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7월 17일 한강토(조선반도, 한반도) 최고봉이자 조선민족(朝鮮民族, 한겨레)과 만주족(滿洲族)의 영산(靈山)인 흰머리뫼(백두산, 白頭山, 2,744m)에서 살아가는 들꽃 뫼꽃을 만나기 위해 인천 국제공항에서 국적기를 타고 중국(中國) 지린성(吉林省) 옌볜 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 옌지(延吉) 차오양촨국제공항(朝阳川国际机场)에 내렸다. 백두산(白頭山)에 오기 위해 남의 나라 중국(中國) 땅을 거쳐 참으로 먼 길을 돌아서 왔다. 백두산은 판문점을 거쳐 육로로 가면 단 몇 시간이면 닿을 수 있는 거리다. 지름길을 두고도 남의 나라로 돌아서 가야만 하는 상황에 치미는 서글픔을 금할 수 없다.
남한(南韓, 대한민국, 한국, 남조선)과 북한(北韓,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 북조선)이 상호불가침협정(相互不可侵協定)을 체결하고, 대사 교환(大使交換)을 한 뒤 민간인 자유 왕래를 실현했더라면 이렇게 남의 나라 땅을 통해 빙 돌아서 오지 않아도 되었을 것이다. 남과 북으로 갈라져 아직도 같은 민족끼리 오가지도 못하는 못난 민족이다. 남북간 민간인 자유 왕래를 가로막는 세력이 영원히 사라지기를 천지신명(天地神明)님께 빌고 또 빈다. 민간인 자유 왕래 실현을 가로막는 악(惡)의 세력을 몰아내는 것이야말로 시대적 사명이라고 할 수 있다.
차오양촨(朝阳川)에서 처음 만난 야생화(野生花)는 황금색 꽃이 활짝 피어 있는 금혼초였다. 금혼초는 황해도와 강원도 이북 지방에 자생하는 식물이기 때문에 남한에서는 만나기가 힘든 야생화다. 금혼초에 이어 이제 막 꽃이 한창 피어나고 있는 애기우산나물을 만났다. 애기우산나물은 남한의 산지 숲에서도 자라기에 낯익은 식물이었다. 타향에서는 고향 까마귀도 반가운 법이다. 머나먼 옌볜에 와서 애기우산나물을 만나니 무척이나 반가왔다.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국생관)에는 애기우산나물이 피자식물문(被子植物門, Magnoliophyta) > 목련강(木蓮綱, Magnoliopsida) > 국화아강(菊花亞綱, Asteridae) > 국화목(菊花目, Asterales) > 국화과(菊花科, Asteraceae) > 우산나물속(Syneilesis)의 여러해살이풀로 분류되어 있다.
다음백과 국생관은 피자식물문 대신 현화식물문(顯花植物門, Anthophyta)이라는 분류명을 사용하고 있다. 피자식물문과 현화식물문은 같은 개념이다. 피자식물(被子植物, 속씨식물, Angiosperms)은 꽃이 피는 식물이다. 따라서, 진정한 현화식물(顯花植物, Phanerogams, flowering plants)은 피자식물이라고 할 수 있다. 피자식물은 남극을 제외한 거의 모든 대륙에 약 25만 종 이상이 퍼져 살고 있는 지구 최우점종(最優占種)이다.
네이버백과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생정)은 목련강 대신 쌍자엽식물강(Dicotyledoneae, 쌍떡잎식물강), 국화목 대신 초롱꽃목(Campanulales)이라는 분류명을 사용하고 있다. 쌍자엽식물강은 속씨식물 중 떡잎이 두 장 나는 식물 분류군으로서 목련강과 같은 개념이다. 초롱꽃목은 크론퀴스트 분류 체계에서 쌍떡잎식물강 국화아강에 속했던 목 분류군이다. APG II 분류 체계에서는 목으로 인정하지 않고, 가지목(Solanales)으로 분류하는 스페노클레아과(Sphenocleaceae)를 제외하고 모든 과를 국화목으로 분류한다.
국가표준식물목록(국표), 국제식물명색인(IPNI), 큐(KEW) 등재(登載) 애기우산나물의 학명(學名, Scientific name)은 시네일레시스 아코니티폴리아 (분게) 막시모비치[Syneilesis aconitifolia (Bunge) Maxim.]이다. 국생관의 원기재명(原記載名)은 Cacalia aconitifolia Bunge이다. 국표 등재 학명이명(學名異名, synonymy)은 Cacalia aconitifolia Bunge, Senecio aconitifolius (Bunge) Turcz. 등이 있다.
속명(屬名, generic name) '시네일레시스(Syneilesis)'는 그리스어로 이합(離合)하여 말린 자엽(子葉)이 있다는 뜻이다. 국화과(Asteraceae) 가운데 개쑥갓류(groundsel)에 속하는 동아시아 식물의 한 속을 가리키는 이름이다.
종명(種名, specific name) '아코니티폴리아(aconitifolia)'는 라틴어 명사 '아코니툼[aconitum, 영 aconite, 부자(附子), 바꽃, 백부자]'과 '폴리움(folium, 영 leaf, 잎)'의 합성어에서 유래한 근대 라틴어 형용사로 '부자 또는 바꽃의 잎을 가진(aconite-leafed)'이라는 뜻이다.
원명명자(原命名者) '분게(Bunge)'는 아시아와 시베리아 과학 탐험으로 유명한 러시아 식물학자 알렉산더 폰 분게(Alexander von Bunge, 1803~1890)이다. 분게는 발트해 연안 출신 독일 식물학자 카를 프리드리히 폰 레데부어(Karl Friedrich von Ledebour, 1786~1851)의 제자이다. 분게는 레데부어, 독일계 제정 러시아 식물학자 칼 안톤 폰 마이어(Carl Anton von Meyer, 1795~1855)와 함께 알타이 산맥과 키르기스 대초원(카자흐스탄) 탐험에 참여했다.
괄호 안의 인명은 원명명자다. 린네가 창안한 이명법(二名法, binomial nomenclature)에서는 식물의 학명이나 속명이 바뀌는 경우 먼저 학명을 출판한 원명명자를 괄호 안에 기재한 뒤 신명명자(新命名者)를 기재해야 한다.
신명명자(新命名者) '막시모비치((Maxim.)'는 제정 러시아의 식물학자 카를 막시모비치(Karl Maximovich, 1827~1891)이다. 막시모비치는 평생 그가 방문한 극동 아시아의 식물군을 연구하고 많은 새로운 종의 이름을 지었다. 그는 1852년 상트 페테르부르크 식물원에서 식물 표본 수집 큐레이터로 일했으며, 1869년에는 감독이 되었다. 막시모비치는 1859년 'Primitiae Florae Amurensis'에서 애기우산나물의 속명 박쥐나물속(Cacalia)을 우산나물속(Syneilesis)으로 변경한 학명을 출판했다.
국표 등재 학명 Syneilesis aconitifolia (Bunge) Maxim.의 추천(推薦) 국명(國名, Korean common name)은 애기우산나물(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등, 1937), 비추천명(非推薦名)은 애기삿갓나물이다. 애기우산나물은 애기철처럼 작고, 새순이 올라와 잎이 나올 때 채 벌어지기 전의 모습이 마치 우산을 펼친 듯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삿갓나물은 백합과(百合科, Liliaceae) > 삿갓나물속(Paris)의 여러해살이풀로 우산나물과는 과와 속이 전혀 다른 식물이다. 다음백과 국생관 등재 애기우산나물의 이명에는 남대선(南大扇), 칠리마(七里麻), 면아산(勉兒傘) 등이 있다. 면아산(勉兒傘)은 중국명 투얼산(兔儿伞)의 오기(誤記)다.
국표 등재 애기삿갓나물의 추천 영문명(英文名, English common name)은 슈레디드 엄브렐라 플랜트(Shredded umbrella plant, 한반도 자생식물 영어이름 목록집 개정판, 국립수목원, 2022)이다. '잘게 조각난(Shredded) 우산(umbrella)처럼 생긴 식물(plant)'이란 뜻이다. 비추천 영문명은 아코나이클립 시네일레시스(Aconiteleaf syneilesis)다.
국표, Flora of Mikawa(三河の植物観察, FOM) 등재 애기우산나물의 일본명(日本名, Japanese common name)은 호소바야부레가사(ホソバヤブレガサ, 細葉破れ傘)이다. '잎이 가늘게(細葉) 찢어진 우산 또는 우산나물(破れ傘)'이라는 뜻이다. 야부레가사(破れ傘)라는 이름은 어린 잎의 모습이 찢어진 우산을 닮았다는 데서 비롯됐다.
중국식물지(中国植物志, FRPS), FOM 등재 애기우산나물의 중국명(中國名, Chinese common name)은 투얼산(兔儿伞, 救荒本草)이다. '토끼(兔儿)가 쓰는 우산(伞)'이라는 뜻이다. 앙증맞고 귀여운 이름이다. 투얼산(兔儿伞)은 밍(明)나라 왕자 주수(朱橚)가 쓴 지우황뻰차오(救荒本草)에 그 이름이 보인다. 이 책은 기근이 닥쳤을 때 생존에 적합한 야생 식품 식물에 대한 최초의 삽화가 담긴 식물학 책이다.
애기우산나물은 한강토, 일본, 중국, 러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한강토에서는 전국의 심산 지역과 남해, 서해 등 도서 지역에 난다. 약간 깊은 산속의 반그늘진 곳에 자란다(국생정). 애기우산나물은 한강토 전역에 나며, 러시아 극동,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국생관).
호소바야부레가사(細葉破れ傘)의 원산지는 조선(朝鮮, 조선반도, 한반도, 한강토), 중국, 러시아이다. 산비탈 숲 가장자리나 길가에 자란다(FOM). 투얼산(兔儿伞)은 중국 둥베이(东北), 화베이(华北), 화중(华中), 샨시(陕西), 간쑤(甘肃), 구이저우(贵州) 등지에 분포한다. 해발 500~1800m 지대 산비탈 황무지, 숲 가장자리, 길가에 자란다. 러시아 극동 지방, 조선(朝鲜), 일본에도 분포한다(FRPS).
애기우산나물의 뿌리는 짧은 근경(根莖)이 옆으로 벋는다. 줄기는 높이 70~120cm 정도이고, 원줄기는 자줏빛이 돌며 가지가 없고 2개의 잎이 달린다. 첫째 잎은 둥글고 지름 20~30cm로서 장상(掌状)으로 갈라지며, 열편(裂片)은 7~9개이고 2~3회 2개씩 중열(中裂)된다. 소열편(小裂片)은 너비 4~8mm로서 뒷면에 흰빛이 돌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하고 뾰족한 톱니가 있으며, 처음에는 뒤로 젖혀져서 거미줄 같은 백색 털로 덮여 있지만 점차 없어진다. 엽병(葉柄)은 길이 10~16cm이다. 둘째 잎은 약간 작으며 지름 12~24cm이고, 열편은 너비 4~5cm이며 엽병은 길이 2~6cm이다.
꽃은 7~8월 지름 6~7mm의 머리 모양 꽃차례(頭狀花序)가 복산방 꽃차례(複繖房花序)에 달린다. 화경(花梗)은 길이 6~16mm이고 선상(線狀)의 포(苞)가 있다. 총포(総苞)는 통형(筒形)이고 길이 9~12mm로서 자갈색(紫褐色)이며 포편(苞片)은 5개이다. 낱꽃은 8~10개이고 꽃부리는 길이 10.5mm로서 끝이 5개로 갈라지며 붉은빛이 돈다.
열매는 수과(瘦果, achene)이다. 수과는 원통형(圓筒形)이고 길이 5mm로서 털이 없으며 종선(縱線)이 있다. 관모(冠毛, 갓털, 우산털)는 길이 8~10mm로서 오백색(汚白色) 또는 적색(赤色)이다.
애기우산나물은 어린 순을 나물로 한다. 새잎이 나올 때 우산 모양으로 독특하며 관상 가치가 높으므로 다양한 장소의 지피식물(地被植物, ground cover plant)로 이용이 가능하다. 초물 분재(草物盆栽)는 물론 암석원(岩石園) 등에도 재배가 가능하며 잘어울린다.
애기우산나물과 우산나물의 근(根) 또는 전초(全草)를 토아산(兎兒傘)이라 하며 약용한다. 거풍제습(祛風除濕), 해독(解毒), 활혈소종(活血消腫), 지통(止痛)의 효능이 있다. 풍습마비(風濕痲痺), 관절동통(關節疼痛), 옹저창종(癰疽瘡腫), 타박상을 치료한다(다음백과 국생정).
투얼산(兔儿伞)은 뿌리와 전초를 약으로 쓴다. 거풍습(祛风湿), 서근활혈(舒筋活血), 지통(止痛)의 효능이 있다. 외퇴동통(腰腿疼痛), 질타손상(跌打损伤, 타박상) 등을 치료한다(FRPS).
토아산(兎兒傘)은 동의보감(東醫寶鑑)이나 전국 한의과대학 본초학(本草學) 교과서에는 수재(收載)되지 않은 한약재다. 한의사들은 토아산을 임상에서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약초보다는 나물로서의 가치가 더 큰 식물이라고 할 수 있다.
국표 등재 애기우산나물의 유사종(類似種, similarity species) 자생식물(自生植物, indigenous plant)은 우산나물[Syneilesis palmata (Thunb.) Maxim.] 단 1종이 있다.
우산나물(영 국표 Palmate shredded umbrella plant, FOM shredded umbrella plant, Palmate umbrella plant 일 국표의 ヤヅレガサ는 FOM의 ヤブレガサ, 破れ傘의 오기임)은 한강토 전역에 나며, 일본에도 분포한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60~100cm, 털이 없다. 뿌리줄기는 굵고 짧으며 옆으로 뻗는다. 잎은 2~3장, 방패 모양 원형, 지름 35~40cm, 손바닥 모양으로 깊이 갈라지고 갈래잎은 7~9장이고 다시 1~2회 갈라지며, 최종으로 갈라진 잎의 폭은 2~4cm,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꽃은 6~8월에 피는데 지름 8~10mm의 머리 모양 꽃이 줄기 끝에서 원추 꽃차례로 달린다. 머리 모양 꽃은 모두 관 모양의 양성꽃으로 되며, 꽃부리는 분홍빛을 띠는 흰색이고 5갈래로 깊이 갈라진다. 모인꽃싸개는 통 모양이다. 열매는 수과, 원통형, 9~10월에 익는데 우산털은 갈색이다. 애기우산나물에 비해 갈래잎이 넓고 머리 모양 꽃은 원추꽃차례에 달린다.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다. 삿갓나물이라고도 하는데, 우산나물과 삿갓나물은 전혀 다른 식물이다.
2025. 1. 13. 林 山
#애기우산나물 #Shreddedumbrellaplant #Aconiteleafsyneilesis #ホソバヤブレガサ #細葉破れ傘 #兔儿伞
'야생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두산 야생화] 좁은잎사위질빵 (0) | 2025.01.13 |
---|---|
[백두산 야생화] 도라지 '영원한 사랑' (1) | 2025.01.13 |
[백두산 야생화] 초롱꽃 '정의' (0) | 2025.01.06 |
[백두산 야생화] 눈개승마 '산양의 수염' (0) | 2025.01.06 |
[백두산 야생화] 금방망이 (3) | 2025.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