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Sergei Vasil’evich Rakhmaninov, 1873~1943)는 러시아의 대표적인 피아니스트이며 작곡가로 피아노곡에 걸작이 많다. 라흐마니노프는 1873년 지주의 집안에서 태어나 유년 시절부터 피아노를 익혔고, 1882년 페테르스부르크 음악원에 입학, 1888년부터 모스크바 음악원에서 피아노 외에 타네예프(Sergey Ivanovich Taneyev, 1856~1915), 아렌스키(Anton Stepanovich Arensky, 1861~1906)에게 작곡법을 배웠다. 1892년 졸업연도에 썼던 피아노를 위한 '전주곡 c샵단조'가 후에 런던에서 소개되어 호평을 받은 것이 계기가 되어 1899년 런던 필하모니 협회의 초대를 받아 작곡가, 지휘자, 피아니스트로서 인정받게 되었고, 피아노 협주곡의 작곡을 의뢰받았다.
1897년 페테르스부르크에서 초연된 '교향곡 제1번'(1895)은 혹평을 받았다. 1901년 라흐마니노프는 명작 '피아노 협주곡 제2번'을 완성하여 글린카 상을 받았다. 1906년 드레스덴으로 옮겨 '교향곡 제2번', '피아노 소나타 제1번', 교향시 '죽음의 섬(Ostrov myortvikh)'을 완성했다. 1909년에는 미국으로 건너가 피아니스트로 활약하는 한편 '피아노 협주곡 제3번'(1909)을 뉴욕에서 초연했다.
1910년 귀국하여 모스크바 대극장, 마린스키 극장의 지휘자도 역임했지만 1917년 러시아 혁명으로 핀란드로 망명해 이듬해 미국으로 건너갔다. 재미 중 '피아노 협주곡 제4번'(1927), 피아노와 관현악을 위한 '파가니니의 주제에 의한 변주곡'(1934), '교향곡 제3번'(1936) 등의 명곡을 썼다. 라흐마니노프의 작품은 차이콥스키의 전통을 충실히 지키려하는 보수적 경향이 강하지만, 천재적인 피아니스트로서의 음악성을 강하게 내세워 서정성의 색채가 풍부하다.
<피아노 협주곡 2번(Piano concerto no.2 in c minor Op.18)>은 라흐마니노프가 1900년~1901년에 완성해서 니콜라이 달(Nikolay Vladimirovich Dahl)에게 헌정한 3악장의 협주곡이다. 라흐마니노프의 두 번째 협주곡이다. 초연은 1901년 11월 9일 모스크바에서 이뤄졌다. 이 곡으로 첫 ‘글린카 상’을 수상하였다.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 피아노 협주곡 2번
Sergei Rakhmaninov - Piano concerto no.2 in c minor Op.18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Sergei Rakhmaninov) 피아노
편성은 플루트 2, 오보에 2, B♭조 클라리넷 1(1악장), A조 클라리넷 1(2,3악장), 바순 2, 호른 4, B♭조 트럼펫 2, 트롬본 3, 튜바, 팀파니, 큰북, 심벌즈, 피아노, 현악기군으로 되어 있다.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 피아노 협주곡 2번
Sergei Rakhmaninov - Piano concerto no.2 in c minor Op.18
Nordwestdeutsche Philharmonie o.l.v. Martin Panteleev. Anna Fedorova, piano
이 작품이 작곡될 무렵 라흐마니노프는 깊은 슬럼프에 빠져 있었다. 그 원인은 3년 전 처음으로 작곡한 초연의 실패였다. 20대의 패기와 열정을 담아 첫 번째 교향곡을 완성했을 때 까지만 해도 그는 기대와 자신감에 넘쳐 있었을 것이다. 또한 글라주노프의 지휘는 그가 성공을 확신한 또 다른 요인이었다. 하지만 그의 기대를 저버린 채 초연은 실패로 끝나버리고 말았다.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 피아노 협주곡 2번
Sergei Rakhmaninov - Piano concerto no.2 in c minor Op.18
Yuja Wang, piano. Yuri Temirkanov, conductor. Verbier Festival Orchestra
실패의 여파는 상당했다. ‘화려한 경력을 쌓으려던 나의 꿈은 산산조각이 났다’라는 고백과 함께, 라흐마니노프는 극심한 충격과 좌절에 빠졌다. 라흐마니노프는 이 실패 이후로 한동안 곡을 쓸 수 없는 힘든 나날을 보내게 되었다. 물론 연주자나 지휘자로서는 훌륭히 활동하였지만, 쇠퇴해가는 창작력과 그로 인한 강박에 급기야는 정신과 치료를 받아야 할 정도로 상태가 악화될 정도였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이 시기에는 개인적 악재도 찾아왔다. 사촌이자 피아니스트였던 나탈리아 사티아와 사랑에 빠져 결혼을 하려고 했지만, 그녀 부모의 반대로 결혼이 무산되었던 것이다.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 피아노 협주곡 2번
Sergei Rakhmaninov - Piano concerto no.2 in c minor Op.18
Nobuyuki Tsujii, piano. BBC Philharmonic.
Juanjo Mena conductor. London, Proms 2013
그러나 라흐마니노프는 작곡으로 이 슬럼프를 이겨내기로 하였고, 힘들지만 계속해서 작곡에 몰입하려고 애썼다. 한편으로는 정신과 치료를 계속 받았는데, 이 때 라흐마니노프의 치료를 담당했던 니콜라이 달 박사는 일설에 의하면 그에게 ‘새로운 작품을 작곡하고 그 협주곡이 성공한다’라는 자기암시 최면을 통한 치료를 시도했다고 한다. 이 치료가 효과가 있었는지 라흐마니노프는 새 협주곡을 쓰게 되었고, 이 곡을 후에 니콜라이 달 박사에게 헌정하였다.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 피아노 협주곡 2번
Sergei Rakhmaninov - Piano concerto no.2 in c minor Op.18
ESTONIAN NATIONAL SYMPHONY ORCHESTRA, conductor ARVO VOLMER
soloist DARIA PARKHOMENKO(Russia), Tallinn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 2016
라흐마니노프는 이 곡으로 긴 터널과 같았던 자신의 슬럼프에서 빠져나올 수 있게 되었다. 이 작품은 1900년부터 작곡되기 시작하여 이듬해 초에 완성되었고, 앞서 완성된 제2, 3악장을 1900년 12월 2일, 작곡가 자신의 독주로 시연하였다. 대중들 앞에서 공식적으로 첫 선을 보인 것은 1901년 11월 9일 모스크바에서였다. 〈교향곡 제1번〉 초연 실패의 아픔을 가진 그로서는 매우 긴장되는 일이었을 테지만, 라흐마니노프는 피아노 연주자로서 직접 무대에 오를 것을 결심하였다. 그는 피아니스트로서도 매우 뛰어났기 때문에 힘과 테크닉을 모두 요하는 이 난곡의 연주자로서 부족함이 없었을 것이다. 지휘는 사촌인 알렉산더 실로티(Alexander Siloti, 1863~1945)가 맡았다.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 피아노 협주곡 2번
Sergei Rakhmaninov - Piano concerto no.2 in c minor Op.18
Herbert Von Karajan, Berliner Philharmoniker, Alexis Weissenberg, 1974
우려했던 바와 달리, 초연은 대단한 성공을 거두었고, 이는 작곡가로서 확고한 자리매김을 하는 기회가 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 작품으로 글린카 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얻기도 하였다. 이 작품은 이렇게 그의 인생에서 가장 힘들었던 슬럼프를 극복하고 재기의 발판을 만들어 준 중요한 작품으로, 그의 자전적인 이야기를 함축하고 있다고도 할 수 있겠다. 작곡가로서 겪었던 좌절과 그에 따른 고뇌, 투쟁과 극복에의 의지 등을 담고 있는 것이다. 또한 그는 이 협주곡을 통해 그 역경을 이겨내고 다시금 작곡가로서의 걸음을 걷기 시작했다.
오늘날 〈피아노 협주곡 2번〉은 라흐마니노프가 작곡한 네 곡의 피아노 협주곡 중에서도 가장 널리 연주되고 대중적으로 사랑받는 곡이다. 특히 2악장과 3악장은 국내외의 많은 영화나 드라마, 텔레비전 광고에 삽입되었다.
1악장 모데라토(Moderato)
Hélène Grimaud(solist), Claudio Abbado(conductor). Lucerne 2008
1악장 모데라토(Moderato)
Valentina Lisitsa · London Symphony Orchestra · Michael Francis
1악장 모데라토(Moderato)
Valentina Lisitsa · London Symphony Orchestra · Michael Francis
1악장 모데라토(Moderato) 2/2박자 c단조. 악장을 시작하는 피아노 독주는 화음과 베이스가 마치 낮고 무거운 종소리를 연상시키며 교대로 울려 퍼진다. 섬세하고 신중하게 시작되는 타건(打鍵, keying)은 결연한 느낌과 함께 점점 강해지는데, 이렇게 피아노 소리로 만들어낸 종소리는 곡의 시작과 동시에 라흐마니노프의 재기를 알리는 신호탄처럼 들린다. 이후 현악파트에서 제시되는 제1주제는 러시아의 정서를 듬뿍 머금고 있다.
라흐마니노프는 이에 대해 '나는 특별히 러시아 음악을 쓰려고 억지로 시도하지 않았다. 그러나 나는 러시아 작곡가이며 러시아는 나의 기질에 영향을 주었고, 따라서 나의 음악은 나의 기질에 따라 러시아 음악이 될 수밖에 없다. 나는 선대 작곡가인 림스키코르사코프와 차이코프스키를 일부러 모방하려 하지 않았지만 그들의 영향을 받았을 것이다. 나는 그저 내 마음에 차 있는 것을 음악으로 명료하게 나타내려고 하였다.'고 말하였다.
이어지는 제2주제는 피아노를 통해 처음 나온다. 재현부 이후 행진곡으로 등장하는 제1주제와 나른하게 등장하는 제2주제 뒤로 카덴차는 생략되고, 종결구는 다시금 힘차게 진행되어 악장을 마무리 짓는다.
2악장 아다지오 소스테누토(Adagio Sostenuto)
Hélène Grimaud(solist), Claudio Abbado(conductor). Lucerne 2008
2악장 아다지오 소스테누토(Adagio Sostenuto)
Krystian Zimerman · Boston Symphony Orchestra · Seiji Ozawa, 2003
2악장 아다지오 소스테누토(Adagio Sostenuto) 4/4박자 c단조. 앞선 2악장의 조성 c단조로 시작하여 관현악군의 짧은 경과구를 거친 후 곧 악장의 본 조성인 E장조로 넘어간다. 악장 중간에 경쾌한 스케르초풍의 섹션이 들어있으나 전반적으로 느리고 서정적이며 선율이 아름답다.
에릭 카먼(Eric Carmen) - All by my self
Eric Carmen(에릭 카먼) & Celine Dion(셀린 디온) - All By Myself
Celine Dion(셀린 디온) - All By Myself
Leona Lewis(레오나 루이스) - All By Myself
Mariah Carey(머라이어 캐리) - All By Myself
이 악장은 세 악장 중에서 대중의 사랑을 가장 많이 받고 있는 악장이다. 특히 주요 선율은 에릭 카먼의 팝송 ‘All by my self’에 사용된 것으로 유명한데, 이 팝송의 가사는 마치 창작의 고통 가운데 고독함에 몸부림치던 라흐마니노프의 심경을 대변하는 듯하다.
3악장 알레그로 스케르찬도(Allegro Scherzando)
Hélène Grimaud(solist), Claudio Abbado(conductor). Lucerne 2008
3악장 알레그로 스케르찬도(Allegro Scherzando)
Vladimir Ashkenazy · London Symphony Orchestra · André Previn, 1972
3악장 알레그로 스케르찬도(Allegro Scherzando) E장조 2/2박자. 이 역시 앞선 악장의 조성을 이어온 것으로, 관현악군이 춤곡풍 리듬으로 연주하는 경과구를 거쳐서 본 조성인 c단조로 이행한다. 피아노의 경과부와 제1주제를 거쳐, 제1악장의 제2주제와 긴밀한 관련을 가지는 제2주제가 등장한다. 구조적이면서도 다이내믹한 발전부와 재현부를 거쳐 이 제2주제는 다시금 절정부에서 강조되어 등장하는데, 이때는 관현악의 합주로 나온다. 이 클라이맥스를 거쳐 음악은 C장조로 바뀌며 승리, 혹은 극복을 암시한다.(클래식 백과)
2017. 12.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