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사 김정희의 묵향을 찾아가는 여행 13 - 과천 추사박물관 (1) 추사박물관은 경기도 과천시 주암동 과지초당(瓜地草堂) 바로 옆에 자리잡고 있다. 과지초당은 월성위(月城尉) 김한신(金漢藎)의 손자 유당(酉堂) 김노경(金魯敬, 1766~1837)이 마련한 별서(別墅)이다. 김노경의 친아들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 1786~1856)는 2차 유배지 함경도 북청에서 풀려..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9.06.21
추사 김정희의 묵향을 찾아가는 여행 12 - 과천 과지초당 과지초당(瓜地草堂)은 조선 후기 금석학파를 성립하고, 추사체를 완성한 실학자이자 서화가인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가 말년을 보낸 곳이다, 추사는 여기서 생애 마지막 4년 동안 학문과 예술에 전념했다. 당시 아름다운 정원과 숲, 연못을 갖춘 과지초당은 청계산(淸溪山, 618m)과 관..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9.05.14
추사 김정희의 묵향을 찾아가는 여행 11 - 오석산 화암사 추사고택(秋史古宅) 뒤편에는 야트막한 야산 용산(龍山, 74.3m)이 있다. 옛날에 용이 나온 용총(龍塚)이 있어 용산이라 부른다고 전하며, 산 모양이 앵무새처럼 생겼다고 하여 앵무봉(鸚鵡峰)이라고도 한다. 조선 후기에 나온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와 '조선지형도(朝鮮地形圖)'에도 용산..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9.05.01
추사 김정희의 묵향을 찾아가는 여행 9 - 추사기념관 추사기념관 전시실에는 '신취미태사잠유시첩(申翠微太史暫遊詩帖, 1836년, 간송미술관 소장)'에 실려 있는 추사와 권돈인(權敦仁)의 전별시(餞別詩)가 전시되어 있다. '신취미태사잠유시첩'은 1836년(헌종 2) 동지정사(冬至正使)가 되어 칭(淸)나라 옌징(燕京)으로 떠나는 취미(翠微) 신재식(..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9.04.13
추사 김정희의 묵향을 찾아가는 여행 8 - 추사기념관 원교(圓嶠) 이광사(李匡師, 1705~1777)는 서예 명문가이자 소론(少論) 가문 출신으로 종고조부 백헌(白軒) 이경석(李景奭, 1595~1671), 증조부 서곡(西谷) 이정영(李正英, 1616~1686), 부친 각리(角里) 이진검(李眞儉, 1671∼1727) 등이 모두 명필이었다. 그의 부친 이진검은 당시 소론 당경파였다. 당시 ..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9.04.12
추사 김정희의 묵향을 찾아가는 여행 7 - 추사기념관 추사 묘소 바로 남쪽 곁에는 추사기념관이 세워져 있다. 추사기념관 입구 좌우에는 추사의 좌상(坐像)과 입상(立像), 인장(印章)을 새긴 비석이 세워져 있다. 기념관 북쪽 외벽에는 '吐爲丹菉芝英(토위단록지영)', '結成珠光劒氣(결성주광검기)' 대련과 '不二禪蘭圖(불이선란도)', '畵法有..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9.04.11
추사 김정희의 묵향을 찾아가는 여행 6 - 추사고택 영당과 묘소 추사고택 안채 서쪽 뒤뜰에는 백송(白松) 한 그루가 서 있다. 중궈(中國)가 원산지인 백송은 600여 년 전 외교사절단에 의하여 조선에 들어왔다. 껍질이 벗겨지면서 회백색을 띠기에 백송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나무껍질의 백색과 녹색의 조화가 아름답고 기품이 있어 예로부터 절이나 ..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9.04.10
추사 김정희의 묵향을 찾아가는 여행 5 - 추사고택 안채 추사고택(秋史古宅) 안채 대문을 지나 안마당으로 들어서면 사방이 건물로 가로막혀 다소 답답한 공간이 나타난다. 폐쇄적인 ㅁ자형으로 건물을 지은 것은 화순옹주(和順翁主)를 비롯한 부녀자들이 생활하는 공간이었기 때문일 것이다. 안채의 안쪽 기둥에도 주련들이 걸려 있다. 안채 ..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9.04.08
추사 김정희의 묵향을 찾아가는 여행 4 - 추사고택 안채 추사고택(秋史古宅) 안채는 ㅁ자형 구조로 되어 있다. 안채는 6칸의 대청, 2칸통의 안방과 건넌방, 광 등을 갖춘 대가집 규모다. 중정을 중심으로 대청이 있고, 좌우로 방을 엇갈리게 배치하였다. 화순옹주(和順翁主)가 살았던 방은 안채에서 시야가 가장 잘 터진 곳이다. 안채의 부엌은 난..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9.04.06
추사 김정희의 묵향을 찾아가는 여행 3 - 추사고택 사랑채 추사고택 사랑채 거실 아랫목에는 보료가 깔려 있고, 그 뒤로 10폭짜리 병풍이 세워져 있었다. 북쪽 벽에는 오래된 것으로 보이는 약장(藥欌)이 놓여 있었고, 그 옆에는 다기(茶器) 진열장도 보였다. 사랑채 거실 병풍에는 '鸞驚之藝旣聞之於索靖, 雁歭之巧又顯之於蔡邕. 是以遊霧重雲傳..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9.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