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토벤-Sonate für Klavier No.14 'Mondschein' Op.27-2(피아노 소나타 제14번 '월광')
베토벤-Sonate für Klavier No.14 'Mondschein' Op.27-2(피아노 소나타 제14번 '월광')
베토벤-Sonate für Klavier No.14 'Mondschein' Op.27-2(피아노 소나타 제14번 '월광')
<피아노 소나타 14번 ‘월광’(Piano Sonata No.14 in c♯minor “Moonlight” Op.27-2)>은 루트비히 판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이 1801년에 완성해서 줄리에타 귀차르디에게 헌정한 곡이다. 1801년에 작곡된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 14번 ‘월광’〉은 〈비창〉, 〈열정〉과 더불어 베토벤의 3대 피아노 소나타로 불리는 대중적인 작품이다. 느린 템포로 시작하는 서정적인 1악장의 분위기 때문에 ‘월광’이라는 부제로 더 유명한 이 곡은 소나타 형식의 변화와 혁신을 추구한 베토벤의 독자적인 음악 세계를 엿볼 수 있다.
베토벤의 제자였던 발랄한 아가씨 줄리에타는 어느 순간 스승인 베토벤과 사랑에 빠졌다. 하지만 아버지는 귀도 들리지 않는 가난한 음악가와의 결혼을 찬성할리 없었고, 줄리에타는 그런 아버지에게 베토벤의 재능이 얼마나 뛰어난지 보여주고 싶었다. 어느 날 줄리에타의 집에 온 베토벤은 아무도 없는 텅 빈 방에 놓여 있는 새 피아노 앞에 앉았다. 의미 없이 몇 개의 건반을 두드리던 베토벤은 귀를 피아노 뚜껑에 바짝 가져다대고는 연주를 시작했고 그런 그의 모습을 줄리에타와 그녀의 아버지가 몰래 숨어서 지켜보고 있었다.
잠시 후 베토벤이 연주하는 아름다운 선율에 감정이 북받친 줄리에타는 자기도 모르게 문을 열고 그에게 다가갔고, 그녀가 자신을 훔쳐보고 있었다는 사실을 안 베토벤은 화를 내며 밖으로 뛰쳐나간다.
베토벤의 일생을 조명한 영화 〈불멸의 연인〉에서는 줄리에타와 베토벤의 인연이 이렇게 그려져 있다. 이때 베토벤이 홀로 피아노에 앉아 연주하던 이 장면을 수놓은 음악이 바로 〈월광 소나타〉의 1악장이다. 실제로도 이 곡은 영화에 등장하는 여인 줄리에타 귀차르디를 위해 작곡되었다. 줄리에타 귀차르디는 베토벤보다 열네 살 아래로, 1800년 브룬스빅 집안을 통해 알게 된 베토벤의 제자이자 연인이었다. 베토벤은 그녀와 사랑에 빠졌지만 이 사랑은 영화와 마찬가지로 비극적으로 끝나고, 귀차르디는 다른 백작과 결혼해 이탈리아로 떠나고 말았다.
〈월광 소나타〉는 ‘Quasi una fantasia’, ‘판타지아에 가깝게’라는 부제에서 알 수 있듯이 일반적인 소나타와는 조금 다른 특징을 보인다. 보통 이 시기에 작곡된 소나타의 1악장이 빠르고 경쾌하게 시작되는 반면, 〈월광 소나타〉의 1악장은 느리고 고요한 분위기로 전개되는데, 셋잇단음형이 곡 전반에 걸쳐 지속적으로 등장하고 있는 모습은 바흐의 프렐류드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도 볼 수 있다.
베를리오즈는 c#단조의 쓸쓸하고 처연한 1악장을 듣고 난 후, 이 곡은 마치 슬픔의 노래인 ‘비가’를 연상시킨다고 했고, 체르니는 밤의 정서가 느껴지는 음악이라고 표현했다.
〈월광 소나타〉는 베토벤이 막 30대에 접어든 1801년에 완성되었다. 이 곡은 ‘환상곡풍’이라는 말이 붙은 〈피아노 소나타 13번〉과 함께 ‘2개의 환상곡풍 소나타’라는 제목으로 〈Op. 27〉로 묶여서 1802년에 출판되었다.
하지만 이 곡에 ‘월광’이라는 부제가 붙게 된 것은 그로부터 한참 후인 1832년, 즉 베토벤이 세상을 떠나고 5년 쯤 지난 후의 일이었다. 독일의 음악평론가이자 시인인 루트비히 렐슈타프가 이 소나타의 1악장을 들은 후에 “마치 루체른 호수에 비친 달빛이 떠오르는 것 같다”고 표현했는데, 이 말에서 힌트를 얻은 후대의 악보 출판가들이 ‘월광’이라는 부제를 붙였다. 음악이 주는 느낌과 잘 어우러진 부제 덕분에 악보는 더 많이 팔렸고, 오늘날까지 〈월광 소나타〉로 불리고 있다.
1악장 아다지오 소스테누토(Adagio sostenuto). 1악장은 느린 템포의 아다지오 소스테누토로 셋잇단음표가 계속해서 이어지는 가운데 서정적인 선율이 펼쳐진다. 부제로 붙은 ‘달빛’이라는 용어 때문에 이 악장의 선율을 고요하고 서정적으로 여기는 사람들도 많으나, 학자들 사이에는 귀가 잘 들리지 않았던 당시의 베토벤이 c#단조라는 조성을 통해서 내면의 우울함과 좌절을 깊게 표현하는 부분이라는 의견도 있다.
2악장 알레그레토(Allegretto). 2악장 ‘알레그레토’는 1악장과 3악장을 이어주는 짧은 전주곡 같은 역할을 한다. 길이는 짧지만 발랄하고 사랑스러운 음악이다. 가볍고 경쾌한 스케르초 형식으로 쓰인 이 곡을 놓고, 리스트는 “깊은 바위 틈 사이에서 피어난 꽃 한 송이”라고 묘사하기도 했다.
3악장 프레스토 아지타토(Presto agitato). 2악장에서 쉼 없이 이어지는 3악장 ‘프레스토 아지타토’는 1악장만큼이나 유명하다. 강렬한 에너지가 느껴지는 음악으로, 16분음표들이 빠르게 상행하는 시작 부분의 모티브부터 급격하고 긴장감 넘치는 분위기를 이끌어간다. 1악장에 자주 쓰이는 소나타 형식을 3악장에 적용하면서 길이는 과감하게 늘어났고, 음악은 극적이고 풍부하게 펼쳐진다. 베토벤은 3악장의 형식과 내용을 확장시키는 시도를 통해서 이전의 소나타에서는 보기 힘든 변화와 파격의 미를 보여주었다. 음악가들 중에는 〈월광 소나타〉의 3악장이 동일한 c#단조 조성을 사용한 쇼팽의 〈즉흥 환상곡〉에 영향을 주었다고 이야기하기도 한다.(클래식 백과)
2017. 7.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