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이야기

매화말발도리 '애교'

林 山 2021. 7. 12. 16:57

2021년 4월 중순경 야생화를 만나기 위해 월악산 만수골을 찾았다. 때마침 만수골 초입에는 매화말발도리가 활짝 피어나고 있었다. 매화말발도리는 '매화'라는 접두어가 붙었지만 꽃은 오히려 개나리를 닮았다.  

 

매화말발도리(제천 월악산, 2021. 4. 17)

매화말발도리는 장미목 범의귀과 말발도리속의 낙엽 활엽 관목이다. 말발도리는 열매가 말발굽에 다는 편자처럼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매화말발도리의 학명은 듀치아 우리플로라 쉬라이(Deutzia uniflora Shirai)이다. 영어명은 듀치아(deutzia), 일어명은 우메우츠기(ウメウツギ, 梅空木)이다. 가지가 꺽일 때 나는 소리를 따서 매화말발도리를 댕강목 또는 댕강말발도리, 조선매수소(朝鮮梅溲疏)라고도 한다. 꽃말은 '애교'다. 

 

매화말발도리는 한국 특산의 암생식물(巖生植物)이다.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식물이다. 일본에도 분포한다. 한국에서는 황해도, 강원도 북부 이남 지방 암석지대의 바위틈에서 자란다.

 

매화말발도리(제천 월악산, 2021. 4. 17)

매화말발도리의 줄기는 높이 1m 정도다. 나무껍질은 회색이고, 불규칙하게 벗겨진다. 일년생 가지에는 별모양의 털이 밀생한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긴 타원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점첨두에 넓은 예저이다. 잎가에는 불규칙한 잔톱니가 있고, 양면에 4~6개로 갈라진 별모양의 털이 있다.

 

은 4월 초~6월 초에 전년도 가지의 측면에서 1~3개씩 단일꽃차례로 핀다. 바위말발도리, 꼬리말발도리, 말발도리, 물참대는 봄에 돋아난 새가지에 꽃이 핀다. 간혹 꽃밑에 1~2개의 잎이 달리는 경우도 있다. 작은꽃대에는 별모양의 털이 밀생한다. 꽃받침통은 씨방에 붙어 있고 성모가 밀생한다. 꽃받침조각은 털이 거의 없다. 꽃잎은 5장으로 흰색이다. 수술은 10개이고, 수술대 양쪽에 날개가 있다. 씨방은 하위이며,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로 종모양이다. 종자는 10월 중순에 익는다. 열매에는 3개의 홈이 있고, 암술대가 남아 있다.

 

매화말발도리는 매화 대신 정원에 관상용으로 많이 심는다. 또, 꽃이 아름다워 봄에 야생화 꽃꽂이 소재로도 이용할 수 있다.

 

매화말발도리(제천 월악산, 2021. 4. 17)

매화말발도리의 유사종에는 말발도리, 털말발도리, 바위말발도리, 지리말발도리, 해남말발도리, 꼬리말발도리, 태백말발도리, 속리말발도리, 애기말발도리, 물참대, 빈도리, 만첩빈도리 등이 있다. 말발도리의 학명은 Deutzia parviflora Bunge이다. 대부분 백두대간에 분포한다. 꽃받침은 통형이고 끝이 5개로 갈라지며 꽃잎도 5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10개이고 암술대는 3개다. 털말발도리의 학명은 Deutzia parviflora var. amurensis Regel이다. 꽃받침은 통형이고 끝이 5개로 갈라지며, 꽃잎도 5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10개, 암술대는 3개다. 잎 뒷면에 별모양털과 단모(單毛)가 모두 있다. 엽병, 꽃, 밀선반, 일년생 가지에도 성모가 있다. 열매에는 별모양털이 있다. 

 

매화말발도리(제천 월악산, 2021. 4. 17)

바위말발도리의 학명은 Deutzia grandiflora var. baroniana Diels이다. 평양 근처의 대성산(大聖山)에서 자란다. 1~3개의 꽃이 새가지에 달린다. 4월에 피는 흰꽃은 마치 매화 같다. 암술대는 3개다. 지리말발도리의 학명은 Deutzia uniflora Shirai var. triradiata HATUS.이다. 잎에 3출모가 있다. 꽃받침은 기부를 제외하고는 털이 없다. 삭과 표면에는 4출모가 있으며, 암술대가 4개로 갈라진다. 지리산에서 자란다. 해남말발도리의 학명은 Deutzia tozawae Nakai이다. 전남 해남, 충북 괴산 등지에 분포한다. 잎에 선상의 톱니가 있고 넓은 피침형이다. 잎 표면에는 털이 없으나 뒷면에는 4출성모가 있다. 일년지에는 대가 있는 성모가 있고, 꽃자루에는 털이 많다. 

 

매화말발도리(남양주 축령산, 2022. 4. 24)

꼬리말발도리의 학명은 Deutzia paniculata Nakai이다. 경북 영천시, 청도군, 경남 밀양시, 양산시, 대구시 동구, 울산시 울주군 등지에 분포한다. 수술과 화피는 각 5개, 암술대는 3개다. 태백말발도리의 학명은 Deutzia parviflora Bunge var. barvinervis Nakai이다. 잎 뒷면 맥위에 밀모가 있다. 속리말발도리의 학명은 Deutzia parviflora Bunge var. obscura (Nakai) T. Lee이다. 잎 뒷면에 별모양털이 밀생하여 흰빛이 돈다. 애기말발도리의 학명은 Deutzia gracilis이다. 가냘픈말발도리, 각시말발도리라고도 한다. 일본이 원산지이다. 꽃받침은 종 모양이고 5개로 갈라지며, 꽃잎은 5개이다. 수술은 10개이고 암술대는 3∼4개이다.

 

매화말발도리(남양주 축령산, 2022. 4. 24)

물참대의 학명은 Deutzia glabrata Kom.이다. 주로 백두대간에 분포한다. 꽃받침조각과 꽃잎이 각각 5개이다. 수술은 10개, 암술대는 3개이다. 암술대가 간혹 2개인 것도 있다. 빈도리의 학명은 Deutzia crenata Siebold & Zucc.이다. 관상용으로 많이 심는다. 꽃받침과 꽃잎은 각 5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10개, 암술대는 3~4개이다. 만첩빈도리의 학명은 Deutzia crenata for. plena Schneid이다. 관상용으로 심는다. 만첩꽃이 핀다. 꽃받침과 꽃잎은 각각 5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10개, 암술대는 3-4개이다. 

 

2021. 7. 12. 林 山. 2022.5.19. 최종 수정

'야생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할미꽃 '슬픔, 추억(追憶)'  (0) 2021.07.13
고광(孤光)나무 '추억, 기품'  (0) 2021.07.12
연복초(連福草) '영원한 행복'  (0) 2021.07.10
갈퀴현호색  (0) 2021.07.09
아네모네(Anemone)  (0) 2021.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