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 의학 건강 이야기

두통(頭痛, 편두통)의 한방치료

林 山 2009. 5. 14. 11:11

두통(頭痛, headache)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머리가 아픈 병증으로 사람들이 가장 자주 앓는 질병 가운데 하나다. 거의 모든 사람이 두통을 경험한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10명 가운데 1명은 반복적인 두통의 발작으로 고통받는다. 두통을 유발하는 원인은 사소한 감정적인 문제에서부터 뇌종양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한의학에서는 외감(外感)과 내상(內傷)으로 머리의 기혈순환이 장애를 받아 양기가 막히고 탁기가 몰려서 두통이 생긴다고 본다. 외감성 두통은 갑자기 심하게 아프고, 내상성 두통은 오래 끌면서 증상의 기복을 보이는 특징이 있다. 외감성 두통은 풍한두통(風寒頭痛), 풍열두통(風熱頭痛), 풍습두통(風濕頭痛)으로 나눈다. 내상성 두통은 간양두통(肝陽頭痛), 혈허두통(血虛頭痛), 기허두통(氣虛頭痛), 신허두통(腎虛頭痛), 담궐두통(痰厥頭痛), 어혈두통(瘀血頭痛)으로 나눈다.

현대의학에서 두통은 감기(感氣, common cold), 콧병, 삼차신경통, 고혈압병, 동맥경화증, 빈혈, 신경증, 뇌진탕, 뇌종양, 뇌출혈 등에서 볼 수 있다. 두개골(頭蓋骨)의 외부에 있는 두피, 근육, 근막, 동맥, 신경 등 통증에 예민한 구조가 지나친 자극을 받거나 압력, 견인, 변형 등으로 손상되면 두통이 발생하게 된다. 두개골 내부의 종양, 출혈이나 뇌타박 등도 두통을 유발한다.

두개골 안에서 발생하는 두통은 고열과 혈압의 급격한 상승, 숙취, 뇌 기저부 동맥의 확장, 수막염(髓膜炎), 대뇌출혈, 뇌종양 등에 의해 유발된 동맥과 그 주변 수막조직의 출혈이나 염증이 그 원인이다. 뇌 자체는 통증을 느끼지 못한다. 그래서 뇌종양이나 뇌출혈이 있더라도 병소의 크기가 작으면 두통이 전혀 없을 수도 있다. 그러나 병소의 크기가 점차 커지면 주위의 큰 정맥이나 조직을 압박하거나 변형시켜 두통을 유발한다. 두개골 안에서 생기는 두통은 갑자기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통증도 깨어 있는 동안 계속되는 경우는 드물다. 특히 뇌종양으로 인한 두통은 처음 발생할 때 머리의 특정 부위에 통증을 느낀다.

대부분의 두통은 두개골 바깥에 있는 구조의 이상으로 발생한다. 고혈압, 발열 등의 원인으로 두개골을 덮는 조직에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이 확장되면 편두통(偏頭痛, migraine headache)이나 긴장성 두통(tension type headache)이 생긴다. 감정의 혼란이나 장애 등 심리적 요인에 의해 얼굴, 두피(頭皮), 목 등의 골격근이 지속적으로 수축되거나 견인되면 허혈현상(ischemia)이 나타나면서 긴장성 두통이 유발된다. 긴장성 두통의 주원인은 과도한 스트레스로 보통 목의 정형외과적 이상과 함께 안정피로(眼睛疲勞), 좌절감, 분노, 불안감, 피로감, 우울 등의 증상을 동반한다. 눈과 코, 부비동(副鼻洞), 귀, 치아 등 두개골 주위의 통증에 민감한 조직이 이완되거나 염증으로 손상되어도 두통이 생길 수 있다. 안면신경, 미주신경, 설인신경, 제2경추신경, 제3경추신경, 3차신경의 염증이나 압박은 신경성 두통을 유발한다. 두개골 바깥 조직의 손상이나 감염, 드물게는 두개동맥의 염증에 의해서도 두통이 발생할 수 있다.

두개골의 안팎에 구조적 이상이 없음에도 나타나는 두통을 원발성 두통이라고 한다. 혈관성 또는 박동성 편두통이나 근육수축성 긴장성 두통은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원발성 두통이다. 편두통은 혈관성 두통과 함께 수분 또는 전해질 불균형이나 자율신경계의 주기적 이상 등 신체의 기능장애를 동반하는 매우 고통스런 병이다. 사람을 무능력하게 만들 정도로 아주 심한 두통이 주기적으로 반복된다. 발작 주기는 날마다 나타나기도 하고, 1년에 한두 번 정도 나타나기도 하는 등 다양하다. 대개 환자는 편두통이 발작하기 전 초기 증상을 경험한다. 이것은 두개골 안에 있는 동맥의 수축이 원인일 것으로 추정된다.

편두통의 초기 증상은 밝은 빛이 보이거나 명확히 볼 수가 없거나 사물의 형태가 찌그러져 보이는 등의 시력장애가 나타난다. 말과 움직임에도 잠시 장애가 올 수 있다. 초기 증상은 보통 10~30분, 간혹 몇 시간 지속되다가 사라진다. 이어 측두의 관자놀이 부위에서 시작된 둔한 박동성 통증은 두정부와 후두부로 퍼져가면서 점차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 드물게 머리의 양쪽이나 전체에 통증이 나타나기도 한다. 극심한 통증은 안면창백, 안충혈, 오심(구역질), 구토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때로 눈물과 콧물이 흐르기도 한다. 초기의 심한 통증은 두개골 바깥에 있는 동맥의 이완이 그 원인이다. 통증이 오래 지속되면 머리와 목 근육의 수축으로 강직이 일어나기도 한다. 편두통을 초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12~24시간, 또는 그 이상 지속될 수도 있다.

편두통이 상염색체 우성유전에 의해 발병한다는 것은 알려져 있지만, 아직 근본적인 원인은 다 밝혀지지 않았다. 편두통의 발생기전을 설명하는 최근의 이론에는 삼차신경혈관계이론(trigemino-vascular theory), 신경인설 (neurogenic theory)등이 있다. 삼차신경혈관계이론은 두개강 내의 통증에 예민한 동맥과 정맥동은 삼차신경절과 상부경부신경절의 지배를 받는데, 이 신경절들은 동맥과 정맥동에서 발생하는 통증을 중추신경으로 전달하는 구심성 신경섬유의 기능과 함께 말초조직의 자극에 능동적으로 반응을 보이는 효과기의 기능을 동시에 갖고 있어서 내외의 여러 자극에 의해 신경말단에서 분비되는 여러 신경전달물질에 의해 두통이 유발된다는 학설이다. 신경인설은 대뇌피질과 시상하부를 통한 내외부의 여러 가지 자극들이 종합되어 통증을 관장하는 중추신경계에 변화가 생기면 세로토닌 같은 신경전달물질의 균형이 깨지게 되는데, 이것이 삼차신경혈관계를 작동시켜 통증을 유발한다는 학설이다.

편두통의 일종인 군발두통(群發頭痛, cluster headache, 군집성 두통)은 하루에 1~6회 발작하는 미간과 이마의 심한 박동성 통증이 수주일~2개월에 걸쳐 집중적으로 나타난다. 편두통보다 더 극심한 통증이 군발성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송이두통 또는 떼두통이라고도 한다. 군발두통은 6개월~2년 주기로 발생하는 경향이 있지만, 봄 또는 가을에 일어나는 1~2년 주기의 군발두통이 가장 일반적이다.

군발두통은 보통 밤에 잠든 후 2~3시간 내에 전조증상도 없이 갑자기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통증이 발생한 쪽 관자놀이의 동맥이 부풀어오르면서 눈두덩이 벌겋게 부어오르고 눈알이 빠지는 듯한 통증이 15~90분 정도 지속된다. 눈과 코는 충혈되고 눈물과 콧물이 나온다. 흔히 안검하수, 축동(동공축소), 발한, 안면의 홍조와 부종도 나타난다. 통증은 관자놀이나 코, 위턱, 아래턱, 치아로 확산될 수도 있다. 눈에 나타나는 증상은 녹내장과 비슷하다. 오심이나 구토는 비교적 드물다. 증상이 나타나는 동안의 음주는 두통을 더욱 가중시킬 수 있다. 통증은 일정 시간 지속되다가 갑자기 소실되며, 몇 개월~몇 년 동안은 두통이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군발두통의 원인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교감신경계의 이상에 의해 발병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과 혈관의 이완 등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과도한 스트레스나 음주, 흡연 등은 군발두통을 유발할 수 있다. 그외 냉열풍의 안면침습, 혈관확장제인 질산염(窒酸鹽, nitrate)이 함유된 식품이나 약품의 섭취, 과잉흥분, 수면장애 등도 원인이 될 수 있다. 기분전환제나 각성제, 흥분제, 진정제도 군발두통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군발두통은 여성보다 남성에서 더 많이 발생한다(남:녀=5:1). 

양방에서 두통의 치료에는 주로 해열진통제인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 상품명 Tylenol, 타이레놀)이나 이 약물을 주성분으로 한 복합제제(상품명 게보린, 사리돈, 펜잘, 암씨롱)가 사용된다. 편두통과 군발두통은 보통 맥각 알칼로이드제인 에르고타민(ergotamine)의 투여로 치료한다. 예방요법에는 칼슘길항제(칼슘통로차단제)인 베라파밀(verapamil)이나 스테로이드제인 프레드니손(Prednisone) 등을 사용한다.

아세트아미노펜은 긴장성 두통과 같은 약한 통증 및 관절과 근육의 통증을 완화시키고 해열을 위해 사용되는 약물이다. 항염증 효과는 아세틸살리실산(acetylsalicylic acid, 상품명 아스피린)보다 못하지만 부작용이 적어서 흔히 아스피린(aspirin)의 대체약물로 처방된다. 아스피린처럼 어린이에게 라이에증후군(Reye's syndrome, 라이증후군)을 유발하는 부작용은 없다. 그러나 아세트아미노펜의 과다복용은 치명적인 간손상을 초래하여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매일 3잔 이상 정기적으로 술을 마시는 사람이 아세트아미노펜을 복용하면 간손상의 위험이 훨씬 더 커진다. 미국 FDA는 매년 5만6천명 이상이 아세트아미노펜의 과다복용으로 인한 부작용으로 응급실에 실려오며, 이 가운데 약 100명 정도가 사망한다고 추정한다. 아세트아미노펜의 또 다른 부작용으로는 신장독성, 위장관 출혈, 빈혈, 피부발진, 과민증, 백혈구감소증, 요산치 증가, 혈당치 상승 등이 있다. 

편두통 치료제인 에르고타민은 맥각 알칼로이드에서 유도된 합성물질로 강력한 환각제인 LSD, 즉 리세르그산디에틸아미드(lysergide, lysergic acid diethylamide)의 전구물질이다. 주요 약리작용은 교감신경을 마비시키고 자궁근의 수축을 촉진하며, 혈관을 수축시켜 혈압을 상승시킨다. 에르고타민은 뇌간 봉선핵(縫線核:raphe nuclei)의 세로토닌성 신경세포의 흥분을 차단시켜 안정시킴으로써 진통효과를 발휘한다. 이 약은 편두통 발작의 전조기에 사용해야 하는데, 발작 이후에는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약물의 투여방법은 혈관주사가 가장 효과적이지만 부작용이 커서 주로 경구투여를 한다.

 

에르고타민은 혈관을 수축시켜서 여러 가지 부작용을 유발하므로 극약이라고 보는 것이 좋다. 혈관의 수축은 뇌혈관 뿐만 아니라 전신의 혈관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손발시림증, 어지러움증, 협심증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에르고타민을 장기간 지속적으로 복용하면 맥각중독증(麥角中毒症, ergotism)과 의존성이 생길 수 있다. 맥각중독증은 후구마비를 주증상으로 한 경련성 중독증과 혈액순환장애로 인한 괴저성 중독증을 동반한다. 맥각중독증과 의존성이 나타난 환자는 이 약을 써도 진통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다른 편두통 치료제도 잘 듣지 않는다. 그래서 에르고타민은 1주일에 2회 이상의 투여는 금기로 되어 있다.

고혈압과 협심증, 부정맥의 치료제인 베라파밀(상품명 Isoptin, Verelan, Calan, Bosoptin, Covera-HS)은 최근 편두통이나 군발두통의 치료에도 사용하기 시작했다. 칼슘길항제(CCB, 칼슘채널차단제, 노바스크, 아모디핀, 아달라트, 자니딥, 시나롱정, 박사르, 애니디핀, 스카드, 헤르벤, 베라파밀)는 혈관의 수축에 필수적인 칼슘의 작용을 억제하여 혈관수축을 방지함으로써 혈압강하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혈압의 상승으로 유발되는 두통의 치료에 칼슘길항제를 이용할 수 있다. 칼슘길항제는 작용시간이 길어서 혈압의 조절과 합병증 예방에 효과가 있다. 칼슘길항제는 공통적으로 빈맥, 안면홍조, 부종, 변비 등의 부작용을 유발한다. 베라파밀의 부작용에는 두통, 안면홍조(facial flushing), 현훈(dizziness, 어지러움증), 현기증(lightheadedness), 종창(swelling), 다뇨증(polyuria, increased urination), 피로(fatigue), 오심(nausea, 욕지기), 반상(斑狀) 출혈(ecchymosis), 변비(constipation), 순환기계 과민증, 동서맥, 저혈압 등이 있다. 베라파밀의 오남용은 때로 실신발작이나 돌연사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부신피질호르몬제, 즉 스테로이드제인 프레드니손은 면역억제제로 자가면역질환의 치료에 쓰인다. 프레드니손은 그동안 편두통과 군발두통, 심각한 아프타성 구내염(Aphthous ulcer, canker sore)의 치료제로 사용되어 왔다. 이 약물은 심각한 천식과 알레르기, 혈관부종(血管浮腫, angioedema, 거대두드러기), 덩굴옻(poison ivy) 피부염, 전신 홍반성 루프스(systemic lupus erythematosus), 궤양성 대장염, 류마티스 관절염, 벨 마비(Bell's Palsy), 크론씨병(Crohn's disease), 천포창(天疱瘡, pemphigus, 수포창), 유육종증(類肉腫症, sarcoidosis, 뵈크 유육종, 베스니에뵈크병, 양성림프육아종증), 포도막염(葡萄膜炎, uveitis) 등 염증성 질환에도 사용된다. 신증후군(腎症候群, nephrotic syndrome, 엡스타인증후군)이나 엡스타인 바 바이러스(Epstein Barr virus)에 의한 전염성 단핵구증(mononucleosis) 등 다양한 신장 질환의 치료, 기관이식 거부반응의 예방과 치료에도 쓰인다.

프레드니손은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ALL,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비호지킨 림프종(Non-Hodgkin's lymphoma), 호지킨 림프종(Hodgkin's lymphoma), 다발성 골수종(多發性骨髓腫, multiple myeloma) 등에 대한 항암제 또는 항종양제로도 쓰인다. 다발성 경화증(多發性硬化症, multiple sclerosis, MS, 도성 경화증)의 주기적 침범으로 인한 대뇌 염증의 치료에는 프레드니손의 정맥주사가 이용된다. 프레드니손은 또 다뇨증을 치료하는 동안에 흔히 나타나는 야리쉬-헤륵스하이머반응(Jarisch-Herxheimer Reaction)의 치료와 듀셴형 근이영양증 (Duchenne muscular dystrophy)의 발병을 지연시키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프레드니손은 부신을 억제하기 때문에 간혹 선천성 부신과형성증(congenital adrenal hyperplasia)의 치료에 쓰기도 한다.

프레드니손은 용도가 다양한 반면에 스테로이드제이기 때문에 부작용도 심각할 수 있다. 중요한 부작용으로는 혈당치의 상승으로 인한 당뇨병 유발, 체중증가, 안면부종, 심한 전신부종, 불안, 우울증, 조증(躁症, mania), 정신착란, 우유부단(indecisiveness), 피로, 전신쇠약, 시력장애, 복만(腹滿 bloating), 위통, 복통, 소화성 궤양, 감염, 둔부통과 견비통, 골다공증(Osteoporosis, Steroid-induced osteoporosis), 만성 편두통, 불면증, 심한 관절통, 백내장, 구내염, 구강건조증, 무혈성 괴사증(avascular necrosis, 탈저) 등이 있다. 그외 임신선 또는 튼살(stretch marks), 신경과민, 여드름, 발진(發疹, rash), 다식증(多食症, polyphagia, increased appetite), 활동항진(活動亢進, hyperactivity, 운동항진증), 빈뇨, 설사, 장내 세균총의 소멸, 하지통, 민감성 치아 또는 상아질 과민증(sensitive teeth, dentine hypersensitivity) 등의 부작용도 나타날 수 있다.

1. 풍한(風寒)으로 생긴 두통

1). 풍사(風邪)나 한사(寒邪), 습사(濕邪)로 인한 두통, 현훈(眩暈, 어지러움증). 감기로 인한 두통, 신경통(神經痛, neuralgia)-궁신탕(芎辛湯). 천궁 11.3, 세신 백출 5.6, 감초 3.8, 강5. (단위 g, 강=생강, 단위 쪽, 조=대추, 단위 개)
*풍한습을 없애며 두통을 멈춘다.
*위의 약을 물에 달여 식후에 먹는다. 하루 2첩.
*천궁, 세신은 진통작용이 있다.

2). 풍사와 한사를 받아서 머리가 아프고 어지러운 증상-삼오칠산(三五七散). 방풍 75, 산수유 製건강 적복령 56.3, 製부자 세신 28.2
*풍한사를 몰아내고 두통을 멈춘다.
*위의 약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온주(溫酒)나 온수(溫水)에 타서 식후에 먹는다. 잘게 썬 것을 한번에 28g씩 하루 3번 강3조2를 더 넣어 달여 먹어도 된다.
*방풍은 해열작용이 있다. 부자, 세신은 진통작용이 있다.

3). 풍사와 한사로 인한 두통-궁지향소산(芎芷香蘇散). 향부자 소엽 7.5, 창출 5.6, 귤피 3.8, 炙감초 1.9, 생강 3쪽, 총백 2개+천궁 백지 4.7~5.6
*위의 약을 물에 달여 식간에 복용한다. 하루 2첩.

4). 풍사와 한사로 인한 심한 두통, 이빨이 쏘는 증상-강활부자탕(羌活附子湯). 마황 부자 방풍 백지 3.8, 백강잠(炒) 황백 강활 창출 2.6, 황기 승마 炙감초 1.9.
*풍한습을 없애고 양기를 잘 통하게 하여 두통을 멈춘다.
*위의 약을 물에 달여 식후에 먹는다. 하루 2첩.
*마황은 해열진해작용이 있다. 부자는 강심작용과 진통작용이 있다.

2. 풍열(風熱)로 생긴 두통

1). 풍사와 열사(熱邪)로 현훈, 오풍(惡風), 발한(發汗), 눈두덩이 땅기면서 아픈 증상을 동반한 두통-궁지석고탕(芎芷石膏湯). 천궁 백지 석고 국화 강활 고본 3.8.
*위의 약을 물에 달여 식간에 복용한다. 하루 2첩.

2). 풍사와 열사로 현훈, 발열, 구갈(口渴), 뇨황(尿黃)과 함께 속이 답답한 증상을 동반한 두통-궁궁산(芎芎散) 1. 천궁 18.8, 시호 26.3, 강활 방풍 고본 생감초 승마 37.5, 炙감초 생지황 56.3, 황련(酒炒) 황금(酒浸) 75.
*위의 약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하루 3번 찻물에 타서 식후에 먹는다.

3). 풍사와 열사로 인한 현훈, 두통-강활탕(羌活湯). 감초 0.6, 택사 1.1, 과루근(주침) 백복령 황백(주침) 시호 방풍 1.9, 황금(주침) 황련(주침) 강활 2.3
*위의 약을 물에 달여 식간에 복용한다. 하루 2첩.

3. 기혈(氣血)부족으로 생긴 두통

1). 기혈부족으로 냉한(冷汗, 식은땀), 이명(耳鳴, 귀울림), 현훈을 동반한 두통-순기화중탕(順氣和中湯) 2. 황기(蜜炙) 5.6, 인삼 3.8, 백출 당귀 백작약 진피 1.9, 승마 시호 1.1, 만형자 천궁 세신 0.8
*원기와 비위를 보하고 기혈을 잘 통하게 하여 두통을 멈춘다.
*위의 약을 물에 달여 식후에 먹는다. 하루 2첩.

2). 기혈부족으로 냉한, 현훈, 이명을 동반한 두통-황기익기탕(黃耆益氣湯). 황기(밀자) 3.8, 인삼 백출 반하(薑製) 진피 2.6, 당귀(酒洗) 천궁 고본 감초 1.9, 황백(酒炒) 승마 세신 1.1, 강3조2.
*원기와 중초를 보하고 기혈을 잘 통하게 하여 두통을 멈춘다.
*위의 약을 물에 달여 식후에 먹는다. 하루 2첩.

3). 혈허(血虛)로 인한 두통. 오후에 더 심해지고 현훈, 심계(心悸)를 동반한 전두통(前頭痛)-당귀보혈탕(當歸補血湯) 4. 생건지황(주초) 백작약 천궁 당귀 황금(주초) 3.8, 방풍 시호 만형자 1.9, 형개 고본 1.5.
*피를 보하고 허열을 내려 두통을 멈춘다.
*위의 약을 물에 달여 식간에 복용한다. 하루 2첩.

4). 혈허로 허열(虛熱)이 동하여 번열(煩熱), 흉민(胸悶), 현훈을 동반한 두통-가미사물탕(加味四物湯) 1. 당귀 천궁 생건지황(주초) 황백(주초) 지모(주초) 황금(주초) 황련(주초) 만형자 치자(초) 2.6.
*피를 보하고 허열을 내려 두통을 멈춘다.
*위의 약을 물에 달여 식후에 먹는다. 하루 2첩.

5). 기혈부족으로 이명, 현훈, 식욕부진과 함께 맥이 없고 가슴이 활랑거리면서 머리가 은은하게 아픈 증상-가미조중익기탕(加味調中益氣湯). 황기(밀자) 3.8, 인삼 창출 감초 2.6, 진피 당귀 천궁 1.9, 목향 승마 시호 세신 만형자 1.1.
*기혈을 보하여 두통을 멈춘다.
*위의 약을 물에 달여 식간에 복용한다. 하루 2첩.

6). 기혈부족으로 현훈, 시력감퇴를 동반한 두통-안신탕(安神湯). 황기 5.6, 강활 황백(주침) 3.8, 시호 승마 생지황(주침) 지모(주침) 1.9, 방풍 0.9, 생감초 炙감초 0.8, 천궁 만형자 1.1.
*기혈을 보하고 허열을 내려 두통을 멈춘다.
*위의 약에서 천궁, 만형자를 내놓고 나머지를 물에 달이다가 천궁, 만형자를 마저 넣고 달여 식후에 먹는다. 하루 2첩.

4. 담궐(痰厥), 열궐(熱厥)로 생긴 두통

1). 비위(脾胃)가 허약하여 생긴 담궐로 머리가 터질 것처럼 몹시 아프고 온몸이 나른하며 손발이 싸늘하고 구토와 현훈을 동반한 증상-반하백출천마탕(半夏白朮天麻湯). 반하(강제) 진피 맥아(초) 5.6, 백출 신곡(초) 3.8, 창출 인삼 황기 천마 백복령 택사 1.9, 건강 1.1. 황백(주세) 0.8, 강5
*습담을 삭이고 비위를 든든하게 하며 간풍(肝風)을 없앤다.
*위의 약을 물에 달여 식후에 먹는다. 하루 2첩.
*담궐이란 원기가 허약한 데다가 추운 기운을 받아서 생긴 담이 기혈의 순환을 막아서 생기는 병증으로 팔다리가 싸늘해지고 맥박이 약해지며 마비와 현기증을 동반한다.

2). 담궐로 오심(惡心), 구토, 현훈을 동반한 두통-정풍병자(定風餠子) 2. 오두(법제) 천궁 천남성(법제) 반하(법제) 건강 천마 백복령 백부자(법제) 감초 30.
*습담을 삭이고 담궐을 없애서 두통을 멈춘다.
*위의 약을 가루내어 생강즙으로 쑨 풀에 반죽해서 0.2g 되게 제환하고 겉에 주사를 입힌다. 한번에 8~10알씩 하루 3번 생강탕수로 식후에 먹는다.
*오두, 백부자는 강심작용과 진통작용이 있다. 천남성, 반하는 진토작용이 있다. 천궁은 진정진통작용이 있다.

3). 담궐로 인한 두통-궁신도담탕(芎辛導痰湯). 반하(강제) 11.3, 천궁 세신 천남성(법제) 진피 적복령 3.8, 지각 감초 1.9, 강7.
*담을 삭여서 두통을 멈춘다.
*위의 약을 물에 달여 식후에 먹는다. 하루 2첩.

4). 담궐로 오심을 동반한 두통-삼생환(三生丸). 반하(법제) 백부자(법제) 천남성(법제) 30.
*거담작용으로 두통을 멈춘다.
*위의 약을 가루내어 생강즙을 넣고 쑨 쌀풀에 반죽해서 0.2g 되게 제환한다. 한번에 4~5알씩 하루 2~3번 생강탕수로 식후에 먹는다.
*백부자는 진통작용이 있다.

5). 담궐로 인한 두통-방풍산(防風散) 1. 방풍 감국 백부자(법제) 전호 석고(水飛) 37.5.
*습담을 없애고 두통을 멈춘다.
*위의 약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하루 3번 생강탕수에 타서 식후에 먹는다.

6). 번열이 나면서 몸을 차게 하면 통증이 덜하고 덥게 하면 심해지는 두통-청상사화탕(淸上瀉火湯). 시호 3.8, 강활 3, 황금(주세) 지모(주세) 2.6, 황백(주세) 炙감초 황기 1.9, 생지황 황련(주세) 고본 1.5, 승마 방풍 1.2, 만형자 당귀 창출 세신 1.1, 형개수 천궁 생감초 0.8, 홍화(주세) 0.4.
*열을 내리고 기혈을 보하며 두통을 멈춘다.
*위의 약을 물에 달여 식후에 먹는다. 하루 2첩.

7). 적열(積熱)이 위로 치밀어올라 머리가 달면서 아픈 증상-방풍산(防風散) 2. 강활 방풍 당귀 대황 천궁 치자 박하 3.8, 선퇴 감초 1.9, 등심 1, 죽엽 2.
*위의 약을 물에 달여 식후에 먹는다. 하루 2첩.

8). 발열, 번갈(煩渴)을 동반한 두통-석고산(石膏散). 천궁 석고 백지 30.
*위열(胃熱)을 없애고 두통을 멈춘다.
*위의 약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하루 3번 탕수에 타서 식후에 먹는다.

5. 편두통

1). 편두통. 감기로 인한 두통, 신경통, 고혈압으로 인한 두통-궁궁산(芎芎散) 2. 감국 석고 천궁 백강잠 22.5.
*풍열을 없애고 두통을 멈춘다.
*위의 약을 가루내어 한번에 12g씩 하루 2~3번 찻물에 타서 식후에 먹는다.
*감국, 천궁은 진정진통작용이 있다.

2). 편두통-이진탕(二陳湯) 가감. 반하(강제) 7.5, 진피 적복령 3.8, 炙감초 1.9, 강3+천궁 백지 방풍 형개 박하 승마 3.8
*위의 약을 물에 달여 식전에 먹는다. 하루 2첩.

3). 편두통. 풍사나 습사, 열사로 인한 두정통(頭頂痛, 정수리 아픔)-청공고(淸空膏). 황금(折半酒炒) 112.5, 炙감초 56.3, 방풍 강활 황련(주초) 37.5, 시호 26.3, 천궁 18.8.
*풍열과 습열을 없애고 두통을 멈춘다.
*위의 약을 가루내어 8g씩 하루 2~3번 찻물이나 온수로 식간에 먹는다.
*황금은 해열작용과 강혈압작용이 있다. 황련은 해열해독작용이 있다.

6. 두통에 두루 쓰는 처방

1). 두정통과 편두통. 두풍(頭風)이 있으면서 오한, 비색(鼻塞, 코막힘), 성중(聲重, 목소리가 맑지 못함)-궁궁다조산(芎芎茶調散). 박하 75, 형개수 37.5, 천궁 백지 감초 강활 18.8, 방풍 세신 9.4
*풍사를 몰아내고 두통을 멈춘다.
*위의 약을 가루내어 한번에 7~8g씩 찻물에 타서 하루 3번 식후에 먹는다.
*잘게 썬 것 26~28g씩 하루 2~3번 차를 조금 넣고 달여 식후에 먹기도 한다.
*두풍은 머리가 아프면서 어지러움증을 동반하는 증세다.
*박하는 해열진통작용이 있다. 천궁, 강활은 진정진통작용이 있다.

2). 편두통과 두정통. 뇌풍(腦風)으로 눈썹 부위와 눈이 아프고 눈에 예막(瞖膜)이 생겨 잘 보이지 않는 증상. 감기나 신경쇠약으로 인한 두통. 안과질병으로 인한 두통-일자경금산(一字輕金散). 천궁 백지 곽향 형개 선복화 석고 방풍 18.8, 천남성(법제) 오두(법제) 9.4, 초오 5.6.
*풍한과 습담을 없애고 두통을 멈춘다.
*위의 약을 햇볕에 말려 가루낸다. 이것을 한번에 1g씩 하루 2~3번 차탕수나 온수에 타서 식후에 먹는다.
*뇌풍은 머리가 아프고 어지러우며, 목과 등이 시리고 뒤통수가 차서 추위를 느끼는 신경병이다.

3). 풍한사가 양경락에 침습해서 생긴 두통. 기궐(氣厥)과 감궐로 인한 두통. 고혈압병, 동맥경화, 감기로 인한 두통. 류머티스성 관절염이나 관절통-여성병자(如聖餠子). 천남성(법제) 건강 천궁 오두(법제) 감초 37.5, 방풍 반하(강제) 천마 세신 18.8.
*위의 약을 가루내어 생강즙을 넣고 쑨 밀가루풀에 반죽해서 0.2g 되게 제환한다. 한번에 5알씩 잘 씹어 온수 또는 온주로 먹는다. *풍한사를 몰아내고 습담을 없애며 경맥을 잘 통하게 해서 두통을 멈춘다.
*천남성, 천궁은 진정작용이 있다. 오두는 진통작용이 있다. 천마는 진정진경작용이 있다.

4). 풍사나 열사, 습사, 담으로 눈썹 밑 뼈가 몹시 아픈 증상-선기탕(選奇湯). 강활 방풍 반하(법제) 7.5, 황금(주초) 5.6, 감초 3.8, 강3.
*위의 약을 물에 달여 식후에 먹는다. 하루 2첩.
*풍열과 습담을 없애고 두통을 멈춘다.

5). 모든 두통. 담궐, 상한(傷寒), 상풍(傷風) 등으로 생긴 두통. 고혈압, 동맥경화, 감기로 인한 두통-칠생환(七生丸). 천궁 오두(법제) 초오(법제) 천남성(법제) 반하 백지 석고 30, 세신 전갈(법제) 15.
*위의 약을 가루낸 다음 생부추즙으로 반죽해서 0.15g 되게 제환한다. 한번에 7~9알씩 하루 3번 생파와 함께 식후에 씹어서 먹는다.
*풍한과 습담을 없애고 두통을 멈춘다.
*천궁은 진정작용이 있다. 오두, 초오, 백지는 진통작용이 있다.

6). 편두통. 만성 긴장성 두통. 고혈압성 두통. 모든 두통-청상견통탕(淸上牽痛湯). 황금 5.6, 창출 강활 독활 방풍 천궁 백지 당귀 맥문동 3.8, 만형자 감국 1.9, 세신 감초 1.1, 강3.
*위의 약을 물에 달여 식간에 먹는다. 하루 2첩.
*풍한과 풍열의 사기를 내보내고 두통을 멈춘다.
*황금은 해열작용과 강혈압작용이 있다.

  

 

 자료제공-장수건강마을 충주 임종헌한의원 http://cafe.daum.net/leemsan-g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