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이야기

팔손이 '분별(分別), 비밀(秘密)'

林 山 2024. 4. 12. 17:42

팔손이는 난대성(暖帶性) 식물이기 때문에 기온이 영하(零下)로 내려가는 추운 지방에서는 겨울을 나기가 어렵다. 한강토(조선반도, 한반도) 중부 이북 지방에서는 노지(露地) 재배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식물원에 가야만 팔손이를 만날 수 있다.

팔손이는 이름이 특이해서 한 번 들으면 쉽게 잊혀지지 않는다. 팔손이라는 이름은 넓고 반들반들한 잎이 손바닥 모양으로 여덟 갈래로 갈라진 데서 유래했다. 팔손이는 야생에서는 초겨울, 온실에서는 한겨울에도 꽃이 핀다. 겨울철 꽃이 귀한 시기에 피는 흰 꽃과 열매가 아름다워서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팔손이(청주랜드 생태관, 2024. 1. 6)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국생관)에는 팔손이가 식물계(植物界, Plantae) 피자식물문(被子植物門, Magnoliophyta) 목련강(木蓮綱, Magnoliopsida) 장미아강(薔薇亞綱, Rosidae) 미나리목(Apiales) 두릅나무과(Araliaceae) 팔손이속(Fatsia)의 상록 떨기나무(常绿灌木)로 분류되어 있다. 중국어판 위키백과(維基百科)의 빠쟈오진판(八角金盘, 팔각금반) 분류는 식물계(植物界, Plantae) 관다발식물(维管植物, Tracheophyta) 속씨식물(被子植物, Angiosperms) 진정쌍떡잎식물(真双子叶植物, Eudicots) 국화군(菊类植物, Asterids) 산형목(伞形目, 미나리목, Apiales) 오가과(五加科, 두릅나무과, Araliaceae) 팔손이속(八角金盘属, Fatsia)이다. 바이두백과(百度百科)의 분류는 상록관목(常绿灌木) 또는 소교목(小乔木)이다. 국생관과 維基百科의 용어가 다소 차이가 있지만 내용은 같다.

국가표준식물목록(국표),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생정), 국생관 등재(登載) 학명(學名, Scientific name)은 파트시아 자포니카 (툰베리) 드케슨 & 플랑숑[Fatsia japonica (Thunb.) Decne. & Planch.]이다. 국생관 등재 학명이명(學名異名, synonymy)은 Aralia japonica Thunb., Echinopanax japonicus (Thunb.) Kuntze, Dimorphanthus japonicus (Thunb.) Endl. 등이 있고, 원기재명(原記載名)은 Aralia sieboldii K.Koch다.

속명(屬名, generic name) '파트시아(Fatsia)'는 여덟 갈래로 갈라진 잎과 관련하여 일본어 '八(はち, hachi, 하치, 8, eight)'에 국가나 질병 또는 꽃 이름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라틴어 접미사 '-이아(-ia)'가 붙어서 된 오래된 표기에서 유래한 다국어(Translingual) 고유명사다. 여덟 갈래로 갈라진 잎의 특징을 나타낸 이름이다. 종소명(種小名, specific name, species epithet) '자포니카(japonica)'는 '일본의(of Japan)'라는 뜻의 라틴어다. 처음 발견된 곳 또는 자생지가 일본임을 나타낸다.

'툰베리(Thunb)'는 스웨덴의 식물학자 칼 페테르 툰베리(Carl Peter Thunberg, 1743~1828)다. 툰베리는 '남아프리카공화국 식물학의 아버지', '일본의 린네'라고 불린다. 웁살라 대학교에서 '식물학의 시조' 칼 폰 린네(Carl von Linn'e, 1707~1778)에게 배운 툰베리는 1771년에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선의(船醫)가 되었고, 1775년에 일본 큐슈(九州) 나가사키(長崎)에 도착하여 1777년 7월 떠날 때까지 식물을 수집했다. 식물의 학명이나 속명이 바뀌는 경우에는 먼저 이름을 붙인 사람의 이름을 괄호 안에 넣는다.

'드케슨(Decne.)'은 프랑스의 식물학자이자 농경학자 조제프 드케슨(Joseph Decaisne, 1807~1882)이다. '플랑숑(Planch.)'은 프랑스의 식물학자 쥘 에밀레 플랑숑(Jules Émile Planchon, 1823~1888)이다. 드케슨과 플랑숑은 팔손이의 학명을 1854년 'Revue Horticole; résumé de tout ce qui parait d'intéressant en jardinage [etc.]'를 통해서 발표했다.

국표 등재 국명(國名, common name)은 팔손이(추천명), 팔각금반(八角金盘), 팔손이나무 등이 있다. 국생정 등재 국명은 팔손이(추천명), 팔각금반(비추천명) 등이 있다. 국생관 등재 국명은 팔손이(추천명), 팔손이나무 등이 있다. 다음백과 국생관 등재 국명은 팔손이(추천명), 팔금반(八金盤), 팔수목(八手木) 등이 있다. 팔손이의 꽃말은 '분별(分別), 비밀(秘密)'이다.

국표, 국생정 등재 팔손이의 영문명(英文名, English name)은 글로시-립 페이퍼 플랜트(Glossy-leaf paper plant)다. '윤이 나는 잎(Glossy-leaf) 종이 식물(paper plant) 또는 퍼파이러스(papyrus)'라는 뜻이다. 다음백과 국생관 등재 영문명은 팟시아(fatsia)다. 일본어판 Flora of Mikawa(三河の植物観察, FOM) 등재 영문명은 페이퍼플랜트(paperplant), 팟시(fatsi), 재퍼니즈 팟시아(Japanese fatsia), 글로시-립 페이퍼플랜트(glossy-leaf paperplant) 등이 있다. '페이이퍼플랜트(paperplant)'는 '퍼파이러스(papyrus)'라는 뜻이다. '팟시(fatsi)'는 일본어 '八(はち, 하치, 8)'의 발음을 차용한 것이다. '재퍼니즈 팟시아(Japanese fatsia)'는 '일본의(Japanese) 팔손이속(fatsia) 식물'이라는 뜻이다.

국표, 국생정, FOM 등재 팔손이의 일문명(日文名, Japanese name)은 야츠데(ヤツデ, 八手)다. '팔손이(八手)'라는 뜻이다. 쿠라요시시(倉吉市)나 유리하마정(湯梨浜町)의 야츠데(ヤツデ)를 관찰해보면 잎이 9갈래로 갈라진 것을 많이 볼 수 있다. '야츠데(ヤツデ)'는 한자(漢字)로 '八手'다. '八'은 많이 갈라졌다는 뜻이다. 실제로는 7갈래, 9갈래, 많으면 11갈래까지 갈라진 경우도 많다(鳥取県公式サイト). 다음백과 국생관 등재 국명 팔수목(八手木)은 일문명을 차용(借用)한 것이다.

FOM에는 야츠데(八手)의 별명(別名, Synonym)으로 텐구노하우치와(テングノハウチワ, 天狗の羽団扇)가 실려 있다. '얼굴이 붉고 코가 크며 신통력이 있어 하늘을 자유로이 날면서 심산(深山)에 산다는 상상적인 괴물(天狗)의(の) 새털로 만든 부채(羽団扇)'라는 뜻이다.

FOM, 維基百科, 중국어판 바이두백과(百度百科) 등재 중문명(中文名, Chinese name)은 빠쟈오진판(八角金盘)이다. '여덟 뿔(八角) 금쟁반(金盘)' 또는 '여덟 조각(8片)의 금잎(金叶)'이라는 뜻이다. 대략 8갈래로 갈라진 손바닥 모양의 잎이 마치 8개의 뿔이 있는 것처럼 보이는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황금색을 띤 팔손이의 어린 잎을 보면 빠쟈오진판(八角金盘)이라는 이름이 바로 이해가 된다.

빠쟈오진판(八角金盘)은 일찍이 칭대(清代) 우이뤄(吴仪洛)의 약학서(药学書) 뻰차오총신(本草从新)에 등재된 한약재(中草药)다. 하지만, 이 책에 나오는 빠쟈오진판(八角金盘)은 팔손이가 아니라 빠쟈오펑(八角枫, 참박쥐나무)이다. 옛날에는 식물 분류가 매우 광범위하고 당시 한약학자들은 식물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서 모양이 같거나 이름이 비슷한 식물을 구별하지 못해 '동명이물(同名异物)'의 혼동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百度百科). 국표 등재 국명 팔각금반(八角金盘), 다음백과 국생관 등재 국명 팔금반(八金盤)은 중문명을 차용한 것이다.

중국에서 빠쟈오진판(八角金盘)은 '굳세고 강함(坚强), 기개(骨气)'를 상징한다. 꽃말(花语)은 '팔방에서 재물이 들어옴(八方来财), 사방에서 재기(才氣, 인재)가 모여듦(聚四方才气), 한층 더 높아짐(更上一层)'이다.

 

팔손이(청주랜드 생태관, 2024. 1. 6)

 

팔손이는 한강토, 일본에 분포한다. 한강토에서는 경상남도 남해도(미륵)와 거제도(맥도)에 분포한다. 거제도에서 자라는 팔손이는 천연기념물(天然記念物)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경상남도 통영시 비진도 초등학교 앞 해안은 팔손이의 최북단(最北端) 자생지(自生地)로서 천연기념물 제63호로 지정되어 있으나 남해군 삼동면 소재 마암섬의 팔손이 군락은 이보다 위도상(緯度上)으로는 더 북쪽이다(국생정). '남해도(미륵)'은 '통영시 미륵도'의 오기(誤記)로 보인다. 남해도에는 미륵도가 없기 때문이다.

팔손이는 한강토 전라남도 광도, 경상남도 비진도, 제주도 등에 자생하며, 일본 남부에도 분포한다. 바다 근처 숲에 자생한다. 관상용이나 약용으로 재배하기도 한다(국생관).

야츠데(八手)의 원산지는 조선(朝鮮, 한강토), 일본이다. 일본에서는 혼슈(本州) 이바라키현(茨城県) 남쪽 태평양(太平洋) 연안, 시코쿠(四国), 큐슈(九州), 오키나와(沖縄)에 분포한다. 해안에서 가까운 숲속이나 숲 가에 난다. US, 중국 등지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다(FOM).

빠쟈오진판(八角金盘)의 원산지는 일본이다. 중국에서는 북부와 남부에 고르게 분포한다. 북부에서는 주로 실내에서 재배하고, 남부에서는 노지(露地)에서 재배한다. 주요 번식(繁殖) 방법은 삽목(扦插), 파종(播种), 분주(分株) 등이다(百度百科).

 

팔손이(성남 신구대식물원, 2024. 1. 28)

 

팔손이의 뿌리는 굵은 뿌리와 잔뿌리가 많다. 키는 높이 2~4m 정도다. 줄기는 외대로 자라는 성질이 있으며, 순치기를 하면 간혹 분지(分枝)하기도 한다. 일년생 가지는 굵으며 털이 없다. 가지에는 잎이 떨어진 자국이 크게 남아 있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7~9(11)개로 갈라져서 손바닥 모양이고 아랫부분은 다소 심장형(心臟形)이다. 열편(裂片)은 달걀형의 피침형(卵狀披針形)으로 첨두(尖頭)다. 잎 양면에는 털이 없다. 잎 표면은 짙은 녹색으로 윤채(潤彩)가 있고, 뒷면은 황록색(黃綠色)이다. 잎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둥글고 길이가 20~40cm 정도이며 털이 없다.

꽃은 10~11(12)월에 흰색 또는 유백색(乳白色)으로 핀다. 우산 모양 꽃차례(繖形花序, umbel)가 가지 끝에 모여서 원뿔 모양 꽃차례(圓錐花序, panicle)를 이루며, 길이 20~40cm, 너비 5~8cm이다. 꽃잎은 5장이다. 꽃 지름은 5mm, 꽃자루 길이는 8~10mm이다. 꽃받침잎은 뚜렷하지 않다(국생관). 꽃받침열편이 뚜렷하다(국생정). 수술은 5개, 암술대는 4~6개이다.

열매는 장과(漿果, berry)다. 장과는 거의 둥글고 검은색이며, 지름 5mm이다. 열매는 다음해 2(3)~3(5)월에 성숙한다.

 

팔손이(여주 황학산수목원, 2023. 12. 9)

 

팔손이는 남부 지방에서 조경수(造景樹)로 이용하거나, 교목(喬木) 하부에 심는다. 실내 정원 또는 화분에 심어 분재(盆栽, bonsai)로 감상할 수 있다. 염료 식물로더 이용할 수 있다. 팔손이의 잎에서 염액(染液)을 얻을 수 있으며, 매염제(媒染劑, mordant)에 대한 반응도 좋은 편이다(국생정).

빠쟈오진판(八角金盘)은 일년 내내 상록수로서 크고 아름다운 녹색 잎을 가지고 있어 훌륭한 관엽식물(觀葉植物)이다. 유백색의 꽃도 매우 우아하다. 실내 저조도(低照度) 환경에도 적응할 수 있어 호텔, 레스토랑, 사무실, 주택의 미화를 위해 많이 쓰인다. 또는 실내 화단에 관상용으로도 심는다. 잎은 좋은 꽃꽂이 재료다. 안뜰, 문, 창문, 벽 모서리 등 건물의 그늘에 적합하며, 물이 떨어지는 시냇물 옆에 배치해도 좋다. 잔디밭이나 숲 가장자리에 무리지어 심을 수도 있고, 실내 관상용으로 작은 화분에 심을 수도 있다. 이산화황(二酸化黃, SO2, sulfur dioxide)에 대한 저항성이 강해 공장이나 광산 지역에서 기르기에도 적합하다. 빠쟈오진판(八角金盘)은 이산화탄소 등 유해 가스를 흡수하여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현대인의 주거 환경은 폐쇄적이어서 환기(換氣)를 거의 허용하지 않아 유해 가스가 실내에 축적되어 공기가 점점 탁해진다. 더욱이 도시의 공기질은 날로 악화되고 있는데, 집에 빠쟈오진판(八角金盘)을 심으면 인체가 내뿜는 이산화탄소와 기타 유해 가스의 일부를 흡수해 공기를 정화함으로써 쾌적한 주거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百度百科).

 

팔손이(여주 황학산수목원, 2023. 12. 9)

 

빠쟈오진판(八角金盘)은 뿌리(根)와 잎(叶), 꽃(花), 열매(果)를 다 한약재로 쓴다. 화담지해(化痰止咳), 산풍제습(散风除湿), 활혈화어지통(活血化瘀止痛)의 효능이 있다. 주로 해수담다(咳嗽痰多), 풍습비통(风湿痹痛, 류마티스관절염), 통풍(痛风), 질타손상(跌打损伤, 타박상) 등을 치료한다. 임산부(孕妇)는 복용에 주의해야 한다(百度百科).

빠쟈오진판(八角金盘)은 잎과 뿌리를 약으로 쓴다. 타박상을 치료하고, 어혈(瘀血)을 없앤다(台湾药用植物志).

팔손이는 동의보감(東醫寶鑑)이나 전국 한의과대학 본초학 교과서에는 수재(收載)되지 않은 한약재다. 한의사들은 임상에서 팔손이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팔손이(여주 황학산수목원, 2023. 12. 9)

 

국표 등재 팔손이의 유사종(類似種, similarity species) 자생식물(自生植物, indigenous plant)은 없다. 국표 등재 팔손이의 유사종 재배식물(裁培植物, garden plant, cultivated plant)은 무늬팔손이(Fatsia japonica 'Variegata') 1종이 있다. 무늬팔손이(Paper plant, Paper plant Glossy-leaved, Fatsia, Japanese fatsia, シロブチヤツデ)는 잎에 흰색 무늬가 있다.

2024. 4. 12. 林 山

#팔손이 #八角金盘 #ヤツデ #八手 #Glossyleafpaperplant #fatsia #paperplant #fatsi #Japanesefats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