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 뉴스 헤드라인

2019. 11. 18. BBC 월드 뉴스 헤드라인

林 山 2019. 11. 18. 23:40

1. Hong Kong: Protesters and police in fiery stand-off at university. A stand-off at a Hong Kong university campus has led to fiery clashes overnight, as hundreds of protesters tried to repel a police advance.


홍콩 대학서 시위대와 경찰 격렬한 충돌, 경찰 실탄 발사 위협~!


홍콩 폴리네트닉 대학 캠퍼스 인근에서 일어난 화재


6개월째 이어지는 홍콩 시위 사태가 최근 남성 두 명이 사망하는 등 점점 더 격화되고 있다. 홍콩 폴리네트닉 대학 캠퍼스로 도피한 민주화 시위대가 18일 경찰의 진입을 막기 위해 정문에 불을 붙였다.


이날 새벽 몇 차례 큰 폭발음이 들린 뒤 홍콩 이공대 입구가 화염에 휩싸이기 시작했다. 경찰의 캠퍼스 진입 시도는 시위대에 의해 무산되었다.


앞서 홍콩 경찰은 경찰관 한 명이 시위대가 쏜 화살을 맞자 시위대가 흉기를 사용할 경우 이에 맞서 실탄을 발사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경찰은 이날 새벽 대학 인근 시위 현장에서 실탄 세 발을 발사했으나 사상자가 발생하지는 않았다고 밝혔다.


전날인 일요일 내내 일어난 격렬한 충돌 속에 경찰관 한 명이 시위대가 쏜 화살에 다리를 맞았다. 시위대는 화염병을 던지고 경찰은 최루탄을 쏘며 양측의 충돌은 밤새도록 이어졌다. 시위대는 경찰이 물대포를 쏘면 우산 아래 웅크리고 앉아 있다가 장갑차를 향해 화염병을 던지며 맞섰다.


경찰 대변인은 페이스북 생방송으로 시위대를 향해 강력한 경고를 보내는 가운데 경찰은 캠퍼스를 ‘폭동’ 장소로 선언하며, 출입구를 봉쇄했다. 폭동 가담자는 최대 10년의 징역에 처해질 수 있다. 루이스 라우 경찰 대변인은 "폭도들에게 경찰을 공격하기 위해 화염병, 화살, 자동차나 기타 어떤 치명적인 무기도 사용하지 말 것을 경고한다"면서 “그렇게 위험한 행동을 계속한다면, 우리는 반격하기 위해 실탄을 포함한 무력을 쓸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폴리네트닉 대학 캠퍼스 안에 갇힌 시위자들은 공포에 휩싸였다. 대학 캠퍼스가 경찰에 의해 완전히 포위됐기 때문이다. 일요일 내내 시위대는 대학 지붕 위로 올라가 자체 제작한 투석기로 돌을 쏘며 경찰의 캠퍼스 진입 시도를 저지했다. 복면을 쓴 채 스포츠용 활을 들고 현장을 순찰하는 사람들의 모습도 눈에 띄었다.


중국은 시위를 용인하지 않겠다고 거듭 경고하고 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14일 브라질 브릭스(BRICS) 정상회의에서 "홍콩에서 계속해 과격한 폭력 범죄 행위가 벌어져 법치와 사회 질서가 짓밟히고 있다"며 "폭력을 중단시키고 혼란을 제압해 질서를 회복하는 것이 홍콩의 가장 긴박한 임무"라고 강조했다. 중국이 민주화 요구 시위를 끝내기 위해 중국이 직접 무력 개입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점점 커지고 있다.


*支持香港市民要求民主化示威~!

I support Hong Kong citizens' pro-democracy protests~!

홍콩 시민의 민주화 요구 시위를 지지합니다~!


2. US election 2020: Democrats respond to Obama's warning. Democratic presidential candidates have given their reaction to a warning by former President Barack Obama against moving too far left in politics.


2020 미국 대선, 민주당 경선 후보들 향한 오바마의 충고~!


미 민주당 경선 후보 엘리자베스 워런(좌), 버니 샌더스(중), 훌리안 카스트로(우)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이 미국 민주당 경선 후보들에게 현실성이 없는 정책을 자제하라고 충고했다. 오바마 전 대통령은 민주당이 무리할 정도로 혁명적 좌파 정책을 추진한다면 유권자들이 소외감을 느낄 것이라고 말했다.


한 기부금 마련 행사에 참석한 오바마 전 대통령은 유권자 대부분은 시스템의 붕괴를 바라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아직 공식적으로 민주당 후보를 지지하지 않고 있다.


2020 미국 대선을 위해 민주당 경선에 참여한 민주당 후보는 총 18명이다. 민주당 경선 후보자 중 지지율 선두는 조 바이든 전 부통령, 엘리자베스 워런, 버니 샌더스 등이다. 그들의 경쟁 상대는 지구상에서 가장 강력한 권력을 가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다.


지난 금요일 워싱턴에서 열린 기부금 마련 행사에서 오바마 대통령은 특정 후보 또는 정책을 언급하지 않았다. 하지만 민주당에 의료보험과 이민 정책이 중요한 유권자들에게 신경을 써달라고 촉구했다. 이어 그는 유권자들의 시각이 왼쪽으로 기울어진 트위터 피드나 민주당의 운동가와는 다르다고 덧붙였다. 민주당 경선을 약 4개월 앞두고 나온 이번 발언은 지금까지 오바마 전 대통령의 경선에 관한 가장 구체적 언급이다.


일각에선 샌더스 의원과 워렌 의원을 겨냥한 발언으로 풀이하고 있다. 둘은 경선 후보 중 가장 좌파적 성향이 강한 후보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두 후보 모두 광범위한 정치-경제 개혁 추진 공약을 내걸고 있다. 일부 정책 중에는 개인 보험 정책 폐지와 국경 지대의 불법 밀입국의 비범죄화도 들어 있다.


2009년부터 2017년까지 미국 대통령을 역임한 오바마 전 대통령은 미국이 혁명적인 변화보다는 발전에 더 관심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용기를 가지고 우리의 비전을 추진해 나아갈 때도 현실성이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민주당 경선은 내년 2월 아이오와 주에서 시작된다. 민주당 일각에서는 중도 성향의 바이든 전 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을 이기는 게 쉽지 않으리라 전망하고 있다. 그로 인해 여러 후발 주자들이 경선 레이스에 뛰어들 것이란 예측도 나오고 있다.


한편, 힐러리 클린턴 전 미 국무장관이 막바지에 경선에 참여할지도 모른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BBC와의 인터뷰에서 클린턴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도전하라는 엄청난 압박을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힐러리 클린턴도~?


3. Michael Bloomberg apologises for 'stop-and-frisk' policy. Michael Bloomberg, the billionaire former mayor of New York who has made moves towards running as a presidential candidate, has apologised for backing the city's "stop and frisk" policy.


미 대선 도전 마이클 블룸버그, 불심검문 인종차별 논란 사과~!


미 민주당 대선 경선 참여를 선언한 억만장자 마이클 블룸버그


미국 대선에 도전장을 던진 마이클 블룸버그(77) 전 뉴욕시장이 17일(현지시간) 과거 시장 재직 시절 펼쳤던 '신체 불심 검문(Stop and Frisk) 강화' 정책을 사과했다. 블룸버그는 뉴욕 브루클린에 위치한 흑인 대형교회인 '크리스천 문화센터'(CCC)를 찾아 신도들 앞에서 고개를 숙였다.


블룸버그는 흑인과 라틴계 미국인에 대한 과잉 검문과 인종 차별 논란을 불러일으켰던 신체 불심 검문 강화에 대해 "내가 잘못했다. 사과한다"고 밝혔다. 민주당 대선후보 경선 합류를 선언한 후 그가 공개석상에서 발언한 것은 처음이다.


블룸버그는 시장 시절 경찰이 거리에서 임의로 시민의 몸을 수색할 수 있도록 했고, 최근까지도 이를 강력히 지지했으나 민주당 대선후보 경선을 앞두고 자신의 입장을 뒤집은 것이다. 그의 태도 번복은 민주당의 중요한 지지기반인 흑인과 라틴계 미국인의 표를 무시할 수 없다는 현실적인 고려에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


블룸버그는가 강행한 신체 불심 검문으로 아무 죄가 없는 많은 사람이 검문을 당했으며, 그들 중 압도적 다수는 흑인과 라틴계였다. 블룸버그가 비록 자신의 정책 오류를 시인했지만 흑인과 라틴계 유권자들의 표심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미지수다.


블룸버그는 예배를 마친 뒤 흑인 인권지도자인 알 샤프턴 목사에게 전화를 걸어 사과 사실을 알렸다. 샤프턴 목사는 "우리 같은 사람들이 한번의 사과로 당신을 용서하고 잊을 것이라고 기대하지 마라"고 답하면서도 블룸버그 전 시장을 조 바이든 전 부통령이나 버니 샌더스 상원의원 등 다른 정치인과 같은 잣대로 바라보겠다는 약속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블룸버그는 공화당 후보로 적격인 것 같은데..... 알 샤프턴 개념 목사~!


4. Australian politicians banned from China 'will not repent' for criticism. Two Australian politicians refused entry to China have said they will not retract their criticisms of the country.


중국, 홍콩 신장 웨이우얼 인권 문제 비판한 호주 정치인 입국 불허~!


호주 자유당 소속 제임스 패터슨 상원의원(좌), 앤드루 헤이스티 하원의원(우) 


중국 정부가 홍콩과 신장 웨이우얼(위구르) 인권 문제를 비판한 호주 국회의원 2명에게 “진정으로 회개해야” 입국 비자를 내주겠다며 중국 방문을 불허해 논란이 되고 있다. BBC는 17일(현지시간) 호주 자유당 소속 앤드루 헤이스티 하원의원과 제임스 패터슨 상원의원은 내달 중국에 연수차 방문할 계획이었으나 호주 주재 중국 대사관으로부터 비자 승인을 거부당했다고 보도했다.


헤이스티 의원과 패터슨 의원은 평소 중국의 인권 문제와 중국의 호주 정치 개입을 공개적으로 비판해왔다. 헤이스티 의원은 지난 8월 호주 신문 ‘시드니 모닝 헤럴드’에 중국의 신장 웨이우얼족(위구르족) 인권 탄압 상황을 고발하는 글을 올린 바 있다.


패터슨 의원도 방송에서 홍콩의 폭력 사태에 대해 우려하면서 중국 정부를 비판한 적이 있다. 패터슨 의원은 지난 15일 호주 ABC방송에 출연해 “세계에서 가장 놀라운 장소 중 한 곳인 홍콩에서 일어나는 일은 완전한 비극”이라며 “중국 공산당이 일정 부분 책임이 있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두 의원은 중국의 입국 제재 결정에 대해 “실망했지만 놀라지는 않았다”는 입장과 함께 중국의 요구사항을 수용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헤이스티 의원은 지역매체와 인터뷰에서 “패터슨 의원과 나는 회개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하고 싶다”며 “호주의 자주권, 우리의 가치와 이익, 그리고 자신을 위해 나설 수 없는 사람들을 위해 대신 나선 것을 회개하지 않겠다”고 잘라 말했다.


패터슨 의원도 “회개란 없다”며 “나는 호주 국민의 가치와 걱정, 이익 등 호주 국민을 대변하기 위해 뽑힌 사람이다. 다른 외국 권력의 지시에 따라 회개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한편, 뉴욕타임스(NYT)는 중국 신장 웨이우얼 자치구 내 소수 민족 인권탄압을 기술한 내부 문건을 확보해 보도한 바 있다, 뉴욕타임스는 해당 문건을 인용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절대 자비를 베풀지 말라(absolutely no mercy)”는 명령을 폭로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신장 웨이우얼 자치구에 웨이우얼족과 카자흐족, 그외 소수민족 약 100만 명을 감금하고 있다. 보도를 접한 호주 정치인들은 중국의 인권 탄압 문제에 심각한 우려를 표명했다.


중국은 신장 웨이우얼족 구금시설에 대한 국제적 비판을 거부하고 이슬람교를 믿는 웨이우얼족 등 소수민족에 대한 인권탄압을 부인하면서 이슬람 극단주의에 대항하기 위한 것이라는 태도로 일관해 왔다. 이들 문건에는 해외 유학 후 중국으로 돌아온 학생들이 신장 자치구 구금시설에 수용된 가족의 행방을 찾을 때를 대비한 지침 등이 포함돼 있다. 해당 지침에는 가족과 친척들이 이슬람 테러리즘 “바이러스(virus)”에 “감염돼(infected)” 격리됐다고 유학생들에게 설명하라는 권고가 담겨있다.


호주 연방 야당의 페니 웡 예비 외무장관은 중국이 해당 보도에 대해 투명하게 즉각 답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호주는 위이우얼족 등 소수민족에 대한 강제 구금을 멈출 것을 중국에 계속 촉구해왔다.


*누구를 위한 공산주의, 누구를 위한 공산당인가?


5. Israel Folau criticised for 'appalling' Australia bushfire remarks. Rugby player Israel Folau has drawn anger for linking Australia's bushfire crisis to the nation's same-sex marriage and abortion laws.


퇴출 럭비선수 이스라엘 폴라우, '호주 산불은 신의 심판' 발언에 호주 정치권 한 목소리 비판~!


LGBT(성소수자)를 비방했다가 해고된 럭비선수 이스라엘 폴라우


LGBT(성소수자)를 비방했다가 해고되어 부당 해고 법정 투쟁을 벌이고 있는 이스라엘 폴라우의 최근 발언에 시민들과 정치권의 비난이 이어지고 있다. 기독교인인 폴라우는 동성애자들이 지옥에 갈 것이라는 발언을 해 호주 대표팀 왈라비스에서 해고됐다. 그는 현재 전 고용주인 럭비 오스트레일리아를 상대로 해고 무효 소송을 벌이고 있다.


폴라우는 최근 “호주를 뒤덮고 있는 산불 사태는 낙태와 동성애 합법화에 따른 하나님의 심판”이라고 발언해 다시금 논란에 불을 붙였다. 스콧 모리슨 연방 총리는 폴라우의 발언이 “엄청나게 무감각한 발언”이라고 비난했다. 연방 야당의 앤소니 알바니즈 당수도 “비난받을 만한 발언”이라고 폴라우를 비판했다.


모리슨 총리는 18일 애들레이드에서 만난 기자들에게 “나는 이 같은 발언이 엄청나게 무감각한 발언이라고 생각한다”면서 “분별이 없거나 도움이 되지 않는 말이라면 그냥 혼자 알고 있는 것이 어떤가?”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확신컨대 이는 호주의 수많은 기독교인들의 관점이 전혀 아니며, 끔찍한 화재로 고통받고 있는 사람들을 위해 기독교인들이 마음을 모아 기도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한편 연방 야당의 앤소니 알바니즈 당수는 이스라엘 폴라우가 이전에도 도발적인 발언을 한 전력이 있다며, 그를 거부하는 것은 상식을 지닌 사람들의 의무라고 말했다. 알바니즈 당수는 스카이뉴스와의 인터뷰에서 “그의 발언은 비난받아 마땅한 다른 발언들과도 맥을 같이 한다”면서 “사람들이 말하기 전에 생각을 했으면 좋겠다. 이 같은 발언은 토론에 있어 긍정적이거나 건설적인 어떤 것도 가져다주지 않는다”라고 덧붙였다.


*종교라는 허울을 쓰고 자행하는 폭력.....


6.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may investigate UK 'war crimes cover-up'.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could open its first investigation into the British military following a BBC programme about alleged war crimes.


국제형사재판소, 영국군이 자행한 전쟁 범죄 조사~!


영국군의 전쟁범죄가 자행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라크 스티븐 캠프


영국 군인들이 중동에서 민간인 고문과 아동 살해에 연루됐다는 증거를 군 고위 지휘관과 정부가 은폐했다는 충격적인 의혹이 제기됐다. BBC는 17일(현지시간) 1년 간 공동으로 정부 비밀 보관 문서와 11명의 군 조사관들을 취재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보도했다.


조사관들은 영국 국방부가 만든 '이라크의 역사적 진상조사 전담팀'(IHAT)과 아프가니스탄에서 벌어진 전쟁범죄를 조사하기 위해 2014년 꾸려진 '노스무어 작전'(Operation Northmoor) 소속으로 활동했다. 두 조직은 2017년 해체됐다.


BBC는 영국 공수특전단(SAS)이 자행한 살인과 왕립 스코틀랜드 보병연대인 블랙와치(Black Watch)가 억류자를 상대로 저지른 구타, 구금 중 사망, 고문, 모멸적인 성적 학대에 대한 증거가 나왔다고 밝혔다. 군 조사관들은 또한 군 고위 지휘관들을 기소할 수 있는 문서 위조 혐의도 발견해냈다. 한 SAS 고위 지휘관은 검사의 법 집행을 방해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사관들은 명백한 증거들이 정치적 이유로 완전히 무시된 것에 좌절했다고 토로했다. 한 조사관은 "중요 결정은 우리의 손을 떠났다"면서 "국방부로부터 이번 사안을 가능한 한 빨리 덮으라는 압력이 점점 더 많이 가해졌다"고 말했다.


BBC는 "이들 폭로는 제네바협약 위반에 대해 다루는 국제형사재판소(ICC)가 영국군을 상대로 전쟁범죄에 대해 조사하는 결과로 이어질 수도 있다"며 "그럴 경우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의 선거 공약과 충돌하게 된다"고 밝혔다. 존슨 총리는 지난주 군대의 합법적 행위를 보호하기 위해 인권법을 수정할 계획이며, 10년 이상 된 범죄로 군인을 기소하는 것을 어렵게 만드는 법을 구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영국 국방부는 은폐 주장이 근거가 없다고 일축했다.국방부는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에서 영국군의 행동에 대한 주장들에 대해 광범위하게 조사를 했으며, 국방부와 독립적인 군 검찰당국(SPA)은 그중 어떤 건에 대해서도 기소를 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BBC는 오는 18일 오후 9시 '파노라마 : 드러난 전쟁범죄 스캔들'을 통해 관련 의혹을 방송할 예정이다.


*오늘날 중동 분쟁의 씨앗은 왕년의 국제 깡패 영국인들이 뿌린 것~!


7. Bolivia crisis: Food and fuel shortages as death toll mounts. Bolivian officials have flown basic provisions into the capital, La Paz, amid reports of food and fuel shortages.


볼리비아 시위대 수도 라파스 고립시켜, 식량과 연료 부족 극심~!


석유 공급 중단으로 문을 닫은 주유소


BBC는 17일(현지시간) 부정선거 논란 끝에 불명예 사퇴한 에보 모랄레스 전 볼리비아 대통령을 지지하는 시위대가 고속도로를 마비시켜 수도인 라파스가 식량과 연료 부족을 겪고 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라파스 시민들은 거리 상점마다 긴 줄을 서서 닭, 달걀, 요리용 연료를 확보하느라 애를 먹고 있다.


우파 사회민주주의운동 소속 자니네 아녜스 임시 대통령 측은 고속도로에 세워진 바리케이드를 우회해 라파스에 물품을 공급하기 위해 비행기를 이용한 공중 보급로를 설치했다고 말했다. 대통령측 대변인은 관리들이 물품 공급이 끊긴 다른 도시들에도 이를 설치하길 바라고 있다고 말했다.


아녜스 임시대통령은 정국 혼란 직전엔 상원 부의장이었다. 그러나 대통령과 부통령, 상하원의장이 모두 공석이 되자 12일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그는 조기 대선을 약속했지만 국회의원들은 대선 일정도 아직 정하지 못하고 있다.


모랄레스 전 대통령은 같은 날 멕시코로 도주했다. 그후 대부분 코카 농장 지역의 농민들인 그의 지지자들은 거리로 뛰어나갔다. 일부는 집에서 만든 바주카포, 권총, 수류탄으로 무장하고 바리케이드를 치며 보안군과 교전을 벌였다.


모랄레스 지지자들은 아녜스 임시 대통령이 사임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이들은 18일 자정까지 사임 시한을 주고 압박하면서 90일 내로 선거를 실시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시위대의 도로 봉쇄로 식량이나 석유 등이 도시로 들어오지 못하자 라파스의 가난한 지역에 사는 많은 시민들이 요리를 위해 나무를 때고 있다. 모랄레스를 지지하는 수도 인접 도시 엘알토 지도자들이 18일 총파업을 독려하고 있어 수도 인근 지역의 물품 공급 부족 사태가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보인다.


모랄레스 전 대통령은 볼리비아 원주민, 농촌과 서민층의 지지를 받고 있었지만 선거 부정 의혹이 일어나면서 반대 시위와 지지 시위가 모두 촉발됐다. 볼리비아 극빈층 원주민 출신인 그는 원주민의 전통인 코카 재배에 대한 정부의 금지에 저항하는 농민 운동을 이끌다가 대통령에 당선됐다.


*볼리비아는 지금 내전 상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