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이야기

흰진범

林 山 2021. 1. 26. 09:25

을 보고 넋을 잃었던 적이 있던가? 꽃을 보고 넋을 잃었던 적이 있었다. 2012년 8월 19일 베이포(北坡) 코스로 한반도 최고봉 백두산(白頭山, 2,750m) 하늘연못(天池, 2,190m)에 오른 적이 있다. 두만강 발원지 허룽(和龍)의 백두산 동쪽 기슭에서 흰진범 꽃을 발견했다. 그런데, 그 모습이 마치 한 쌍의 백조가 사랑스럽게 마주보고 있는 듯했다. 감탄사가 저절로 나왔다. 세상에서 가장 흰진범처럼 다정한 모습으로 피어나는 꽃이 있을까?  

 

흰진범( 백두산, 2012. 8. 19)

 

흰진범은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투구꽃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학명은 아코니툼 롱캐시데이툼 나카이(Aconitum longecassidatum Nakai)이다. 영어명은 톨-헬멧 멍크스 후드(Tall-helmet monk's hood), 중국명은 까오마오우터우(高帽乌头), 일본명은 시라치야레이진소우(シラチヤレイジンソウ), 북한명은 흰진교이다.  꽃말은 ‘용사의 모자’이다.  


흰진범(평창 하일산, 2020. 9. 19)

흰진범은 한국 특산식물로 맹독성 식물이다. 전국 산지의 숲속에서 자란다. 키는 1m까지 자란다. 줄기는 비스듬히 자라거나 덩굴로 되며, 윗부분에 꼬부라진 털이 있다. 근생엽과 줄기잎은 엽병이 길지만 위로 갈수록 짧아진다. 밑부분의 잎은 3~7개로 갈라지며, 윗부분의 잎은 3~5개로 갈라진다. 열편에는 끝이 뾰족한 치아모양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복모가 있다. 가장자리와 뒷면 맥 위에도 털이 있다.

 

꽃은 흰색 또는 연한 황백색이며, 8월에 원줄기 끝과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총상꽃차례가 나온다. 꽃차례와 꽃자루에는 털이 있으며, 포는 피침형 또는 선형으로서 털이 있다. 꽃받침조각은 5개이고 꽃잎 같다. 뒤쪽의 꽃받침조각은 뒤로 원통상 거가 발달하고, 털이 있으며, 이마쪽이 수평으로 뾰족해지고, 나머지 2개는 옆으로, 2개는 밑으로 달린다. 2개의 꽃잎은 꿀샘으로 되어 뒤쪽의 꽃받침속에 들어 있다. 수술은 많고 뒤로 젖혀지며, 수술대 밑부분이 날개처럼 넓어진다. 씨방은 3개로서 뒤로 젖혀진 암술대가 있다. 열매는 골돌과이다. 종자는 삼각형으로서 날개가 있으며, 겉에 주름이 진다. 

 

흰진범(평창 하일산, 2020. 9.  19)

흰진범의 유사종에는 진범(秦范, 학명 Aconitum pseudolaeve Nakai)이 있다. 진범의 줄기는 곧게 또는 비스듬히 서지만, 흰진범은 비스듬히 자라거나 덩굴로 뻗기도 한다. 진범은 꽃 색깔이 연한 자주색이다. 진범은 또 포엽이 꽃자루보다 2~3배 길고, 꽃은 연한 씨방에 거센털이 있으므로 쉽게 구분된다.

 

진범은 본래 오독도기라고 하던 것을 제국주의 일본의 강제점령기 때 한자로 옮기면서 진범(秦范)이 되었다고 한다. 오독도기는 한라투구꽃의 뿌리를 말린 것이다. 진범도 한라투구꽃과 비슷해서 줄오독도기라고도 한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에는 흰진범의 뿌리를 본초명 진교라 하며 약용한다고 나와 있다. 하지만 이는 오류이다. 대한민국 전국 한의과대학 본초학 교과서에는 본초명 진교(秦艽, 蓁膠, Gentianae Macrophylla Radix)에 대해 용담과(龍膽科, Gentianaceae)의 진교(秦艽, 대엽용담, 학명 Gentianae Macrophylla Pall.)와 마화진교(麻花秦艽, 학명 Gentiana straminea Maximowicz), 조경진교(粗莖秦艽, 학명 Gentiana crassicaulis Duthie ex Burk), 소진교(小秦艽, 학명 Gentiana dahurica Fisch.)의 뿌리를 건조한 것이라고 나와 있다. '셴농뻰차오징(神农本草经)'에 수록된 진교는 대엽용담을 말한다. 대엽용담은 한국에는 없는 식물이다. 진범(秦范)과 진교(秦艽)는 전혀 다른 식물이다. 앞으로 이런 혼동은 더이상 없었으면 한다.

 

흰진범(충주 최응성고가, 2020. 9. 30)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에는 '진교는 가을철에 채취하여 깨끗이 씻어 햇볕에 말린다. 진통 및 진경(鎭痙), 거풍습(祛風濕), 서근(舒筋), 이수(利水)의 효능이 있어 풍습비통(風濕痺痛), 관절염, 근골구련(筋骨拘攣), 황달, 소변불리(小便不利)를 치료한다. 달이거나 환제(丸劑)로 복용한다.'고 나와 있다. 이것은 진교에 대한 설명이지 진범에 대한 설명이 아니다. 어쨌든 진범은 독성이 있다고 했으니 주의해야 한다. 한의사들은 임상에서 진범을 거의 안 쓴다.

 

2021. 1. 25. 林 山

'야생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솔체꽃  (0) 2021.01.29
물매화 '고결(高潔), 결백(潔白), 청초(淸楚), 충실(充實)'  (0) 2021.01.26
만데빌라(Mandevilla)  (0) 2021.01.22
석산(石蒜, 꽃무릇)  (0) 2021.01.21
차풀  (0) 2021.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