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 뉴스 헤드라인

2019. 12. 9. BBC 월드 뉴스 헤드라인

林 山 2019. 12. 9. 20:43

1. New Zealand volcano: At least five dead after White Island eruption. A volcano has erupted in New Zealand, leaving five dead and several unaccounted for, police have said.


뉴질랜드 북섬 동부 화이트 섬 폭발 최소 5명 사망, 8명 실종, 수십 명 부상~!


뉴질랜드 북섬 동해안의 화이트 섬 활화산


BBC는 뉴질랜드 북섬 동해안에 있는 화이트 섬에서 9일 오후(현지시간) 화산이 분출, 최소 5명이 숨지고 다수가 실종되었다고 보도했다. 북섬 동부 베이오브플렌티 지역에 있는 화이트섬은 북섬 해안선에서 48km 정도 떨어진 화산섬으로 화산 분화구 관광으로 유명한 곳이다.


존 팀스 경찰청 부청장은 이날 언론 브리핑을 통해 이날 오후 2시 11분쯤 시작된 화산 분출로 목숨을 잃은 사람은 지금까지 5명으로 확인됐다며 그러나 사망자가 더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사망자는 현재 북섬 타우랑가에 정박 중인 크루즈 선 '오베이션오브더시즈' 호의 승객인 것으로 알려졌다.


팀스 부청장은 "현 단계에서 경찰이나 긴급구조대가 섬으로 올라가는 게 상당히 위험하다"며 "섬은 지금 화산재와 분화구에서 뿜어져 나온 물체들로 뒤덮여 있다"고 말했다. 그는 구조헬기 등에 의해 사망자 5명을 포함해 23명은 섬에서 밖으로 빠져나왔으나 실종자가 몇 명인지는 아직도 확실치 않다며 분출 당시 50명 정도가 섬에 있었다면 27명 정도가 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 방송은 분출 당시 화이트섬에는 호주인 24명이 있었다고 보도했다.


저신다 아던 뉴질랜드 총리는 이날 화산 분출 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화이트 섬에는 분출 당시 100여 명이 있었다고 밝혔으나 경찰은 그 후 50명이 채 안 되는 사람들이 섬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정정했다. 아던 총리는 이날 밤 사고 현장을 찾을 예정이라며 실종되거나 다친 사람들은 뉴질랜드와 외국 관광객들이라고 밝혔다. 그는 특히 외국 관광객들을 위해 외교부에 대책반을 구성해 외국에서 오는 문의 등에 응하고 있다며 "경찰의 구조 작전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화이트 섬 화산 폭발 장면


뉴질랜드 텔레비전(TVNZ) 방송의 1뉴스는 뉴질랜드 지질 활동 관측기구 지오넷이 제공한 사진을 보면 화산이 분출하기 직전에 분화구 근처를 사람들이 걸어가는 모습도 보인다고 전했다. 현지의 한 매체는 화산 분출로 다친 사람도 20명 가까이 이르며 대부분 심각한 화상을 입은 것으로 알려졌다고 보도했다. 뉴질랜드 응급구조대 세인트존은 화산 분출 후 신고를 받고 헬기들이 현장으로 출동했다며 부상자 중에는 중상자들도 있다고 밝혔다.


화이트섬에는 검은 연기와 증기를 내뿜으며 화산이 분출한 직후 0에서 5까지 6개 등급 중 두 번째로 높은 4등급의 화산 경보가 발령됐으나 그 후 분출 활동이 주춤해지면서 3등급으로 하향 조정됐다.


*가까이 하기엔 너무나 위험한 화산~!


2. Finnish minister Sanna Marin, 34, to become world's youngest PM. Sanna Marin is to become the world's youngest prime minister at the age of 34 - and will head a women-led coalition government in Finland.


핀란드 산나 마린 세계 최연소 여성 총리~!


핀란드 세계 최연소 여성 총리 산나 마린


핀란드에서 세계 최연소 총리가 나왔다. 충리에 당선된 산나 마린은 1985년생으로 올해 34살이다. 산나 마린은 5개 정당으로 구성된 핀란드 연립 정부를 이끌 예정이다. 다섯 정당 모두 여성이 당수를 맡았다.


안티 린네 전 총리가 사임함에 따라 핀란드 제1당인 사회민주당은 교통통신부 장관이었던 마린을 총리후보자로 지명했다. 린네 전 총리는 핀란드 우편, 물류 노동조합의 파업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으며 사임했다.


마린은 세계 최연소 현직 총리가 될 예정이다. 한편, 뉴질랜드의 저신다 아던 총리는 39세, 우크라이나의 알렉세이 곤차룩 총리는 35세다.


총리 투표에서 간발의 차로 승리한 마린은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해야 할 일이 많다"고 기자들에게 전했다. 나이에 관한 질문에 대해서는 "나는 한 번도 내 나이나 성별을 생각한 적이 없다. 내가 정치에 입문한 이유를 떠올렸고 그것이 유권자의 신뢰를 얻게 된 이유다"라고 말했다.


마린은 핀란드의 3번째 여성 총리다. 핀란드 방송사 YLE에 따르면 산나 마린의 어머니는 싱글맘으로서 육아를 담당했고, 마린은 집안에서 최초로 대학교에 간 사람이다.


*우먼 파워~!


3. Saudi Arabia ends gender segregation in restaurants. Saudi Arabia will no longer require restaurants to have separate entrances segregated by sex, the government says.


사우디아라비아, 대중음식점 남녀 출입 구별 정책 폐지~!


남녀 이용 공간이 구분된 사우디 맥도널드


사우디아라비아가 대중음식점에서 남녀의 출입을 구별했던 정책을 폐지하기로 결정했다. 이전까지는 대중음식점에 여성과 가족동반 출입문과 남성 전용 출입문을 나눠서 설치하도록 했다. 이미 많은 식당과 카페 등에서 이러한 차별정책을 시행하지 않고 있지만, 이번에 공식적으로 폐지하기로 했다.


최근 모하메드 빈 살만 왕세자는 극단적으로 보수적이었던 사우디 왕국에 상당한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하지만 강력한 탄압도 지속하고 있다는 비판이다.


올해 초 사우디 당국은 남성 후견인 허락이 없어도 여성의 해외 여행을 허용했다. 앞서 지난해에는 여성들의 운전 금지 조치를 해제하기도 했다.


또 지난 10월에는 비자 정책을 바꿔 결혼하지 않은 외국인 커플이 사우디 호텔에서 함께 묵는 걸 허용하기로 했고, 또한 여성이 호텔 방에서 혼자 머무는 것도 허용했다.


활동가들은 그러나 아직도 여성에 대한 차별이 곳곳에 자리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사우디 정부가 개혁정책 도입에도 불구하고, 여러 저명 여성인권 운동가들을 체포했다고 강조했다.


지난 8일 사우디 정부는 더는 식당들이 남녀 출입문을 구별하는 것을 강제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다만 앞으로 식당의 자율에 맡길 것이라고 밝혔다. 지금까지는 대부분 식당들이 여성과 가족단위 손님과 남성을 가림막으로 분리했다.


2017년 모하메드 빈 살만 왕세자가 공식 왕위 승계자가 된 후 보수적인 사우디에 여러 개혁정책 시도되고 있다. 하지만, 실권을 장악하기 위해 권력 경쟁자와 비판자들을 탄압하고 있다는 비판도 있다. 특히 사우디 정권을 비판해 온 언론인 자말 카슈끄지가 2018년 터키 이스탄불의 사우디 영사관에서 살해당한 이후 논란은 더 불거졌다.


*민주주의와 부의 공정한 분배는 신의 명령~!


4. Ukraine: Paris talks with Russia aim to end eastern conflict. The leaders of Russia and Ukraine will hold their first face-to-face talks in an attempt to tackle five and a half years of conflict in east Ukraine.


러-우크라이나 정상, 분쟁 종식 위해 5년8개월만에 평화협상 첫 대면~!


동부 전선을 방문한 우크라이나 대통령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BBC는 러시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우크라이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이 9일 오후 프랑스 파리에서 5년 반에 걸친 무력분쟁을 끝내기 위해 첫 정상회담을 갖는다고 보도했다. 이날 회동은 양국의 평화협상을 적극 중재한 프랑스의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과 독일의 앙겔라 메르켈 총리도 함께 참석한 ‘4자 회담’ 형식으로 이뤄졌다. 두 정상의 만남은 지난 4월 우크라이나 대선에서 정치 초년생인 젤렌스키 대통령이 압승해 취임한 이후 처음이자, 우크라이나 동부 국경지대에서 친러시아계 세력의 반정부 무력시위가 전쟁으로 이어진 지 5년 8개월 만이다.


2014년 4월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지역에서 친러 분리주의 반군 세력이 러시아의 배후 지원으로 독립을 선언하고 도네츠크 공화국과 루간스크 공화국을 선포하면서 전쟁이 발발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국경을 넘어가 친러 반군을 지원하는 ‘그림자 전쟁’을 벌였다. 앞서 바로 한 달 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령 크림반도를 전격 합병한 데 이어 우크라이나 내전으로 1만3,000여 명이 숨지고 100만 명의 피란민이 발생하면서 양국 관계는 최악으로 치달았다.


젤렌스키의 양보에 항의하는 키에프 시민들의 시위


양쪽은 2014년과 2015년 두 차례나 휴전에 합의한 민스크 협정을 맺었지만 실효성은 미약했다. 지난해 11월엔 러시아가 강제합병한 크림 반도의 케르치 해협에서 러시아 해안 경비대가 우크라이나 해군 함정 3척을 ‘영해 침범’을 이유로 나포했다가 1년만인 지난달에야 반환했다.


그러나 올해 출범한 우크라이나의 젤렌스키 정부가 동부지역에서 군대를 철수하는 등 러시아의 요구 조건 일부를 수용하고 화해 제스처를 취하는 등 전향적인 태도를 보이고, 러시아의 푸틴 대통령도 이에 화답하면서 협상 재개 분위기가 급물살을 탔다. 두 정상은 지난달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함정 반환 이후 전화통화도 하고, 이번 첫 정상회의와 관련한 여러 현안과 서로의 요구 사항들을 미리 논의하기도 했다.


이번 회동에서 곧바로 포괄적 합의가 타결될 전망은 낮다. 그러나 외교가에선 양국 정상의 만남 자체가 상호 신뢰의 물꼬를 여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는 분위기다. 언론들은 이번 회담에서 ‘불법 무장조직’의 해체, 우크라이나 동부의 러시아 접경지역에서 외국군의 철수와 우크라이나의 통제력 회복, 동부 도네츠크와 루간스크 지역의 특별지위 인정 및 자치정부 선거 일정 합의 등이 핵심 의제가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러-우크라이나 간 영토 분쟁 중인 도네츠크와 루간스크 지역


그러나 이번 회담에서 크림 반도 문제는 우선협상 의제에서 배제된 것으로 알려졌다. 양쪽의 시각이 평행선이어서 쉽게 합의점을 찾기 힘든 데다, 어느 쪽도 첫 만남부터 정면충돌과 협상 파탄의 책임을 지는 건 유리할 게 없기 때문이다.


국제사회는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을 인정하지 않고 있으며, 러시아 역시 크림반도는 자국 영토로 절대 내줄 수 없다는 입장이다. 우크라이나 내부에서도 러시아의 정치, 군사적 개입과 빼앗긴 영토를 협상 대상으로 삼는 것에 대한 반발과 거부감이 거센 것도 넘어야 할 난제다.


이번 회담의 중재역을 맡은 독일의 하이코 마스 외교장관은 자국 일간 '푼케'와의 인터뷰에서 “젤렌스키 대통령이 대화의 새로운 계기를 만들었다”며 “어려운 다음 단계로 나아가기 위해선 러시아도 행동을 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정치 초년생 젤렌스키는 푸틴에게 아무것도 못 얻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