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7월 19일 중국(中國) 지린성(吉林省) 방문 이틀째 되는 날 한강토(조선반도, 한반도) 최고봉이자 조선민족(朝鮮民族, 한겨레)과 만주족(滿洲族)의 영산(靈山)인 흰머리뫼(백두산, 白頭山, 2,744m) 북파(北坡) 천문봉(天文峰, 2,620m)에 올랐다. 백두산에 오기 위해 남의 나라 중국(中國) 땅을 거쳐 참으로 먼 길을 돌아서 왔다. 백두산은 판문점을 거쳐 육로로 가면 단 몇 시간이면 닿을 수 있는 거리다. 지름길을 두고도 남의 나라로 돌아서 가야만 하는 상황에 치미는 분노를 금할 수 없다. 남한과 북한이 상호불가침협정(相互不可侵協定)을 체결하고, 대사 교환(大使交換)을 한 뒤 민간인 자유 왕래를 실현했더라면 이렇게 남의 나라 땅을 통해 빙 돌아서 오지 않아도 되었을 것이다. 남과 북으로 갈라져 아직도 같은 민족끼리 오가지도 못하는 못난 민족이다. 남북간 민간인 자유 왕래를 가로막는 세력이 영원히 사라지기를 천지신명(天地神明)님께 빌고 또 빈다. 민간인 자유 왕래 실현을 가로막는 악(惡)의 세력을 몰아내는 것이야말로 시대적 사명이라고 할 수 있다.
신령한 하늘연못(천지, 天池) 북쪽에 우뚝 솟은 천문봉 기슭에 끝없이 펼쳐진 천상(天上)의 화원(花園)에는 두메양귀비, 좁은잎돌꽃, 천지괭이눈, 바위구절초, 구름송이풀, 두메자운, 구름범의귀, 호범꼬리, 나도개미자리, 하늘매발톱, 두메분취, 나도황기, 씨범꼬리, 바위솜나물, 바위돌꽃, 노랑만병초, 담자리꽃나무, 구름국화, 좀참꽃, 둥근범꼬리, 고산봄맞이 등 온갖 뫼꽃 들꽃들이 피어나 저마다 아름다움을 자랑하고 있었다.
고산봄맞이를 마지막으로 천문봉 정상부에서 조금 내려와 헤이펑커우(黑風口)로 자리를 옮겼다. 한자어로 '흑풍구(黑風口)'라 불리는 곳이다. '헤이펑(黑風)'은 '폭풍(暴風), 광풍(狂風)', '펑커우(風口)'는 '바람받이, 바람이 통하는 곳, 바람구멍'을 뜻한다. 곧 '강풍 또는 미친 바람이 부는 바람받이'라는 뜻이다. 지명처럼 헤이펑커우에는 사람을 날려버릴 듯한 강풍이 불어오고 있었다. 하지만 헤이펑커우에서 바라보는 비룡폭포(飛龍瀑布, 白頭瀑布)는 그야말로 장관이었다. 선경(仙境)이 있다면 바로 이런 곳을 두고 한 말이 아닐까! 중국인들은 비룡폭포를 창바이푸부(長白瀑布)라고 부른다.
헤이펑커우에는 천문봉 정상부와는 또 다른 야생화의 세계가 펼쳐져 있었다. 헤어펑커우에서는 고본(藁本), 가는다리장구채, 오랑캐장구채, 긴개싱아 등을 만났다. 긴개싱아를 마지막으로 헤이펑커우를 떠나 비룡폭포 대협곡과 소천지(小天池)가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전망대에 이르렀다. 전망대 근처에서 설령쥐오줌풀에 이어 선명한 붉은색 꽃이 예쁘게 피어 있는 패랭이꽃도 만났다.
천문봉 기슭에서 자라는 들꽃 뫼꽃들을 보고 창바이산(長白山) 북파 산문(山門)으로 내려왔다. 천문봉을 오르는 관문인 북파 산문에는 창바이산빙설훈련기지(長白山高原氷雪訓鍊基地)가 있다. 이 기지는 말하자면 중국 국가대표팀 동계 훈련 선수촌이다. 선수촌 주변에는 천문봉 북파와는 또 다른 들꽃 뫼꽃의 세계가 펼쳐져 있었다. 북파 산문에서 큰오이풀과 꿩의다리, 금매화(金梅花), 미역취, 나래박쥐나물, 귀박쥐나물, 어리곤달비, 좁은잎어수리, 도깨비엉겅퀴, 꽃쥐손이, 금방망이, 눈개승마에 이어 미백색(微白色) 꽃이 수줍은 듯 피어 있는 초롱꽃을 만났다. 초롱꽃이야 제주도를 제외한 남한 전역에서 자라고, 또 정원 화단에 키우기도 하는 야생화(野生花)이기에 남한에서도 쉽게 만날 수 있는 식물이다. 하지만, 타향에서는 고향 까마귀도 반갑다고 했던가! 머나먼 백두산에 와서 초롱꽃을 만나니 무척이나 반가왔다.
한강토에는 초롱꽃에 얽힌 전설이 하나 전해 온다. 먼 옛날, 금강산 깊은 산골에 부모 없는 오누이가 살았다. 어느 날 누나가 병에 걸리자 남동생은 약초를 찾아 산으로 떠났다. 밤늦게까지 돌아오지 않는 동생을 기다리던 누나는 초롱불을 들고 길을 나섰다가 산중턱에 쓰러지고 말았다. 약을 구해 돌아오던 동생은 누나를 발견하였지만, 이미 숨을 거둔 뒤였다. 세월이 흘러 죽은 누나 옆에는 초롱불을 닮은 한 송이 꽃이 피어났다. 후세 사람들은 초롱불을 닮은 이 꽃을 초롱꽃이라 불렀다는 이야기다.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국생관)에 초롱꽃은 피자식물문(被子植物門, Magnoliophyta) > 목련강(木蓮綱, Magnoliopsida) > 국화아강(菊花亞綱, Asteridae) > 초롱꽃목(Campanulales) > 초롱꽃과(Campanulaceae) > 초롱꽃속(Campanula)의 여러해살이 관속식물(管束植物, vascular plant)로 분류되어 있다.
국가표준식물목록(국표),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생정), 국제식물명색인(IPNI), 큐(KEW) 등재(登載) 초롱꽃의 학명(學名, Scientific name)은 캄파눌라 푼크타타 라마르크(Campanula punctata Lam.)이다. 국생관 원기재명(原記載名)은 Campanula punctata var. rubriflora Makino(자주초롱꽃)이다. 국표 등재 학명이명(學名異名, synonymy)은 Campanula punctata Lam. var. rubiflora Makino, Campanula punctata Lam. f. rubiflora (Makino) T.Shimizu 등이 있다.
속명(屬名, generic name) '캄파눌라(Campanula)'는 라틴어 명사 '캄파나(campāna, 영 bell, 鐘, 종)'에 지소(指小) 접미사(diminutive suffix) '-울라(-ula)'가 붙어서 이루어진 라틴어 명사로 '작은 종[diminutive of campāna(bell)]'을 뜻한다. 작은 종 모양의 꽃을 표현한 이름이다.
종명(種名, specific name) '푼크타타(punctata)'는 '구두점을 찍은(punctuated), 뾰족한, 날카로운(pointed), 반점의, 작은 반점이 있는(punctate)' 등의 뜻을 가진 라틴어 형용사 '푼크타투스(punctatus)'의 주격/호격(呼格)/여성 단수형이다. 통꽃 안쪽에 짙은 반점이 찍혀 있는 것을 표현한 이름이다.
'라마르크(Lam.)'는 프랑스의 박물학자이자 생물학자 장바티스트 피에르 앙투안 드 모네, 슈발리에 드 라마르크(Jean-Baptiste Pierre Antoine de Monet, chevalier de Lamarck, 1744~1829)이다. 라마르크는 최초로 진화의 개념을 제시한 사람이다. 라마르크는 1785년 'Encyclopedie Methodique. Botanique ... Paris'에서 초롱꽃의 학명을 최초로 출판했다.
국표 등재 학명 Campanula punctata Lam.의 추천(推薦) 국명(國名, Korean common name)은 초롱꽃(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등, 1937), 비추천명(非推薦名)은 자주초롱꽃이다. 초롱꽃이라는 이름은 꽃 모양이 옛날 밤길을 밝히기 위해 들고 다니던 초롱과 비슷한데서 유래했다. 줄기와 끝에 달린 꽃 모양이 자루 달린 초롱을 연상시키기 때문이다.
국표 등재 초롱꽃의 추천 영문명(英文名, English common name)은 스파티드 벨플라워(Spotted bellflower, 한반도 자생식물 영어이름 목록집 개정판, 국립수목원, 2022)이다. '점박이(Spotted) 초롱꽃속(bellflower) 식물'이라는 뜻이다. Flora of Mikawa(三河の植物観察, FOM) 등재 영문명은 스파티드 벨플라워(Spotted bellflower), 롱-플라워드 헤어벨(long-flowered harebell) 등이 있다. 롱-플라워드 헤어벨(long-flowered harebell)은 '긴 꽃(long-flowered)이 피는 실잔대(harebell)'라는 뜻이다. 실잔대는 종 모양의 청색 꽃이 피는 야생화다.
FOM 등재 초롱꽃의 일본명(日本名, Japanese common name)은 호타루부쿠로(ほたるぶくろ, 蛍袋, 広義)이다. 호타루부쿠로(蛍袋)는 아이들이 반딧불이(蛍)를 자루(袋)처럼 생긴 꽃에 넣어서 놀았다는 데서 유래했다. FOM 등재 학명 Campanula punctata Lam. var. punctata의 일본명도 호타루부쿠로(蛍袋)다.
중국식물지(中国植物志, FRPS), FOM 등재 초롱꽃의 중국명(中國名, Chinese common name)은 즈반풍링차오(紫斑风铃草)다. '자주색 반점(紫斑)이 있는 초롱꽃(风铃草, 东北植物检索表)'이라는 뜻이다. FRPS 등재 속명(俗名)은 댜오종화(吊钟花), 덩롱화(灯笼花), 샨잉다이(山萤袋) 등이 있다.
초롱꽃은 한강토, 일본, 동부시베리아에 분포한다. 한강토에서는 남부와 중부 지역 산의 낮은 곳에 자생한다(국생정). 초롱꽃은 한강토 제주도를 제외한 전역에 나며, 일본, 중국 동북 지역, 러시아 극동 지역 등에 분포한다(국생관).
호타루부쿠로(蛍袋)의 원산지는 일본, 조선(朝鮮, 한강토, 조선반도, 한반도), 중국, 러시아이다. Campanula punctata Lam. var. punctata(蛍袋)는 일본 홋카이도(北海道), 혼슈(本州), 시코쿠(四国), 규슈(九州)에 분포한다. 한강토(朝鮮), 중국, 러시아에도 분포한다(FOM).
즈반풍링차오(紫斑风铃草)는 중국 둥베이(东北), 네이멍구(内蒙古), 허베이(河北), 샨시(山西), 허난(河南) 서부, 샨시(陕西), 간쑤(甘肃) 동부, 쓰촨(四川) 동북부, 후베이(湖北) 서부 등에 난다. 한강토(朝鲜), 일본, 러시아 극동 지방에도 분포한다. 산림, 수풀, 초원에서 자라며, 남부 지역에서는 해발 고도 2,300m까지 자란다. 기준 표본은 일본에서 수집되었다(FRPS).
초롱꽃의 뿌리는 잔근성이며, 땅속줄기(地下莖)가 있다. 줄기는 높이 40~100cm 정도이고 전체에 퍼진 털이 있으며, 흔히 옆으로 자라는 기는줄기(匍匐莖)가 있다. 줄기는 중상부에서 가지를 치며 잔털이 있다.
근생엽(根生葉)은 엽병(葉柄)이 길고 심장상 달걀 모양(心臟狀卵形)이다. 줄기잎은 날개가 있는 엽병이 있거나 없고 삼각상 달걀 모양(三角狀卵形)이거나 넓은 피침형(廣披針形)이며 뾰족한 끝이 둔하게 그치고 밑부분이 둥글거나 좁다. 잎 길이는 5~8cm, 폭 1.5~4cm로서 가장자리에 불규칙하고 둔한 거치(鋸歯)가 있다.
꽃은 6~8월에 피고 백색(白色) 또는 연한 홍자색(軟紅紫色) 바탕에 짙은 반점(斑點)이 있으며 긴 화경(花莖) 끝에 종(鐘) 같은 꽃이 달려 밑으로 처진다. 꽃의 길이는 4~8cm이며, 꽃통은 3.5cm로 아래를 향하여 핀다. 꽃받침은 5개로 좁게 갈라지며 녹색이고 털이 있으며, 열편(裂片) 사이에 뒤로 젖혀지는 부속체가 있다. 수술은 5개, 암술 1개, 씨방은 하위이다.
열매는 삭과(蒴果, capsule)이다. 삭과는 8~9월에 익으며, 씨방은 3실이다. 삭과는 속이 여러 칸으로 나뉘어진 각 칸 속에 많은 종자가 들어있는 열매를 말한다. 열매가 익어서 성숙하면 위에서 아래로 향하여 껍질이 갈라지며 종자가 밖으로 퍼져나온다.
초롱꽃은 화단(花壇)에 심어 관상(觀賞)하거나 화분(花盆)에 심어 관상한다(다음백과 국생정). 초롱꽃은 관상용(觀賞用)으로 심으며, 어린잎은 식용(食用)한다(국생관).
즈반풍링차오(紫斑风铃草)는 전초(全草)를 약으로 쓴다. 맛은 쓰고(苦), 성질은 서늘하다(凉). 청열해독(清热解毒), 지통(止痛)의 효능이 있다. 주로 인후염(咽喉炎), 두통(头痛) 등의 증상을 치료한다(药用植物图像数据库).
국표 등재 초롱꽃의 유사종(類似種, similarity species) 자생식물(自生植物, indigenous plant)은 섬초롱꽃(Campanula takesimana Nakai), 자주꽃방망이[Campanula glomerata L. subsp. speciosa (Hornem. ex Spreng.) Domin] 등 2종이 있다.
섬초롱꽃(영 Korean bellflower, 일 タケシマホタルブクロ, 竹島蛍袋)은 경북 울릉도에만 분포하는 한강토 고유 식물이다. 낮은 숲속 사면 저지대와 산지의 비탈진 풀밭에 난다. 키는 높이 30~155cm 정도로 자란다. 뿌리는 주근으로 길게 신장한다. 줄기는 곧추서며 두껍고 단생하며 분지하지 않고 자주색을 띤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달걀 모양 삼각형 또는 심장형으로 광택이 있고 흰색 털이 있다. 잎은 길이 2.6~11.9cm, 너비 1.2~7.9cm이다. 잎끝은 뾰족하고 밑부분은 심장 모양이며 잎 가장자리는 예리한 톱니가 있다. 꽃차례는 총상꽃차례(總狀花序)이며 꽃자루는 길이 2.0~11.7cm로 털이 약간 있다. 꽃은 길이 2.3~4.0cm로 연한 자색의 꽃부리에 검은색 반점이 있다. 꽃부리의 끝은 5개로 갈라지며 넓은 삼각형이다. 꽃은 6~8월에 피는데 꽃부리의 색깔은 많은 변이를 보인다. 열매는 삭과로 회갈색의 타원형이다. 초롱꽃과 유사하나 잎에 광택이 있고 꽃받침의 맥이 뚜렷하다. 관상용으로 심는다. 어린순은 식용한다.
자주꽃방망이(영 Dahurian clustered bellflower, 일 ヤツシロソウ, 八代草, 중 聚花風鈴草)는 한강토 제주도를 제외한 거의 전역에 자생하며, 러시아 시베리아, 아무르, 우수리, 일본, 중국 만주에도 분포한다. 전체에 털이 많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40~100cm이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아래쪽 잎은 난형, 날개가 있는 잎자루가 있고, 위쪽 잎은 긴 타원형,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 없이 줄기를 반쯤 감싼다. 잎 양면은 짧고 거센털이 있어 껄껄하다. 꽃은 8~10월에 피는데 줄기 끝과 위쪽 잎겨드랑이에서 여러 개가 위를 향해 달리며, 보라색 또는 드물게 흰색이다. 꽃부리는 종 모양, 길이 2~3cm, 끝이 5갈래로 조금 깊게 갈라진다. 수술은 5개이고 암술대는 세 갈래로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로서 10월에 익는다. 관상용으로 심으며, 잎은 식용한다. 뿌리는 약재로 쓴다.
여기서 한 가지 의문이 생긴다. 마땅히 초롱꽃속(Campanula)으로 분류되어야 할 한강토 특산식물이자 천연기념물 제233호 금강초롱꽃[Hanabusaya asiatica (Nakai) Nakai]과 검산초롱꽃(Hanabusaya latisepala Nakai) 두 종은 어찌하여 속명도 괴상한 하나비사야(Hanabysaya, 금강초롱꽃속)로 분류되었는가 하는 의문이다. 금강초롱꽃은 한강토 중부와 북부의 고산지대에 분포하고, 검산초롱꽃은 한강토 북부 검산령, 장진, 연화산, 낭림산, 천불산, 사수산 등에 분포하는 한강토 고유종이다.
명명자 나카이(Nakai)는 제국주의 일본의 조선 강제점령기 조선총독부에서 한강토의 식물을 정리하고 소개한 일본 식물분류학자 나카이 다케노신(中井猛之進, 1882~1952)이다. 나카이는 1911년에 금강초롱꽃, 1921년에 검산초롱꽃의 학명을 출판했다. 라마르크는 이미 1785년에 초롱꽃의 학명을 발표했다. 나카이가 그런 사실을 모를 리 없었을 것이다.
나카이가 한강토에서 활동하던 시기는 국내 식물분류학이 태동하기 전이어서 일본 식물학자들의 독무대였다. 한강토 고유 자생식물임에도 일본인들이 명명자로 되어 있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속명 '하나비사야(Hanabysaya'는 나카이가 조선총독부의 전신인 일본공사관 초대 공사 하나부사 요시모토(花房義質, 1842~1917)를 기리기 위해 붙인 것이다. 하나부사는 1882년 하급 군인들과 도시 하층민이 일으킨 임오군란(壬午軍亂) 당시 별기군(別技軍)을 지휘하여 진압했고, 조선에 불리한 불평등조약인 제물포조약(濟物浦條約)을 강제 체결하여 일제의 한강토 병탄(倂呑)의 발판을 마련한 조선의 국적(國敵) 가운데 한 사람이다. 그런데, 하나부사는 군대까지 동원해 나카이가 한강토 자생 식물을 채집하도록 도와주었다. 나카이는 보은의 뜻으로 전세계에 단 하나밖에 없는 한강토 고유종 금강초롱꽃의 속명에 '하나부사(花房)'를 붙였던 것이다.
학명은 선취권(先取權)이란 것이 있다. 정당공표(正當公表)와 유효발표(有效發表)된 학명은 합법명(合法名)이 된다. 합법명이라도 동일한 종에 이름이 부여된 경우 발표된 순서에 따라 선취권이 부여된다. 선취권은 학명을 가장 먼저 발표한 것을 따르는 원칙이다. 선취권이 부여된 학명은 정명(正名)이 되고, 발표가 늦거나 다른 이유로 사용되지 않는 학명은 이명이 된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금강초롱꽃의 학명은 Campanula koreana Nakai 또는 Campanula geumgangensis Nakai, 검산초롱꽃의 학명은 Campanula latisepala Nakai로 변경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한다. 동속(同屬) 식물을 별도의 속으로 분리한다는 것 자체가 학문적인 태도가 아니다.
국표 등재 초롱꽃의 유사종 재배식물(栽培植物, cultivated plants)은 구릉초롱꽃(Campanula collina Sims), 숲초롱꽃(Campanula carpatica Jacq.), 이태리초롱꽃(Campanula elatines L.), 자작잎초롱꽃(Campanula betulifolia K.Koch), 케니시아초롱꽃(Campanula cenisia L.), 터어반숲초롱꽃[Campanula carpatica var. turbinata (Schott, Nyman & Kotschy) auct.], 흰숲초롱꽃(Campanula carpatica f. alba) 등이 있다.
2025. 1. 11. 林 山
#초롱꽃 #Spottedbellflower #longfloweredharebell #ほたるぶくろ #蛍袋 #紫斑风铃草 #吊钟花 #灯笼花 #山萤袋
'야생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두산 야생화] 도라지 '영원한 사랑' (0) | 2025.01.13 |
---|---|
[백두산 야생화] 애기우산나물 (0) | 2025.01.13 |
[백두산 야생화] 눈개승마 '산양의 수염' (0) | 2025.01.06 |
[백두산 야생화] 금방망이 (3) | 2025.01.06 |
[백두산 야생화] 꽃쥐손이 '새색시' (2) | 2025.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