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6월 중순 백두대간 정선 함백산을 오르다가 촛대승마를 만났다. 촛대승마는 꽃이 피어야 그 이름의 유래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촛대승마는 꽃차례가 흰색의 둥근 원통 모양으로 촛대를 닮아서 그런 이름이 붙었다. 승마(升麻)는 양기(陽氣)를 상승(上升)시키는 삼 잎을 닮은 식물이라는 뜻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어떤 문헌에는 촛대승마의 어린순을 나물로 먹을 수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하지만, 촛대승마의 전초(全草)에는 독성(毒性)이 있어 먹으면 구토, 설사를 하고 심장마비가 일어날 수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다만, 독성이 아주 준열(峻烈)하지는 않다. 촛대승마의 어린순을 나물로 먹으려면 데쳐서 물에 담가 독성을 충분히 우려내야 한다.
촛대승마는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승마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학명은 시미시푸가 심플렉스 (드 캉돌) 투르크자니노[Cimicifuga simplex (DC.) Turcz.]이다. 속명 '시미시푸가(Cimicifuga)'는 '빈대'라는 뜻의 라틴어 '시믹스(cimix)'와 '도망하다'는 뜻의 '푸게레(fugere)'의 합성어다. 냄새가 강하기 때문에 빈대가 도망간다는 뜻을 표현한 이름이다. 종소명 '심플렉스(simplex)'는 '단일(單一)의, 단생(單生)의, 무분지(無分枝)의'라는 뜻으로 꽃이삭의 모양을 표현한 이름이다.
전 명명자 '드 캉돌(DC)'은 두 사람이 있다. 오귀스탱 피라무스 드 캉돌(Augustin Pyramus de Candolle, 1778~1841)은 스위스의 식물학자이다. 그는 식물의 내부 생체시계 발견으로 유명하다. 알퐁스 루이 피에르 피라뮤 드 캉돌(Alphonse Louis Pierre Pyramus de Candolle, 1806~1893)은 오귀스탱 드 캉돌의 아들로 식물학자이다. 명명자 '투르크자니노(Turcz.)'는 러시아의 식물학자이자 식물 수집가인 니콜라이 스테파노비치 투르크자니노(Nikolai Stepanovich Turczaninow, 1796~1863)이다.
촛대승마의 영어명은 코호쉬(cohosh)이다. '코호쉬(cohosh)'는 '북미 원산의 노루삼속 약초'이다. 일어명은 사라시나쇼마(サラシナショウマ, 晒菜升麻)이다. '사라시나(晒菜)'는 '말린 나물, 묵나물', '쇼마(升麻)'는 '승마'이다. 새순을 끓는 물에 삶은 다음 말려서 산나물로 먹었다는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이명에는 잇본쇼마(イッポンショウマ, 一本升麻), 야마쇼마(ヤマショウマ, 山升麻), 야사이쇼마(ヤサイショウマ, 野菜升麻) 등이 있다. 중국명은 딴수이셩마(單穗升麻)이다. '딴수이(單穗)'는 '홑 꽃이삭', '셩마(升麻)'는 '승마'이다.이명에는 미셩마(米升麻), 셩마(升麻), 예차이마(野菜麻), 예차이셩마(野菜升麻), 차오수이셩마(草穗升麻), 딴주셩마(单株升麻) 등이 있다.
촛대승마를 오소리승마, 오수리승마, 초대승마, 초때승마, 대스암, 외대승마, 대승마, 섬촛대승마, 산촛대승마, 나물승마, 섬승마라고도 한다. 본초명은 단수승마(單穗升麻), 쇄채승마(晒菜升麻), 승마(升麻)이다. 꽃말은 '여인의 독설'이다.
촛대승마의 원산지는 한강토(조선반도)를 비롯해서 일본, 중국, 타이완, 몽골, 극동 러시아 등지이다. 일본에서는 홋카이도(北海道), 혼슈(本州), 시코쿠(四国), 규슈(九州) 등지에 분포한다. 중국에서는 안후이(安徽), 총칭(重庆), 깐쑤(甘肃), 광동(广东), 꾸이저우(贵州), 허베이(河北), 헤이롱쟝(黑龙江), 허난(河南), 후베이(湖北), 쟝시(江西), 지린(吉林), 랴오닝(辽宁), 네이멍구(内蒙古), 샨시(陕西), 샨시(山西), 쓰촨(四川), 윈난(云南), 쩌쟝(浙江) 등지에 난다. 한강토에서는 전국의 깊은 산 응달에서 자란다.
촛대승마의 키는 1m 정도까지 자란다. 줄기에는 흰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2~3회 3개씩 갈라진다. 소엽(小葉)은 달걀모양 또는 좁은 달걀모양이다. 소엽의 길이는 3~8cm, 너비 1.5~5cm로서 3개로 갈라지기도 한다. 잎 가장자리에는 결각상의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잎 표면은 털이 없으나 뒷면은 맥위에 털이 성글게 있다.
꽃은 6~7월에 흰색으로 핀다. 원줄기 끝에서 길이 20~30cm에 이르는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꽃차례는 흔히 밑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기도 한다. 양성꽃과 수꽃이 있으며, 흰색의 털이 있다. 꽃자루는 길이 5~10mm이다. 꽃받침조각은 5개이고, 길이 4mm로서 타원형이다. 꽃잎은 작고 끝이 밋밋하거나 얕게 2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많고 길이 10mm로서 흰색이다. 씨방은 2~7개로서 꽃이 핀 다음 길어지는 짧은 대가 있으며, 털이 약간 있다. 암술은 3~6개로 회색털과 샘털이 발생한다.
열매는 골돌과(蓇葖果)이다. 골돌과는 긴 대가 있으며, 길이 1cm 정도로서 털이 약간 있거나 없고, 긴 타원형이다. 열매 끝에는 꼬부라진 암술대가 남아있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에는 '촛대승마의 뿌리줄기(根莖)를 야승마(野升麻)라 하며 민간에서 약용한다. 해열, 해독, 산풍(散風), 승양(昇陽), 투진(透疹)의 효능이 있다. 시기역려, 양명두통(陽明頭痛, 陽明症의 두통), 후통(喉痛), 반진(斑疹), 풍열창양(風熱瘡瘍), 하리(下痢), 탈항(脫肛), 여자의 혈붕(血崩), 소아의 마진(痲疹)을 치료한다.'고 나와 있다.
촛대승마의 유사종에는 승마(升麻, 끼멸가리), 세잎승마(Three-leaf Komarov's bugbane), 눈빛승마(Dahurian bugbane), 나제승마(숙은촛대승마), 왜승마(Jejudo bugbane), 황새승마, 개승마(Southern bugbane), 한라개승마 등이 있다.
승마(Cimicifuga heracleifolia Kom.)는 줄기가 흑자색이고, 높이가 1m에 달하며, 곧게 서고 털이 없다. 8~9월에 흰색 꽃이 피며, 원줄기 윗부분에 큰 복총상꽃차례가 발달한다. 세잎승마(Cimicifuga heracleifolia var. bifida Nakai)의 줄기는 곧고 둥그스름하다. 줄기 아래부분에는 가는 흠이 있으며 털은 없다. 엽신은 삼출겹잎이고 털은 없다. 소엽 윗부분은 다시 3갈래로 갈라졌다. 꽃은 8월경 줄기끝에 총상꽃차례를 이루고, 여러 개의 작은 꽃이 촘촘히 모여 피며 양성꽃이다. 꽃잎 모양의 꽃받침조각은 황백색이다. 눈빛승마[Cimicifuga dahurica (Turcz. ex Fisch. & C.A.Mey.) Maxim.]는 큰 원뿔모양꽃차례가 흰색이기 때문에 눈빛승마라고 한다. 키는 2m에 달하고, 줄기는 굵으며 곧게 선다. 꽃은 이가화로서 8월에 피고, 꽃차례에는 짧은 털과 샘털이 밀생한다. 나제승마(Cimicifuga austrokoreana H.-W. Lee & C.-W. Park)는 숙은촛대승마라고도 한다. 키가 1m 이하로 작고, 소엽 전체에 털이 있다. 총상꽃차례가 아래로 숙어서 자란다. 주로 남부 지방의 산지 중 비교적 해발 고도가 낮은 곳에 분포한다.
왜승마[Cimicifuga japonica (Thunb.) Spreng.]는 제주도, 거제도 등지에 분포한다. 키는 60~80cm 정도이다. 원줄기는 꽃대 같으며, 보통 잎이 달리지 않는다. 꽃은 7~8월에 피고, 겹총상꽃차례에 흰색으로 달린다. 황새승마(Cimicifuga foetida L.)는 도감에는 기록돼 있으나 한강토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북방계 식물이다. 꽃은 8~9월에 피며, 원줄기 끝의 복총상꽃차례에 노란색을 띤 흰색으로 달린다. 개승마[Cimicifuga biternata (Siebold & Zucc.) Miq.]는 제주도와 거제도, 지리산에 분포한다. 잎은 길이 7~20cm, 너비 6~18cm 정도이다. 단풍잎과 유사하게 5~9갈래로 갈라지며, 끝이 뾰족하고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꽃은 7∼8월에 흰색으로 피며, 복이삭꽃차례로 달린다. 한라개승마[Aruncus aethusifolius (H.Lev.) Nakai]는 한강토 특산종으로 한라산의 냇가 바위틈에서 자라며, 키는 15cm로 작은 편이다. 꽃은 8월에 황백색으로 핀다. 원추상 총상꽃차례는 원줄기 끝에 달리고 백색털이 있다.
2022. 10. 13. 林 山
'야생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는범꼬리 '키다리' (0) | 2022.10.17 |
---|---|
산장대 '나는 당신을 믿습니다' (1) | 2022.10.15 |
왜우산풀 (0) | 2022.10.13 |
선괴불주머니 '보물주머니' (0) | 2022.10.11 |
매발톱나무 '승리의 맹세' (0) | 2022.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