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 의학 건강 이야기

황달(黃疸)의 한방치료

林 山 2009. 1. 19. 15:08

황달(黃疸, jaundice)은 목황(目黃), 신황(身黃), 뇨황(尿黃)이 주요 증상이다. 특히 목황증은 황달을 확증하는 중요한 근거가 된다. 만약 신황증을 가지고 있되, 목황증이 없으면 황달이 아니다. 황달의 원인은 감수외사(減受外邪), 음식부절(飮食不節), 비위허한(脾胃虛寒), 적취전화(積聚轉化) 등이다. 임상에서는 증후의 표현에 따라 양황(陽黃)과 음황(陰黃)으로 구분한다. 양황은 습열(濕熱), 음황은 한습(寒濕)을 위주로 한다. 치료의 대법은 이뇨화습(利尿化濕)이다.

 

서양의학에서 황달은 혈중의 담즙색소(膽汁色素, bilirubin)가 대사이상(代謝異常)으로 증가되어 인체의 공막(鞏膜), 피부, 점막 부위가 황색으로 착색되는 병증인데, 일반적으로 혈청총담즙색소가 2mg/dl 이상인 상태를 말한다. 빌리루빈이 혈류와 체조직에 과다하게 축적되면 눈의 흰자위와 점막이 노란색이나 주황색, 때로는 초록색으로 변색되기도 한다. 빌리루빈은 감염이나 부종이 있는 부위에서 빠르게 흡수되며, 특히 탄성조직 섬유가 있는 부위에 잘 침착된다.

 

황달의 발생기전은 간장에서 담즙의 과다생성으로 배출량보다 체내 잔류량이 더 많은 경우, 선천적 결함으로 빌리루빈의 제거에 장애가 있거나 과다생성되는 경우, 간질환으로 인해 간세포가 혈중 빌리루빈을 제대로 제거하지 못할 경우, 간에서 제거된 빌리루빈이 유출되어 혈류로 역류하는 경우, 담즙관의 폐쇄 등이 있다. 정상 간일 때는 엄청난 양의 빌리루빈도 혈류에서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빌리루빈의 과잉으로 황달이 발생한다는 것은 곧 심한 간 기능부전을 의미한다.

 

황달의 원인은 대부분 선천성 간장애, 급만성 간염, 간조직의 섬유화로 인한 간경변, 간 폐색, 간종양, 담관 폐색, 담종양, 기생충감염(간디스토마)이나 독극물 중독에 의한 간세포 손상, 혈액질환(항암제나 수혈 부작용, 빈혈), 췌장두 폐색, 췌장암, 선천적 대사이상(길버트증후군), 자가면역질환, 순환계의 울혈, 폐렴 등이다. 원인불명의 특발성 황달은 대사장애로 인해 간이 빌리루빈을 화학적으로 적절하게 변성시키지 못해서 일어난다. 

 

황달은 체류성 황달과 역류성 황달로 분류할 수 있다. 체류성 황달은 빌리루빈이 제대로 제거되지 않아 혈류에 남아 있는 것으로, 대변의 빌리루빈 양은 증가되는 반면 소변에서는 검출되지 않는다. 역류성 황달은 빌리루빈이 혈류로 유출되어 발생하며, 간이 혈중의 빌리루빈을 제거한 뒤, 또는 담즙관으로부터 직접 유출되는 경우 등이 있다. 대부분의 황달에서 빌리루빈의 정체는 전신성 질환이 치료될 때까지 지속되는 피부변색 외에 더 심한 손상을 초래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역류성 황달은 심각한 2차적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그것은 담즙염이 장관에 도달하지 못해서 장관 출혈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담즙염이 없으면 지용성인 비타민 K가 체내로 흡수가 안되므로 혈액이 응고되지 않아 출혈 가능성이 높아진다.

 

신생아 황달은 대부분의 신생아에게 나타나는 증상으로 출생시 적혈구가 파괴될 때 생기는 빌리루빈이 다량으로 잔류하여 발생한다. 생후 3~4일경에 황달이 나타나서 5~6일경에 가장 심해졌다가 7~10일이 되면 간 기능이 원할해지면서 사라지는데, 이를 신생아의 생리적 황달이라고 한다. 모체가 대신 처리해주던 빌리루빈을 신생아가 처리하는 능력을 갖출 때까지의 적응기간에 빌리루빈이 일시적으로 상승하기 때문이다. 

 

신생아 황달 가운데 핵황달(核黃疸, kernicterus, 빌리루빈뇌증)은 출생 직후 빌리루빈이 비정상적으로 농축되어 뇌에 심한 손상을 초래하며, 증세도 심하고 오래 간다. 주요 원인은 태아적아구증(erythroblastosis fetalis)과 같은 모체와 태아간의 혈액형 부적합이다. 태아적아구증은 모체의 면역체계가 신생아의 혈액세포를 파괴하면서 신생아에게 심한 빈혈과 황달이 나타나는 병증이다. 그래서 핵황달을 신생아의 용혈성 황달(溶血性黃疸)이라고 한다. 신생아 황달을 치료하는 수혈요법과 광선요법이 나오기 전까지 뇌성마비의 10%는 핵황달이 원인이었다. 특정 약물과 미숙(未熟)도 핵황달을 유발할 수 있다.  

 

1. 양황(陽黃)

 

온몸이 노랗고 색이 뚜렷하며, 열이 나면서 목이 마르고, 소변이 황적색인 병증이다.

 

1). 습열황달(濕熱黃疸). 황달색이 뚜렷하며 배가 부르고 뜬뜬하며, 가슴이 답답하고 머리에 땀이 나며, 입 안이 마르고 소변색이 벌겋고 진하면서 변비가 있는 증세. 전염성 간염으로 인한 황달-인진호탕(茵蔯蒿湯, 인진탕 1). 인진 11.3, 대황 치자 3.8. (단위 g, 강=생강, 단위 쪽, 조=대추, 단위 개)

*위의 약을 물에 달여 식간에 복용한다. 하루 2첩

*인진, 치자는 담즙분비작용이 있고, 대황은 설사작용이 있다.

*황달에 소화불량, 심하비만(心下痞滿), 복창만(腹脹滿), 변비-인진치자탕:대황을 7.5g으로 늘리고 지실 3.8g을 더 넣는다.

 

2). 발열, 구건(口乾), 소변불리(小便不利)을 동반한 황달. 인진호탕 맞음증 때보다 병세가 가볍고 실열(實熱)이 없을 때. 특히 소변불리의 증세를 겸할 때-인진오령산(茵蔯五笭散). 인진 56.3, 택사 9.4, 적복령 백출 저령 5.6, 육계 1.9

*위의 약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하루 2~3번 미음에 타서 식간에 복용한다. 위의 약을 잘게 썰어 고루 섞어서 한번에 35~40g씩 하루 2번 물에 달여 식간에 복용할 수도 있다.

*허한 증세가 심할 때-加 인삼 12~16

*냉(冷)이 있을 때-加 건강 5.6, 부자 2.8

*울열(鬱熱)이 있을 때-加 치자 5.6

 

3). 열이 나면서 온몸이 노랗고 가슴이 답답하며, 소변이 불리하고 색이 누런 황달. 전염성 간염, 급성 담낭담도염-치자백피탕(梔子栢皮湯). 황백 15, 감초 9.4, 치자 3.8

*위의 약을 물에 달여 식간에 복용한다. 하루 2첩

*황백, 치자는 해열소염작용, 담즙분비작용이 있다. 감초는 간보호작용, 해독작용이 있다.

 

4). 심하비만, 소변불리, 황적뇨의 황달. 전염성 간염의 급성기, 만성 간염의 활성기-인진산(茵蔯散) 1. 인진 목통 37.5, 전호 적복령 백작약 11.3, 화초인(炒) 3.8

*위의 약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하루 4~5번 미음에 타서 식간에 복용한다.

*인진은 담즙분비작용과 해열이뇨작용이 있다. 목통은 이뇨작용이 있다.

 

5). 양황으로 열이 나고 부석부석 부으며, 오줌이 진하고 잘 나가지 않으며, 배가 아프고 속이 트직하면서 변비가 있을 때-인진산(茵蔯散) 2. 인진 치자 적복령 저령 택사 창출 지실 황련 후박 활석 3.8, 등심 1.9

*위의 약을 물에 달여 식간에 복용한다. 하루 2첩

*지실, 후박은 방향성 건위진통작용이 있다. 적복령, 저령, 택사, 활석, 등심은 이뇨작용이 있다.

 

6). 발열, 변비, 흉민, 복창만통을 동반한 황달. 전염성 간염의 급성기에 소화가 잘 안되고 속이 트직하며, 헛배가 부르면서 변비가 있을 때-인진탕(茵蔯湯) 2. 인진 7.5, 대황 치자 후박 지실 황금 감초 3.8, 등심 1.9, 강2

*위의 약을 물에 달여 식후에 복용한다. 하루 2첩

*소변불리-인진탕 2를 달인 물에 오령산 8~12g을 타서 복용한다.

 

7). 술을 자주 마시는 사람이 황달로 열이 나고 가슴이 답답하며, 명치밑이 무직하고 코와 입이 마르면서 피가 나오며, 변비가 있을 때-치자대황탕(梔子大黃湯). 치자 대황 7.5, 지실 3.8, 두시 30

*위의 약을 물에 달여 식간에 복용한다. 하루 2첩

 

8). 소화가 잘 안되고 속이 트직하며, 입맛이 없고 때로 배가 아프며, 온몸이 나른하고 맥이 없는 황달. 전염성 간염의 소화기형, 만성 간염 또는 만성 위염으로서 입맛이 없고 소화가 안되는 증상-가감위령탕(加減胃笭湯) 1. 창출 후박 진피 저령 택사 백출 적복령 백작약 3.8, 감초 곽향 반하(법제) 대복피 산사 나복자 삼릉 봉출 청피 1.9, 강3조2

*위의 약을 물에 달여 식후에 복용한다. 하루 2첩

 

9). 속이 트직하고 소화가 안되며, 입맛이 없는 황달. 만성 간염으로 소화장애가 심할 때-소온중환(小溫中丸). 백출 112.5, 산사 청피 창출 신곡 75, 향부자 56.3, 침사 37.5

*위의 약을 가루내어 식초를 넣고 쑨 풀에 반죽하여 0.3g 되게 제환한다. 한번에 35~40환씩 하루 3번 소금물로 공복에 복용한다.

*비허(脾虛)증세가 심할 때-加 인삼 진피 감초 56.3

 

10). 황달이 있으면서 열이 나고 소화가 잘 안되며, 오줌이 벌겋고 잘 나가지 않으며, 온몸이 노곤하고 움직이기 싫어하는 증세-곡달환(穀疸丸, 고삼원). 고삼 112.5, 용담초 37.5, 인삼 28.2, 치자 18.8

*위의 약을 가루내어 우담즙이나 돈담즙으로 반죽해서 0.3g 되게 제환한다. 한번에 25~35환씩 하루 2번 보리죽미음으로 공복에 복용한다.

 

11). 황달의 색이 뚜렷하고 온몸과 눈이 다 노라며, 몸이 무겁고 오줌이 황적색이면서 흐리고 잘 나가지 않는 증세-소황거달탕(消黃祛疸湯). 의이인 차전자 37.5, 백복령 18.8, 인진 3.8, 육계 1.1

*위의 약을 물에 달여 식간에 복용한다. 하루 2첩

 

12). 황달로 이마에 검은색이 돌고 땀이 약간 나며, 손발이 달면서 가슴이 답답한 증세-반초산(礬硝散). 백반 망초 37.5

*위의 약을 가루내어 한번에 4~6g씩 하루 2~3번 보리죽미음에 타서 식간에 복용한다.

 

13). 황달에 열이 나고 가슴이 답답하며, 변비가 있을 때-황련산(黃連散). 대황(醋炒) 황금 황련 감초 37.5

*위의 약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하루 3번 온수에 타서 식간에 복용한다.

 

2. 음황(陰黃)

 

온몸의 노란색이 뚜렷하지 않고 명치밑이 뜬뜬하며, 몸이 무겁고 차며, 땀은 저절로 나지만 대체로 갈증은 없고, 소변은 잘 보는 병증이다.

 

1). 뱃속이 찬 느낌이 있고 손발이 싸늘하며, 소화되지 않은 설사를 하고 황달색이 뚜렷하지 않은 증세. 소화불량, 수족냉증을 동반한 만성 간염-인진출부탕(茵蔯朮附湯). 백출 7.5, 인진 감초 3.8, 건강 부자(법제) 1.9, 육계 1.1

*위의 약을 물에 달여 식후에 복용한다. 하루 2첩

 

2). 소변불리, 신중(身重), 번조(煩燥), 갈증을 동반한 음황-인진복령탕(茵蔯茯笭湯). 인진 11.3, 적복령 저령 활석 당귀 계피 3.8

*위의 약을 물에 달여 식간에 복용한다. 하루 2첩

 

3). 팔다리와 몸이 차고 땀이 저절로 나며, 맥이 없고 온몸이 노곤한 음황-인진사역탕(茵蔯四逆湯). 인진 부자(법제) 건강(법제) 炙감초 3.8

*위의 약을 물에 달여 식간에 복용한다. 하루 2첩

*인진사역탕증에 속이 찬 증세가 가벼울 때-去 건강

*인진강부탕-去 감초. 맞음증은 인진사역탕증과 같다.

 

4). 오심(惡心), 구역(嘔逆), 흉민을 동반한 음황-인진귤피탕(茵蔯橘皮湯). 인진 5.6, 진피 백출 생강 반하 백복령 3.8

*위의 약을 물에 달여 식간에 복용한다. 하루 2첩

*생강, 반하는 진토작용이 있다.

 

5). 복냉(腹冷), 오심, 식욕부진, 소화불량, 팔다리가 노곤하여 움직이기 싫어하는 증상을 동반한 음황. 복냉, 허복만(虛腹滿), 식욕부진, 소화불량을 동반한 만성 간염-인진부자건강탕(茵蔯附子乾薑湯). 부자(법제) 건강(법제) 7.5, 인진 4.5, 초두구 3.8, 지실 반하 택사 1.9, 백출 1.5, 백복령 귤홍 1.1, 강5

*위의 약을 물에 달여 식간에 복용한다. 하루 2첩

 

6). 팔다리와 몸이 싸늘하고 구역이 나며, 온몸이 노곤하고 지맥(遲脈)을 동반한 음황-인진오수유탕(茵蔯吳茱萸湯). 인진 5.6, 오수유 부자(법제) 건강(법제) 목통 당귀 3.8

*위의 약을 물에 달여 식간에 복용한다. 하루 2첩

 

7). 비허로 습이 성하여 입맛이 없고 온몸이 노곤하며, 움직이기 싫어하면서 소변불리를 동반한 음황-치내소달탕(治內消疸湯). 백출 백복령 의이인 18.8, 인진 치자 3.8, 진피 1.9

*위의 약을 물에 달여 하루 2번에 나누어 식간에 복용한다.

 

3. 역려발황(疫癘發黃)

 

열이 나면서 갑자기 발생하는 전염성 황달이다.

 

1). 오한발열(惡寒發熱), 변비, 배가 뜬뜬한 증상을 동반한 황달. 전염성 간염과 만성 간염의 활성기에 오한발열, 변비를 동반한 황달-장달환(瘴疸丸, 치자원, 인진환). 인진 치자 대황 망초 37.5, 행인 22.5, 상산 별갑 파두상 15, 두시 7.5

*위의 약을 가루내어 쌀풀로 반죽해서 0.15g 되게 제환한다. 한번에 10~15환씩 하루 2~3번 온수로 식간에 복용한다.

 

2). 열이 나고 가슴이 답답하며, 오줌이 벌거면서 양이 적고, 속이 트직하고 소화가 안되며, 몸이 오슬오슬 추우면서 아픈 증상을 동반한 황달-인진사황탕(茵蔯瀉黃湯). 갈근 5.6, 인진 황련(薑汁炒) 백출 적복령 백작약 후박 목통 인삼 치자(초) 3.8, 목향 2.6, 강3

*위의 약을 물에 달여 식간에 복용한다. 하루 2첩

*갈근, 황련은 해열작용이 있다.

 

3). 갑자기 떨리고 피부에 검푸른빛이 돌면서 대소변이 잘 나가지 않는 황달-고삼산(苦蔘散). 정력자(초) 18.8, 고삼 황련 과체 황백 대황 9.4

*위의 약을 가루내어 한번에 4g씩 하루 2~3번 미음에 타서 공복에 복용한다.

*정력자는 설사작용과 이뇨작용이 있다. 대황은 설사작용이 있다. 황백은 담즙분비작용이 있다.

 

4. 황달에 두루 쓰는 처방

 

1). 황달로 몸이 무겁고 오줌이 잘 나가지 않으면서 속이 트직하고 소화가 잘 안되는 증상. 전염성 간염 또는 만성 간염으로 소화가 안되고 소변량이 적은 증상-복령삼습탕(茯笭渗濕蕩, 복령제습탕) 1. 인진 7.5, 적복령 택사 저령 3.8, 황금 황련 치자 방기 백출 창출 진피 청피 지실 1.9

*위의 약을 물에 달여 식간에 복용한다. 하루 2첩

 

2). 대소변이 잘 나가지 않고 몸이 무거우며, 숨이 찬 증상을 동반한 황달. 일반 황달-필효산(必效散) 1. 인진 7.5, 용담 치자 황금 3.8, 정력자(초) 1.8

*위의 약을 물에 달여 식간에 복용한다. 하루 2첩

*용담, 치자, 황금은 담즙분비작용이 있다.

 

3). 목황, 뇨황을 동반한 황달-신달탕(腎疸湯). 창출 3.8, 승마 강활 방풍 고본 독활 시호 갈근 백출 1.9, 저령 1.5, 택사 신곡 인삼 감초 1.1, 황금 황백 0.8

*위의 약을 물에 달여 식후에 복용한다. 하루 2첩

 

4). 오한발열, 뇨황을 동반한 황달. 일반 황달. 전염성 간염, 만성 간염의 활동기에 오한발열, 뇨황을 동반한 황달-퇴황산(退黃散). 시호 승마 용담 인진 황련 황금 치자 황백 목통 활석 3.8, 등심 감초 1.9

*위의 약을 물에 달여 식간에 복용한다. 하루 2첩

*용담, 인진, 치자, 황백은 담즙분비작용이 있다. 시호, 승마, 황금, 황련은 해열작용이 있다.

 

5). 열이 약간 나고 오슬오슬 추우며, 몸이 부석부석 붓고 소변량이 적은 황달-일청음(一淸飮). 시호 11.3, 적복령 7.5, 천궁 상백피 3.8, 감초 1.9, 강3조2

*위의 약을 물에 달여 식간에 복용한다. 하루 2첩

*시호는 담즙분비작용, 해열이뇨작용이 있다.

 

6). 열이 몹시 나고 가슴이 답답하며, 뱃속이 트직하면서 변비를 동반한 황달. 소화기형과 감기형의 전염성 간염-인진대황탕(茵蔯大黃湯). 인진 치자 시호 황백 황금 승마 대황 3.8, 용담 1.9 

*위의 약을 물에 달여 식간에 복용한다. 하루 2첩

 

7). 먹은 것이 소화되지 않고, 가슴과 명치밑이 트직하면서 답답하고 때로 아프며, 입맛이 없으면서 황달이 계속될 때-퇴금환(褪金丸). 침사 향부자 225, 창출 백출 93.8, 진피 신곡 맥아 56.3, 후박 감초 37.5

*침사는 불에 달구었다가 식초에 담근다.

*위의 약을 가루내어 풀로 반죽해서 0.2g 되게 제환한다. 한번에 25~35환씩 하루 2~3번 미음으로 식간에 복용한다.

*속에 뜬뜬한 적(積)이 있을 때-加 삼릉 봉출 37.5. 삼릉, 봉출은 식초에 삶는다.

*주의점-물고기, 국수, 찬 음식을 삼간다.

 

8). 황달이 오래되어 온몸이 윤기없이 누렇고 식은땀이 나며, 손발이 달고 목이 마르며, 뼈마디와 아랫배가 아픈 증상-별갑산(鱉甲散) 1. 별갑 56.3, 인진 지골피 백작약 황기 치자 맥문동 11.3, 시호 7.5

*별갑은 초를 발라 누렇게 굽는다.

*위의 약을 거칠게 가루내어 한번에 10~12g씩 하루 2~3번 물에 달여 식간에 복용한다.

 

5. 황달의 침구치료

 

1). 양황

 

(1). 열>습-담수 양릉천 지양 태충. *열중자(熱重者)-加 대추 곡지. *심중오뇌(心中懊惱), 구오(嘔惡)-加 공손 내관. *복창변비-加 대장수 천추 지구

(2). 습>열-지음 완골 양릉천 태충 음릉천 내정

 

2). 급황(急黃)-12정혈 십선혈 대추 지양 담수

 

3). 음황-비수 족삼리 담수 양릉천 삼음교 기해. *신피외한(神疲畏寒)-加 명문 관원. *대변당설-加 천추

 

4). 위황(萎黃)-족삼리 삼음교 담수 기해 양릉천.

*위황증은 황달과 다르다. 위황증은 충적식체(蟲積食滯)로 인해 비토(脾土)가 허약해짐으로써 발생한다. 비위가 허약하면 음식물을 소화해서 기혈(氣血)을 생(生)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어 기혈이 부족하게 된다. 기혈이 부족하면 피부와 근육, 장부를 영양하지 못해 기부(肌膚)가 위황하고 광택이 없게 된다. 그외 과다출혈이나 큰병을 앓은 뒤 기혈이 손상되면 위황증을 초래할 수 있다.

  

 

자료제공-장수건강마을 충주 임종헌한의원 http://cafe.daum.net/leemsan-g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