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이야기

정향풀(丁字草) '첫사랑'

林 山 2022. 10. 25. 12:33

2022년 6월 중순 경기도 포천에 있는 국립수목원을 찾았다. 국립수목원 정문을 지나자마자 작고 흰색 꽃이 피어 있는 정향풀(丁字草)을 만났다. 청초하고 가녀린 인상을 주는 꽃이었다. 

 

정향풀은 멸종위기에 처한 식물이다. 그래서 환경부는 자생지 보호와 개체수 증식을 위해 2018년 1월 10일 정향풀을 멸종위기 2급 야생식물로 지정하였다. 

 

정향풀(포천 국립수목원, 2022. 6. 19)

정향풀은 용담목 협죽도과 정향풀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이 핀 모양을 옆에서 보면 정자(丁字)와 비슷하고, 향료로 유명한 정향나무(丁子)를 닮았기 때문에 정향풀이란 이름이 붙었다. 학명은 암소니아 엘립티카 (툰베리.) 뢰머 앤 슐테스[Amsonia elliptica (Thunb.) Roem. & Schult.]이다. 속명 '암소니아(Amsonia)'는 18세기 미국 버지니아 의사 찰스 암손(Charles Amson)을 기리기 위해 붙인 이름이다. 종소명 '엘립티카(elliptica)는 '타원형'이라는 뜻의 라틴어 엘리팁쿠스(ellitipcus)에서 온 이름이며, 잎의 특징을 나타낸 것이다.

 

'툰베리(Thunb)'는 스웨덴의 식물학자 칼 페테르 툰베리(Carl Peter Thunberg, 1743~1828)이다. 툰베리는 '남아프리카공화국 식물학의 아버지', '일본의 린네'라고 불린다. 웁살라 대학교에서 '식물학의 시조' 칼 폰 린네(Carl von Linn'e, 1707~1778)에게 배운 툰베리는 1771년에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선의(船醫)가 되었고, 1775년에 일본 나가사키에 도착하여 1777년 7월 떠날 때까지 식물을 수집했다. '로머(Roem.)'는 스위스 취리히의 의사이자 식물학 교수였던 요한 야콥 뢰머(Johann Jacob Roemer, 1763~1819)다. 뢰머는 곤충학자이기도 했다. '슐테스(Schult.)'는 오스트리아의 식물학자이자 비엔나 출신의 교수였던 요제프 아우구스트 슐테스(Josef August Schultes, 1773~1831)이다. 슐테스는 뢰머와 함께 린네(Linnaeus)의 'Systema Vegetabilium' 16판을 출판했다. 그는 1821년 스웨덴 왕립과학원의 외국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정향풀의 영어명은 에이션 블루스타(Asian bluestar)이다. 일어명은 죠오지소(チョウジソウ, 丁字草)이다. '죠오지(丁子)'는 '정향나무', '소(草)'는 '풀'이다. 중국명은 수이간차오(水甘草)이다. 

 

정향풀은 한강토(조선반도)를 비롯해서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일본에서는 홋카이도(北海道), 혼슈(本州), 시코쿠(四国), 규슈(九州)의 해안이나 강변에 자란다. 정향풀은 일본에서도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어 보호를 받고 있다. 중국에서는 쟝쑤(江苏), 안후이(和安徽) 등지의 물가에서 자란다. 

 

한강토에서는 황해도 구월산, 인천시 옹진군 대청도, 전라남도 완도군 등지의 해안 모래땅이나 들의 풀밭에 난다. 경기도 포천 국립식물원에도 있다. 전국적으로 10곳 미만의 자생지가 있으며, 개체수는 비교적 풍부한 편이다.

 

정향풀(포천 국립수목원, 2022. 6. 19)

정향풀의 뿌리줄기(根莖)는 옆으로 자란다. 키는 40~80cm 정도이다. 줄기는 한 대가 곧게 서며 원주형(圓柱形)이다. 줄기 윗부분에서는 가지가 다소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기하지만, 가지에서는 마주나기한다. 잎 모양은 피침형(披針形)이며 길이 6~10cm, 나비 1~2cm이다. 잎 끝은 뾰족하고 짙은 녹색이며, 엽병(葉柄)이 거의 없다.

 

꽃은 5~6월에 연한 하늘색으로 핀다. 꽃 지름은 13mm 정도이다. 줄기 끝에 정생(頂生)하는 취산꽃차례(聚繖花序)로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裂片)은 길이 1~2mm로서 끝이 뾰족하며, 판통(瓣筒)은 길이 8mm이다. 열편은 판통과 길이가 비슷하다. 수술은 5개로서 후부(喉部) 밑에 달린다.

 

열매는 골돌과(蓇葖果)이다. 골돌과는 길이 5~6cm이며 둥글고 털이 없다. 종자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7~10mm로서 몇 개씩 서로 인접하여 들어 있다. 흑갈색 종자에는 주름살이 있다.

 

2022. 10. 25. 林 山

'야생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별수국  (0) 2022.10.27
용머리/흰용머리 '승천(昇天)'  (1) 2022.10.26
복자기 '약속'  (1) 2022.10.24
고로쇠나무 '영원한 행복'  (1) 2022.10.22
개오동 '고상'  (1) 2022.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