5월에 연한 황록색으로 핀다. 흰털괭이눈(White-hair golden saxifrage, シラゲネコノメソウ, 柔毛金腰)은 한강토 제주, 전남(백양산, 남해도), 경남(지리산), 경기(광릉), 강원(금강산), 함남북에 분포한다(국생정). 한강토 거의 전역에 분포하는 고유종이다(국생관). 조선(朝鮮)과 중국이 원산(原産)이다(FOM). 산지 숲속의 습지, 계곡 주변 및 사면의 돌이 많은 축축한 곳에 무리 지어 자란다. 줄기는 밑에서부터 여러 개로 갈라지며, 옆으로 뻗는 가지가 없다. 줄기 하부에는 갈색 털, 상부에는 백색의 퍼진 털이 밀생한다. 꽃은 4~6월 황색이고 줄기 끝에 모여난다. 털괭이눈에 비해 옆으로 뻗는 줄기가 없고, 종자에 돌기선이 있어 구별된다. 8개의 수술과 열매의 정단에 화주가 남지 않는 점에서 털괭이눈 및 제주괭이눈과 구분된다.
2024. 10. 16. 부마민주항쟁 45주년 林 山
#천지괭이눈 #천마괭이눈 #연노랑괭이눈
'야생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고사리 본초명(本草名) 해금사(海金沙)에 대하여 (4) | 2024.10.31 |
---|---|
[백두산 야생화] 구름송이풀 (1) | 2024.10.29 |
[백두산 야생화] 좁은잎돌꽃 (2) | 2024.09.27 |
바위구절초 '어머니의 사랑, 가을 여인, 순수(純粹)' (6) | 2024.09.27 |
[백두산 야생화] 두메양귀비 (0) | 2024.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