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변불금(小便不禁)은 소변을 가릴 나이가 지났는데도 자신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불수의적으로 소변이 흐르는 증상으로 유뇨증(遺尿症, enuresis)이라고도 하는데, 보통 5~6세 이후의 요실금(尿失禁)을 말한다. 노인의 요실금도 유뇨증에 포함된다. 유뇨증은 주로 낮에 나타나는 주뇨증(晝尿症)과 밤에 나타나는 야뇨증(夜尿症, bed-wetting)이 있다. 주뇨증은 낮 동안 깨어 있을 때의 요실금이고, 야뇨증은 밤에 자다가 오줌을 싸는 것이다. 야뇨증은 방광(膀胱)의 기능이 약한 5~6세의 어린이들에게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정상적인 현상으로 사춘기에 접어들면서 점차 그 빈도가 줄어들지만 어떤 경우는 성인이 되어서도 지속되기도 한다.
한의학에서 유뇨증은 신장(腎臟)과 삼초(三焦) 기능의 장애로 생긴다고 본다. 신과 삼초의 기화작용(氣化作用)이 약해지면 하초(下焦)가 허랭(虛冷)해져서 방광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어 유뇨증이 생긴다. 또, 비폐(脾肺)의 기가 허하여 수습(水濕)을 운화(運化)하는 기능이 약해져도 유뇨증이 발생할 수 있다.
서양의학에서는 유뇨증 원인을 부교감신경의 흥분성이 항진되어 대뇌피질의 신호없이 방광괄약근이 수축되어 생기는 것으로 본다. 비뇨생식기계통의 선천적인 기형, 잠재성 척추파열, 대뇌발육부전 등 선천성 질병과 비뇨기의 감염(신우염, 방광염, 요도염, 전립선염 등), 방광마비, 기생충병, 뇌척수의 손상, 발육부진 등 후천성 질병 등은 뇌척수 기능의 장애와 방광국소에 대한 자극을 유발하여 유뇨증을 일으킬 수 있다. 어린이 야뇨증은 자율신경계의 기질적 손상이나 욕구불만, 정서불안, 정신적 스트레스, 질투심, 적개심 등 심리적 원인에 의해서도 나타날 수 있다.
요실금은 한국의 30대 이하 여성 중 13.6%, 60대 이상 여성 중 40% 정도에서 나타난다. 가장 흔한 요실금은 출산 경험이 있는 중년과 노년의 여성에게서 나타나는 긴장성 요실금(stress incontinence)으로, 다산이나 난산으로 골반근육이 이완되거나 노화로 요도괄약근이 약해져 발생한다. 중년 여성들의 요실금으로 인한 과도한 스트레스는 우울증을 초래하기도 한다. 여성 요실금의 치료와 예방에는 요도 괄약근을 강화하는 운동요법인 케겔운동이 효과적이다. 케겔운동은 약해진 질근육을 튼튼하고 탄력있게 해줌으로써 요실금의 치료와 예방, 성감증대에도 효과가 있다. 또, 질주위의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주어 세포재생에도 도움이 된다.
케켈운동은 질 근육을 조였다 풀었다 하는 것을 반복하는 운동으로 괄약근운동, 질수축운동이라고도 한다. 케겔운동의 방법은 간단하다. 소변을 참았다 여러 차례로 나누어 누는 연습을 지속적으로 하면 된다. 또 소변을 참는 것을 연상하면서 질의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면 된다. 이때 질근육만 수축하고 다리와 엉덩이 근육은 움직이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케겔운동이 익숙해지면 질수축시간을 조금씩 늘려가야 한다.
1. 하초가 허랭하여 소변이 자주 나오며, 특히 노인이나 허약자, 어린이의 야뇨증. 방광마비로 인한 요실금, 오줌소태-축천원(縮泉元). 오약 익지인 30. (단위 g, 강=생강, 단위 쪽, 조=대추, 단위 개)
*위의 약을 가루내어 술에 산약가루를 넣고 쑨 풀로 반죽해서 0.3g 되게 제환한다. 한번에 35환씩 하루 2~3번 더운 술이나 소금을 넣고 끓인 물로 공복에 복용한다. 가루낸 것을 한번에 8g씩 하루 2~3번 온수나 더운 술에 타서 공복에 복용해도 된다.
2. 소변을 참지 못하고 찔끔찔끔 자주 보는 요실금. 유뇨증이 밤에 더 심하며, 머리가 어지럽고 다리와 무릎이 시리고 약해지는 증상. 임탁(淋濁), 유정(遺精), 방광의 열로 소변이 쌀뜨물처럼 뿌연 증상-오자원(五子元). 토사자(酒製) 구자(微炒) 익지인 회향(炒) 사상자(초)
*위의 약을 가루내어 술로 쑨 풀로 반죽해서 0.15g 되게 제환한다. 한번에 50~70환씩 하루 3번 찹쌀미음으로 공복에 복용한다.
3. 신허(腎虛)로 소변을 참지 못하고 계속 자주 보는 증상. 노인과 허약자의 야뇨증. 유정, 음위증(陰萎症)-가구자원(家韮子元). 구자(微炒) 225, 녹용 150, 육종용 우슬 숙지황 당귀(酒洗) 75, 토사자(주제) 파극 56.3, 두충(초) 석곡(주세) 건강(초) 계심 37.5
*녹용은 불에 그슬려 털을 긁어낸다. 육종용, 우슬은 술에 불렸다가 꺼내어 말린다.
*위의 약을 가루내어 술로 쑨 풀로 반죽해서 1.5g 되게 제환한다. 한번에 10환씩 하루 2~3번 더운 술이나 소금 탕수(湯水)로 공복에 복용한다.
4. 기허(氣虛)로 소변을 참지 못하고 자주 보는 유뇨증. 허약자나 노인의 야뇨증-삼기탕(蔘芪湯) 2. 인삼 황기(蜜炙) 백복령 당귀 숙지황 백출 진피 3.8, 익지인(粉) 3, 승마 육계 1.9, 감초 1.1, 강3조2
*위의 약을 물에 달여 공복에 복용한다. 하루 2첩.
*몸이 찬 노인의 유뇨증-加 부자 3.8
5. 여성이 출산 후에 기혈(氣血)이 부족해서 생긴 요실금-저포탕(猪脬湯). 인삼 백출 7.5, 도인 진피 황기 백복령 천궁 당귀 3.8
*위의 약을 돼지방광 속에 넣고 같이 달여 공복에 복용한다. 하루 2첩
6. 하초 허랭으로 인한 야뇨증. 여성들이 출산 후에 양기(陽氣)가 허해서 온 요실금-상표초환(桑 丸). 상표초 30개, 녹용 황기 112.5, 모려 인삼 적석지 후박 75
*상표초는 굽는다. 녹용은 우유를 발라 구워 털을 긁어버린다.
*위의 약을 졸인꿀로 반죽해서 0.3g 되게 제환한다. 한번에 50~70환씩 하루 3번 소금 탕수로 공복에 복용한다.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하루 3번 미음에 타서 공복에 복용해도 된다.
7. 방광기(膀胱氣)가 허하여 생긴 유뇨증. 어린이의 양기가 부족하고 방광이 허랭하여 생긴 야뇨증, 오줌소태-계장산(鷄腸散). 계내금(鷄內金, 焦炭) 모려 백복령 상표초(熟) 18.8, 계피 용골 9.4
*위의 약을 잘게 썰어 한번에 8g씩 강3조2와 함께 물에 달여서 식전에 복용한다. 가루내어 한번에 4g씩 하루 3번 미음으로 복용한다(4~8세).
*상표초는 수렴작용이 있다.
8. 방광기와 명문화(命門火)가 약해서 생긴 유뇨증, 요실금. 신허로 허리가 아프고 무릎과 다리가 시리고 찬 증상을 동반한 유뇨증. 유정, 음위증-공제환(鞏隄丸). 숙지황 토사자(酒洗熟) 백출(초) 75, 오미자 익지인(酒炒) 보골지(주초) 부자(법제) 백복령 구자(초) 37.5
*위의 약을 가루내어 산약으로 쑨 풀로 반죽해서 0.5g 되게 제환한다. 한번에 50환씩 하루 2~3번 탕수나 더운 술로 공복에 복용한다.
*기가 허하고 몸이 찬 증상-加 인삼 3.8
9. 신과 방광이 허랭하여 유뇨증. 유정, 몽설(夢泄), 음위증-대토사자원(大兎絲子元). 토사자(酒洗熟) 육종용 75, 모려 오미자 부자(법제) 녹용 37.5, 상표초(酒洗炒) 계내금(초) 18.8
*육종용은 술에 하룻밤 담갔다가 건져내어 말린다. 녹용은 술을 발라 구워 털을 긁어버린다.
*위의 약을 가루내어 술로 쑨 풀에 반죽해서 0.3g 되게 제환한다. 한번에 35환씩 하루 3번 더운 술이나 소금 탕수로 공복에 복용한다.
10. 야뇨증, 유정, 식은땀. 음위증과 하복부가 켕기고 음낭이 차며, 어지럽고 머리털이 빠지며, 맥이 허규(虛芤)한 증상-계지가용골모려탕(桂枝加龍骨牡蠣湯). 계지 백작약 생강 용골 모려 11.3, 감초 7.5, 조2
*위의 약을 물에 달여 하루 2번에 나누어 식간에 복용한다.
11. 소변을 참지 못하고 저절로 나오면서 흐린 증상-팔미환(八味丸) 가감. 숙지황 300, 산약 산수유 150, 목단피 백복령 택사 112.5, 육계 부자(법제) 37.5+백과 3.8. (단위 g, 강=생강, 단위 쪽, 조=대추, 단위 개)
*위의 약을 가루내어 졸인꿀에 반죽해서 0.3g 되게 환을 만든다. 한번에 50~70환씩 하루 2~3번 식전에 복용한다.
12. 열증으로 황적뇨(黃赤尿)가 나오며 역한 냄새가 나는 야뇨증-비천환(閟泉丸). 익지인 백복령 백출 치자(炒焦) 백렴 백작약 30
*위의 약을 가루내어 졸인꿀에 반죽해서 0.3g 되게 환을 만든다. 한번에 50~70환씩 하루 3번 온수로 공복에 복용한다.
13. 신과 방광이 허랭해서 온 유뇨증, 요실금-고포환(固脬丸). 토사자 75, 회향 37.5, 부자(법제) 상표초 18.8, 소금 9.4
*위의 약을 가루내어 술로 쑨 풀에 반죽해서 0.3g 되게 제환한다. 한번에 15~25환씩 하루 3번 미음 또는 더운 술로 공복에 복용한다.
14. 어린이의 방광이 허랭해서 온 야뇨증-계비치산(鷄肶胵散). 계내금 1개, 돈포(豚脬, 焦炙) 1개, 계장(鷄腸, 焦炭) 1마리분
*위의 약을 가루내어 한번에 4g씩 하루 3번 온수나 미음으로 복용한다(4~8세).
15. 어린이의 방광이 허랭해서 온 소변불금, 야뇨증-대토사자환(大兎絲子丸). 토사자(熟) 육종용(酒浸去皮) 75, 모려(火鍛) 오미자 부자(법제) 녹용(酒炒) 37.5, 상표초(酒炒) 계내금(炙) 18.8.
*위의 약을 가루내어 술을 넣고 쑨 풀로 반죽해서 0.5g 되게 제환한다. 한번에 5~7환씩 하루 4~6번 미음으로 복용한다(7~8세).
16. 어린이의 비(脾)와 신이 허랭하고 심기(心氣)가 부족해서 온 야뇨증과 소변이 뿌여면서 잘 나오지 않는 증상-익지인환(益知仁丸). 익지인 적복령 적복신 15
*위의 약을 가루내어 졸인꿀로 반죽해서 0.5g 되게 제환한다. 한번에 5~6환씩 탕수로 공복에 복용한다(7~8세).
17. 유뇨증(야뇨증, 요실금)의 침구치료
1). 통용방-신수 중극 방광수 삼음교 삼초수. *허약자-加 족삼리 명문. *다몽(多夢)-加 신문 심수 태계. *노인의 요실금-加 기해 관원. *중기하함(中氣下陷)-加 백회 족삼리
2). 허한(虛寒)으로 인한 유뇨증-기해(관원) 신수(명문) 삼음교 백회혈에 보법으로 침자하거나 灸한다.
3). 습열로 인한 유뇨증-삼음교(음릉천) 방광수(차료) 중극혈을 사(瀉)하고 족삼리혈을 보한다.
4). 습관성 유뇨증-관원(중극) 삼음교 백회(신문)혈을 보한다.
5). 요실금-*기해 관원 음릉천 대돈 행간(灸). *명문 기해(관원)에 구하고, 경거 부류혈은 보하며, 태백 태계혈은 사한다. *곡골 중극 차료 삼음교혈을 보한다.
자료제공-장수건강마을 충주 임종헌한의원 http://cafe.daum.net/leemsan-ga
'한의학 의학 건강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탁증(濁症, 요로감염증)의 한방치료 (0) | 2009.01.29 |
---|---|
임증(淋症, 신우염, 방광염, 요로결석)의 한방치료 (0) | 2009.01.25 |
소변불리(小便不利, 신장염, 방광염, 요도염)의 한방치료 (0) | 2009.01.22 |
창만(脹滿,복부팽만)의 한방치료 (0) | 2009.01.21 |
간옹(肝癰, 간농양)의 한방치료 (0) | 2009.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