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이야기

[백두산 야생화] 가는금불초

林 山 2025. 1. 13. 11:26

2024년 7월 17일 한강토(조선반도, 한반도) 최고봉이자 조선민족(朝鮮民族, 한겨레)과 만주족(滿洲族)의 영산(靈山)인 흰머리뫼(백두산, 白頭山, 2,744m)에서 살아가는 들꽃 뫼꽃을 만나기 위해 인천 국제공항에서 국적기를 타고 중국(中國) 지린성(吉林省) 옌볜 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 옌지(延吉) 차오양촨국제공항(朝阳川国际机场)에 내렸다. 백두산(白頭山)에 오기 위해 남의 나라 중국(中國) 땅을 거쳐 참으로 먼 길을 돌아서 왔다. 백두산은 판문점을 거쳐 육로로 가면 단 몇 시간이면 닿을 수 있는 거리다. 지름길을 두고도 남의 나라로 돌아서 가야만 하는 어처구니없는 상황에 치미는 분노와 서글픔을 금할 수 없다.  

남한(南韓, 대한민국, 한국, 남조선)과 북한(北韓,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 북조선)이 상호불가침협정(相互不可侵協定)을 체결하고, 대사 교환(大使交換)을 한 뒤 민간인 자유 왕래를 실현했더라면 이렇게 남의 나라 땅을 통해 빙 돌아서 오지 않아도 되었을 것이다. 남과 북으로 갈라져 아직도 같은 민족끼리 오가지도 못하는 못난 민족이다. 남북한 간 민간인 자유 왕래를 가로막는 세력이 영원히 사라지기를 천지신명(天地神明)님께 빌고 또 빈다. 민간인 자유 왕래 실현을 가로막는 악(惡)의 세력을 몰아내는 것이야말로 시대적 사명이라고 할 수 있다. 

차오양촨(朝阳川)에서 처음 만난 야생화(野生花)는 황금색 꽃이 활짝 피어 있는 금혼초였다. 금혼초는 황해도와 강원도 이북 지방에 자생하는 식물이기 때문에 남한에서는 만나기가 힘든 야생화다. 금혼초, 애기우산나물, 도라지, 좁은잎사위질빵에 이어 가는금불초도 만났다. 황금색으로 활짝 피어난 가는금불초 꽃이 앙증맞고 귀여웠다. 가는금불초는 한강토 전역에 분포하는 식물이기에 남한에서도 만날 수 있다. 고향 까마귀도 타향에서 만나면 반가운 법이다. 백두산으로 가는 머나먼 옌볜까지 와서 가는금불초를 만나니 무척이나 반가왔다. 

 

가는금불초(지린성 옌볜 차오양촨, 2024. 7. 17.)

 

가는금불초는 피자식물문(被子植物門, Magnoliophyta) > 목련강(木蓮綱, Magnoliopsida) > 국화아강(菊花亞綱, Asteridae) > 국화목(菊花目, Asterales) > 국화과(菊花科, Asteraceae) > 금불초속(金佛草屬, Inula)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네이버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생정)에는 쌍자엽식물강(雙子葉植物綱, 쌍떡잎식물강, Dicotyledoneae) > 초롱꽃목(Campanulales)으로 분류하고 있다.  

쌍자엽식물강은 속씨식물 중 떡잎이 두 장 나는 식물 분류군으로서 목련강과 같은 개념이다. 초롱꽃목은 크론퀴스트 분류 체계에서 쌍떡잎식물강 국화아강에 속했던 목 분류군이다. APG II 분류 체계에서는 목으로 인정하지 않고, 가지목(Solanales)으로 분류하는 스페노클레아과(Sphenocleaceae)를 제외하고 모든 과를 국화목으로 분류한다.  

국가표준식물목록(국표), 국제식물명색인(IPNI), 큐(KEW) 등재(登載) 가는금불초의 학명(學名, Scientific name)은 이눌라 리나리폴리아 투르크자니노(Inula linariifolia Turcz.)이다. 국표 등재 학명이명(學名異名, synonymy)은 Inula britannica L. var. linariifolia (Turcz.) Regel, Inula japonica Thunb. var. linariifolia Makino & Nemoto, Inula britannica L. subsp. linariifolia (Turcz.) Kitam. 등이 있다.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국생관) 미등재종(未登載種)이다.  


속명(屬名, generic name) '이눌라(Inula)'는 중세 라틴어 '에눌라(enula)'의 대체 형태(Alternative forms)로서 고대 그리스어 동사 '이나오(ináō, send forth, 내다, 발하다, 보내다, to purify, 정화하다)'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는 라틴어 명사다. '이눌라(Inula)'는 고대 그리스어 '이아노(iaínō, to heat, 가열하다, warm, 따뜻하다, 포근하다)'와도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이눌라(Inula)'는 금불초속 식물인 '목향(木香)'의 고대 라틴명이기도 하다. 목향의 고대 라틴명이 목향과 비슷한 꽃이 피는 식물의 속명으로 정착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눌라(Inula)는 '깨끗하게 하다(to clean)'라는 뜻의 그리스어 '이나에인(inaein)'에서 유래하며, 위장을 편하게 하고 독을 제거한다는 의학적 효과를 믿었다."는 주장도 있다. 하지만, 'inaein'은 'Wiktionary, the free dictionary'나 'Merriam-Webste'에도 나오지 않는 단어다. 'inaein'의 출처가 궁금하다.  

종명(種名, specific name) '리나리폴리아(linariifolia)'는 '리나리아(해란초속)와 같은 잎을 가진(with leaves like Linaria)'이라는 뜻이다. 현삼과(玄蔘科, Figwort Family) 해란초속(海蘭草屬, Linaria) 특히 좁은잎해란초(Toadflax)의 잎을 닮은 좁은 잎을 가리킨다. 좁은 잎을 표현한 이름이다.  

명명자(命名者) '투르크자니노(Turcz.)'는 러시아의 식물학자이자 식물 수집가인 니콜라이 스테파노비치 투르크자니노(Nikolai Stepanovich Turczaninow, 1796~1863)이다. 투르크자니노는 바이칼 호수, 시베리아 등지의 식물을 수집했다. 그는 호주를 방문한 적이 없음에도 400종 이상의 호주 식물을 출판했다. 투르크자니노는 1837년 'Bulletin de la Société Imperiale des Naturalistes de Moscou. Moscow'에서 가는금불초의 학명을 최초로 출판했다. 

국표 등재 학명 Inula linariifolia Turcz.의 추천 국명(國名, Korean common name)은 가는금불초(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등, 1937), 비추천명은 가는잎금불초(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좁은잎금불초(한국쌍자엽식물지 초본편, 박만규, 1974) 등이 있다. 금불초(金佛草)는 황금색(金) 꽃이 무리 지어 피는 모습이 마치 부처(佛)의 온화한 웃음 같은 풀(草)이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조선시대에는 하국(夏菊)이라고도 불렸다. 

국표 등재 가는금불초의 추천 영문명(英文名, English common name)은 리니어-립 브리티쉬 옐로우헤드(Linear-leaf British yellowhead, 한반도 자생식물 영어 이름 목록집 개정판, 국립수목원, 2022))이다. '선형(線形) 잎(Linear-leaf)을 가진 UK(British) 노란색 꽃(봉오리, yellowhead)이 피는 식물'이라는 뜻이다.  

국표, Flora of Mikawa(三河の植物観察, FOM) 등재 가는금불초의 일본명(日本名, Japanese common name)은 호소바오구루마(ホソバオグルマ, 細葉小車)이다. '가는 잎(細葉)을 가진 금불초(小車)'라는 뜻이다. 일본명(和名) 호소바오구루마(細葉小車)는 단아하고 반듯한(端正) 두상화서(頭状花序)의 방사상(放射状) 설상화(舌状花)가 마치 작은 수레바퀴(小さい車)를 연상케 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중국 식물지(植物智), FOM 등재 가는금불초의 중국명(中國名, Chinese common name) 은 셴예쉬안푸화(线叶旋覆花)이다. '선처럼 가는 잎(线叶)을 가진 선복화(旋覆花)'라는 뜻이다. 1674년 짱즈총(张志聪)에 이어 그의 제자 까오싀츼(高世栻)가 지은 '뻰차오총위안(本草崇原)'은 쉬안푸화(旋覆花)에 대해 '줄기가 가늘고 연약하며, 잎은 버드나무와 비슷하고 6~7, 8월에 꽃이 피는데, 그 모양이 금잔화 같고, 담황색이며, 가운데에는 가늘고 흰 털처럼 보송보송한 것이 뭉쳐 있고, 꽃은 둥근데 두 겹으로 되어 있다. 그래서 이름을 선복화라고 했다(茎柔细,叶似柳,六月至七八月开花,状如金钱菊,浅黄色,中心细白茸作丛,花圆而复下,故名旋覆).'라고 설명하고 있다. 식물지 등재 속명(俗名)은 짜이예쉬안푸화(窄叶旋覆花, 江苏南部种子植物手册), 뤼얼뚜어(驴耳朵, 安徽), 마자빵즈(蚂蚱膀子) 등이 있다.  

 

가는금불초(지린성 옌볜 차오양촨, 2024. 7. 17.)

 

가는금불초는 한강토, 중국,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한강토에서는 전국에 분포한다. 산비탈의 습윤한 초지나 습기가 있는 도랑 근처에서 자란다(국생정). 호소바오구루마(細葉小車)의 원산지는 일본 혼슈(本州), 시코쿠(四国), 규슈(九州), 조선(朝鮮, 조선반도, 한반도, 한강토), 중국, 몽골, 러시아이다(FOM).  

셴예쉬안푸화(线叶旋覆花)는 중국 동북부(东北部), 북부(北部), 중부(中部), 동부(东部) 각성(各省)에 난다. 몽골(蒙古), 조선(朝鲜), 러시아 극동 지방에도 분포한다(百度百科). 해발 150~500m 지대의 길가, 산비탈, 황무지, 강기슭에서 자란다. 인공적으로 도입 재배되고 있다(維基百科). 

가는금불초의 뿌리는 근경(根莖)이 옆으로 길게 뻗으면서 번식(繁殖)하여 군집(群集)을 이룬다. 키는 높이 30~70cm 정도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단일하나 2~3개가 함께 자라기도 하며 윗부분에서 가지를 친다. 
 
근생엽(根生葉)과 줄기 밑부분의 잎은 개화시 쓰러지며 밑부분의 잎은 중앙부의 잎보다 길고 피침형(披針形)이며 엽병(葉柄)이 길다. 중앙부의 잎은 선상 피침형(線狀披針形) 또는 선형(線形)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4~9cm, 너비 6~10mm로서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거나 원줄기를 반 정도 얼싸안는다. 잎 표면에는 털이 없으며 뒷면에 복모(伏毛, sericeous)와 더불어 선점(腺點)이 있고 가장자리가 뒤로 말린다. 

꽃은 6~8월에 피며 지름 18~25mm로서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1개씩 달리고 흔히 포(苞)가 없다. 총포(総苞)는 반구형(半球形)이며 길이 4~6mm, 지름 8~14mm이다. 비늘잎은 4줄로 배열되며 선점이 있다. 혀꽃(舌狀花)은 길이 10mm 정도로서 황색이며 뒷면에 선점이 있다. 

열매는 수과(瘦果, achene)이다. 수과의 열매는 원주형(圓柱形)으로 길이 1mm 정도이며 털과 더불어 10개의 능선(稜線)이 있고 관모(冠毛, 갓털, 우산털)는 길이 3mm이다. 종자(種子)는 8~9월 성숙한다.   

가는금불초는 관상용(觀賞用)으로 재배한다. 어린 순은 나물로 한다. 가는금불초가 염료로 사용된 기록은 없으나, 꽃과 잎을 채집하여 가늘게 잘라 끓여서 염액을 만들 수 있다. 꽃보다 잎에서 진한 색을 얻는다(다음백과 국생정).  

가는금불초는 금불초와 더불어 민간에서 약용으로 한다. 꽃을 가래, 기침, 신경성 구토, 감모 두통, 유방암, 유방염, 치통, 치질, 위장염에 쓴다. 전초를 감기, 기침, 수종, 풍습비통, 종기 등에 쓴다(다음백과 국생정). 
 
셴예쉬안푸화(线叶旋覆花)는 뿌리를 채취해 건조한 다음 한약재로 쓴다. 건비화위(健脾和胃), 조기해울(调气解郁), 지통안태(止痛安胎)의 효능이 있다(百度百科). 

선복화(旋復花)는 성질이 약간 따뜻하고[微溫] 맛은 짜며[옣] 조금 독이 있다. 가슴에 잘 떨어지지 않는 담연이 있고 가슴과 옆구리에 담과 물이 있어 양 옆구리가 창만한 것을 낫게 한다. 음식맛을 나게 하며 구역을 멎게 하고 방광에 쌓인 물을 내보내고 눈을 밝게 한다. ○ 일명 금비초(金沸草)라고도 하는데 잎은 큰 국화와 비슷하다. 음력 6월에는 작은 동전만하고 국화처럼 생긴 진한 노란 꽃이 된다. 꽃을 따서 햇볕에 말린다. 곳곳에 있다. ○ 쪄서 햇볕에 말린다. ○ 달이는 약[煎藥]에 넣으면 천으로 걸러서 찌꺼기는 버리고 쓴다[본초](東醫寶鑑 湯液篇). 

본초명(本草名) 선복화(旋覆花)는 금불초(Inula britannica var. chinensis Regel)와 동속(同屬) 근연식물(近緣植物)의 두상화서를 건조한 것이다. 본초이명(本草異名, synonymy)에는 도경(盜庚), 대심(戴椹), 금전화(金錢花), 하국(夏菊) 등이 있다. 선복화는 화담지해평천약(化痰止咳平喘藥) 중 온화한담약(溫化寒痰藥)으로 분류된다. 성질은 약간 따뜻하고 독이 없다(微溫無毒). 맛은 쓰고 매우며 짜다(苦辛鹹). 폐(肺), 비(脾), 위(胃), 대장경(大腸經)으로 들어간다. 소담행수(消痰行水), 강기지구(降氣止嘔)의 효능능이 있다. 주로 풍한해수(風寒咳嗽), 담음축결(痰飮蓄結), 흉격비만(胸膈痞滿), 천해담다(喘咳痰多), 구토희기(嘔吐噫氣), 심하비경(心下痞硬) 등을 치료한다(전국 한의과대학 본초학 교과서). 

 

가는금불초(지린성 옌볜 차오양촨, 2024. 7. 17.)

 

국표 등재 가는금불초의 유사종(類似種, similarity species) 자생식물(自生植物, indigenous plant)은 가지금불초[Inula japonica Thunb. var. ramosa (Kom.) C.Y.Li], 금불초(Inula japonica Thunb.), 버들금불초(Inula salicina L. var. asiatica Kitam.) 등 3종이 있다. 

가지금불초[영 Branching British yellowhead, 일 エダウチオグルマ, 枝打ち小車, 중 旋覆花, 滴滴金, 별명 金沸花、金沸草(江浙), 六月菊(河北)]는 한강토 중부 이북에 나며,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여러해살이풀이다. 근경은 짧으며 비스듬히 뻗는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30~100cm, 위쪽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근생엽과 줄기 아래쪽 잎은 가운데 잎보다 작으며, 꽃이 필 때 마른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넓은 피침형, 길이 5~10cm, 폭 1~3cm, 끝이 뾰족하고, 밑이 좁아져서 줄기를 반쯤 감싼다.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드물게 잔 톱니가 있고 잎 뒷면에 털이 많다. 잎자루는 없다. 꽃은 6~9월에 피는데 줄기와 가지 끝에서 지름 3cm쯤인 두상화가 1개씩 달리며, 노란색이다. 총포는 반구형, 조각은 5~6줄로 붙으며 털이 적다. 열매는 수과, 털이 있다. 우산털은 흰색, 길이 4~5mm다. 금불초에 비해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잎 뒷면에 털이 많으며 총포편(總苞片)에 털이 적어 구분된다. 또한 가는금불초는 잎이 선형으로서 폭 1cm 이하이고, 두상화는 지름 1.8~2.5cm로서 작아 구분된다. 

금불초[영 Oriental yellowhead, 일 オグルマ, 小車, 중 旋覆花, 滴滴金, , 별명 金沸花、金沸草(江浙), 六月菊(河北)]는 한강토 전역에 나며, 중국, 일본, 러시아 우수리 지역 등에 분포한다.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고, 가지가 갈라지며, 높이 30~100cm다. 근생엽과 줄기 아래쪽 잎은 가운데 잎보다 작으며, 꽃이 필 때 마른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넓은 피침형(廣披針形), 길이 5~10cm, 폭 1~3cm, 끝이 뾰족하고, 밑이 좁아져서 줄기를 반쯤 감싼다.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양면은 누운 털이 난다. 잎자루는 없다. 꽃은 7~10월에 줄기와 가지 끝에서 두상화가 1개씩 달리며, 노란색이다. 두상화는 지름 3~4cm다. 포는 여러 장, 길이 1~4cm다. 총포는 반구형, 지름 1.5~2.0cm, 가장자리에 털이 나고, 조각이 5줄로 붙는다. 열매는 수과이며, 털이 있다. 가는금불초에 비해 두상화서의 지름이 0.5~2cm 정도 더 큰 점에서 구분할 수 있다. 또, 가지를 더 많이 치고 잎이 피침형 또는 장타원형(長楕圓形)인 점에서 가지를 덜 치고 잎이 긴 피침형(長披針形)인 가지금불초와 구분된다. 그러나 이들 분류군에 대한 보다 자세한 분류학적 연구가 필요하다. 관상용으로 심고 어린잎은 식용한다. 꽃은 약용한다. 

버들금불초(영 Asian willow-leaf yellowhead, 일 국표 カゼンソウ, FOM カセンソウ, 歌仙草, 중 柳叶旋覆花)는 한강토 전역에 자생하며, 일본, 중국 동북부, 러시아 시베리아 등에 분포한다.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50~80cm, 윗부분에는 털이 거의 없으나 아랫부분에 털이 있다. 근생엽과 줄기 아래에 달리는 잎은 일찍 시든다. 줄기잎은 빽빽하게 어긋나고 가죽질로 피침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楕圓狀披針形), 길이 4~7cm, 폭 1~1.5cm, 끝은 뾰족하고 밑부분은 좁아져 줄기를 감싸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간혹 잎 뒷면 맥 위에 털이 있다. 꽃은 6~7월에 피며, 줄기 끝에서 두상화가 1개가 달린다. 두상화 가장자리에는 설상화(舌狀花)인 암꽃이 있고, 가운데는 관상화(管狀花)인 양성꽃이 있으며 꽃부리의 끝은 5갈래로 갈라진다. 열매는 수과, 황갈색으로 10개의 능선이 있고, 우산털은 길이 8mm이다. 금불초에 비해 잎이 두꺼우며, 뒷면에 융기하는 맥이 있고 수과에 털이 없으므로 구별된다. 버들잎금불초라고도 한다. 

국표 등재 가는금불초의 유사종 재배식물(栽培植物, cultivated plants)은 목향(Inula helenium L.), 대왕금불초(Inula magnifica Lipsky), 장미금불초(Inula rhizocephala Schrenk), 칼잎금불초(Inula ensifolia L.), 히말라야금불초(Inula royleana DC.) 등 6종이 있다.                                                                 

목향(영 elecampane, scabwort, velvet-dock, 일 オオグルマ, 大車, 중 土木香)의 원산지는 유럽이다. 한강토, 일본, 중국 등지에서 약용으로 재배한다. 북아메리카에는 귀화하여 분포한다.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높이 2m에 이르며, 전체에 짧은 털 있다. 뿌리는 굵고 덩어리진다. 줄기는 높이 60~200cm, 전체에 짧은 털이 있다. 근생엽은 모여나며 타원형(楕圓形), 길이 15~60cm, 폭 10~20cm, 오랫동안 남아 있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아래쪽에 달리는 잎은 잎자루가 길다. 잎몸은 타원형,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밑부분은 좁아져서 잎자루로 흐르고, 줄기 위쪽 잎은 아랫부분이 줄기를 감싼다. 꽃은 6~9월에 줄기와 가지 끝에 노란색 두상화로 핀다. 총포는 반구형, 외포편(外苞片)은 난형(卵形), 짧은 털이 빽빽하게 난다. 설상화는 50~100개,  암꽃이며 꽃잎 길이는 2~3cm, 폭 2mm쯤이다. 관상화는 길이 1cm쯤이다. 열매는 수과, 길이 3~4mm다. 우산털은 흰색으로 길이 8~10mm다. 국내 자생 금불초속과 비교하여 잎과 꽃이 크므로 구분된다. 뿌리를 약재로 쓴다.        

 

중국식물지(中国植物志)에는 아우클란디아 코스투스 폴코너(Aucklandia costus Falc.)가 윈무샹(雲木香)으로 등재되어 있다. 학명이명은 A. lappa 등이 등재되어 있다. 속명(俗名)은 칭무샹(青木香), 광무샹(广木香), 무샹(木香) 등이 있다. 윈무샹, 칭무샹, 광무샹의 원산지는 카슈미르이다. 중국에서는 쓰촨 어메이산(峨眉山), 윈난 웨이시(维西)와 쿤밍(昆明), 광시(广西), 구이저우(贵州) 구이양(贵阳)과 두산(独山) 등지에서 재배한다. 중    윈무샹, 칭무샹, 광무샹, 무샹은 기원이 같은 식물임을 알 수 있다. 윈무샹은 뿌리를 약으로 쓴다. 건비화위(健脾和胃), 조기해울(调气解郁), 지통(止痛), 안태(安胎) 등의 효능이 있다. 

목향(木香)은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매우며[辛] 독이 없다. 가슴과 배가 온갖 기로 아픈 것, 9가지 심통(心痛), 여러 해 된 냉기로 불러 오르면서 아픈 것, 현벽(痃癖), 징괴(癥塊) 등을 치료한다. 또한 설사, 곽란, 이질 등을 멈추며 독을 풀어 주고 헛것에 들린 것을 낫게 하며 온역을 방지하고 약의 정기[藥之精]가 목적한 곳으로 잘 가게 한다. ○ 즉 청목향(靑木香)인데 생김새가 마른 뼈[枯骨]와 같은 것이 좋다[본초]. ○ 기를 잘 돌게 하려면 불빛을 보이지 말고 생으로 갈아 먹는다. 설사를 멎게 하고 대장을 실하게 하려면 목향을 젖은 종이로 싸서 잿불에 묻어 구워 쓴다[입문](東醫寶鑑 湯液篇). 동의보감에서 목향은 청목향을 말한다. 

본초학(本草學)에서 목향은 운목향(雲木香), 천목향(川木香), 광목향(廣木香) 등 3종이 있다. 운목향은 중국 윈난성(云南省), 리쟝전구(丽江專區)에서 난다. 윈난에서 난다고 해서 운목향이라고 부른다. 천목향은 쓰촨성(四川省), 안후이성(安徽省), 아바장족족챵족자치주(阿坝藏族羌族自治州), 량샨샨이족자치주(凉山彝族自治州)에서 난다. 쓰촨에서 난다고 해서 천목향이라고 한다. 광목향은 인도, 미얀마 등지에서 난다. 광시(广西)에서도 재배한다. 광시에서 난다고 해서 광목향이라고 한다. 

전국 한의과대학 본초학 교과서에 따르면 본초명 목향(木香, 本經)은 운목향(Aucklandia lappa Decne)의 뿌리를 건조한 것이다. 본초이명은 밀향(蜜香), 청목향(靑木香), 오향(五香) 등이 있다. 국표와 FOM에는 학명 아우클란디아 라파 드케슨(Aucklandia lappa Decne)이 등재되어 있지도 않다. 본초학 교과서에서 목향은 운목향을 말한다. 

전국 한의과대학 본초학 교과서 이기약 편에는 목향과 함께 토목향(土木香, 蜀本草)이 수재(收載)되어 있다. 토목향은 목향(Inula helenium L.)의 뿌리를 건조한 것이다. 본초이명은 목향, 청목향 등이 있다. 한강토 각지에서 재배한다. 중국식물지에는 학명 Inula helenium L.의 중국명이 투무샹(土木香, 蜀本草) 또는 칭무샹(青木香, 祁州)으로 기재되어 있다. 

투무샹은 맵고 쓰며(辛苦), 따뜻하다(温). 귀경(归经)은 간(肝), 비경(脾经)으로 들어간다. 건비화위(健脾和胃), 조기해울(调气解郁), 지통안태(止痛安胎) 효능이 있다. 흉협완복창통(胸胁脘腹胀痛), 구토사리(呕吐泻痢), 흉협좌상(胸胁挫伤), 분기작통(岔气作痛), 태동불안(胎动不安) 등을 치료한다(中国药典). 

동의보감이나 전국 한의과대학 본초학 교과서를 중국식물지와 대조해보면 본초명, 기원 식물, 산지 등에서 오류가 발견된다. 중국식물지를 표준으로 한강토에서 본초명 목향은 운목향, 토목향은 목향을 한약재로 쓴다. 

목향과 토목향은 이기약(理氣藥)이다. 이기약은 기(氣)를 소통시키는 약이다. 목향의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다. 맛은 맵고 쓰다. 폐, 간(肝), 비경으로 들어간다. 행기지통(行氣止痛), 온중화위(溫中和胃) 효능이 있다. 중한기체(中寒氣滯), 흉복창통(胸腹脹痛), 구토(嘔吐), 설사(泄瀉), 하리이급후중(下痢裏急後重), 한산(寒疝) 등을 치료한다. 

토목향의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다. 맛은 맵고 쓰다. 폐, 간, 비경으로 들어간다. 건비화위, 행기지통의 효능이 있다. 흉복창만동통(胸腹脹滿疼痛), 구토, 설사, 이질(痢疾), 학질(瘧疾) 등을 치료한다(전국 한의과대학 본초학 교과서). 목향과 토목향의 효능, 주치(主治)는 거의 비슷하다. 

2025. 1. 27. 林 山

#가는금불초 #LinearleafBritishyellowhead #ホソバオグルマ #細葉小車 #线叶旋覆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