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이야기

꽃다지 '무관심(無觀心)'

林 山 2021. 3. 26. 17:39

꽃이 너무 작아서 또는 너무 흔해서 사람들의 관심을 끌지 못하는 식물들이 있다. 꽃다지도 그런 식물 가운데 하나다. 하지만, 꽃다지가 일제히 피어 들판을 노랗게 물들이면 비로소 봄이 왔음을 실감하게 된다.

꽃다지는 인간에게 매우 이로운 식물이다. 꽃다지의 어린순은 나물로 먹을 수 있다. 또, 꽃다지의 씨는 사람의 질병을 치료하는 한약재로 쓰인다.    

 

꽃다지(남양주 천마산, 2023. 3. 19)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생물다양성(국생관)에는 꽃다지가 피자식물문(被子植物門, Magnoliophyta) 목련강(木蓮綱, Magnoliopsida) 풍접초목(風蝶草目, Capparales) 십자화과(十字花科, 배추과, Brassicaceae) 꽃다지속(Draba)의 관속식물(管束植物)로 분류되어 있다. 관속식물(管束植物)은 관다발식물(vascular plant)이라고도 하는데, 식물 전체에 물과 미네랄을 전달하기 위해 목질화된 조직(목질부)이 있는 육상 식물로 정의되는 대규모 식물 분류군으로 약 30만 종이 알려져 있다.

꽃다지는 다음백과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생정)에 양귀비목(楊貴妃目, Papaverales) 십자화과 꽃다지속의 두해살이풀, 중국어판 바이두백과(百度百科)에는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강(双子叶植物纲, Dicotyledoneae) 양귀비목(罂粟目) 십자화과 꽃다지속(葶苈属)의 한해 또는 두해살이풀로 분류되어 있다.

국가표준식물목록(국표), 국생정에는 꽃다지(추천명), 코딱지나물 등의 국명(國名)이 등재되어 있다. 북한명도 꽃다지다. 꽃다지란 이름은 조선식물향명집(朝鮮植物鄕名集, 정태현외 3인, 1937)에 '꽃이 다닥다닥(닥지닥지) 핀 모습에서 유래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꽃다지의 꽃말은 '무관심(無觀心)'이다.

국표, 국생정, 국생관 등재 꽃다지의 학명은 드라바 네모로사 린네.(Draba nemorosa L.)이다. 속명 '드라바(Draba)'는 '큰잎다닥냉이(whitetop, 학명 Lepidium draba)'를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 명사 '드라베(drábē)'에서 차용한 다국어(Translingual)다. 종소명 'nemorosa(네모로사)'는 '숲의, 나무가 우거진(wooded)' 또는 '그늘이 드리워진(shady)'이란 뜻의 라틴어 형용사 '네모로수스(nemorosus)'의 어미 변화형이다. '린네(L.)'는 스웨덴의 식물학자 칼 폰 린네(Carl von Linn'e, 1707~1778)이다. 린네는 생물 분류학의 기초를 놓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하여 현대 식물학의 시조로 불린다.

 

꽃다지(충주시 연수동, 2021. 3. 24)

 

국표, 국생정 등재 꽃다지의 영어명은 우드랜드 휘틀로우-그래스(Woodland whitlow-grass)다. '삼림 지대(에 자라는) 꽃다지'라는 뜻이다. 다음백과 국생정 등재 영어명은 우드랜드 드라바(Woodland draba)다. '삼림 지대(에 자라는) 꽃다지속의 각종 초본'이라는 뜻이다. 일본어판 Flora of Mikawa(三河の植物観察, FOM) 등재 영어명은 우드랜드 휘틀로우-그래스(Woodland whitlow-grass), 우드랜드 드라바(Woodland draba)다.

국표, 국생정, FOM 등재 꽃다지의 일본명은 이누나즈나(イヌナズナ, 犬薺)다. '개냉이'라는 뜻이다. 일본명 이누나즈나(犬薺)는 먹을 수 없는 나즈나(ナズナ, 薺)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FOM, 百度百科 등재 꽃다지의 중국명은 팅리(葶藶, 葶苈)다. 중문판 위키백과(維基百科) 등재 중국명은 샨지(山薺), 팅리(葶藶, 中國植物誌)다.

꽃다지는 한강토 전국 각지에 야생(野生)한다. 햇빛이 잘 드는 산과 들, 논과 밭에 난다(국생정). 이누나즈나(犬薺)의 원산지는 일본 재래종(在来種)으로서 홋카이도(北海道), 혼슈(本州), 시코쿠(四国), 큐슈(九州)에 분포한다. 한강토(朝鮮), 중국, 러시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서남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다(FOM).

팅리(葶藶)는 중국 베이징(北京), 헤이룽쟝(黑龙江), 지린(吉林), 랴오닝(辽宁), 네이멍구(内蒙古), 허베이(河北), 샨시(山西), 샨둥(山东), 허난(河南), 샨시(陕西), 닝샤(宁夏), 간쑤(甘肃), 칭하이(青海), 신쟝(新疆), 안후이(安徽), 쟝쑤(江苏), 쩌쟝(浙江), 쓰촨(四川), 구이저우(贵州), 윈난(云南), 시짱(西藏) 등지에 널리 분포한다. 북부 온대 지방의 다른 지역에도 분포한다(百度百科).

 

꽃다지(충주시 연수동, 2021. 3. 24)

 

꽃다지의 키는 높이 20cm까지 자란다. 줄기는 곧추서고, 흔히 가지가 갈라진다. 줄기 하부에는 단모(單毛), 분지모(分枝毛), 별 모양 털(星毛)이 있다. 근생엽(根生葉)은 많이 나와서 방석처럼 퍼지고, 주걱 모양 비슷한 긴 타원형(長楕圓形)이이다. 잎에는 톱니가 약간 있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葉柄)처럼 된다. 줄기잎은 어긋나기하는데, 좁은 달걀 모양(狹卵形) 또는 긴 타원형이고, 둔두(鈍頭)에 예저(銳底)이며, 톱니가 약간 있다.

꽃은 노란색으로 3~6월에 피며, 원줄기나 가지 끝의 총상꽃차례(總狀花序, raceme)에 많은 꽃이 달린다. 꽃이 '十'자 모양으로 피기에 십자화과(十字花科)에 속한다. 꽃자루는 비스듬히 옆으로 퍼진다. 꽃받침조각은 4개이며, 타원형이다. 꽃잎은 4개이고, 넓은 주걱 모양이며, 길이 3mm 정도이다. 6개의 수술 중 4개는 길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짧은 각과(角果)이다. 각과는 편평하고, 긴 타원 모양이며, 전체에 털이 있다.

 

꽃다지(충주시 연수동, 2021. 3. 24)

 

꽃다지의 어린순은 나물로 먹을 수 있다. 꽃다지 나물은 약간 맵고 떫은 맛이다. 그래서, 끓는 물에 데쳐서 떫은 맛을 없앤 다음 요라 재료로 쓴다. 봄에 어린순을 데친 다음 갖은양념으로 무침을 해 먹기도 하고, 국을 끓이기도 한다. 또, 양념과 버무려 생채를 만들거나 비빔밥에 넣어서 먹는다. 생나물 또는 녹즙을 짜서 먹기도 한다.

 

꽃다지(충주시 연수동, 2021. 3. 26)

 

다닥냉이, 콩다닥냉이, 꽃다지, 재쑥의 종자를 정력자(葶藶子)라 하며 약용한다. 여름에 과실이 성숙하였을 때 전초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 다음 종자를 떨어내어 체로 쳐서 불순물을 제거한다. 정력자에는 2종의 강심작용(强心作用)이 있는 배당체가 들어 있다. 하기(下氣), 행수(行水)의 효능이 있다. 폐폐색(肺閉塞), 담음해수(痰飮咳嗽), 수종창만(水腫脹滿), 적취(積聚), 결기(結氣), 음식으로 인한 한열(寒熱)을 치료한다(국생정).

기원전 206년에서 기원후 220년 사이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되는 셴눙뻰차오징(神农本草经)에는 '팅리(亭历)는 맛이 맵고 차다(味辛寒). 가려움증(瘙), 적취(积聚), 결기(结气) 등의 증상을 치료한다. 뭉친 것을 깨트린다(破坚). 팅리는 종자를 약으로 쓴다. 종자는 맛이 맵고 쓰며(味辛苦) 성질이 차다(性寒). 사폐강기(泻肺降气), 거담평천(祛痰平喘), 이수소종(利水消肿), 설축사(泄逐邪) 등의 효능이 있다. 담연옹폐(痰诞塞肺)로 인한 천해담다(喘咳痰多), 흉복적수(胸腹积水), 만성폐원성심장병(慢性肺源性心脏病), 심력쇠갈(心力衰竭)로 인한 천종(喘肿) 등을 치료한다. 이뇨(利尿), 강심(强心)의 효능도 있다.'고 나와 있다.

전국 한의과대학 본초학(本草學) 교과서에 등재된 정력자는 다닥냉이(獨行草, 北葶藶子, 학명 Lepidium apetalum Willd.)와 재쑥[播娘蒿, 南葶藶子, 학명 Descurainia sophia (L.) Webb ex Prantl]의 성숙한 종자를 건조한 것이다.

정력자는 본초학에서 화담지해평천약(化痰止咳平喘藥) 중 지해평천약(止咳平喘藥)으로 분류된다. 사폐평천(瀉肺平喘), 이수소종(利水消腫)의 효능이 있어 기관지염, 담연옹폐(痰涎壅肺), 천해담다(喘咳痰多), 흉협창만(胸脇脹滿), 수종(水腫), 적취(積聚), 결기(結氣), 음식으로 인한 한열(寒熱) 등을 치료한다. 이뇨제, 진해거담제, 항바이러스제로 응용할 수 있다. 달여서 복용한다. 환제(丸劑), 산제(散劑)로 복용한다. 외용시에는 가루로 만들어 붙이거나 또는 달인물로 씻는다. 정력자는 한의사들도 임상에서 종종 처방하는 한약재다.

정력자(葶藶子, 꽃다지씨)의 성질은 차고[寒] 맛은 매우며 쓰고[辛苦] 독이 없다. 폐옹(肺癰)으로 숨결이 밭고 기침하는 것을 낫게 하며 숨이 찬 것을 진정시키고 가슴 속에 담음을 없앤다. 피부 사이에 있던 좋지 못한 물이 위로[上] 넘쳐나서 얼굴과 눈이 부은 것을 낫게 하고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 ○ 곳곳에 있는데 싹과 잎이 냉이와 비슷하고 음력 3월에 약간 노란꽃이 피고 꼬투리가 달린다. 그 속에 씨는 납작하면서 작은 것이 마치 기장알과 비슷하며 빛이 누르다. 입하 후에 씨를 훑어 햇볕에 말린다[본초]. ○ 성질이 급(急)하며 물을 잘 몰아낸다. 쓰고 단 두 가지 종류가 있는데 쓴 것은 세게 설사시키고 단것은 좀 완화하다[탕액]. ○ 종이 위에 펴고 고소하게 닦든가 혹 쪄서 쓴다. 이 약은 성질이 급(急)하여 설사시키는 데 효력이 크며 쓴 것은 더욱 심하고 단것은 조금 완하하다[입문](동의보감).

 

꽃다지 군락지(충주호우안공원, 2007. 4. 1)

 

국표 등재 꽃다지의 유사종 자생식물에는 구름꽃다지(Draba mongolica Turcz.), 산꽃다지(Draba glabella Pursh), 우수리꽃다지(Draba ussuriensis Pohle), 털꽃다지(Draba sakuraii Makino) 등 4종이 있다.

구름꽃다지(Many-branch whitlow-grass, チョウセンクモマナズナ, 朝鮮雲間薺, ミヤマイヌナズナ, 深山犬薺. 蒙古葶苈)의 원산지는 중국(甘粛省, 河北省, 黒竜江省, 吉林省, 内蒙古自治区, 青海省, 陝西省, 山西省, 四川省, 新疆维吾尔自治区), 몽골, 러시아이다. 한강토에서는 관모봉 해발 2,400m 지대에서 자란다. 줄기는 7cm 정도까지 자란다. 원줄기가 밑부분에서부터 여러 개로 갈라지고, 전체에 짧은 털이 밀생(密生)한다. 근생엽은 모여나기하며 엽병이 없고 피침형(披針形)이다. 줄기잎은 어긋나기하고 엽병이 없으며 난상 피침형(卵狀披針形)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잔톱니가 있다. 꽃은 7월에 흰색으로 핀다. 총상꽃차례는 원줄기 끝에 달린다. 국생정에는 꽃이 노란색이라고 되어 있다. 산꽃다지(Rock whitlow-grass, オオチョウセンクモマナズナ, 大朝鮮雲間薺)는 관모봉 해발 2,400m 지대에 분포한다. 줄기는 7cm까지 자라고, 전체에 짧은 털이 밀생한다. 근생엽은 모여나기하며 엽병이 없고 피침형이다. 줄기잎은 어긋나기하고 엽병이 없으며 난상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잔톱니가 있다. 꽃은 7월에 노란색으로 핀다. 총상꽃차례는 원줄기 끝에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타원형, 꽃잎은 넓은 주걱 모양이다. 우수리꽃다지(Ussurian whitlow grass, オクエゾナズナ, 奥蝦夷薺, 乌苏里葶苈)는 국표에 정명, 국명, 외국명만 실려 있다. 국생정 미등재종이다. 원산지는 중국, 일본, 러시아다(FOM). 털꽃다지(Hairy whitlow-grass, トガクシナズナ, 戸隠薺)는 국표에 정명, 이명, 국명, 외국명만 실려 있다. 국생정 미등재종이다. 털꽃다지는 일본 고유종이다. 일본 혼슈(本州) 중부 지방 고산 바위 지대에 분포한다. 별명은 미야마나즈나(ミヤマナズナ, 深山薺)이다.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15cm까지 자란다. 근생엽은 로제트를 이루고 장원형(長圓形) 또는 도피침형(倒披針形)이며, 가장자리에는 치아상(歯牙状) 잔톱니가 있다. 줄기잎은 타원형 또는 난형(卵形)으로서 약간 거친 치아상 잔톱니가 있다. 꽃은 작고 흰색이다(FOM).

꽃다지(충주시 연수동, 2024. 4. 2)

 

국표 등재 꽃다지의 유사종 재배식물에는 드라바 라모시시마(Draba ramosissima Desv.), 드라바 로술라리스(Draba rosularis Boiss.), 드라바 키네레아(Draba cinerea Adams) 등 9종이 있다. 설명은 생략한다.

2021. 3. 26. 林 山. 2024.4. 2. 최종 수정

#꽃다지 #구름꽃다지 #산꽃다지 #우수리꽃다지 #털꽃다지 #정력자 #葶藶子

'야생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머위 '공평(公平)'  (0) 2021.03.30
냉이  (1) 2021.03.29
큰개불알풀 '기쁜 소식(喜消息)'  (1) 2021.03.26
서울제비꽃  (0) 2021.03.25
돌단풍 '생명력(生命力), 희망(希望)'  (1) 2021.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