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y parents are locking themselves in cells at Korean 'happiness factory'. The only thing connecting each tiny room at the Happiness Factory to the outside world is a feeding hole in the door.
한국 부모들이 '행복 공장'이란 독방에 스스로 들어간 이유
한국의 부모들은 왜 '행복공장'이라는 감방에 스스로를 가두는 걸까? 행복공장의 작은 방 하나하나를 외부 세계와 연결하는 유일한 통로는 문에 뚫린 음식 구멍뿐이다.
상점 찬장보다 크지 않은 이 감방 내부에는 전화기나 노트북이 허용되지 않으며, 거주민들의 방에는 아주 작은 수납장 하나, 탁자 하나뿐이고 온통 사방은 맨 벽만 있다.
주민들은 파란색 죄수복을 입고 있지만 수감자는 아니다. 그들은 '유폐(幽閉) 체험'을 위해 남한(South Korea) 센터에 왔다. 이곳 사람들 대부분은 사회에서 완전히 고립된 자녀를 갖고 있고, 세상과 단절된 느낌을 스스로 배우려고 한다.
이들 거주민의 자녀처럼 은둔형 청소년(은둔형 외톨이, 사회적인 교류나 활동을 전혀 하지 않고 집 안에만 틀어박혀 있는 상태, 또는 그런 사람)을 히키코모리[hikikomori, ひきこもり, 引きこもり, 引(き)籠もり]라고 부르는데, 이는 1990년대 일본에서 청소년과 청년들의 심각한 사회적 위축을 묘사하기 위해 만들어진 용어이다.
지난해 남한 보건복지부가 19~34세 1만5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5% 이상이 자가격리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이 남한 전체 인구를 대표한다면 약 54만 명이 같은 상황에 처했다는 뜻이다.
지난 4월부터 학부모들은 비정부기구(NGO), 한국청소년재단, 대왕고래복원센터가 자금을 지원하고 운영하는 13주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의 목적은 사람들에게 자녀와 더 잘 의사소통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다.
이 프로그램에는 강원도 홍천군에 있는 한 시설에서 참가자들이 독방을 재현한 방에서 시간을 보내는 3일이 포함된다. 고립 체험이 부모에게 자녀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제공할 수 있기를 바란다.
진영해의 아들은 현재 3년째 자신의 침실에 갇혀 지내고 있다. 하지만 그녀 자신이 감옥에서 시간을 보냈기 때문에, 진씨(본명이 아닌)는 24살의 그녀의 "감정 감옥"을 조금 더 잘 이해한다.
50세인 그녀는 "내가 뭘 잘못했는지 궁금하다. 생각하기가 고통스럽다. 하지만 반성하기 시작하면서 어느 정도 명확해졌다."고 말한다. 그녀의 아들은 재능이 매우 뛰어났다. 그녀와 남편은 아들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고 진씨는 말한다.
그러나 아들은 종종 아팠고 우정을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으며, 결국 섭식 장애가 생겨 학교에 가는 것이 어려워졌다. 그녀의 아들이 대학에 입학했을 때 한 학기 동안은 잘 지내는 것 같았지만 어느 날 갑자기 자퇴했다.
방에 갇힌 채 개인위생과 식사도 소홀히 하는 아들을 볼 때마다 그녀는 마음이 아팠다. 그러나 불안, 가족 및 친구 관계의 어려움, 일류 대학에 합격하지 못한 것에 대한 실망이 그녀의 아들에게 영향을 미쳤을지 모르지만, 아들은 진정으로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그녀에게 이야기하기를 꺼린다.
진씨는 행복공장에 왔을 때 다른 고립된 젊은이들이 쓴 메모를 읽었다. 그녀는 "그 메모를 읽으면서 '아, 아무도 그를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는 침묵으로 자신을 보호하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라고 말한다.
박한실(가명)씨는 7년 전 외부와 연락이 끊긴 26살 아들을 위해 이곳에 왔다. 몇 번이나 집에서 가출한 이후로 아들은 이제 거의 방에서 나오지 않는다. 박 씨는 아들을 상담사에게 데려가고 의사도 만나러 갔지만, 그녀의 아들은 처방받은 정신 건강 약을 거부하고 비디오 게임에 집착하게 되었다.
박씨는 여전히 아들에게 다가가기 위해 애쓰고 있지만 격리 프로그램을 통해 아들의 감정을 더 잘 이해하기 시작했다. 그녀는 "나는 아이를 특정 틀에 얽매이지 않고 아이의 삶을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라고 말한다.
남한 보건복지부의 연구에 따르면 젊은이들이 자신을 단절하게 만드는 요인은 다양하다. 19~34세를 대상으로 한 교육부가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가장 일반적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취업이 어렵다(24.1%), 대인관계 문제 (23.5%), 가족 문제 (12.4%), 건강 문제 (12.4%) 등이다.
남한은 세계에서 자살률이 가장 높은 국가 중 하나이며, 지난해 정부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5개년 계획을 발표했다. 장관들은 20~34세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2년마다 국가 자금으로 정신 건강 검진을 실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일본에서는 1990년대에 처음으로 스스로를 고립시키는 젊은이들의 물결이 이어지면서 노부모에게 의존하는 중년 인구가 늘어났다. 그리고 단지 연금만으로 성인 자녀를 부양하려는 노력으로 인해 노인들은 가난과 우울증에 빠지게 된다.
경희대학교 사회학과 정고운 교수는 인생의 중요한 이정표가 정해진 시기에 도달해야 한다는 남한 사회의 기대가 특히 경기 침체와 낮은 고용 상황에서 젊은이들의 불안을 증폭시킨다고 말한다.
자녀의 성취가 부모의 성공이라는 견해는 가족 전체를 고립의 수렁에 빠지게 만든다. 그리고 많은 부모들은 자녀의 어려움을 양육 실패로 인식하여 죄책감을 느낀다.
정 교수는 "한국에서는 부모가 말보다는 실제적인 행동과 역할을 통해 자신의 사랑과 감정을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 부모가 열심히 일해서 자녀 등록금을 마련하는 것은 책임을 강조하는 유교 문화의 전형적인 예다."라고 말한다.
근면을 문화적으로 강조하는 것은 남한이 세계 주요 경제국 중 하나가 된 21세기 후반의 급속한 경제성장을 반영하는 것일 수도 있다. 그러나 세계 불평등 데이터베이스(World Inequality Database)에 따르면, 남한의 부의 불평등은 지난 30년 동안 더욱 악화되었다.
대왕고래복원센터 김옥란 원장은 청소년들이 자가격리하는 것을 '가족의 문제'로 보는 시각 때문에 부모들도 주변 사람들과 단절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그리고 어떤 사람들은 판단을 받는 것이 너무 두려워서 가까운 가족들에게 자신의 상황에 대해 이야기조차 할 수 없다. 김씨는 "그들은 문제를 공개적으로 드러낼 수 없기 때문에 부모 자신도 고립되게 된다. 명절에는 가족 모임에 참석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고 말한다.
행복공장을 찾아온 부모들은 아직도 아이들이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는 날을 손꼽아 기다리고 있다. 만약 아들이 격리 상태에서 나오면 그에게 무슨 말을 하겠느냐는 질문에 진 씨의 눈에는 눈물이 가득 고였다.
진 씨는 떨리는 목소리로 "정말 많은 일을 겪었구나. 힘들었지, 그렇지? 내가 너를 지켜보고 있을게."라고 말해 주겠다고 했다.
'월드 뉴스 헤드라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7.4.BBC] 인도 우타르 프라데쉬 주 종교 행사 압사 참사, 121명 사망 (1) | 2024.07.03 |
---|---|
[2024.7.3.BBC] 이스라엘군 가자 남부 공격, 팔레스타인인들 칸 유니스 탈출 (1) | 2024.07.02 |
[2024.7.1.BBC] 북한, 남한의 영향 막기 위해 '웨딩 드레스, 은어' 등 단속 (4) | 2024.06.30 |
[2024.6.30.BBC] 조 바이든 US 대선 후보 사퇴 요구 거부, "계속 싸울 것" (1) | 2024.06.30 |
[2024.6.28.BBC] 볼리비아 경찰, 군사반란 시도 주모자 후안 호세 수니가 체포 (2) | 2024.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