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이야기

쥐똥나무 '강인한 마음'

林 山 2021. 11. 10. 14:33

쥐똥나무는 꽃만 보면 왜 이름을 그렇게 지었는지 알 수 없다. 동그란 열매가 까맣게 익으면 그때 비로소 '아하!' 하고 왜 이름을 쥐똥나무라고 지었는지 단박에 깨닫게 된다. 까만 쥐똥나무 열매를 보면 영락없는 쥐똥을 똑 닮았다. 

 

'똥'자가 붙은 식물은 쥐똥나무 말고도 방가지똥, 애기똥풀, 개똥쑥, 개똥참외, 보리똥나무 등이 있다. 방가지똥은 줄기의 유액이 마르면 똥처럼 보인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고, 애기똥풀은 유액의 색이 아기의 똥처럼 노랗다고 해서 그런 이름이 붙었다. 개똥쑥은 잎을 뜯어 냄새를 맡으면 개똥냄새가 난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하지만 개똥쑥 냄새는 그리 나쁘지 않고 오히려 향기가 난다. 개똥참외는 개똥처럼 길가나 들판 등 아무데서나 저절로 자란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보리똥나무는 보리수 열매를 보리똥이라고 부른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쥐똥나무(충주시 연수동 주공아파트 1단지, 2021. 5. 28)

쥐똥나무는 물푸레나무목 물푸레나무과 쥐똥나무속의 낙엽 활엽 관목이다. 학명은 리구스트룸 옵투시폴리움 지볼트 & 추카리니(Ligustrum obtusifolium Siebold & Zucc.)이다. 영어명은 보더 프리빗(Border Privet) 또는 이보타 프리빗(Ibota Privet)이다. 일어명은 이보타노키(イボタノキ, いぼたのき, 水蝋樹, 疣取木)이다. 중국명은 슈이라슈(水蜡树) 또는 라슈(蜡树), 랴오동슈이라슈(辽东水蜡树)이다. 쥐똥나무를 가백당나무, 백잠나무, 수랍목(水蠟木), 동청목(冬靑木)이라고도 한다. 남자들의 정력을 좋게 하는 나무라는 뜻에서 남정목(男貞木)이라고도 한다. 북한에서는 열매를 흑진주에 비유하여 검정알나무라는 이름으로 부른다. 꽃말은 '강인한 마음'이다. 

 

쥐똥나무의 원산지는 한반도를 비롯해서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다. 한반도와 중국, 일본, 타이완 등지에 분포한다. 한반도에서는 황해도 이남 전국 각지의 산기슭이나 계곡에 흔하게 자란다.

 

쥐똥나무의 뿌리는 잔근성이다. 키는 2~4m. 수관폭은 3m 정도이다. 1년지는 가늘고 잔털이 있으나, 2년지는 털이 없으며 회백색이고 많이 갈라진다. 잎은 마주나기한다. 잎 모양은 긴 타원형에 무딘형이며 넓은 예형이다. 잎 뒷면 맥 위에는 털이 있다. 잎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없다. 

 

꽃은 암수한그루다. 5~6월 총상 또는 복총상꽃차례에 흰색 꽃이 많이 달린다. 잔털이 많은 꽃은 청초하면서도 귀엽다. 꽃받침은 녹색으로 4개의 톱니와 잔털이 있다. 꽃부리는 통형으로 흰색이며 4갈래로 갈라진다. 수술은 2개로 화통에 달린다. 열매는 핵과이다. 핵과는 달걀형의 원형이고 검은색이며 10월에 성숙한다.

 

쥐똥나무(충주시 연수동 주공아파트 1단지, 2021. 5. 27)

쥐똥나무는 공해에 강하여 도시의 생울타리용으로 매우 인기가 많다. 전정이 잘 되어 조형수로 많이 이용된다. 생장이 빠르고 잔가지가 많이 나며, 맹아력이 강해 정형적인 수형 조성이 가능하다. 또, 적응성이 높아 어느 곳에서나 잘 자란다. 목재가 치밀하고 단단하여 도장이나 지팡이를 만들기도 한다.

 

쥐똥나무, 왕쥐똥나무의 과실을 수랍과(水蠟果)라 하며 민간에서 약용한다. 수랍과는 강장(强壯), 지혈(止血), 지한(止汗)의 효능이 있어 신체허약, 신허유정(腎虛遺精), 자한(自汗), 토혈(吐血), 뉵혈(衄血), 혈변(血便) 등을 치료한다. 한의사들은 임상에서 거의 쓰지 않는다.  

 

쥐똥나무에는 백랍벌레(白蠟蟲)라는 이름의 초파리 비슷한 곤충이 기생한다. 쥐똥나무 잎과 가지의 진을 먹고 자라는 백랍벌레가 하얗게 뒤덮어 놓은 분비물을 백랍(白蠟)이라고 한다. '동의보감' <탕액편 : 나무>에는 백랍에 대해 '새살을 살아나게 하며 지혈과 통증을 멎게 한다. 또 힘줄과 뼈를 잇고 허한 것을 보하며 설사와 기침을 낫게 한다. 또한 폐를 눅여 주고 장위(腸胃)를 든든하게 하며 노채충을 죽인다. ○ 일명 충랍(蟲蠟)이라고도 하는데 동청나무에 있는 작은 벌레가 나무진을 먹고 된 것이다. 금(金)에 속하기 때문에 주로 아물게만 하고 단단히 엉키는 힘을 가지고 있어서 외과에 좋은 약으로 쓰인다. 자귀나무껍질과 배합하면 좋다. 살을 살아 나오게 하는 고약에 넣으면 아주 효과가 좋다[입문]. ○ 곳곳에 있으며 제주도에서 더욱 많이 난다. 초를 만들어 쓰면 밝고 깨끗하여 좋은데 황랍보다도 좋다[속방].'고 나와 있다. 

 

쥐똥나무(충주시 연수동 주공아파트 1단지, 2021. 5. 27)

쥐똥나무의 유사종에는 광나무(japanese privet, 정목, 여정목), 당광나무(Glossy privet, 제주광나무), 털쥐똥나무, 좀털쥐똥나무, 좀쥐똥나무, 왕쥐똥나무(Oval-leaf privet), 청쥐똥나무, 산동쥐똥나무(Sharp-leaf privet), 버들쥐똥나무(Willow-leaf privet), 섬쥐똥나무(Korean privet), 둥근잎섬쥐똥나무(Oval-leaf Korean privet) 등이 있다. 

 

광나무(Ligustrum japonicum Thunb.)는 남부지방과 제주도에 분포한다. 키는 3~5m이다. 잎이 두텁고, 뒷면에 뚜렷하지 않은 잔점이 있다. 꽃은 7~8월 복총상꽃차례로 새가지 끝에 달린다. 당광나무(Ligustrum lucidum Aiton)는 제주도에 분포한다. 키는 5~10m이다. 잎 뒷면에 뚜렷하지 않은 잔점이 있다. 꽃은 양성으로 8월에 핀다. 복총상꽃차례는 가지 끝에 달리며 길이 12~20cm이다. 광나무에 비해 잎이 대형이다. 

 

털쥐똥나무(Ligustrum obtusifolium var. regelianum Rehder)는 2년지에 털이 있고 잎이 긴 타원형이다. 어릴 때 잎 표면에 털이 있고, 뒷면 맥 위에 융털이 있다. 좀털쥐똥나무(Ligustrum ibota Siebold ex Siebold & Zucc.)는 제주도에 분포한다. 잎 표면에 털이 없거나 복모가 약간 있고, 뒷면 주맥과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꽃차례는 매우 짧고 두상 비슷하다. 좀쥐똥나무(Ligustrum ibota f. microphyllum Nakai)는 남부지방과 제주도에 분포한다. 잎은 길이 1~2cm로서 긴 타원형, 선상 긴 타원형 또는 거꿀피침모양이다. 꽃밥이 약간 통 밖으로 나온다.잎이 작고, 꽃차례는 짧으며, 작다.

 

왕쥐똥나무(포천 국립수목원, 2022. 6. 19)

왕쥐똥나무(Ligustrum ovalifolium Hassk.)는 전라남도 지리산과 목포, 전라북도 변산, 제주도의 해안 가까운 곳에 분포한다. 키가 5m까지 자란다. 많은 줄기를 내어 원뿔모양의 수형을 이루며 맹아력이 강하다. 꽃은 쥐똥나무와 비슷하며, 7월에 흰색으로 핀다. 잎은 쥐똥나무에 비해 대형이다

 

왕쥐똥나무(포천 국립수목원, 2022. 6. 19)

청쥐똥나무(Ligustrum ibota var. glabrum)는 중부 이남에 분포한다. 쥐똥나무와 비슷하나 잎에 털이 없고, 가지는 많이 갈라지며 촘촘하다. 잎은 피침 모양이고 양 끝이 뾰족하다. 산동쥐똥나무(Ligustrum acutissimum Koehne)는 충북 속리산, 전남 거문도, 경남에 분포한다. 꽃이 원뿔모양꽃차례로 달리며, 꽃차례가 좁다. 잎 끝이 매우 뾰족하다. 버들쥐똥나무(Ligustrum salicinum Nakai)는 전남, 경남 진주, 제주도에 분포한다. 키는 4~6m까지 자란다. 꽃은 원뿔모양꽃차례로 달리고, 꽃차례의 길이는 15~20cm, 지름 10~15cm로서 잔털이 밀생한다. 열매 끝이 매우 뾰족하다. 섬쥐똥나무(Ligustrum foliosum Nakai)는 울릉도에 분포한다. 키는 1~3m이다. 잎 표면은 털이 없으나 뒷면 맥 위에 잔털이 있다. 꽃은 일년지 끝의 복총상꽃차례에 달리고, 꽃차례는 길이 8cm 정도로 털이 없거나 잔털이 있고 잎 같은 포가 있다. 둥근잎섬쥐똥나무(Ligustrum foliosum f. ovale Nakai)는 울릉도에서 자란다. 잎이 달걀모양 또는 넓은 달걀모양이고 끝이 매우 뾰족하다.

 

2021. 11. 10. 林 山. 2022.11.22. 최종 수정

'야생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와인컵쥐손이풀  (0) 2021.11.12
돌나물  (0) 2021.11.11
벌노랑이  (0) 2021.11.09
해당화(海棠花) '원망(怨望)'  (0) 2021.11.08
바위취 '절실한 사랑'  (0) 2021.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