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이야기

할미꽃 '슬픔, 추억(追憶)'

林 山 2021. 7. 13. 17:13

할미꽃은 어린 시절부터 보아온 터라 너무나도 친숙한 야생화(野生花) 가운데 하나다. 시골살이하던 어린 시절 봄날 뒷동산에 오르면 무덤가에 피어난 할미꽃이 반겨주곤 했다.

옛날에는 시골의 재래식 화장실에 구더기가 들끓곤 했다. 그럴 때마다 사람들은 할미꽃 뿌리를 캐다가 짓찧어 즙을 내 재래식 화장실에 뿌려서 구더기를 퇴치했다. 또, 할미꽃 즙을 가지고 개울에서 물고기를 잡기도 했다. 여뀌나 담배 뿌리가 없을 때는 할미꽃 뿌리를 대신 썼다. 이처럼 할미꽃은 사람들의 일상 생활에 많은 도움을 준 야생화였다.

    

할미꽃(충주 계명산, 2006. 3. 26)

 

할미꽃에 얽힌 전설(傳說)이 전해 온다. 먼 옛날 할머니에게 부모 없는 두 손녀가 있었다. 맏손녀는 얼굴이 예뻤지만 마음씨가 나빴고, 작은손녀는 못생겼지만 마음씨가 고왔다. 맏손녀는 자라서 이웃마을 부잣집, 작은손녀는 멀리 가난한 산지기에게 시집갔다. 작은손녀는 할머니를 모시고 싶었지만 마음씨 나쁜 언니가 못하게 막았다. 맏손녀는 날이 갈수록 할머니를 홀대했다. 며칠을 굶은 할머니는 작은손녀가 보고 싶어 세 고개를 넘어야 하는 먼 길을 떠났다. 두 고개를 넘었지만 마지막 고개 마루에 올라섰을 때 할머니는 힘이 빠져 더는 움직일 수가 없었다. 할머니는 작은손녀의 집을 바라보면서 잠이 든 채 세상을 떠났다. 얼마 후 나무를 지고 오던 손녀사위가 할머니를 발견하고 정성껏 양지바른 곳에 묻어 드렸다. 그리고 집에 가서 아내에게 말했다. 이튿날 아침 작은손녀가 울면서 그곳에 가보니 꼬부라진 꽃 한 송이가 무덤 앞에 피어 있었다. 작은손녀는 그 꽃이 불쌍한 할머니의 넋이라고 생각했다. 슬픈 전설이다.

 

할미꽃(월악산 만수골, 2021. 4. 17)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국생관)에는 할미꽃이 피자식물문(被子植物門, Magnoliophyta) 목련강(木蓮綱, Magnoliopsida) 미나리아재비목(Ranunculales)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할미꽃속(Pulsatilla)의 여러해살이풀로 분류되어 있다. 다음백과 국생관에는 현화식물문(顯花植物門, Anthophyta) 목련강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할미꽃속으로 분류되어 있다.

피자식물(被子植物, 속씨식물, Angiosperms)은 꽃이 피는 식물이다. 따라서, 진정한 현화식물(顯花植物, Phanerogams, flowering plants)은 피자식물이라고 할 수 있다. 피자식물은 남극을 제외한 거의 모든 대륙에 약 25만 종 이상이 퍼져 살고 있는 지구 최우점종(最優占種) 식물이다.

국가표준식물목록(국표) 등재 국명(國名)에는 할미꽃(추천명), 가는할미꽃, 노고초, 노랑할미꽃 등이 있고, 북한명은 할미꽃(추천명)이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생정) 등재 국명은 할미꽃(추천명), 가는할미꽃(비추천명)이다. 다음백과 국생관 등재 국명에는 할미꽃(추천명), 백두옹(白頭翁), 야장인(野丈人), 백두공(白頭公), 노고초(老姑草), 노구초 등이 있다.

할미꽃은 흰 털이 빽빽하게 나는 꽃이 밑을 향해 꼬부라져 피고, 꽃이 지고 난 후 열매가 노파(老婆)의 백발(白髮)을 연상케 하므로 그런 이름이 붙었다. 할미꽃의 꽃말은 '슬픔, 추억(追憶)'이다.

국표, 국생정 등재 할미꽃의 학명은 풀사틸라 코레아나 (Y.야베 엑스 나카이) 나카이 엑스 T.모리[Pulsatilla koreana (Y.Yabe ex Nakai) Nakai ex T.Mori]다. 세계생물다양성정보기구(GBIF, Global Biodiversity Information Facility)에는 Pulsatilla koreana (Y.Yabe ex Nakai) Nakai ex T.Mori라는 학명을 나카이가 1922년에 출판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GBIF에는 Pulsatilla cernua var. koreana (Y.Yabe ex Nakai) U.C.La가 이명(異名, Synonym)으로 등재되어 있다.

국표에는Anemone cernua Thunb. var. koreana Y.Yabe ex Nakai, Pulsatilla cernua (Thunb.) Bercht. & J.Presl var. koreana (Y.Yabe ex Nakai) Y.N.Lee, Pulsatilla koreana (Y.Yabe ex Nakai) Nakai ex T.Mori f. flava (Y.N.Lee) W.T.Lee 등의 이명, Pulsatilla cernua (Thunb.) Bercht. & J.Presl var. koreana (Y.Yabe ex Nakai) Y.N.Lee f. flava Y.N.Lee, Pulsatilla cernua (Thunb.) Bercht. & J.Presl var. koreana (Y.Yabe ex Nakai) Y.N.Lee f. flava Y.N.Lee 등의 서명(庶名, illegitimate), Pulsatilla cernua (Thunb.) Bercht. & J.Presl var. koreana (Y.Yabe ex Nakai) U.C.La, Pulsatilla cernua (Thunb.) Bercht. & J.Presl var. koreana (Y.Yabe ex Nakai) Y.N.Lee 등의 동명(同名, isonym)이 등재되어 있다.

다음백과 국생정 등재 할미꽃 학명은 Pulsatilla koreana (Yabe ex Nakai) Nakai Mori다. 다음백과 국생정 등재 학명은 국제 식물명 색인 표준 형식(IPNI standard form)을 따르지 않았기 때문에 올바른 학명이 아니다.

국생관 등재 할미꽃 학명은 Pulsatilla cernua (Thunb.) Bercht. & J. Presl(국표 등재 가는잎할미꽃)이다. 국생관에는 또 Pulsatilla cernua var. koreana (Yabe) Y. N. Lee와 Pulsatilla cernua var. koreana f. flava Y.N.Lee(노랑할미꽃)가 학명이명, Anemone cernua Thunb.가 원기재명으로 실려 있다. 가는잎할미꽃은 국생관 미등재종이다. 다음백과 국생관 등재 학명은 Pulsatilla cernua (Thunb.) Bercht. & J. Presl var. koreana Yabe ex Nakai다.

문제는 Pulsatilla cernua (Thunb.) Bercht. & J. Presl이라는 같은 학명을 두고 국표와 국생정은 가는잎할미꽃, 국생관은 할미꽃이라는 국명을 붙인 것이다. 국표와 국생정, 국생관 사이의 학문적 교류가 시급해 보인다. 명색이 국가 기관으로서 같은 학명을 두고 국명을 다르게 표기한 것이 말이나 되는가? 국표, 국생정의 분류에 한 표를 주고 싶다.

속명(屬名) '풀사틸라(Pulsatilla)'의 어원은 '(바람에 의해) 두들겨 맞은, 패배한, 진[beaten(by the wind)]'이라는 뜻의 16세기 중세 라틴어 형용사 '풀사타(pulsāta)'이다. '풀사타(pulsāta)'는 '때리다, 이기다, 치다, 꺾다, 제치다(beat)'라는 뜻을 가진 라틴어 동사 '풀소(pulsō)'의 완전 수동형 분사 '풀사투스(pulsātus)'의 어미 변화형이다. 패스크 플라워(Pasque Flower, pasqueflower, 할미꽃)를 포함하는 식물의 속명(屬名)이다.

'패스크(Pasque)'는 '부활절(復活節, Easter)'을 뜻하는 고대 프랑스어 '빠스크(Pasque)', 중세 프랑스어 '빠스크(Pasques)'에서 유래했으며, '유월절(逾越節, Passover)'을 뜻하는 프랑스어 '뻬샤크(Pesach)'와도 관련이 있다. 할미꽃은 부활절 또는 유월절 무렵에 꽃이 피기 때문이다. 부활절은 계산법은 '부활절 보름달'이 일요일인 경우에는 그 다음 주 일요일이 부활절이다. '부활절 보름달'은 3월 21일~4월 18일 사이에 있다. 따라서, 부활절은 3월 22일~4월 25일 사이에서 정해진다. 유월절은 유태인력 니산월(1월) 14일 저녁이며, 이는 그레고리력의 3월 또는 4월에 해당한다.

'패스크(Pasque)'는 또 '종(鐘, bell), 종 모양의 꽃 특히 할미꽃(A bell-shaped flower, particularly the pasque flower)'이라는 뜻의 스페인어 또는 이탈리아어 '깜빠나(campana)'라고도 부른다.

종소명(種小名) '코레아나(koreana)'는 '한강토의 또는 조선반도의(Korean)'라는 뜻을 가진 라틴어 형용사 '코레아누스(koreānus)'의 어미 변화형으로서 원산지 또는 처음 발견된 곳이 한강토(조선반도)임을 나타낸다. '코레아누스(koreānus)'를 '코레아누스(corēānus)'라고도 한다.

'Y.Yabe'는 일본의 식물학자 야베 요시타다(矢部吉禎, Yoshitada Yabe, 1876~1931)다. '엑스(ex)'는 처음 이름을 붙인 사람이 유효한 출판을 하지 못하고, 다음 사람이 유효한 출판을 했다는 뜻이다. '나카이(Nakai)'는 일본 식물분류학자 나카이 다케노신(中井猛之進, 1882~1952)이다. 그는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에서 근무하며 한강토(조선반도)의 식물을 정리하고 소개하였다. 그래서, 일제 강점기에 발견된 한강토 자생 식물의 학명에는 대부분 그의 성 'Nakai(中井, 나카이)'가 명명자로 등재되어 있다. 그는 특히 물푸레나무과(Oleaceae)에 속하는 세계 1속 1종의 한강토 특산식물이자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미선나무속(Abeliophyllum)을 최초로 학계에 보고한 인물이다. 'T.Mori'는 일본의 박물학자(동식물학자) 모리 타메조(森為三, 1884~1962)다.

국표, 국생정 등재 할미꽃의 영문명(英文名)은 코리언 패스크-플라워(Korean pasque-flower)다. '한강토 또는 조선반도(Korean) 할미꽃(pasque-flower)'이라는 뜻이다.

일본어판(日本語版) Flora of Mikawa(三河の植物観察, FOM) 등재 Pulsatilla cernua (Thunb.) Bercht. et C.Presl(국표와 국생정 등재 가는잎할미꽃, 국생관 등재 할미꽃 학명)의 일문명(日文名)은 오키나구사(オキナグサ, 翁草)다. '할아버지(オキナ, 翁) 풀(グサ, 草)'이라는 뜻이다. '翁草(オキナグサ)'에서 '翁(おきな)'는 '할아버지(おじいさん, お祖父さん·お爺さん)'의 뜻이다. 꽃이 핀 뒤 깃털 모양(羽毛状)으로 길게 늘어진 흰색 암꽃술(雌しべ, 雌蕊)을 노인의 은발(銀髪, 백발)이나 흰 수염(白ひげ, 白髭)에 비유하여 오키나구사(翁草)라고 부르게 된 것이다. 오키나구사(翁草)는 한명(漢名) 하쿠토우코우(白頭公, ハクトウコウ)를 의역(意訳)한 것이라고도 한다. 하지만, 일본명(和名)은 독자적인 것으로 발상이 같았다고 보는 것이 타당(妥当)하다(語源由来辞典).

FOM 등재 Pulsatilla cernua (Thunb.) Bercht. et J.Presl var. koreana (Y.Yabe ex Nakai) Y.N.Lee(국표 등재 할미꽃의 이명)의 일문명은 쵸우센오키나구사(チョウセンオキナグサ, 朝鮮翁草)다. '조선(朝鮮, 한강토) 할미꽃(翁草)'이라는 뜻이다. FOM 등재 Pulsatilla cernua (Thunb.) Bercht. et J.Presl var. koreana (Y.Yabe ex Nakai) Y.N.Lee f. flava Y.N.Lee(국표 등재 할미꽃의 서명)의 일문명은 키바나쵸우센오키나구사(キバナチョウセンオキナグサ, 黃花朝鮮翁草)다. '노란 꽃(黃花) 조선(朝鮮, 한강토) 할미꽃(翁草)'이라는 뜻이다.

FOM, 중국어판(中國語版) 바이두백과(百度百科), 위키백과(维基百科) 등재 Pulsatilla cernua (Thunb.) Bercht. et C.Presl(국생관 등재 할미꽃 학명)의 중문명(中文名)은 차오셴바이터우웡(朝鲜白头翁)이다. '조선(朝鲜, 한강토) 할미꽃(白头翁)'이라는 뜻이다.

정리하면 국생관 등재 할미꽃[Pulsatilla cernua (Thunb.) Bercht. & J. Presl, 국표와 국생정 등재 가는잎할미꽃]의 일문명은 오키나구사(オキナグサ, 翁草), 중문명은 차오셴바이터우웡(朝鲜白头翁)이다. 국표 등재 할미꽃의 이명 Pulsatilla cernua (Thunb.) Bercht. et J.Presl var. koreana (Y.Yabe ex Nakai) Y.N.Lee의 일문명은 쵸우센오키나구사(チョウセンオキナグサ, 朝鮮翁草), 국표 등재 할미꽃의 서명 Pulsatilla cernua (Thunb.) Bercht. et J.Presl var. koreana (Y.Yabe ex Nakai) Y.N.Lee f. flava Y.N.Lee의 일문명은 키바나쵸우센오키나구사(キバナチョウセンオキナグサ, 黃花朝鮮翁草)다.

할미꽃은 한강토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이다. 전국 각처의 산야에 분포한다. 제주도를 제외한 한강토 전역에 분포한다(국생정). 제주도를 제외한 전역에 자라며, 중국 동북부, 러시아 동북부에 분포한다(국생관).

오키나구사(翁草)의 원산지는 일본(本州, 四国, 九州), 한강토(朝鮮, 조선반도), 중국이다. 오키나구사(翁草)는 한강토, 중국에 분포하는 쵸우센오키나구사[チョウセンオキナグサ, 朝鮮翁草, Pulsatilla cernua (Thunb.) Bercht. et J.Presl var. koreana (Y.Yabe ex Nakai) Y.N.Lee(국표 등재 할미꽃의 이명, Pulsatilla cernua var. koreana), Pulsatilla koreana (Y.Yabe ex Nakai) Nakai(ex T.Mori가 없기는 하지만 국표 등재 할미꽃의 정명으로 간주함, Pulsatilla koreana)]와 동일종으로 보는 견해가 일반적이다(FOM).

차오셴바이터우웡(朝鲜白头翁)은 중국, 한강토(朝鲜), 일본, 러시아 극동 지방에 분포한다. 중국에서는 랴오닝(辽宁) 남부, 지린(吉林) 동부 지방에 분포한다(百度百科).

 

할미꽃(월악산 만수골, 2021. 4. 17)

 

할미꽃은 어릴 때 뿌리가 가늘지만 4~5년생쯤 되면 길고 굵어진다. 뿌리는 땅속 깊이 들어가고 흑갈색(黑褐色)이며, 윗부분에서 많은 잎이 나온다. 뿌리에서 잎이 바로 나오므로 줄기를 따로 구분하기 어렵다.

잎은 엽병(葉柄)이 길고, 5장의 소엽(小葉)으로 구성된 깃꼴겹잎(羽狀復葉)으로 깊게 갈라진다. 잎 전체에 긴 흰색 털이 밀생(密生)하여 흰빛이 돌지만 표면은 짙은 녹색이다. 밑부분의 소엽은 길이 30~40mm로서 2~3개로 갈라지며, 정열편(頂裂片)은 너비 6~8mm로서 끝이 둔하다.

꽃은 3~4월에 적자색(赤紫色) 또는 자주색(紫朱色)으로 핀다. 높이 30~40cm의 꽃대가 나와 끝에 1개의 꽃이 밑을 향해 달린다. 작은포는 화경(花莖) 윗부분에 달리고, 3~4개로 다시 잘게 갈라지며, 겉에 화경과 더불어 긴 흰색 털이 밀생한다. 꽃받침 열편(裂片)은 6개이고, 긴 타원형(長楕圓形)이며, 겉에 명주실 같은 백색 털이 밀생한다. 하지만 안쪽에는 털이 없으며 적자색이다.

열매는 수과(瘦果, achene)다. 수과는 긴 달걀 모양(長卵形)이고 겉에 흰색 털이 있다. 암술대는 우상(羽狀)의 퍼진 털이 밀생한다. 열매는 6~7월에 익는다. 열매에는 긴 털이 많이 달려 있어서 멀리 잘 날아갈 수 있다.

꽃대가 구부러지는 것은 꽃가루가 수분에 매우 취약하기 때문이 생긴 적응 현상임이 밝혀졌다. 개화기(開花期)에 화경이 구부러짐으로써 꽃받침이 아래로 향하게 되어 우산처럼 꽃가루를 비에 젖지 않게 보호해 주어 꽃가루 생존 능력을 유지하게 한다는 것이다.

 

할미꽃(월악산 만수골, 2021. 4. 17)

 

할미꽃은 햇볕이 잘 드는 화단(花壇)의 전면에 심으면 좋다. 암석원(岩石園, Rock garden)이나 척박지(瘠薄地, barren) 녹화용(綠化用)으로도 심을 만하다. 크고 튼튼한 뿌리를 노출시켜 초물분재(草物盆栽)로 만들어도 좋다.

할미꽃과 분홍할미꽃, 가는잎할미꽃의 뿌리(根)는 백두옹(白頭翁), 꽃(花)는 백두옹화(白頭翁花), 잎(葉)은 백두옹엽(白頭翁葉)이라 하며 약용한다. 백두옹은 봄의 개화전에 채취하여 근두부(根頭部)의 백색 용모(茸毛)를 남겨두고 지상경과 진흙을 제거하고 깨끗이 하여 햇볕에 건조한다. 청열양혈(淸熱凉血), 해독의 효능이 있다. 소염수렴(消炎收斂), 지혈, 지사약(止瀉藥)으로서 열독성 혈리(熱毒性血痢), 온학한열(溫瘧寒熱, 말라리아에 의한 한열), 비출혈(鼻出血), 치출혈(痔出血), 징가적취(癥瘕積聚), 영기(癭氣), 장구(腸垢, 膿이 섞인 粘液便), 인종(咽腫, 咽頭腫瘍), 나력(瘰癧), 산가(疝瘕), 혈치(血痔)를 치료한다. 백두옹화는 학질한열, 백독두창(白禿頭瘡)을 치료한다. 백두옹엽은 요슬지절풍통(腰膝肢節風痛), 부종(浮腫), 심장통(心臟痛)을 치료한다(국생정).

할미꽃(Pulsatilla koreana Nakai)과 동속근연식물(同屬近緣植物)의 뿌리를 건조한 것을 본초학에서 백두옹(白頭翁)이라고 한다. 백두옹을 야장인(野丈人), 호왕사자(胡王使者), 백두공(白頭公)이라고도 한다. 백두옹은 청열약(淸熱藥) 중에서도 청열해독약(淸熱解毒藥)에 속한다. 성질은 차고 독(寒無毒)이 없으며, 맛은 쓰다(苦). 위(胃) 대장경(大腸經)으로 들어간다. 백두옹은 청열해독, 양혈지리(凉血止痢)의 효능이 있어 열독혈리(熱毒血痢), 음양대하(陰痒帶下), 세균성 또는 아메바성 이질(痢疾)을 치료한다(전국 한의과대학 본초학 교과서).

백두옹(白頭翁)의 성질은 차고[寒] 맛은 쓰며[苦] 조금 독이 있다. 적독리(赤毒痢)와 혈리(血痢)에 많이 쓰며 목에 생긴 영류, 나력을 낫게 한다. 사마귀를 없애고 머리가 헌것을 낫게 한다. ○ 일명 호왕사자(胡王使者)라고도 하는데 곳곳에 있다. 그 싹은 바람이 불면 가만히 있고 바람이 불지 않으면 움직이는 것이 천마싹(赤箭)이나 따두릅(독활)과 같다. ○ 줄기 끝에 1치 남짓한 희고 가는 털이 있어 흩어져 드리운 것이 마치 할아버지의 흰 머리털과 비슷하기 때문에 백두옹이라 한 것이다. 음력 8월에 뿌리를 캐 햇볕에 말린다[본초].(동의보감).

차오셴바이터우웡(朝鲜白头翁)은 꽃이 일찍 피고, 화려해서 관상 가치가 있다. 뿌리줄기(根状茎)는 아메바성 이질(阿米巴痢疾), 말라리아(疟疾), 금창(金疮), 여성 폐경(妇女闭经) 등의 증상을 치료한다. 외용(外用)하면 치질 통증(外痔肿痛), 소아 백독(小儿白秃) 등을 치료할 수 있다. 살충제 및 병충해 예방 농약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东北草本植物志).

백두옹은 한의사들이 임상에서 그리 자주 처방하는 한약재는 아니다. 한의사들은 백두옹화나 백두옹엽은 거의 쓰지 않는다.

 

할미꽃 열매(월악산 만수골, 2021. 4. 17)

 

국표 등재 할미꽃의 유사종 자생식물에는 가는잎할미꽃[Pulsatilla cernua (Thunb.) Bercht. ex J.Presl], 동강할미꽃(Pulsatilla tongkangensis Y.N.Lee & T.C.Lee), 분홍할미꽃[Pulsatilla dahurica (Fisch. ex DC.) Spreng.], 산할미꽃(Pulsatilla nivalis Nakai), 연변할미꽃(Pulsatilla × yanbianensis H.Z.Lv), 중국할미꽃[Pulsatilla chinensis (Bunge) Regel] 등 6종이 있다.

 

동강할미꽃(평창 백운산, 2021. 3. 21)

 

가는잎할미꽃(Narrow-leaf pasque-flower, オキナグサ, 翁草, 朝鲜白头翁)은 제주도 산록 양지바른 곳에 자생한다(국생종). 원산지는 한강토, 일본(本州, 四国, 九州), 중국이다(FOM). 잎이 가늘고 예두이다. 꽃은 4~5월에 종 모양으로 밑쪽을 향해 분홍색으로 핀다. 동강할미꽃(Donggang pasque-flower)은 강원도 강릉시, 동해시, 삼척시, 정선군에 분포한다. 전체에 흰 털이 많다. 꽃은 처음에는 위를 향해 피었다가 꽃대가 길어지며 옆을 향한다. 암술과 수술은 할미꽃에 비해 적다. 분홍할미꽃(Dahurian pasque-flower, ベニバナオキナグサ, 紅花翁草, 兴安白头翁)의 원산지는 한강토, 중국(黒竜江省, 吉林省, 内蒙古), 일본, 러시아다. 한강토에서는 평북, 함남북에 난다. 식물체 전체가 왜성이다. 꽃은 5월에 엷은 홍색으로 핀다.

산할미꽃(Mountain pasque-flower, ミヤマオキナグサ)은 함경북도 관모봉 표고 2,200m 지대에서 자란다. 전체에 긴 털이 산재한다. 꽃은 6~7월 붉은색 또는 자주색으로 핀다. 할미꽃보다 작고 잎에 털이 적으며, 소엽은 3~5개이다. 연변할미꽃(Yanbian pasque-flower)은 국표에 정명, 국명, 영문명만 실려 있다. 국생관에는 국명, 학명, 분류체계만 등재되어 있다. 국생정 미등재종이다. 중국할미꽃(Northeast Asian pasque-flower, ヒロハオキナグサ, 広葉翁草, 白头翁, 세잎할미꽃)은 한강토(평남 맹산), 중국 동북 지방, 우수리에 분포한다(국생정). 원산지는 한강토, 중국, 러시아다. 줄기 전체에 긴 비단 같은 털이 밀생한다. 꽃은 남자색 또는 남보라색이고, 겉면에 긴 털이 밀생한다.

 

유럽할미꽃(삼척시 근덕면 광태리, 2023. 4. 8)
유럽할미꽃(삼척시 근덕면 광태리, 2023. 4. 8)

 

국표 등재 할미꽃의 유사종 재배식물에는 검정할미꽃, 몬타나할미꽃, 몽고할미꽃, 붉은유럽할미꽃, 시베리아할미꽃, 알바니아할미꽃, 큰할미꽃 등 18종이 있다. 설명은 생략한다.

2021. 7. 13. 林 山. 2024.2.23. 최종수정

#할미꽃 #백두옹 #朝鲜白头翁 #白头翁 #オキナグサ #翁草 #チョウセンオキナグサ #朝鮮翁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