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이야기

[백두산 야생화] 좁은잎사위질빵

林 山 2025. 1. 13. 11:14

2024년 7월 17일 한강토(조선반도, 한반도) 최고봉이자 조선민족(朝鮮民族, 한겨레)과 만주족(滿洲族)의 영산(靈山)인 흰머리뫼(백두산, 白頭山, 2,744m)에서 살아가는 들꽃 뫼꽃을 만나기 위해 인천 국제공항에서 국적기를 타고 중국(中國) 지린성(吉林省) 옌볜 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 옌지(延吉) 차오양촨국제공항(朝阳川国际机场)에 내렸다. 백두산(白頭山)에 오기 위해 남의 나라 중국(中國) 땅을 거쳐 참으로 먼 길을 돌아서 왔다. 백두산은 판문점을 거쳐 육로로 가면 단 몇 시간이면 닿을 수 있는 거리다. 지름길을 두고도 남의 나라로 돌아서 가야만 하는 어처구니없는 상황에 치미는 분노와 서글픔을 금할 수 없다.  

남한(南韓, 대한민국, 한국, 남조선)과 북한(北韓,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 북조선)이 상호불가침협정(相互不可侵協定)을 체결하고, 대사 교환(大使交換)을 한 뒤 민간인 자유 왕래를 실현했더라면 이렇게 남의 나라 땅을 통해 빙 돌아서 오지 않아도 되었을 것이다. 남과 북으로 갈라져 아직도 같은 민족끼리 오가지도 못하는 못난 민족이다. 남북한 간 민간인 자유 왕래를 가로막는 세력이 영원히 사라지기를 천지신명(天地神明)님께 빌고 또 빈다. 민간인 자유 왕래 실현을 가로막는 악(惡)의 세력을 몰아내는 것이야말로 시대적 사명이라고 할 수 있다. 

차오양촨(朝阳川)에서 처음 만난 야생화(野生花)는 황금색 꽃이 활짝 피어 있는 금혼초였다. 금혼초는 황해도와 강원도 이북 지방에 자생하는 식물이기 때문에 남한에서는 만나기가 힘든 야생화다. 금혼초, 애기우산나물, 도라지에 이어 흰색 꽃이 활짝 피어 있는 좁은잎사위질빵을 만났다. 좁은잎사위질빵은 한강토 충남(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국생정) 또는 경기 이북 지방(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국생관)에만 자라기에 남한에서도 그리 쉽게 만날 수 있는 식물은 아니다. 필자는 사실 옌볜에 오기 전까지 좁은잎사위질빵을 한 번도 본 적이 없다. 백두산으로 가는 머나먼 옌볜까지 와서 그런 좁은잎사위질빵을 만나니 무척이나 기쁘고 반가왔다.  

 

좁은잎사위질빵(지린성 옌볜 차오양촨, 2024. 7. 17.)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국생관)에 좁은잎사위질빵은 피자식물문(被子植物門, Magnoliophyta) > 목련강(木蓮綱, Magnoliopsida) > 목련아강(木蓮亞綱, Magnoliidae) > 미나리아재비목(Ranunculales)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 으아리속(Clematis)의 낙엽 활엽(落葉闊葉) 덩굴나무로 분류되어 있다.   

네이버백과 국생관은 피자식물문 대신 현화식물문(顯花植物門, Magnoliophyta),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생정)은 목련강 대신 쌍자엽식물강(雙子葉植物綱, 쌍떡잎식물강, Dicotyledoneae)이라는 분류명을 사용하고 있다. 피자식물문과 현화식물문은 같은 개념이다. 피자식물(被子植物, 속씨식물, Angiosperms)은 꽃이 피는 식물이다. 따라서, 진정한 현화식물(顯花植物, Phanerogams, flowering plants)은 피자식물이라고 할 수 있다. 피자식물은 남극을 제외한 거의 모든 대륙에 약 25만 종 이상이 퍼져 살고 있는 지구 최우점종(最優占種)이다. 쌍자엽식물강은 속씨식물 중 떡잎이 두 장 나는 식물 분류군으로서 목련강과 같은 개념이다.   

국가표준식물목록(국표), 국제식물명색인(IPNI), 큐(KEW) 등재(登載) 좁은잎사위질빵의 학명(學名, Scientific name)은 클레마티스 헥사페탈라 팔라스(Clematis hexapetala Pall.)다. 국표 등재 학명이명(學名異名, synonymy)은 Clematis angustifolia Jacq. f. breviloba Freyn 등 9개가 있다. 국생관 등재 원기재명(原記載名)은 클레마티스 안구스티폴리아 야퀸(Clematis angustifolia Jacq.)이다.  

속명(屬名, generic name) '클레마티스(Clematis)'는 고대 그리스어 명사 '클레마티스(klēmatís, 영 brushwood, 잘라 낸 곁가지, 관목숲, 덤불, clematis, 으아리속 식물)' 기원의 라틴어 명사 '클레마티스(clematis)'에서 유래한 다국어(Translingual) 고유명사다. 온대 지방 전역에서 발견되는 강건한 덩굴식물을 포함한 미나리과(Ranunculaceae)에 속하는 분류학적 속명이다.  

종명(種名, specific name) '헥사페탈라(hexapetala)'는 고대 그리스어 '헥스(héx, 영어 six, 6)' 기원 '헥사-(hexa-)'에서 온 라틴어 '헥사-(hexa-)' 유래 다국어 접두사(接頭辭) + 근대 라틴어 명사 '페탈룸(petalum, 영 petal, 꽃잎)'의 복수형 '페탈라(petala)' 유래 영어 명사다. 6개의 꽃잎을 표현한 이름이다.   

명명자 '팔라스(Pall.)'는 프로이센 출신으로 러시아에서 활동한 동물학자/식물학자/민족지학자/탐험가/지리학자/지질학자/자연사학자/분류학자 페터 지몬 팔라스(Peter Simon Pallas, 1741~1811)이다. 그는 박물학자들이 수집해서 제공한 식물을 바탕으로 러시아 식물상인 '플로라 로시카(Flora Rossica, 1784~1815)'를 썼다. 팔라스는 1776년 'Reise durch Verschiedene Provinzen des Russischen Reichs. St. Petersburg'에서 좁은잎사위질빵의 학명을 최초로 출판했다.  

 

좁은잎사위질빵(지린성 옌볜 차오양촨, 2024. 7. 17.)

 

국표 등재 학명 Clematis hexapetala Pall.의 추천 국명(國名, Korean common name)은 좁은잎사위질빵(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비추천명은 가는잎모란풀(조선식물지, 임록재, 1996+), 가는잎목단풀(조선식물지, 임록재, 1996+), 가는잎사위질빵(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3), 간은닢사위질빵(한국식물도감 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좀사위질빵(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등, 1937) 등이 있다.  

'좁은잎'은 말 그대로 잎이 좁다는 뜻이다. '사위질빵'은 덩굴이 연약하기 때문에 지게 등에 걸어서 메는 데 쓰는 '줄(질빵)'을 이 식물의 덩굴로 만들어 '사위'의 짐을 덜어주었다는 장모의 마음을 빗대 이름을 붙였다는 설이 있다. '사위질빵'은 강원도 방언(方言)이라고 하며, 북한에서는 '사위질방'으로도 부르고 있다. 북한의 '사위질방'이 강원도에서 된소리화 되어 '사위질빵'이 되었을 것이라는 설도 있다. 

국표 등재 좁은잎사위질빵의 추천 영문명(英文名, English common name)은 내로우 쓰리-맆 클레머티스(Narrow three-leaf clematis, 한반도 자생식물 영어이름 목록집 개정판, 국립수목원, 2022)이다. '좁은 세 잎((Narrow three-leaf)을 가진 으아리속(clematis) 식물'이라는 뜻이다. 좁은 잎이 3출엽(三出葉)임을 표현한 이름이다.   

국표 등재 추천 좁은잎사위질빵의 일본명(日本名, Japanese common name)은 호소바시로쿠사보탄(ホソバシロクサボタン, 細葉草牡丹)이다. '좁은 잎(細葉) 종덩굴(草牡丹)'이라는 뜻이다. '구사보탄(草牡丹)'은 잎이 '보탄(牡丹)'의 잎을 닮고, 초본식물(草本植物, herbaceous plants)이기 때문에 '구사(草)'가 붙었다. 

중국식물지(中国植物志, FRPS) 등재 좁은잎사위질빵의 중국명(中國名, Chinese common name)은 몐퇀티에셴롄(棉团铁线莲, 东北植物检索表)이다. '솜덩이(棉团) 위령선(葳靈仙, 铁线莲)'이라는 뜻이다. 열매에 난 깃 모양의 털을 표현한 이름이다. FRPS 등재 속명(俗名)은 예몐화(野棉花, 辽宁), 몐화즈화(棉花子花, 黑龙江), 샨랴오(山蓼, 中国高等植物图鉴) 등이 있다.  

좁은잎사위질빵은 한강토, 러시아, 몽골,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한강토에서는 충남에 난다(국생정). 한강토, 중국, 몽고, 러시아 극동부 지방에 분포한다. 경기도 이북에서 자란다(다음백과 국생정). 한강토 경기 이북에 자라며, 러시아 극동, 시베리아, 몽골, 중국 등에 분포한다(국생관).  

몐퇀티에셴롄(棉团铁线莲)은 중국 간쑤(甘肃) 동부, 샨시(陕西), 샨시(山西), 허베이(河北), 네이멍구(内蒙古), 랴오닝(辽宁), 지린(吉林), 헤이룽쟝(黑龙江)에 분포한다. 모래 언덕, 산비탈, 초원에 난다. 조선(朝鲜, 조선반도, 한반도, 한강토), 러시아 시베리아 동부에도 분포한다(FRPS).  

 

좁은잎사위질빵(지린성 옌볜 차오양촨, 2024. 7. 17.)

 

좁은잎사위질빵의 지하경(地下莖)은 길이 1∼3.7cm, 직경(直徑)은 0.5∼0.8cm이다. 지상줄기는 직립(直立)하며, 길이 23.2∼38cm이고, 세로 방향의 홈이 있으며, 겨울에 마른다. 기부(基部)는 목질화(木質化) 되며 갈색(褐色)을 띠고, 상부는 초본성(草本性)이며 녹색(綠色)을 띠고 짧은 털이 있다.  

잎은 대생(對生)이며, 3출엽이나 단엽(單葉) 또는 5개의 소엽(小葉)으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엽병(葉柄)의 길이는 0.5∼1.1cm이고, 소엽병(小葉柄)의 길이는 0.3∼1.3cm이다. 엽병과 소엽병에 털이 없다. 소엽은 피침형(披針形)이고, 정소엽(頂小葉)은 길이 5.9∼8.9cm, 너비 0.7∼1.5cm이며, 측소엽(側小葉)의 크기는 3.9∼6.5 × 0.5∼0.8cm이다. 엽선(葉先)은 점첨두(漸尖頭) 또는 예두(銳頭)이고, 엽연(葉緣)은 전연(全緣)이며, 엽저(엽葉底)는 예저(銳底)이다. 소질(素質)은 두꺼운 지질이고, 표면은 광택이 있는 녹색이며, 이면(裏面)은 담녹색(淡緑色)이다. 잎의 양면에는 털이 없다.  

꽃차례는 취산화서(聚繖花序)로서 가지 끝이나 엽액(葉腋)에서 1개의 화서(花序)가 나오고, 3∼7개의 꽃이 달린다. 포(苞)는 1쌍이고, 엽상(葉狀)이며, 피침형으로, 갈라지지 않거나 2∼3개로 갈라진다. 화경(花莖)의 길이는 1.5∼4.2cm이고, 소화경(小花梗)의 길이는 1.3∼3.5cm이며, 짧은 털이 있다. 개화기(開花期)는 7∼9월이다. 꽃은 양성화(兩性花)이고, 불완전화(不完全花)이며, 지름은 20.9∼36.8mm이다. 꽃받침 열편(裂片)은 6개이나 드물게 5개이고, 도피침형(倒披針形) 또는 도란형(倒卵形)이며 길이 10∼18.9mm, 너비 4.5∼8.4mm이고, 백색을 띤다. 표면에는 털이 없고, 이면에는 흰색 털이 밀생(密生)한다. 수술은 30∼71개이고, 수술대의 길이는 3.4∼5.5mm이며, 털이 없다. 약(葯)은 좁은 장타원형(狹長楕圓形)이며 길이는 1.9∼2.5mm이다. 암술은 17∼46개이고, 암술대의 길이는 5.1∼6.6mm이며, 털이 밀생한다. 자방(子房)의 크기는 0.8∼0.9 × 0.9∼1mm이며, 짧은 털이 밀생한다.  

열매는 수과(瘦果, achene)이다. 수과는 도란형이고, 길이 3.8∼5mm, 너비 3.1∼4.1mm이며, 흑갈색(黑褐色)으로 익고, 가는 털이 성기게 있다. 숙존(宿存)하는 암술대의 길이는 1.5∼2.1cm이고, 깃털 모양의 흰색 털이 있다. 종자(種子) 도란형이며, 갈색이다. 9∼10월에 성숙한다.  

 

좁은잎사위질빵(지린성 옌볜 차오양촨, 2024. 7. 17.)

 

좁은잎사위질빵은은 관상용(觀賞用)으로 식재(植栽)한다(국생관). 몐퇀티에셴롄(棉团铁线莲)은 천연 농약(农药)으로 사용할 수 있다. 감자 잎마름병马(铃薯疫病, potato blight)과 잎응애 또는 잎진드기(红蜘蛛, red spider, spider mite)에 대해 방제 효과가 있다(东北草本植物志).  

한국, 중국 동북, 산동성에서는 으아리, 외대으아리, 좁은잎사위질빵, 참으아리의 근(根)을 위령선(威靈仙)이라 하며 약용한다. 중국에서 위령선의 정종(正種)은 중국으아리(Clematis chinensis)로서 안후이(安徽), 쟝쑤(江苏), 저쟝(浙江) 등에서 나타난다. 위령선은 거풍(祛風), 거습(祛濕), 경락소통(經絡疏通), 소담연(消痰涎), 산벽적(散癖積)의 효능이 있다. 통풍(痛風), 완비(頑痺, 피부에 감각이 없는 병증), 요슬냉통(腰膝冷痛), 각기(脚氣, 말초신경에 장애가 생겨 다리가 붓고 마비되는 증상), 말라리아, 징가(癥瘕, 뱃속에 결괴가 생겨 배가 더부룩하거나 아픈 병증), 적취(積聚), 파상풍(破傷風, 파상풍균의 독소가 신경계를 침범하여 근육 경련을 일으키는 박테리아성 질환), 편두염(扁頭炎), 제골(諸骨)의 골경인후(骨硬咽喉, 목에 뼈가 걸린 것), 류머티성의 심부통(深部痛), 급성 황달형전염성간염(急性黃疸型傳染性肝炎), 부종(浮腫), 소변불리(小便不利), 편두통(偏頭痛), 인후종통(咽喉腫痛), 타박에 의한 내상(內傷)을 치료한다(다음백과 국생정). 

몐퇀티에셴롄(棉团铁线莲)은 뿌리를 한약재로 쓴다. 해열(解热), 진통(镇痛), 이뇨(利尿), 통경(通经)의 효능이 있다. 풍습증(风湿症, 關節疼痛 屈伸不利), 수종(水肿), 신경통(神经痛), 치창종통(痔疮肿痛) 등을 치료한다(东北草本植物志).  

전국 한의과대학 본초학 교과서에는 으아리(東北铁线莲, FRPS 辣蓼铁线莲, Clematis manshurica Rupr.)와 위령선(威靈仙, Clematis chinensis Osbeck), 좁은잎사위질빵(棉团铁线莲, lematis hexapetala Pall.)의 뿌리와 뿌리줄기를 건조한 것을 본초명(本草名) 위령선(威靈仙)이라고 한다. 위령선은 중국 쏭(宋)나라 때 나온 개보본초(開寶本草)에 수재(收載)된 본초명이다. 본초명 이명에는 로선(露仙), 능소(能消), 위령선(葳苓仙), 철각위령선(鐵脚威靈仙) 등이 있다.  

위령선은 거풍습약(祛風濕藥) > 거풍습지비통약(祛風濕止痺痛藥)으로 분류된다. 성질은 따뜻하고(溫) 독이 없으며(無毒), 맛은 맵고 짜다(辛鹹). 방광경(膀胱經)으로 들어간다. 거풍제습(祛風除濕), 통락지통(通絡止痛)의 효능이 있다. 풍습비통(風濕痹痛), 지체마목(肢體痲木), 근맥구련(筋脈拘攣), 굴신불리(屈伸不利) 골경인후 등을 치료한다(전국 한의과대학 본초학 교과서). 

위령선은 거풍습지비통약 중 독활(獨活) 다음으로 중요한 약이다. 위령선이 들어가는 대표적인 처방에는 급성 통증과 관절통, 요통, 만성 류마티스에 사용하는 소경활혈탕(疎涇活血湯), 역절풍(歷節風)이나 부종(浮腫)이 동반된 퇴행성관절염(退行性關節炎), 지절종통(肢節腫痛) 등에 사용하는 영선제통음(靈仙除痛飮) 등이 있다. 위령선은 한의사들이 임상에서 저주 사용하는 상당히 중요한 한약재이다.  

 

좁은잎사위질빵(지린성 옌볜 차오양촨, 2024. 7. 17.)

 

국표 등재 좁은잎사위질빵의 유사종(類似種, similarity species) 자생식물(自生植物, indigenous plant)은 개버무리(Clematis serratifolia Rehder), 검종덩굴(Clematis fusca Turcz.), 대구으아리(Clematis taeguensis Y.N.Lee), 덩굴조희풀(Clematis pseudotubulosa B.K.Park), 두류산종덩굴(Clematis turyusanensis U.C.La & Chae G.Chen), 바위종덩굴(Clematis calcicola J.S.Kim), 병조희풀(Clematis urticifolia Nakai ex Kitag.), 사위질빵(Clematis apiifolia DC.), 산종덩굴(Clematis nobilis Nakai), 세잎종덩굴(Clematis koreana Kom.), 외대으아리(Clematis brachyura Maxim.), 요강나물[Clematis fusca Turcz. var. flabellata (Nakai) J.S.Kim], 으아리(Clematis mandshurica Rupr.), 자주조희풀(Clematis tubulosa Turcz.), 자주종덩굴[Clematis alpina (L.) Mill. var. ochotensis (Pall.) S.Watson], 작은사위질빵(Clematis pierotii Miq.), 좀사위질빵(Clematis brevicaudata DC.), 좀종덩굴(Clematis crassisepala Ohwi), 종덩굴(Clematis fusca Turcz. var. violacea Maxim.), 참으아리(Clematis terniflora DC.), 큰꽃으아리(Clematis patens C.Morren & Decne.), 털종덩굴(Clematis pseudokoreana R.J.Im & U.C.La), 할미밀망(Clematis trichotoma Nakai) 등 23종이 있다.     

개버무리(영 Hermitgold clematis, 일 オオワクノテ, 중 齿叶铁线莲)는 한강토 강원도, 충북, 경북, 북부 지방에 나며, 러시아 우수리, 일본, 중국 만주에 분포한다. 저지대에 비교적 드물게 자라는 낙엽 덩굴나무이다. 어린가지에 털이 조금 난다. 잎은 마주나며, 2회 3장씩 갈라지는 겹잎이다. 작은잎은 긴 난형 또는 피침형, 길이 3~5cm, 폭 1~3cm,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8~9월에 피는데 잎겨드랑이와 가지 끝에서 3~6개씩 밑을 향해 달리며, 연한 노란색이고, 지름 5~6cm이다. 꽃자루는 아래쪽에 꽃싸개잎이 2장 있으며, 10~14cm이다. 꽃받침잎은 4장, 꽃잎처럼 보이고, 좁은 난형, 길이 2~3cm, 폭 1cm쯤이다. 열매는 수과, 난형, 길이 2.5mm쯤이고, 흰색 깃털 모양으로 남아 있는 암술대는 길이 4.5~5cm이다. 국내 분포 으아리속 식물들에 비해 꽃이 노란색이므로 구분된다. 관상가치가 높고, 품종개량 시 유전자원으로서의 가치도 높다. 

검종덩굴(영 Stanavoi clematis, 일 クロバナハンショウヅル, 중 褐毛铁线莲)은 한강토 경기도, 함경도에 나며, 러시아, 일본, 중국 동북부 등에도 분포한다. 고지대 건조한 숲속에 드물게 낙엽 반떨기나무 또는 여러해살이풀로 자라는 넌출성 식물이다. 잎은 마주나고 5~9개의 작은잎이 모여 깃꼴겹잎을 이룬다. 작은잎은 난형 또는 피침형으로 길이 3~6cm이며, 가장자리는 매끈하나 아래쪽 잎은 크고 2~3개의 결각이 있다. 꽃은 6~8월에 피는데 가지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리며, 암자색을 띤다. 꽃대와 화피편은 갈색의 털이 있으며, 2개의 포와 4개의 화피가 있다. 열매는 수과로 타원형이며, 털이 있다. 9~10월에 익는다. 개버무리에 비해 잎이 깃꼴겹잎이며, 꽃 표면에 암갈색 털이 모여나므로 구별된다. 어린잎은 식용한다. 무궁화종덩굴, 흰종덩굴, 흰털종덩굴이라고도 한다. 

대구으아리(영 Daegu clematis)는 대구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한강토 경북 북부와 강원도 남부에 분포하는 덩굴성 식물이다. 줄기는 길이 1.5m, 덩굴진다. 잎은 마주나며, 3~13개의 작은잎으로 된 깃꼴겹잎이다. 꽃은 9월에 흰색으로 핀다. 열매는 수과, 납작하고 끝에 깃털 모양 암술대가 남아 있다.  

덩굴조희풀(영 Creeping hyacinth-flower clematis)은 경기도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형태적으로 Clematis takedana와 유사하다. 하지만 잎이 항상 3개 겹으로 갈라진 소엽과 장방형 꽃봉오리, 더 큰 꽃, 산공형(pantoporate) 꽃가루 등이 다르다. 

두류산종덩굴(영 Duryusan clematis)은 1991년 6월 12일 한강토 평안남도 두류산(1320m)에서 라응칠(La Eung Chil)과 천채규(Chen Chae Gyu)가 최초로 발견해서 1992년 'Bulletin, Academy of Sciences of Korea'에 학명을 출판했다.  

바위종덩굴(영 Rock clematis)은 강원도 덕항산에 분포하는 한강토 특산종이다. 해발 600~900m 사이의 석회암 절벽에 매우 드물게 자라는 덩굴나무이다. 땅속줄기는 길게 뻗으며, 지상 줄기는 가늘고 둥글거나 희미하게 각이 지며, 높이 3m 정도까지 자라지만 50cm 이하 개체들이 대부분이다. 어린가지는 흔히 붉은빛이 돈다. 겨울눈은 0.4~1cm이며 좁은 난형 또는 삼각형이다. 잎은 3출겹잎으로 마주나며, 작은잎은 길이 3~7cm, 폭 2~5cm 정도의 장타원형 내지 난형이다. 끝은 뾰족하며, 가장자리에는 이 모양 톱니가 드물게 있고 흔히 1~2개의 결각이 있다. 잎자루는 길이 3.0~8.5cm이다. 꽃은 2.5~3cm이며, 적자색의 종 모양으로 5~6월에 피며, 새가지 또는 겨울눈에서 나온 짧은 가지 끝에서 아래를 향해 핀다. 열매는 길이 4~5mm 정도의 좁은 도란형으로 털이 많으며 끝에 길이 4.5cm 정도의 깃털 모양 암술대가 남아 있다. 두껍고 털이 없는 가죽질 잎, 주름이 없는 꽃받침 등으로 유사종과 구분된다. 관상가치가 높다. 

병조희풀(영 Hyacinth-flower clematis, 일 タチクサボタン)은 전국에 드물게 자라며, 일본과 중국에도 분포한다. 산지 숲속에 자라는 낙엽활엽 반떨기나무이다. 줄기는 높이 1.0~1.5m, 밑 부분이 목질로 된다. 잎은 마주나며, 작은 잎 3장으로 된 겹잎이다. 작은 잎은 넓은 난형, 가장자리에 보통 결각은 없고 톱니가 있다. 꽃은 7~9월에 줄기 위쪽의 잎겨드랑이에 모여 달리고, 보라색 또는 하늘색이다. 꽃대가 짧으므로 꽃은 줄기에 다닥다닥 붙어 핀 것처럼 보인다. 꽃받침은 꽃잎 모양, 위쪽은 4갈래로 갈라져 거의 수평으로 퍼지며, 아래쪽은 관 모양이지만 볼록하게 부풀지 않는다. 열매는 수과, 여러 개가 모여 달리며, 긴 털이 달린 길이 2cm 이상의 암술대가 남아 있다.  

사위질빵(영 Three-leaf clematis, Apiifolia virgin's bower, 일 ボダンズル, 牡丹蔓, 女萎, 중 女萎)은 한강토 전역에 나며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산과 들에서 흔히 자라는 낙엽 덩굴성 나무로 길이 3~8m 정도로 뻗는다. 어린가지에 잔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며 3출잎 간혹 2회 3출겹잎이다. 작은잎은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다. 잎 길이는 4~7cm이다. 잎 가장자리에 깊이 파인 톱니가 드문드문 있다. 잎 앞면에 처음에는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뒷면에는 맥 위에 잔털이 있다. 꽃은 7~9월 흰색으로 피는데 지름 13~25mm로서 잎겨드랑이에 취산상 원추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 조각은 넓은 피침형이며 4개가 십자 모양으로 달린다. 꽃잎은 없으며 수술과 암술은 많다. 꽃받침잎은 피침상 도란형, 길이 7~10mm, 백색이고, 표면에 잔털이 있다. 열매는 삭과로 5~10개씩 모여 달리고 털이 있다. 꽃은 줄기와 잎 사이에서 나오고 꽃차례당 5~10여 개씩 흰색으로 피는 점에서 3개씩 붙는 할미밀망과 구별된다. 어린잎을 식용한다. 

산종덩굴(영 Alpine clematis, 중 高山铁线莲)은 함경남도 노봉 2,000~2,200m 지대에 분포한다. 중국 동북부에도 분포한다. 한강토 북부 지방의 고산 풀밭에 자라는 낙엽 활엽 덩굴나무다. 줄기는 높이 6~20cm, 밑부분은 옆으로 눕고, 윗부분은 비스듬하게 위로 자란다. 잎은 마주나고 2회 3출 겹잎이다. 작은 잎은 긴 타원형이고 깃꼴로 갈라지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7월에 옅은 자주색으로 핀다. 자주종덩굴에 비해 꽃이 옅은 자주색이며 작은 잎이 깃꼴로 갈라지고 키가 매우 작다. 

세잎종덩굴(영 Korean clematis, 일 ミツバハンショウズル, 중 朝鮮鐵線蓮)은 한강토 전역에 자생한다. 중국에도 분포한다. 높은 산 중턱 이상에서 자라는 낙엽성 덩굴나무이다. 잎은 마주나며 2회 3출하는 겹잎이다. 작은잎은 끝이 점차 뾰족해지는 난형 또는 난형으로 길이 11cm 정도이며 잎 가장자리가 2~3갈래로 갈라지기도 한다. 잎 양면에는 잔털이 있으며, 잎 가장자리에는 이 모양의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잎자루에는 긴 털이 많다. 꽃은 5~7월경에 피는데 종 모양이고, 흑자색 또는 황색이며, 잎겨드랑이와 줄기 끝에 1개씩 밑을 향해 달린다. 꽃의 크기는 지름 3~4cm, 꽃자루는 길이 8~11cm이다. 꽃받침은 4장으로 꽃잎처럼 보이며 난상 피침형이다. 열매는 수과이며 도란형이고, 흰 털이 있는 긴 암술대가 남아 있다. 어린잎과 줄기는 식용한다. 

외대으아리(영 Unifloral clematis, 일 イチリンサキセンニンソウ)는 한강토 중부 이북에 나며, 중국 만주에도 분포한다. 비교적 고도가 낮은 산지 숲 가장자리와 햇빛이 잘 드는 곳에서 자라는 낙엽성 반떨기나무로서 높이가 1m에 달하며 곧추 또는 비스듬히 자란다. 잎은 마주나고, 3~5개의 작은잎으로 구성되며 잎자루와 작은잎자루는 길고 덩굴손처럼 다른 물체를 감는다. 작은잎은 난형, 타원형 또는 장타원형, 잎끝이 뾰족하고 밑은 넓게 뾰족하거나 둥글다. 양면에 털이 없으며 광택이 있고 보통 톱니가 없다. 꽃은 암수한그루 또는 암수딴그루로서 6~9월에 피며 가지 끝에 1~3개씩 달린다. 화피 열편은 4~5개이며 도피침형 또는 도란형이고 길이 12~20mm, 백색이며 옆으로 퍼지고 털이 없다. 수술은 많으며 암술은 적다. 열매는 수과, 난형 또는 난상 원형, 9~10월에 익는데 털이 없고 날개가 있으며 끝에 짧은 암술대가 남아 있다. 꽃이 가지 끝에서 위를 향해 1~3개씩 흰색으로 넓게 퍼져 피는 점에서 꽃이 많이 붙는 다른 으아리류와 구별된다. 어린잎은 식용하며, 뿌리는 약용한다.   

요강나물(영 Black-flower Korean clematis)은 강원도 금강산, 설악산과 인근 산, 황해도 장산곶, 구월산, 전북 내장산 등에 자라는 한강토 고유종이다. 중부 지역 높은 산지의 고도 1,000~1,600m 정도의 햇빛이 잘 드는 풀밭에 작게 무리 지어 자라는 낙엽성 반떨기나무로 높이 30~100cm이고 줄기는 곧게 선다. 잎은 달걀 모양이고 밑은 둥글거나 일자 모양이며 끝이 날카롭고 톱니가 없다. 뒷면 잎맥에 약간의 털이 있다. 줄기 끝의 잎이 덩굴손으로 발달하기도 한다. 꽃은 5~6월에 피고 밑을 향해 가지 끝에 1개씩 달린다. 열매는 넓은 타원형의 수과이며 9월에 익고 끝에 달린 꼬리 모양의 부속물에 갈색 깃 모양의 털이 난다. 작은잎에 1~3개의 결각을 갖는 점에서 거의 결각이 없는 원변종으로 취급하고 있는 검종덩굴과 구별한다. 작은꽃자루와 꽃잎 겉에 털이 밀생하는 점에서 털이 없거나 거의 없는 종덩굴과 구별한다. 관상용으로 심는다. 

으아리(영 Manchurian clematis, 일 オオコウライセンニンソウ, 중 东北铁线莲, 辣蓼铁线莲)는 한강토, 중국, 일본 등에 분포한다. 낙엽 덩굴나무로 줄기는 길이 2m쯤이다. 잎은 어긋나며, 작은 잎 5~7장으로 이루어진 깃꼴겹잎이다. 작은 잎은 긴 난형,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자루는 구부러져 덩굴손 역할을 한다. 꽃은 5~9월에 취산꽃차례로 달리며, 흰색이고, 지름 2-4cm이다. 꽃받침은 4~6장, 꽃잎처럼 보이며, 길이 1.2~2.0cm이다. 열매는 8~10월에 익으며, 깃털 모양의 긴 암술대가 남아 있다. 어린잎은 식용하며, 뿌리는 약용한다. 위령선이라고도 한다. 

자주조희풀(영 Purple hyacinth-flower clematis, 중 管花铁线莲)은 한강토 중부 이남에 자생하며, 중국 동북부에 분포한다. 산지 숲속에서 자라는 낙엽 반떨기나무 또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높이 1~1.5m, 밑부분이 목질로 된다. 잎은 마주나며, 작은잎 3장으로 된 겹잎이다. 작은잎은 넓은 난형, 가장자리에 보통 결각은 없고 톱니가 있다. 꽃은 7~9월에 암수딴포기에 피며, 줄기 위쪽의 잎겨드랑이에 모여 달리고, 보라색 또는 하늘색이다. 꽃대가 짧으므로 꽃은 줄기에 다닥다닥 붙어 핀 것처럼 보인다. 꽃받침은 꽃잎 모양, 위쪽은 4갈래로 갈라져 거의 수평으로 퍼지며, 아래쪽은 관 모양이지만 볼록하게 부풀지 않는다. 열매는 수과, 9~11월에 익는데 여러 개가 모여 달리며, 긴 털이 달린 길이 2cm 이상의 암술대가 남아 있다. 병조희풀에 비해 꽃받침 아래쪽이 볼록하게 되지 않으며, 갈래는 더욱 넓고 길므로 구분된다. 병조희풀의 변종 또는 동일한 종으로 보기도 한다. 

자주종덩굴(영 Purple alpine clematis, 일 ミヤマハンショウズル)은 한강토 강원도 이북에 자생하며, 러시아 아무르, 우수리, 시베리아, 일본, 중국 동북부 등에 분포한다. 고지대 숲속에서 자라는 낙엽 활엽 덩굴나무이다. 줄기는 덩굴지며, 높이가 1m 이상으로 자라고, 햇가지에는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며 2회 3출 겹잎이다. 작은잎은 피침형, 타원상 피침형으로 길이 2.5~7.0cm, 가장자리가 2~3갈래로 깊게 갈라지기도 하며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길이 4~7cm, 부드러운 털이 있다. 꽃은 5~6월에 피는데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긴 꽃자루에 1개씩 밑을 향해 달리며 종 모양이고 짙은 자주색이다. 꽃받침은 4장, 타원상 난형 또는 긴 난형이고 끝이 뒤로 젖혀진다. 꽃잎은 긴 주걱형으로 꽃받침 길이의 절반이다. 수술은 많고 털이 있다. 헛수술은 6개 이상으로 띠 모양, 꽃받침잎 길이의 절반 정도다. 열매는 수과, 넓은 난형이다. 산종덩굴에 비해 키가 1m 이상이고 꽃은 짙은 자색이며 작은잎에 예리한 톱니가 있는 것이 다르다. 원변종에 비해서 헛수술이 4개인 것을 고려종덩굴로 구분하기도 한다. 관상용으로 식재한다. 

작은사위질빵(영 Small virgin’s-bower clematis, 일 コバノボタンヅル)은 한강토 제주, 전남 보길도에 나며 타이완, 일본에 분포한다. 해변의 산야에서 바라는 넌출성 식물이다. 줄기는 모가 지고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2회 3출 복엽이다. 소엽은 달걀 모양 또는 긴 타원형으로 길이 2~4.5cm이며 끝이 둔하고 2~3개로 얕게 또는 깊게 갈라지며 양면에 털이 있다. 꽃은 9월에 백색으로 피고 상향하여 수평으로 퍼지며 1~3개의 꽃이 잎겨드랑이에 취산꽃차례로 달린다. 꽃대는 3~5cm이고 겨드랑이나기하는 것에만 2개의 포가 있다. 꽃받침조각은 4개이고 긴 타원형이며 수술은 다수이다. 열매는 수과로 달걀 모양이고 양면에 털이 많다. 암술대는 2.5cm이고 백모가 우상으로 난다. 

좀사위질빵(영 Short plumous clematis, 일 コボタンズル, 중 短尾铁线莲)은 한강토 전역에 나며, 러시아, 몽골, 중국 등에 분포한다. 산기슭이나 숲 주변에서 자라는 낙엽 덩굴나무다. 줄기는 덩굴지며, 길게 뻗는다. 잎은 어긋나거나 마주나며, 2번 갈라진 3갈래 겹잎으로 5~15개의 갈래잎으로 된다. 가운데 갈래잎은 긴 난형 또는 피침형으로 길이 2.0~5.5cm, 폭 1~4cm, 끝은 길게 뾰족해지며, 가장자리는 불규칙한 톱니 모양이다. 잎자루는 길이 2~10cm, 털이 있다. 꽃은 7~9월에 흰색으로 피며, 줄기 끝과 잎겨드랑이에서 원추꽃차례를 이룬다. 꽃받침잎은 4장, 도란형으로 길이 5~10mm, 바깥에는 짧은 털이 있으나 안쪽에는 털이 없다. 열매는 수과, 난형이고, 9~10월에 익는다. 끝에 붙어 있는 암술대는 깃털 모양으로 길이 1.5~3.0cm, 흰색이다. 사위질빵에 비해 잎이 2번 갈라진 3갈래 겹잎이며, 가운데 갈래잎이 피침형으로 끝이 길게 뾰족해지므로 구분된다. 어린순은 식용한다. 좀모란풀이라고도 부른다. 

좀종덩굴(영 Thick-sepal clematis)은 한강토 북부 묘향산, 풍서군에 분포한다. 낙엽활엽목본이다. 줄기는 덩굴지는데 둥그스름하고 세로로 모난 줄과 홈이 있다. 잎은 싹트는 시기에 어긋나기하고 점차 크면서 마주나기하며 1~2번 갈라진 삼출겹잎이다. 엽병은 길이 4~5cm이고, 털이 드물게 있다. 가운데 소엽은 둥근 달걀 모양이거나 둥그스름한 타원형, 길이 2~3cm, 너비 1.8~3cm이며 다시 3갈래로 거의 밑부분까지 갈라진다. 가운데 작은잎자루는 길이 0.6~2cm이고 털이 드물게 있다. 측소엽은 이그러진 둥근 달걀 모양이며 다시 3개로 거의 밑부분까지 갈라졌으며 엽병은 길이 0.5~1.2cm이고 털이 드물게 있다. 잎의 앞면은 진한 녹색이고 털은 없으나 뒷면은 연한 녹색이며 긴털이 드물게 있다. 엽병의 밑부분에는 인엽이 몇개 있다. 인엽은 갈색이고 타원형이며 길이 0.5mm이다. 꽃은 7월경 줄기끝이나 잎겨드랑이에 보통 1개씩 피는데 양성꽃이며 종 모양이고 회색을 띠는 갈색 또는 연한 자색을 띤다. 화경은 길이 10~20cm이고 부드러운 털이 드물게 있다. 꽃받침조각은 4개이며 달걀 모양에 길이 2~2.5cm이고 겉면에는 연한 털이 드물게 있고 가장자리와 안쪽면에는 흰털이 빽빽이 있다. 헛수술은 보통 주걱 모양이고 여러 개이며 짧고 연한 털이 있다. 수술은 여러 개이다. 수술대는 선형, 길이 0.9mm이며 가운데가 넓으며 털이 있다. 꽃밥은 긴 피침형, 길이 4mm이며 털이 많다. 열매는 수과이며 9월경에 익는다. 열매 끝에 남아 붙어있는 암술대는 깃 모양에 길이 2~3.5cm이며 백색이다. 

종덩굴(영 Violet Stanavoi clematis, 일 キンチャクズル, 중 紫花铁线莲)은 제주도를 제외한 한강토 전역에 나며, 러시아, 일본, 중국 동북부 등에 분포한다. 낙엽 덩굴나무이다. 줄기는 길이 2~3m, 다른 물체를 타고 올라간다. 잎은 마주나며, 작은잎 5~7장으로 된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난형, 길이 3~6cm, 폭 2~3cm,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2~3갈래로 갈라진다. 끝의 갈래잎은 덩굴손으로 변하기도 한다. 꽃은 5~6월에 피는데 잎겨드랑이에서 밑을 향해 달리며, 종 모양, 검은색이 도는 자주색, 길이 2~4cm이다. 꽃자루에 잎처럼 생긴 꽃싸개잎이 2장 있고, 털이 거의 없다. 꽃받침은 4장, 꽃잎처럼 보이며, 두껍고 끝이 뒤로 젖혀지고, 겉에 털이 거의 없다. 꽃잎은 없다. 열매는 수과, 넓은 난형이고, 8~10월에 익는데 깃털 모양의 긴 암술대가 남아 있다. 중부 이북에 자라는 검종덩굴에 비해 꽃받침 겉과 꽃자루에 털이 거의 없으며, 요강나물과는 달리 완전한 덩굴식물이므로 구분된다. 수염종덩굴이라고도 부른다.   

참으아리(영 Sweet autumn clematis, 일 センニンソウ, 仙人草, 중 圆锥铁线莲)는 한강토 중부 이남에 나며, 일본, 중국, 타이완 등에 분포한다. 중부 이남의 낮은 지대, 특히 바닷가에서 자라는 낙엽 덩굴식물로 길이 5m에 이른다. 잎은 마주나며 3~7개의 작은잎으로 구성된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난형 내지 피침형이며, 잎밑은 둥글거나 심장 모양 비슷하며 간혹 결각상으로 얕게 갈라진다. 잎 양면에 털이 없다. 꽃은 7~9월에 백색으로 피는데 지름 2~3cm로서 잎겨드랑이 또는 가지 끝의 원추꽃차례 또는 취산꽃차례에 달리고, 많은 꽃이 뒤덮으며 향기가 있다. 꽃받침잎은 4개로 긴 타원형이고, 길이 12mm, 수술대가 꽃밥보다 길다. 꽃잎은 없다. 꽃자루에는 털이 있다. 열매는 수과로 잔털이 있다. 으아리는 꽃자루에 털이 없으며, 잎 밑부분이 넓은 쐐기 모양이므로 다르다. 어린잎을 식용한다. 

큰꽃으아리(영 Big-flower clematis, 일 カザクルマ, 風車, 중 转子莲)는 제주도를 제외한 한강토 전역에 자라며, 중국, 일본 등에 분포한다. 낙엽 덩굴나무이다. 줄기는 갈색, 길이 2~4m다. 잎은 마주나며, 작은잎 3~5장으로 이루어진 겹잎이다. 작은잎은 난형, 길이 3~10cm, 폭 2~5cm이며, 보통 3갈래로 갈라지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 뒷면에 털이 난다. 꽃은 5~6월에 피는데 줄기 끝에 1개씩 위를 향해 나며, 지름 10~15cm, 흰색 또는 연한 노란색이다. 꽃싸개잎은 없고, 꽃자루는 길이 10~15cm다. 꽃받침잎은 보통 8장이지만 변이가 있고, 꽃잎처럼 보인다. 꽃잎은 없다. 꽃밥은 선형, 길이 0.6~1.0cm다. 수술대는 털이 없고, 꽃밥보다 조금 길다. 열매는 수과, 황갈색 깃털 모양의 긴 암술대가 남아 있다. 한강토 자생 으아리속 식물 가운데 가장 큰 꽃이 피므로 구분된다. 중국 원산의 원예식물인 위령선은 꽃자루에 꽃싸개잎이 2장 있고, 꽃받침잎이 6장이어서 이 종과 다르다. 어린잎은 식용하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털종덩굴(영 Hairy clematis)은 국표, 국생관에 학명, 국명, 영문명 등만 등재되어 있다. 국생정 미등재종이다. 큐(Kew)에는 털종덩굴이 Clematis apiifolia var. apiifolia의 유사종으로 등재되어 있다. 이 학명은 국표 미등재종이다. Clematis apiifolia var. apiifolia의 일본명은 보탄즈루(ボタンヅル, 女萎)다. 그런데, 사위질빵의 일본명이 보탄즈루다. 털종덩굴이 사위질빵이란 말인가? 언뜻 잘 이해가 안 된다.     

할미밀망(영 Three-flower Korean clematis, 일 オオボタンズル)은 한강토 지리산 이북에 자라며,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낙엽성 덩굴나무로 길이 5m에 달한다. 잎은 마주나고, 3~5개의 작은잎으로 구성된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난형으로 길이 5~8cm이고 끝이 매우 뾰족하며 밑은 둥글거나 얕은 심형이고 결각상이며 성글고 큰 톱니가 있고 잎자루는 길며 털이 있다. 꽃은 5~6월에 피는데 백색이고 가지 끝이나 잎겨드랑이에서 나는 꽃대에 취산꽃차례로 3개씩 달린다. 꽃대는 3~5cm이고 작은 꽃대는 2~3cm로 잔털이 있으며 꽃받침 조각은 5개로 긴 타원형이고 겉에 연한 갈색 털이 있다. 열매는 수과로 난형이며 8~11월에 익는데 연한 황갈색의 털이 있는 암술대가 남아 있다. 

국표 등재 좁은잎사위질빵의 유사종 재배식물(栽培植物, cultivated plants)은 위령선(Clematis florida Thunb.) 등 73종이 있다. 위령선(영 Cream clematis, 일 テッセン, 鉄線, 중 铁线莲)은 중국 원산이며, 정원이나 화단에 관상용으로 심어 기르는 낙엽 활엽 덩굴나무이다. 줄기는 가늘고 나무질이며, 길이 4m에 달한다. 잎은 마주나고, 1~2회 3출하며 작은잎은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으로 길이 2~4cm, 폭 1~2cm, 끝이 뾰족하며 뒷면에 잔털이 있고 보통 톱니가 없으나 1~2개의 결각 또는 톱니가 드문드문 있다. 꽃은 5~6월에 피는데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길이 6~12cm의 꽃대에 1개씩 달린다. 꽃대에는 2개의 꽃싸개잎이 있다. 꽃받침조각은 6개로 옆으로 퍼지며, 난형 또는 난상 원형이고 자주색이 돌고 뒷면에 청색 줄이 있다. 수술은 자주색이고 털이 없으며 씨방에 솜털이 있다. 열매 끝에 남아 있는 암술대는 짧은 깃털 모양이다. 큰꽃으아리에 비해 꽃대에 2개의 꽃싸개잎이 있고 꽃받침조각이 6개이며 톱니가 없으나 1~2개의 결각 또는 톱니가 드물게 있는 것이 다르다.  

2025. 1. 23. 林 山
#좁은잎사위질빵 #Narrowthreeleafclematis #ホソバシロクサボタン #細葉草牡丹 #棉团铁线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