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정(遺精)은 성교(性交, sexual intercourse)에 의하지 않고 정액(精液)이 저절로 흘러나오는 병증을 말한다. 잠잘 때 꿈을 꾸면서 정액이 흘러나오는 것을 몽정(夢精=몽설=몽유, ganacratia), 낮에 잠을 자지 않을 때에도 저절로 흘러나오는 것을 유정 또는 활정(滑精)이라고 한다. 몽설이나 활정은 증세표현에 일정한 차이가 있으나 모두 성기능장애로서 유정에 포괄된다.
유정은 7정내상(七情內傷)으로 심화(心火)가 성하거나 여러 가지 병으로 기혈(氣血)이 허하고, 신음(腎陰) 또는 신양(腎陽)의 부족으로 신의 고삽(固澁)기능의 장애로 생긴다. 또, 하초(下焦)에 습열(濕熱)이 몰려서 생기는 경우도 있다. 심화가 성하면 유정과 함께 가슴이 두근거리고(心悸) 어지러우며(眩暈), 온몸이 노곤하고 정신이 흐리터분하며, 소변이 누렇고(黃色尿), 혀가 빨갛다(舌紅). 신음이 부족하면 유정과 함께 어지럽고 귀에서 소리가 나며(耳鳴), 허리와 다리에 힘이 없고(腰膝無力), 손발에 열감이 있다. 신양이 부족하면 유정과 함께 얼굴에 핏기가 없고(顔色蒼白) 우울하며, 손발이 싸늘하고 땀이 저절로 난다.
유정은 현대의학에서 성신경쇠약증(性神經衰弱症), 전립선염(前立腺炎, prostatitis), 정낭염(精囊炎, vesiculitis)의 범주에 속한다.
1. 몸이 허랭(虛冷)하여 온 유정과 백탁(白濁). 신기(腎氣)부족으로 숨결이 밭고 팔다리가 노곤하며, 귀에서 소리가 나고 가슴이 두근거리며, 다리와 무릎이 시리고 아프면서 유정이 있는 증상. 식은땀을 흘리면서 대변이 묽고 소변을 자주 보는 증상. 허손증(虛損證)에 쓰는 보약(補藥)-금쇄정원단(金鎖正元丹). 파극 호로파 육종용 56.3, 보골지 52.5, 오배자 백복령 28.2, 주사 용골 7.3. (단위 g, 강=생강, 단위 쪽, 조=대추, 단위 개)
*위의 약을 가루내어 술과 물을 섞어 쑨 밀가루풀에 반죽하여 0.3g 되게 제환한다. 한번에 10환씩 하루 3번 공복에 온주(溫酒)나 염탕수(鹽湯水)로 먹는다.
2. 원기(元氣)와 신기가 허약하여 얼굴에 핏기가 없고 땀을 많이 흘리며, 팔다리가 나른하고 여위며, 음식을 잘 먹지 못하면서 유정이 있는 증상-파극환(巴戟丸). 오미자 파극 육종용 토사자 인삼 백출 숙지황 골쇄보 회향 모려 용골 복분자 익지인 30
*위의 약을 가루내어 졸인꿀에 반죽하여 0.3g 되게 제환한다. 한번에 30환씩 하루 3번 공복에 온수주(溫水)로 먹는다. 허약한 증세가 심하면 팔물탕을 달인 물로 먹으면 더 좋다.
*인삼은 온몸의 활동력을 강화시키고 저항력을 높이며, 근육의 운동력을 향상시키고 식욕을 좋게 하며, 체중을 늘려주는 효능이 입증되었다. 오미자는 정신적, 육체적 피로를 감소시킨다.
3. 신허로 손발이 늘 달고 맥이 없으며, 음낭 부위가 차고 유정이 심한 증상. 만성 전립선염-고정환(固精丸). 지모(鹽水炒) 황백(염수초) 37.5, 산수유 18.8, 모려 검실 백복령 원지 연화예 11.3, 용골 7.5
*위의 약을 가루내어 산약가루로 쑨 풀에 반죽하여 0.3g 되게 제환하여 겉에 주사를 입힌다. 한번에 50환씩 하루 3번 공복에 염탕수(鹽湯水)로 먹는다.
4. 양허증(陽虛證)으로 인한 조루증(早漏症). 유정, 몽설(夢泄)-검실환(芡實丸). 검실 190, 백질려 187.5, 복분자 75, 연화예 산수유 37.5, 용골 18.8
*위의 약을 가루내어 졸인꿀에 반죽하여 3g 되게 제환한다. 한번에 6~7환씩 하루 3번 공복에 연자육 달인 물로 먹는다.
5. 정기(正氣)가 허하여 유정이 낫지 않고 계속되는 증세-옥쇄단(玉鎖丹). 용골 연화예 검실 오매육 30
*위의 약을 가루내어 산약가루로 쑨 풀에 반죽하여 0.3g 되게 제환한다. 한번에 10환씩 하루 3번 공복에 온수로 먹는다.
6. 비신(脾腎)이 허해서 온 유정증과 활설증(滑泄症)-구룡단(九龍丹). 구기자 금앵자 산사 연자육 연화예 숙지황 검실 백복령 당귀 30
*위의 약을 가루내어 술로 쑨 풀로 반죽하여 1.5g 되게 제환한다. 한번에 5환씩 하루 2~3번 온주나 염탕수로 공복에 먹는다.
7. 심화가 성하고 신수(腎水)가 부족하여 정액이 빨리 나오는 조루증과 유정증-대봉수단(大鳳髓丹). 황백(炒) 75, 사인 37.5, 감초 18.8, 반하(초) 저령 백복령 연화예 익지인 9.4
*위의 약을 가루내어 염수로 반죽해서 1g 되게 제환한다. 한번에 5~7환씩 하루 3번 온수나 찹쌀미음으로 공복에 먹는다.
8. 습담(濕痰)으로 몸이 후끈후끈 달고 몸과 머리가 무거우며, 팔다리가 나른하고 가슴이 답답하면서 유정이 있는 증상-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 2. 반하(薑製) 적복령(염수초) 치자(焦炒) 5.6, 진피 백출 길경 승마 시호(酒炒) 감초 3.8, 석창포 2.6, 황백 지모 1.1, 강3
*위의 약을 물에 달여 공복에 복용한다. 하루 2첩
9. 정관(精管)이 든든하지 못해서 온 유정증. 가슴이 답답하고 정신이 맑지 못해서 정액이 계속 흘러나오는 증상-삼련단(三連丹, 금쇄사선단). 연화예 연자육 검실 30
*위의 약을 가루내어 금앵자를 진하게 달여 약엿을 만든 데다 반죽하여 0.3g 되게 제환한다. 한번에 30~50환씩 하루 3번 염탕수로 먹는다.
10. 허리와 다리가 시리고 시큰시큰 아프며, 유정과 몽설이 있는 증세. 하초(下焦)가 차서 소변이 자주 나오거나 유뇨증이 있는 증상. 유정, 몽설이 있는 음위증(陰萎症, 발기불능, Impotenz)-고진단(固眞丹). 만잠아 75, 육종용 백복령 익지인 37.5, 용골 18.8
*위의 약을 가루내어 녹각교를 술에 담가 녹인 데다 반죽하여 0.3g 되게 제환한다. 한번에 30환씩 하루 3번 온주로 공복에 먹는다.
*백복령은 이뇨작용과 진정작용이 있다.
11. 몸이 약하거나 신수가 모자라 얼굴에 핏기가 없으며, 가슴이 두근거리고 불안해하며, 건망증(健忘症)과 불면증(不眠症)이 있고, 허리와 다리가 시큰거리고 아프면서 몽설이 있는 증상-녹각산(鹿角散). 녹각 녹용 37.5, 백복령 28.2, 인삼 백복신 상표초 천궁 당귀 보골지 용골 구자 18.8, 감초 9.4
*녹용은 우유를 발라 굽는다. 보골지는 닦는다. 구자는 하룻밤 술에 담갔다가 불에 말린다.
*위 약을 거칠게 가루내어 한번에 20g씩 생강 5쪽, 대추 2개와 함께 달여서 공복에 복용한다.
12. 음허화동(陰虛火動)으로 가슴이 답답하고 손발이 달며, 오후에 미열이 있고 입술이 마르며, 몸이 여위면서 유정, 몽설이 있는 증상-보정탕(保精湯). 당귀 천궁 백작약 생지황(薑汁炒) 맥문동 황백(酒炒) 지모(蜜水炒) 황련(강즙초) 치자 건강(焦炒) 모려 산수유 1.9
*위의 약을 물에 달여 공복에 복용한다. 하루 2첩
13. 오랫동안 몽설이 있어서 기운이 없고 움직이기 싫어하며, 가슴이 두근거리고 불안해하며, 불면증이 있는 증세. 때때로 조열(潮熱)이 있고 식은땀을 흘리며, 입이 마르고 혀가 벌건 증상-귀원산(歸元散) 1. 인삼 백출 백복령 원지 산조인(초) 맥문동 황백(염수초) 지모(염수초) 검실 연화예 구기자 진피 천궁 1.9, 승마 감초 1, 연자육 3개, 조1
*위의 약을 물에 달여 공복에 복용한다. 하루 2첩
14. 원기와 심장이 허하여 맥이 없고 땀이 나거나 가슴이 답답하고 번열(煩熱)이 나며, 무서워하면서 몽설이 있는 증상-정지진주분환(定志珍珠粉丸). 합분 황백(초) 인삼 백복령 112.5, 원지 석창포 청대 75, 저근백피 37.5
*위의 약을 가루내어 풀로 반죽하여 1.5g 되게 제환하여 겉에 청대를 입힌다. 한번에 5환씩 하루 2~3번 생강 달인 물이나 염탕수로 공복에 먹는다.
15. 하복부와 무릎이 차면서 몽설이 있고, 건망증이 심한 증상-옥지탕(玉池湯). 감초 백복령 계지 백작약 모려 製부자 11.3, 용골 7.5, 사인 3.8
*위의 약을 물에 달여 하루 2번에 나누어 식간에 먹는다.
16. 몸이 허약하여 맥이 없고, 식은땀을 많이 흘리고 입맛이 없으며, 몽설이 있는 증상-진사기제환(辰砂旣濟丸). 숙지황(酒洗) 150, 인삼 황기 당귀(주세) 산약 구기자 쇄양 구판(牛乳炒) 모려(酒浸火鍛) 75, 우슬(주세) 지모(酒炒) 56.3, 보골지(염수초) 45, 황백(주초) 37.5
*먼저 백출 320g을 물에 진하게 졸여 약엿을 만든 다음 여기에 위의 약을 가루내어 넣고 반죽하여 3g 되게 제환하여 주사를 겉에 입힌다. 한번에 7환씩 하루 2~3번 염탕수로 공복에 먹는다.
17. 가슴이 답답하고 번열이 나며, 입 안이 마르거나 불안하고 자주 놀라며, 불면증과 몽설이 매우 심한 증상-황련청심음(黃連淸心飮). 황련 생지황 당귀 감초 백복신 산조인(초) 원지 인삼 연자육
*위의 약을 거칠게 가루내어 한번에 20g씩 하루 2~3번 물에 달여 공복에 먹는다.
18. 유정증-비원전(秘元煎). 산약(초) 검실(초) 산조인(초) 인삼 금앵자 7.5, 백출 백복령 5.6, 감초 3.8, 원지(초) 3, 오미자 14개
*위의 약을 물에 달여 식간에 복용한다. 하루 2첩
*허증이 심할 때-加 황기 7.5
*열이 있을 때-加 고삼 3.8
자료제공-장수건강마을 충주 임종헌한의원 http://cafe.daum.net/leemsan-ga
'한의학 의학 건강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갈증(消渴症, 당뇨병)의 한방치료 (0) | 2009.02.10 |
---|---|
음위증(陰痿症, 발기부전증)의 한방치료 (0) | 2009.02.07 |
목신증(木腎症, 음경통, 고환염)의 한방치료 (0) | 2009.02.05 |
산증(疝症, 고환염, 음낭수종)의 한방치료 (0) | 2009.02.04 |
니시의학(西醫學)의 자연건강법 (0) | 2009.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