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 의학 건강 이야기

건망증(健忘症, 기억상실증)의 한방치료

林 山 2009. 2. 17. 19:51

건망증(健忘症, forgetfulness, 잊음증)은 기억상실증(記憶喪失症, amnesia)이다. 오래된 일을 기억하지 못하거나 가끔 기억이 잘 나지 않는 것은 기억상실로 보지 않는다. 기억상실증은 기억상실의 정도에 따라 완전기억상실과 부분기억상실로 나눌 수 있다. 완전기억상실은 기억 자체가 불가능한 것을 말하는데, 주로 정신적인 문제로 발생한다. 완전기억상실은 뇌의 심각한 손상으로 생존조차 어려움을 의미한다. 부분기억상실은 장기기억상실과 단기기억상실로 나눈다. 장기기억상실은 오래된 기억을 잃어버리는 부분적 기억상실이다. 어릴 때 일을 잘 기억하지 못하는 아동기 건망증(childhood amnesia)도 장기기억상실이다. 단기기억상실은 바로 전에 일어났던 일이나 바로 전에 했던 말도 기억하지 못하는 것으로 가장 흔한 기억상실증이다. 단기기억상실증 환자는 누군가의 도움을 받지 않고 혼자 생활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단기기억상실은 영구적일 때도 있지만 대부분 회복된다. 

 

기억상실증은 또 기억상실의 전후기간에 따라 순행성 기억상실증(順行性記憶喪失症, anterograde ammesia)과 역행성 기억상실증(逆行性記憶喪失症, retrograde amnesia)이 있다. 순행성 기억상실증은 기억상실을 유발한 원인이 된 사건 뒤에 일어난 일들을 기억하지 못하는 기억장애(記憶障碍, memory disorder)다. 새로 접한 관념이나 체험을 아주 짧은 시간밖에 기억하지 못하기 때문에 단기기억만 가능하다. 이것은 단기기억에서 장기기억으로 넘어가는 과정에 문제가 생겨서 발생한다. 역행성 기억상실증은 기억상실을 유발한 원인이 된 사건 전에 일어난 일들을 기억하지 못하는 기억장애다. 그러나 기억을 상실한 기간보다  더 이전에 일어난 일들에 대한 기억은 상실되지 않는 특징을 보인다. 역행성 기억상실증은 대부분 뇌진탕(腦震蕩, concussion of brain) 같은 뇌의 손상에 의해 발생한다. 

 

기억상실은 정신적인 충격, 고령으로 인한 뇌의 퇴화와 손상, 코르사코프증후군(Korsakoff症候群, Korsakoff's syndrome)과 같은 질병, 약물중독, 알코올중독증, 마취 후유증, 정신신경증적 장애 등의 원인으로 생긴다. 정신적 충격이 있은 뒤에 나타나는 기억상실은 말하는 법과 같은 일반적인 기억보다는 주로 자신의 이름이나 나이 등 자기 신상에 대한 기억을 잃어버리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현상은 기억상실의 원인이 된 사건(관념, 체험, 기억)으로부터의 정신적 도피나 기억 그 자체를 거부하는 자기방어기제인 억압(抑壓, repression)에 의한 결과이다. 이 경우 기억이 억압되었을 뿐 실제로 기억을 잃어버린 것은 아니다. 고령으로 인한 뇌의 퇴화나 손상으로 인한 알츠하이머병(Alzheimer病)은 기억상실증이 주증상이다. 퇴행성 뇌질환인 알츠하이머병은 노화로 인해 뇌조직이 점차 기능을 잃으면서 정신기능이 쇠퇴하여 기억상실과 심각한 정서장애를 일으킨다.     

 

코르사코프증후군은 의식이 완전하고 명확한 지각력이 있으면서 심한 건망증이 특징인 신경질환이다. 1887년 러시아의 정신병학자 세르게이 코르사코프(Sergei Sergeievich Korsakoff, 1854~1900)에 의해 처음으로 기재되어 코르사코프병 또는 코르사코프정신병이라고도 한다. 만성 알코올중독증이 주원인이며 약물중독, 감염성 뇌질환, 뇌손상, 티아민 결핍증 등에 의해서도 발병한다. 환자들은 바로 직전의 사건조차도 기억하지 못하고 잊어버리는 기억장애와 발병 이전의 일까지 잊어버리는 역행건망(逆行健忘)을 보인다. 역행건망증은 심하면 수년에서 길게는 20년에 이르기까지 전혀 기억을 하지 못하기도 한다. 그러나 오래된 기억은 유지되는 경향이 있다.

 

코르사코프증후군 환자들에서 나타나는 또 하나의 특징적인 증상은 작화증(作話症, confabulation)이다. 작화증은 장기기억(長期記憶, long-term memory)의 한 형태인 일화기억(逸話記憶, episodic memory, 삽화기억)의 장애로 없었던 일을 마치 실제로 일어난 일처럼 자세하고 그럴듯하게 이야기하는 증상이다. 시간이나 방향 등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을 올바로 파악하지 못하는 소재의식의 장애가 나타나는 환자도 있다. 알코올중독증의 경우는 간장애와 다발성 신경염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두부외상이나 일산화탄소 중독에 의해 일시적으로 나타난 증상은 점차 치유된다. 뇌연화나 노년성 치매의 경우에는 잠시 호전되는 수도 있지만 치유되기 어렵다.  

기억상실증은 짧게는 몇 주에서 길게는 몇 달, 심지어 몇 년 동안 지속되기도 한다. 기억상실증에 걸린 기간 동안 환자는 전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방식의 생활을 하는 둔주(遁走, fugue)상태가 된다. 해리성 장애 가운데 하나인 심인성 둔주(心因性遁走  psychogenic fugue)는 부부간의 불화나 개인간의 갈등, 치열한 전투, 천재지변과 같은 극심한 스트레스를 겪은 뒤 나타나는 총체적 정체감의 상실로 나타난다. 심인성 둔주 환자는 이전의 가정과 직장을 떠나 전혀 다른 새로운 사람으로 행동한다. 새 이름, 새 가정, 새 직장은 물론 심지어 이전과는 전혀 다른 성격까지 갖게 된다. 사회생활에도 잘 적응하여 과거에 대한 건망증은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을 수도 있다. 기억이 회복되면 그 전의 기억은 되살아나지만 둔주기간에 일어났던 일은 기억하지 못한다.

 

1. 심기(心氣)가 부족하고 간풍(肝風)이 동하여 몸이 약간씩 떨리고 정신이 맑지 못한 건망증. 간질(癎疾, epilepsy)-귀사단(歸舍丹, 인신귀사단). 우담남성 75, 주사 37.5, 製부자 26.3. (단위 g, 강=생강, 단위 쪽, 조=대추, 단위 개)

*위의 약을 가루내어 돈심장(豚心臟)에서 낸 피와 반죽한 다음 3g 되게 제환한다. 한번에 5~7알씩 하루 2~3번 훤초(萱草) 달인 물로 식간에 복용한다. 돈심혈로 반죽이 잘 안되면 소맥분 풀을 조금 섞는다.

*천남성은 거담작용과 진정작용이 있다.

 

2. 심기가 부족하여 건망증이 심하며, 늘 불안하여 안정되지 못하고 무서워하며, 잠을 잘 못자고 꿈을 많이 꾸며, 가슴이 두근거리고 눈이 잘 보이지 않는 증상-정지환(定志丸) 1. 인삼 백복령 백복신 112.5, 석창포 원지 75, 주사 18.8 

*위의 약을 가루내어 졸인꿀로 반죽해서 3g 되게 제환하고 주사를 입힌다. 한번에 5~7알씩 하루 3번 식간에 미음으로 먹는다.

 

3. 담음(痰飮)이 성해서 건망증이 심하고 정신이 얼떨떨하며, 바보처럼 행동하는 증상-가미복령탕(加味茯笭湯). 인삼 製반하 진피 5.6, 백복령 향부자 익지인 3.8, 감초 1.9, 오매 1개, 강3

*위의 약을 물에 달여 식간에 먹는다. 하루 2첩

 

4. 건망증. 오래 복용하면 기억력이 좋아지는 처방-총명탕(聰明湯). 원지 석창포 백복신 30

*원지는 감초물에 축여서 심을 빼고 생강즙에 법제한다.

*위의 약을 거칠게 가루내어 한번에 12g씩 하루 2~3번 물에 달여 식간에 먹는다. 보드랍게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하루 3번 먹어도 된다.

 

5. 심비(心脾)가 허약하여 가슴이 두근거리고 잠을 자지 못하며, 건망증이 심한 증상-귀비탕(歸脾湯). 당귀 용안육 산조인(炒) 백출 백복신 인삼 황기 원지(법제) 3.8, 목향 1.9, 감초 1.1, 강5조2

*위의 약을 물에 달여 식간에 복용한다. 하루 2첩.

 

6. 몸이 허약하여 생긴 건망증-가감보심탕(加減補心湯). 진피 백복령 당귀 백작약 생지황 원지 맥문동 산조인(초) 지모 황백(酒炒) 9.4, 인삼 백출 석창포 감초 5.6

*위의 약을 물에 달여 공복에 먹는다. 하루 2첩

 

7. 심신(心腎)이 허약하여 불안해하고 가슴이 두근거리면서 건망증이 심한 증상-강심단(降心丹). 숙지황 당귀 천문동 맥문동 112.5, 백복령 인삼 산약 백복신 원지(薑製) 75, 육계 주사 18.8

*위의 약을 가루내어 졸인꿀에 반죽해서 0.3g 되게 제환한다. 한번에 30알씩 하루 2~3번 인삼 달인 물로 먹는다.

*당귀는 적혈구와 백혈구의 생성을 촉진시키며 진정작용이 있다. 숙지황은 강혈당, 강심이뇨작용이 있다. 산약에는 녹말소화효소가 들어 있고, 내분비선을 자극하여 몸의 저항력을 높인다.

 

8. 심신의 허약으로 오는 건망증. 온몸이 나른하고 잠을 못자며 가슴이 두근거리는 건망증-장원환(壯元丸). 원지(법제) 용안육 생건지황(酒洗) 현삼 주사 석창포 11.3, 인삼 백복신 당귀(주세) 산조인(초) 맥문동 백자인(去油) 7.5

*위의 약을 가루내어 돈심장에서 낸 피로 반죽해서 0.2g 되게 제환하고 금박을 입힌다. 한번에 30~50알씩 하루 3번 식후에 나미 미음으로 먹는다.

 

9. 담음이 심포락(心包絡)에 몰려 정신이 맑지 못하고 건망증이 심한 증상. 불안해하면서 때때로 팔다리가 뻣뻣하게 오그라드는 증상-반하주사환(半夏朱砂丸, 가미수성환). 반하(강제) 225, 천남성 112.5, 주사(水飛) 37.5, 호박 백반(炙) 18.8, 진주 3.8

*천남성은 불에 묻어 굽는다.

*위의 약을 가루내어 생강즙에 쑨 소맥분 풀에 반죽해서 1.5g 되게 제환하고 주사를 입힌다. 한번에 3~5알씩 하루 2~3번 식간에 먹는다.

 

10. 건망증-독서환(讀書丸). 백복신 원지(강제) 37.5, 인삼 진피 26.3, 석창포 당귀 18.8, 감초 9.4

*위의 약을 가루내어 소맥분 풀에 반죽해서 1.5g 되게 제환하여 주사를 입힌다. 한번에 5~7알씩 등심 달인 물로 잠자기 전에 먹는다.

 

11. 건망증. 오래 먹으면 기억력이 향상되는 처방-침중방(枕中方, 대성침중방). 구판 용골 원지(법제) 석창포 30.

*위의 약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하루 2~3번 술에 타서 식간에 먹는다.

 

12. 심장이 허하여 손발이 떨리고 가슴이 두근거리며, 머리가 어지럽거나 꿈이 많으며, 불면증과 건망증이 심한 증상. 이명(耳鳴), 이롱(耳聾), 간질-보심환(補心丸). 산조인(초) 백자인 112.5, 원지(강즙초) 93.8, 당귀 생건지황 감초 56.3, 인삼 37.5, 백복신 석창포 26.3, 천남성 반하곡 18.8, 호박 11.3, 천궁 사향 3.8, 금박 맞춤량.

*천남성은 우담으로 법제한다.

*위 약을 가루내어 졸인 꿀에 반죽해서 0.3g 되게 제환하고 겉에 금박을 입힌다. 하루에 20~30환씩 하루 3번 식간에 복용한다. 생강 달인 물로 복용해도 된다.

 

13. 정신적 과로, 심혈부족으로 가슴이 두근거리고 불안해하며, 자주 놀라는 증상. 건망증과 불면증. 심열로 입과 혀에 부스럼이 나는 증상-보심단(補心丹). 생건지황(酒洗) 150, 황련(酒炒) 75, 석창포 37.5, 인삼 당귀(주세) 오미자 천문동 맥문동 백자인 산조인(초) 현삼 백복신 단삼 길경 원지 18.8

*위 약을 가루내어 졸인 꿀에 반죽해서 0.3g 되게 제환하고 주사분을 입힌다. 잠잘 때 등심 또는 죽엽 달인 물로 한번에 30환씩 하루 3번 식후에 복용한다. 물에 달여 먹을 때는 위의 양을 10첩으로 하여 하루 2첩씩 복용한다.

 

14. 두부외상(頭部外傷)으로 머리가 띵하면서 건망증이 심한 증상-사물탕(四物湯) 가감. 숙지황 당귀 천궁 백작약 4.7+도인 울금 석창포 3.8

*위의 약을 물에 달여 식간에 복용한다. 하루 2첩.

 

15. 기가 허하여 자주 놀라고 불안해하며, 경미한 자극에도 가슴이 두근거리고 놀라면서 떨리고 기억력이 저하되는 증상. 신경쇠약, 심장신경증-호박정지환(琥珀定志丸). 천남성 300, 인삼 백복령 백복신 112.5, 주사 석창포 원지 75, 호박 37.5

*천남성은 술에 하룻밤 담갔다가 꺼내어 생강즙과 우유에 축여서 법제한다. 석창포는 돈담즙에 축여서 볶는다. 원지는 심을 버리고 돈담즙과 함께 삶아 꺼내어 말려서 다시 생강즙에 법제한다. 주사는 돈심장 속에 넣고 잡아매어 술에 찐다.

*위의 약을 가루내어 졸인꿀에 반죽해서 3g 되게 제환한다. 한번에 5~7환씩 하루 2~3번 생강 달인 물로 먹는다.

 

16. 심혈이 부족하여 잘 놀라고 가슴이 두근거리며, 건망증이 있는 증상. 신경쇠약, 심장신경증-가미영신환(加味寧神丸). 생건지황 56.3, 당귀 백작약 백복신 맥문동 진피 패모(炒) 37.5, 원지(薑製) 천궁 26.3, 산조인(초) 황련 감초 18.8

*위의 약을 가루내어 졸인꿀에 반죽해서 0.2g 되게 제환하여 주사를 입힌다. 한번에 50~70알씩 하루 2~3번 식간에 대추 달인 물로 먹는다.

  

 

자료제공-장수건강마을 충주 임종헌한의원 http://cafe.daum.net/leemsan-g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