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이야기

둥근털제비꽃 '순진(純眞)한 사랑, 수줍은 사랑'

林 山 2021. 4. 26. 16:44

한강토(조선반도)에 자생하는 제비꽃속(Viola) 식물은 그 종류가 꽤나 많다. '국가표준식물목록(국표)에 등재된 제비꽃속 자생식물만 해도 무려 63종이나 된다. 그래서, 비슷한 제비꽃은 구별하기가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니다.

제비꽃속 자생식물 중에서도 알록제비꽃이나 고깔제비꽃, 남산제비꽃 등은 이파리가 특이해서 쉽게 구별할 수 있다. 또, 특징이 뚜렷한 흰젖제비꽃, 노랑제비꽃, 종지나물(미국제비꽃) 등도 어렵지 않게 알아볼 수 있다.

둥근털제비꽃도 꽃이 연한 자주색이어서 쉽게 알아볼 수 있다. 2013년 4월 초 천마산에 갔을 때도 둥근털제비꽃을 만났는데, 금방 알아볼 수 있었다. 사람처럼 식물도 이름을 알고 나면 새로운 의미로 다가온다.

  

둥근털제비꽃(남양주 천마산, 2023. 3. 19)

 

둥근털제비꽃은 피자식물문(被子植物門, Magnoliophyta) 목련강(木蓮綱, Magnoliopsida) 제비꽃목(Violales) 제비꽃과(Violaceae) 제비꽃속(Viola)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이 둥글고, 전체에 털이 많아서 붙여진 이름이다. 국표에는 둥근털제비꽃(추천명), 둥근털오랑캐, 둥글제비꽃 등의 국명(國名)이 등재되어 있다. 북한명도 둥근털제비꽃(추천명)이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생정)에는 둥근털제비꽃(추천명), 둥근털오랑캐(비추천명) 등의 국명이 실려 있다. 둥근털제비꽃의 꽃말은 '순진(純眞)한 사랑, 수줍은 사랑'이다.

 

둥근털제비꽃(남양주 천마산, 2013. 4. 3)

 

국표, 국생정 등재 둥근털제비꽃의 학명은 비올라 콜리나 베써(Viola collina Besser)다. 속명 '비올라(Viola)'는 '제비꽃(violet)'이라는 뜻의 라틴어 명사 '비올라(viola)'에서 유래한 고유명사다. 라틴어 명사 '비올라(viola)'는 '제비꽃(violet)'이라는 뜻의 고대 그리스어 명사 '이온(íon)'과 관련이 있다. 종소명 '콜리나(collina)'는 '언덕의(of a hill)'라는 뜻을 가진 라틴어 형용사 '콜리누스(collīnus)'의 어미 변화형이다. '콜리누스(collīnus)'는 '언덕(hill)'이란 뜻의 이탈리아조어(Proto-Italic) '콜니스(kolnis)'에서 유래한 라틴어 명사 '콜리스(collis)'에 '~의, ~에 관련된(Of or pertaining to)'의 뜻을 나타내는 라틴어 접미사 '-이누스(-īnus)'가 붙은 것이다. 자생지를 표현한 이름이다.

'베써(Besser)'는 오스트리아 태생의 식물학자 빌리발트 스비베르트 요제프 고틀리브 폰 베써(Wilibald Swibert Joseph Gottlieb von Besser, Vilibald Gotlibovich Besser, 1784~1842)다. 베써는 오스트리아 태생의 식물학자로서 러시아 제국이 점령했던 폴란드의 옛 동부 영토, 오늘날의 우크라이나 서부 지방에서 평생을 활동했다.

국표, 국생정 등재 둥근털제비꽃의 영문명은 힐 바이얼럿(Hill violet)이다. '언덕 제비꽃'이라는 뜻이다.

국표, 국생정 등재 일문명은 마루바케스미레(マルバケスミレ, 円葉毛菫)다. 일본어판 Flora of Mikawa(三河の植物観察, FOM), YList(植物和名ー学名インデックス) 등재 일문명은 에조노아오이스미레(エゾノアオイスミレ, 蝦夷の葵菫)다. '홋카이도(北海道, 蝦夷는 홋카이도의 옛이름) 제비꽃(葵菫)'이라는 뜻이다. YList에는 에조아오이스미레(エゾアオイスミレ, 蝦夷葵菫), 마루바케스미레(マルバケスミレ, 円葉毛菫), 테시오스미레(テシオスミレ, 天塩菫, 天塩는 홋카이도의 옛이름), 니오이케스미레(ニオイケスミレ) 등의 별명이 등재되어 있다.

YList, 중국어판 바이두백과(百度百科), 위키백과(維基百科) 등재 둥근털제비꽃의 중문명은 치우궈진차이(球果堇菜)다. '구과(球果, Cone) 제비꽃(堇菜)'이라는 뜻이다. YList에는 마오궈진차이(毛果堇菜), 百度百科와 維基百科에는 마오궈진차이(毛果堇菜, 江苏南部种子植物手册), 위안예마오진차이(圆叶毛堇菜, 东北师范大学研究通报) 등의 별명이 실려 있다.

둥근털제비꽃은 일본, 사할린, 만주, 시베리아, 유럽, 코카서스에 분포한다. 한강토(조선반도)에서는 전북, 충남, 충북, 경북(울릉도, 가야산), 강원(치악산, 설악산, 삼악산), 경기(광릉, 천마산), 황해, 평남, 평북, 함남에 야생한다(국생정).

마루바케스미레(円葉毛菫)는 일본 혼슈(本州) 중부의 산지에서 홋카이도에 걸쳐 분포한다고 되어 있었다. 하지만, 히로시마현(広島県) 북동부 너도밤나무 지대에서도 자생지가 확인되었다(広島県東城町植物誌).

치우궈진차이(球果堇菜)는 아시아(亚洲), 한강토(朝鲜), 일본(日本), 러시아(俄罗斯), 유럽(欧洲), 중국(中国)에 분포한다. 중국에서는 간쑤(甘肃), 닝샤(宁夏), 랴오닝(辽宁), 샨둥(山东), 헤이룽쟝(黑龙江), 샨시(山西), 쓰촨(四川), 안후이(安徽), 쟝쑤(江苏), 허난(河南), 지린(吉林), 샨시(陕西), 쩌쟝(浙江), 네이멍구(内蒙古), 허베이(河北) 등지의 해발 50~2,680m 지대에서 자란다(百度百科, 維基百科).

 

둥근털제비꽃(의왕 청계산, 2010. 4. 4)

 

둥근털제비꽃의 근경(根莖)은 굵고 옆으로 자라며, 마디가 많고 기는줄기가 없다. 근경의 길이는 2~7cm이며 희거나 황갈색(黃褐色)이고, 뿌리는 희다.

키는 3~8cm 정도이다. 잎은 모여나기하며, 난상 심장형(卵狀心臟形) 또는 심장형(心臟形) 에 깊은 심장저(心臟底) 이다. 잎 끝은 뭉뚝하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잎은 보통 길이 2~3.5cm인데, 열매가 익을 때는 6cm에 달한다. 엽병(葉柄)도 길이 3~10cm이지만, 열매를 맺을 때는 20cm에 달하며, 윗부분에 날개가 약간 있다.

꽃대에는 퍼진 털이 있다. 꽃은 4~5월에 연한 자주색(紫朱色)으로 피는데, 제비꽃 가운데 가장 일찍 피는 종이다. 여러 줄기의 화경(花莖)이 나와 그 끝에 1개의 작은 꽃이 달려서 한쪽을 향하여 핀다. 꽃받침조각은 긴 타원형(長楕圓形) 또는 좁은 달걀 모양(狹卵形)이고, 끝이 둔하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부속체(附屬體)는 반원형(半圓形)으로서 짧다. 꽃잎은 5개이고 측열편(側裂片)에 다소 털이 있다. 5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는 삭과(蒴果)다. 삭과는 다소 구형(球形)이고 3갈래로 벌어지며, 짧은 털이 밀생(密生)한다.

 

둥근털제비꽃(함백산 만항재, 2021. 4. 11)

 

둥근털제비꽃의 전초를 지핵도(地核桃)라 하며 약용한다. 청열(淸熱), 해독,소종(消腫)의 효능이 있다. 옹저창독(癰疽瘡毒), 정종(疔腫), 나력(瘰癧), 악창, 각종 화농성 창양(化膿性瘡瘍), 폐옹(肺癰), 타박상, 도상(刀傷)에 의한 출혈을 치료한다.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복용한다. 짓찧어서 도포(塗布)한다(국생정).

지핵도는 동의보감이나 전국 한의과대학 본초학 교과서에는 등재되어 있지 않다. 한의사들도 임상에서 지핵도를 거의 안 쓴다.

치우궈진차이(球果堇菜)는 전초를 약으로 쓴다. 성질은 서늘하고(性凉), 맛은 쓰고 떫다(味苦涩). 청열해독(清热解毒), 양혈소종(凉血消肿)의 효능이 있다. 새싹과 어린잎은 산나물로 이용할 수 있다. 어린잎을 끓는 물에 데쳐서 찬물로 헹군 다음 무치거나 볶는다(百度百科).

 

둥근털제비꽃(함백산 만항재, 2021. 4. 11)

 

국표 등재 둥근털제비꽃의 유사종 자생식물에는 가지제비꽃(Viola ramiflora K.O.Yoo), 각시제비꽃(Viola boissieuana Makino), 간도제비꽃(Viola dissecta Ledeb.), 갑산제비꽃(Viola kapsanensis Nakai), 경성제비꽃(Viola mongolica Franch.), 고깔제비꽃(Viola rossii Hemsl.), 구름제비꽃(Viola crassa Makino), 금강제비꽃(Viola diamantiaca Nakai), 긴잎제비꽃[Viola ovato-oblonga (Miq.) Makino], 낚시제비꽃(Viola grypoceras A.Gray), 남산제비꽃[Viola albida Palib. var. chaerophylloides (Regel) F.Maek. ex H.Hara], 넓은잎제비꽃(Viola mirabilis L.), 노랑제비꽃[Viola orientalis (Maxim.) W.Becker], 누운제비꽃(Viola epipsiloides A.Löve & D.Löve), 단풍제비꽃[Viola albida Palib. var. takahashii (Makino) Nakai], 뫼제비꽃(Viola selkirkii Pursh ex Goldie), 민둥뫼제비꽃[Viola tokubuchiana Makino var. takedana (Makino) F.Maek.], 민둥제비꽃[Viola phalacrocarpa Maxim. f. glaberrima (W.Becker) F.Maek. ex H.Hara], 반달콩제비꽃(Viola verecunda A.Gray var. semilunaris Maxim.), 방울제비꽃(Viola breviflora J.S.Lee & M.Kim), 사향제비꽃(Viola obtusa Makino), 서울제비꽃(Viola seoulensis Nakai), 선제비꽃(Viola raddeana Regel), 섬제비꽃(Viola takesimana Nakai), 손잎제비꽃(Viola dactyloides Schult.), 아욱제비꽃(Viola hondoensis W.Becker & H.Boissieu), 알록제비꽃(Viola variegata Fisch. ex Link), 애기금강제비꽃(Viola yazawana Makino), 여뀌잎제비꽃(Viola thibaudieri Franch. & Sav.), 엷은잎제비꽃(Viola blandaeformis Nakai), 완산제비꽃(Viola × wansanensis Y.N.Lee), 왕제비꽃(Viola websteri Hemsl. ex F.B.Forbes & Hemsl.), 왜제비꽃(Viola japonica Langsd. ex DC.), 왜졸방제비꽃(Viola sacchalinensis H.Boissieu), 우산제비꽃(Viola woosanensis Y.N.Lee & J.G.Kim), 울릉제비꽃(Viola ulleungdoensis M.Kim & J.S.Lee), 자주알록제비꽃(Viola tenuicornis W.Becker), 자주잎제비꽃(Viola violacea Makino), 잔털제비꽃(Viola keiskei Miq.), 장백제비꽃(Viola biflora L.), 제비꽃(Viola mandshurica W.Becker), 제주제비꽃(Viola × chejuensis Y.N.Lee & Y.C.Oh), 졸방제비꽃(Viola acuminata Ledeb.), 좀낚시제비꽃[Viola grypoceras A.Gray var. exilis (Miq.) Nakai], 진도제비꽃(Viola × taradakensis Nakai), 창덕제비꽃(Viola × palatina Y.N.Lee), 콩제비꽃(Viola verecunda A.Gray), 큰졸방제비꽃(Viola kusanoana Makino), 태백제비꽃(Viola albida Palib.), 털긴잎제비꽃[Viola ovato-oblonga (Miq.) Makino f. pubescens F.Maek.], 털낚시제비꽃(Viola grypoceras A.Gray var. pubescens Nakai), 털노랑제비꽃(Viola brevistipulata W.Becker var. minor Nakai), 털대제비꽃(Viola muehldorfii Kiss), 털제비꽃(Viola phalacrocarpa Maxim.), 호제비꽃(Viola yedoensis Makino), 화엄제비꽃(Viola ibukiana Makino), 흰들제비꽃[Viola betonicifolia Sm. var. albescens (Nakai) F.Maek. & T.Hashim.], 흰뿌리제비꽃(Viola prionantha Bunge), 흰울릉제비꽃(Viola ulleungdoensis M.Kim & J.S.Lee f. albiflora M.Kim), 흰젖제비꽃(Viola lactiflora Nakai), 흰제비꽃(Viola patrinii DC. ex Ging.), 흰털제비꽃(Viola hirtipes S.Moore) 등 62종이 있다.

가지제비꽃(Branching peduncle violet)은 국표에 정명, 국명, 영문명만 등재되어 있다. 국생정 미등재동이다. 각시제비꽃(Delicate violet, ヒメミヤマスミレ, 姫深山菫, 姫深山堇菜)은 일본, 한강토(경북 울릉군, 제주도)에 분포한다. 잎은 삼각상 심장형이며 깊은 심장저이고 끝이 뾰족해지다가 둔하게 그치거나 둔하다. 꽃은 5월에 흰색으로 핀다. 간도제비꽃(Dissecta leaf violet, ケナシマンシュウスミレ, 裂叶堇菜)은 국표에 정명, 국명, 외국명만 등재되어 있다. 국생정 미등재종이다. 갑산제비꽃(Gapsan violet, コウザンスミレ)은 경기 가평, 연천, 강원 정선, 전남 함평에 분포한다. 바깥쪽 잎은 달걀 모양 또는 넓은 달걀 모양이고 밑부분이 심장저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끝이 뾰족하다. 가장 안쪽의 잎은 끝이 둔하고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 맥 위에 털이 약간 있다. 꽃은 5월에 연보라색으로 핀다. 경성제비꽃(Gyeongseong violet, モウコスミレ, 蒙古堇菜)은 한강토 함북 경성, 중국 동북부에 분포한다. 잎은 난형으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4~5월에 연한 보라색으로 핀다. 호제비꽃과 비슷하지만, 잎이 난형이므로 구분된다. 고깔제비꽃(Conical-leaf violet, アケボノスミレ, 曙菫, 辽宁堇菜)은 한강토,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잎이 활짝 피기 전의 모습이 고깔 같다. 꽃은 4~5월에 1개가 한쪽을 향하여 홍자색으로 핀다.

구름제비꽃(Alpine violet, タカネスミレ, 高嶺菫, 高岭堇菜)은 낭림산 이북에 분포한다. 잎은 원줄기에 3~4개씩 달리고 신심형(腎心形) 또는 편심형(偏心形)이며 두껍고 맥이 뚜렷하며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다. 꽃은 7월에 밝은 노란색으로 핀다. 장백제비꽃과 비슷하지만 줄기에 붉은빛이 돌며, 잎이 두껍고 맥이 뚜렷하며, 털이 없다. 금강제비꽃(Geumgang violet, フキスミレ, 大叶堇菜)은 중국, 한강토(인천, 경기, 강원, 충남)에 분포한다. 잎은 심장형이고 점첨두이며, 표면은 녹색이고 털이 있으며, 뒷면은 색이 연하고 전체적으로 털이 있으나 특히 맥 위에 많다. 꽃은 닫힌꽃이며, 중앙 윗부분에 2개의 포가 뚜렷하고 꽃받침은 털이 없다. 긴잎제비꽃(Long-leaf violet, ナガバタチツボスミレ, 長葉立坪菫)은 경남, 전남 이남에 분포한다. 줄기는 높이 15~20cm이고 비스듬히 서거나 곧게 자라며, 근생엽과 더불어 모여나기하고, 꽃이 진 다음 높이가 30cm에 달한다. 근생엽은 심원형 또는 심장형이며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다. 줄기잎은 밑부분의 것은 난상 좁은 삼각형 또는 난상 심장형이고, 윗부분의 것은 엽병이 짧으며 피침형 또는 좁은 난상 삼각형이고 희미한 톱니가 있다. 꽃은 4~5월에 연한 자주색으로 핀다.

낚시제비꽃(Creeping Korean violet, タチツボスミレ, 立壺菫, 紫花堇菜)은 한강토 중부 이남에 분포한다. 원줄기는 여러 개가 비스듬히 서거나 눕고, 꽃이 필 때는 길이 20cm, 열매를 맺을 때는 길이 10~30cm이다. 근생엽은 심장형 또는 편심형이며 끝이 날카롭게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얕은 톱니가 있다. 탁엽은 피침형이고 빗살처럼 깊게 갈라진다. 줄기잎은 탁엽과 비슷하지만 엽병이 짧다. 꽃은 4~5월에 연한 자주색으로 피며 향기가 없다. 남산제비꽃(Namsan violet)은 한강토, 일본, 중국 동북 지방, 러시아 극동 지방에 분포한다. 잎은 3개로 완전히 갈라지며, 측열편이 다시 2개로 갈라져 새발 모양을 한다. 열편은 다시 2~3개로 갈라지거나 우상(羽狀)으로 깊은 결각을 이룬다. 꽃은 4~6월에 흰색으로 핀다. 넓은잎제비꽃(Wonder violet, イブキスミレ, 伊吹菫, 美丽堇菜, 奇异堇菜)은 일본, 중국, 유럽, 한강토((강원도 인제군)에 분포한다. 잎은 편심형 또는 원심형이며 둔한 톱니가 있다. 잎맥에 털이 있다. 잎 길이는 2~4.5cm, 너비 2.5~6cm이다. 꽃은 4월에 연한 자주색으로 핀다. 노랑제비꽃(Oriental yellow violet, キスミレ, 黄菫, 东方堇菜)은 한강토, 중국, 러시아에 분포한다. 근생엽은 심장형이고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다. 윗부분의 잎은 엽병이 없고 마주나기상이다. 꽃은 4~6월에 노란색으로 핀다.

누운제비꽃(Dwarf marsh violet, タニマスミレ, 谷間菫, 溪堇菜)은 한강토(평북, 함남), 중국 동북부, 러시아 동시베리아에 분포한다. 잎은 난원형 또는 심상 달걀 모양이며, 밑은 심형이고 끝은 둔하거나 뾰족하다. 꽃은 5월에 연한 홍자색으로 핀다. 단풍제비꽃(Maple-leaf violet)은 한강토 중부 이남에 분포한다. 잎은 밑동에 밀생하고 달걀 모양 또는 긴 달걀 모양이며 깊게 장상(掌狀)으로 갈라진다. 중앙열편은 크게 3개로 갈라지고 결각상의 톱니가 있다. 꽃은 4월에 흰색으로 피고, 향기가 있다. 남산제비꽃과 태백제비꽃의 잡종성을 지니고 있다. 잎은 태백제비꽃의 가장자리에 깊은 톱니가 있는 것에서부터 밑부분이 우상으로 깊게 갈라진 것, 남산제비꽃의 열편이 훨씬 넓어진 것 등 변이가 심하다. 뫼제비꽃(Great-spur violet, ミヤマスミレ, 深山菫, 深山堇菜)은 한강토 전국의 높은 산 표고 800m 이상 되는 지역에 분포한다. 잎은 2~3장이 근생하며, 난상 심장형에 밑부분이 깊은 심장저이고 끝이 뾰족하다. 잎 가장자리에는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다. 꽃은 4~5월에 연한 자주색으로 핀다. 입술 모양 꽃부리에는 자주색 줄이 있으며 다화성이다. 민둥뫼제비꽃(Sunny violet, チョウセンヒナスミレ, ヒナスミレ, 雛菫)은 경기도 광릉에 분포한다. 잎은 삼각상 달걀 모양이며 윗부분이 뾰족하고 밑부분은 이저에 가까운 심장저다. 잎 뒷면은 대개 자줏빛이 돈다. 처음에 나오는 잎은 털이 없으나 나중에 나오는 잎은 흰색 털이 있고, 때로는 표면에 흰색 무늬가 있다. 꽃은 4~5월에 연한 홍자색으로 핀다.

민둥제비꽃(Glabrous red-flower violet, アカスミレ, アカネスミレ, 莤堇, 莤堇菜)은 지리산에 분포한다. 잎은 달걀 모양 또는 좁은 달걀 모양이고 얕은 심장저다. 꽃은 홍자색이다. 털제비꽃과 닮았으나 털이 없다. 반달콩제비꽃(Semilunar-leaf violet, アギスミレ, 顎菫, 堇菜)은 한강토, 일본, 중국, 타이완, 러시아 극동 지방에 분포한다. 줄기는 모여나기하고 비스듬히 누워 올라간다. 잎은 초승달 모양으로 끝이 둔하거나 둥글고, 밑은 심장형이며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4~5월에 흰색으로 핀다. 줄기의 잎겨드랑이에서 긴 화경이 나와 1개씩 달린다. 방울제비꽃(Breviflora violet, 短花堇菜)은 강원도 일부 지역, 중국에 분포한다. 높은 산 숲속에 자란다. 줄기는 없다. 잎은 뿌리에서 여러 장이 모여나며, 난형이고 밑은 얕은 심장형이다. 잎 양면에 털이 있다. 꽃은 4~5월에 5~10개씩 흰색으로 핀다. 사향제비꽃(Musky violet, ニオイタチツボスミレ, 匂立坪菫, 翠峰堇菜)은 경기도 광릉, 강원도 향로봉, 전북 변산에서 자란다. 줄기는 모여나기하고, 전체에 잔털이 난다. 잎은 둥근 심장형이고, 줄기잎은 삼각상 달걀 모양이다. 탁엽은 우상으로 갈라진다. 꽃은 4월에 연한 홍자색으로 피며 향기가 있다. 꽃밑 안쪽은 흰색이다.

서울제비꽃(Seoul violet, ケイジョウスミレ, 京城菫)은 경기도 특산식물이다. 관악산 일대에 자생한다. 잎은 처음에 안으로 말리며 긴 타원형, 난상 긴 타원형 또는 달걀 모양이다. 탁엽은 엽병에 붙어 있으며 끝이 떨어지고, 선형으로서 톱니가 약간 있다. 엽병은 상부에 날개가 약간 있다. 제비꽃에 비해 잎이 난상 피침형으로 넓고 털이 많으며, 꽃잎 안에는 털이 없다. 꽃은 4월에 보라색 또는 연한 보라색으로 피고, 짙은 보라색 맥이 있으며, 측열편에 털이 다소 있다. 다화성이다. 선제비꽃(Erect violet, タチスミレ, 立菫, 立堇菜)은 일본, 중국, 한강토(경기도 수원, 경남 양산)에 분포한다. 키는 30~50cm 정도까지 자란다. 원줄기는 모여나기하고 털이 없다. 가늘고 곧게 서며 밑부분이 다소 흑색이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삼각상 피침형이며 둔두이고 밑부분은 다소 심장저다. 잎 가장자리에는 희미하고 둔한 톱니가 있다. 탁엽은 큰 톱니가 있다. 꽃은 5~6월에 연한 자주색으로 핀다. 꽃자루는 액생한다. 섬제비꽃(Ulleungdo violet, タケシマスミレ)은 울릉도에 분포한다. 잎은 심장형 또는 콩팥 모양이며, 예두 또는 둔두에 심장저다. 잎 표면에 털이 약간 있고, 뒷면에 털이 없으며, 둔한 톱니가 있다. 탁엽은 선상 피침형이며, 끝이 날카롭게 뾰족하고, 우상으로 갈라진다. 꽃은 5월에 연보라색으로 핀다. 졸방제비꽃과 비슷하나 포가 꽃대 중앙보다 밑에 달리고, 가장자리가 깃 모양으로 갈라지며, 꽃받침이 길고 꽃잎이 좁은 것이 다르다. 손잎제비꽃(Northern violet, テガタスミレ, 深圓齒菫菜, 掌叶堇菜)은 국표에 정명, 국명, 외국명만 등재되어 있다. 국생정 미등재종이다. 아욱제비꽃(Chinese mallow-leaf violet, アオイスミレ, 葵菫, 日本球果堇菜)은 울릉도 및 북부 지방에 분포한다. 줄기 전체에 흰색의 퍼진 털이 있고, 꽃이 진 다음 옆으로 뻗는 가지가 자라 그 끝에 새싹이 생긴다. 잎은 심장상 원형 또는 거의 원형이고, 가장자리에 낮은 물결 모양의 큰 톱니가 있다. 꽃은 4~5월에 연한 자주색 또는 흰색으로 핀다.

알록제비꽃(Variegated-leaf violet, ゲンジスミレ, 源氏菫, 斑叶堇菜)은 잎 표면이 짙은 녹색이지만 잎맥을 따라 흰색 무늬가 있고, 뒷면은 자주색이다. 꽃은 5월에 몇 개의 화경이 잎다발속에서 나와 그 끝에 자주색 꽃이 1개씩 달린다. 애기금강제비꽃(Dwarf Geumgang violet, ヒメスミレサイシン, 姫菫細辛)은 일본(중부와 관동 북부), 한강토(강원도 설악산)에 분포한다. 잎은 나올 때에 금강제비꽃처럼 가장자리가 안으로 말리며, 털이 약간 퍼져 난다. 긴 심장형의 잎 가에는 엉성하게 굵은 톱니가 있다. 꽃은 4~5월에 흰색으로 핀다. 여뀌잎제비꽃(Persicaria-leaf violet, タデスミレ, 蓼菫)은 일본, 한강토(강원도 평창군)에 분포한다. 키는 40~60cm이다. 밑부분의 잎은 비늘 같이 퇴화된다. 윗부분의 잎은 짧은 엽병이 있고 피침형 또는 난상 장타원형으로 양끝이 좁아지며 상반부에만 얕은 톱니가 있다. 잎 양면에는 전혀 털이 없다. 엽병에는 날개가 있다. 탁엽은 피침형이며 우상으로 깊게 갈라진다. 꽃은 4~5월에 흰색으로 핀다. 잎겨드랑이에서 화경이 나와 1개씩 달린다. 엷은잎제비꽃(Thin-leaf violet, ウスバスミレ, 薄葉菫)은 강원도 이남에 분포한다. 잎은 얇은 막질이고 신원형이며 밑부분이 깊은 심장저이고 가장자리에 희미한 톱니가 있다. 꽃은 4~5월에 흰색으로 핀다. 꽃잎은 측열편 안쪽에 털이 없으며, 윗쪽 2장을 제외하고는 자주색 줄이 있다. 완산제비꽃(Wansan violet)은 국표에 정명, 국명, 외국명만 실려 있다. 국생정 미등재종이다.

왕제비꽃(Big violet, コウライタデスミレ, 高麗蓼菫, 蓼叶堇菜)은 중국, 한강토(경기도 가평, 연천, 파주, 강원도 삼척, 춘천, 충북 단양, 보은, 옥천)에 분포한다. 키는 40~60cm까지 자란다. 원줄기는 곧게 자라며 털이 있다. 밑부분의 잎은 비늘 모양으로 퇴화한다. 윗부분의 잎은 짧은 엽병이 있으며 피침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고 양끝이 좁다. 잎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고 뒷면에 잔털이 있다. 탁엽은 피침형이고 우상으로 깊게 갈라진다. 꽃은 4~5월에 흰색으로 핀다. 입술 모양 꽃부리는 백색 바탕에 자주색 줄이 있다. 왜제비꽃(Stripes violet, Japanese violet, コスミレ, 小菫, 日本堇菜, 犁头草)은 중부 이남에 분포한다. 원줄기는 없다. 잎은 달걀 모양, 삼각상 좁은 달걀 모양 또는 넓은 달걀 모양이고, 끝이 둔하며 밑부분이 심장저 또는 얕은 심장저이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4월에 연한 자주색 또는 자주색으로 핀다. 왜졸방제비꽃(Sakhalin violet, アイヌタチツボスミレ, アイヌ立壺菫, 库页堇菜)은 한강토, 중국, 러시아 극동 지방,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한강토에서는 함남 부전 고원 및 갑산에서 자란다. 원줄기는 근두(根頭)에 몇 개씩 나서 비스듬히 선다. 키는 2~5cm다. 근생엽은 심원형 또는 신원형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엽병이 엽신보다 2~3배 길다. 줄기잎은 엽병이 짧으며, 탁엽이 중열(中裂)한다. 꽃은 5월에 연한 자주색으로 핀다. 꽃잎 측판에 털이 있다.

우산제비꽃(Ulleungdo sweet violet)은 울릉도에 분포한다. 잎은 삼각상 달걀 모양이고, 불규칙적으로 갈라지며, 양면에 털이 있다. 잎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이다. 탁엽은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샘털이 있다. 꽃은 보라색이다. 남산제비꽃과 뫼제비꽃간의 교잡종으로 추정된다. 울릉제비꽃(Ulleung violet)은 한강토 특산식물로 울릉도 숲 가장자리에 자란다. 줄기는 없다. 잎은 난형으로 가장자리에 얕은 톱니가 있다. 꽃은 4월에 자주색으로 핀다. 자주알록제비꽃(Purple variegated-leaf violet, トウゲンジスミレ, 细距堇菜)은 중부 이북에 분포한다. 알록제비꽃에 비하여 잎 표면에 무늬가 거의 없고 잎 뒤에 자색이 뚜렷하다. 잎은 둥근 달걀 모양이거나 원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심장저에 둔두다. 잎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5~6월에 진흙색 또는 자주색으로 핀다. 자주잎제비꽃(Purple-leaf violet, シハイスミレ, 紫背菫, 紫背堇菜)은 전남 진도, 제주 한라산에 분포한다. 잎은 좁은 달걀 모양 또는 삼각상 달걀 모양이다. 잎 표면에 다소 윤채가 있고 백색 무늬가 있는 것도 있으며, 뒷면은 자줏빛이 돌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4~5월에 짙은 홍자색으로 핀다. 잔털제비꽃(Short-hair violet, ケマルバスミレ, 毛丸葉菫, 日本圆叶堇菜)은 중부 이남에 분포한다. 원줄기가 없고 전체에 털이 있다. 잎은 난상 원형이고, 끝이 둥글거나 둔두에 깊은 심장저다. 잎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다. 엽병에는 짧은 털이 밀생한다. 4월에 잎 사이에서 화경이 나와 그 끝에 옆으로 향한 흰색 꽃이 좌우상칭으로 달린다. 둥근털제비꽃에 비해 꽃받침 밑 씨방에 털이 없고, 꽃대에 털이 많다. 장백제비꽃(Arctic yellow violet, キバナノコマノツメ, 黄花の駒の爪, 双花堇菜)은 중국, 몽골, 한강토(강원도 양양, 인제)에 분포한다. 잎은 신심형으로 털이 산생하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7월에 노란색으로 핀다. 입술 모양 꽃부리에 갈색 맥줄이 있다.

제비꽃(Manchurian violet, スミレ, 菫, 东北堇菜)은 한강토, 중국,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한강토에서는 제주, 경남(남해도), 충북, 경기도에 야생한다. 줄기는 없다. 잎은 피침형이며 둔두에 절저 또는 약간 심장저에 가깝다. 잎 가장자리에는 얕고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4~5월에 보라색 또는 짙은 자색으로 핀다. 입술 모양 꽃부리는 구두주걱 모양이고 자색의 줄이 있다. 제주제비꽃(Jeju violet)은 국표에 정명, 국명, 외국명만 실려 있다. 국생정 미등재종이다. 졸방제비꽃(Long-stem violet, エゾノタチツボスミレ, 蝦夷の立坪菫, 鸡腿堇菜)은 한강토, 중국,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키는 20~40cm이다. 줄기는 몇 대가 뭉쳐나며 털은 없거나 윗부분에 있다. 잎은 삼각상 심장형이다. 윗부분의 잎은 폭이 길이보다 짧고, 끝이 점차 길게 뾰족해지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탁엽은 긴 타원형으로서 빗살 같은 톱니가 있다. 5~6월에 원줄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화경이 나와 흰색 또는 연한 자줏빛이 도는 꽃이 옆을 향해 달린다. 흰색 꽃의 입술 모양 꽃부리에 자주색 줄이 있다. 좀낚시제비꽃(Little creeping Korean violet, タチッポスミレ, 立坪菫)은 일본, 한강토 남부 지방 들판에서 자란다. 줄기는 옆으로 누워 자란다. 줄기잎은 심장형이다. 탁엽은 피침형, 가장자리가 빗살 모양으로 깊게 갈라진다. 꽃은 4~5월에 연한 보라색으로 핀다. 뿌리줄기 또는 줄기의 잎겨드랑이에서 난 꽃자루 끝에 달린다. 곁꽃잎과 아래 꽃잎에 보라색 줄무늬가 있다. 낚시제비꽃에 비해 꽃이 필 때 줄기는 옆으로 뻗으며, 식물체 높이가 10cm 미만으로 작아서 구분된다. 진도제비꽃(Jindo violet, フギレシハイスミレ, 紫背菫)은 국표에 정명, 이명, 국명, 외국명만 실려 있다. 국생정 미등재종이다. 창덕제비꽃(Changdeok violet)은 국표에 정명, 국명, 외국명만 실려 있다. 국생정 미등재종이다.

콩제비꽃(Hidden violet, ニョイスミレ, 如意菫, ツボスミレ, 坪菫)은 한강토, 중국,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원줄기는 비스듬히 또는 옆으로 자라며 털이 없다. 근생엽은 콩팥 모양이고 둔두 또는 원두에 심장저다. 잎 가장자리에는 둔한 톱니가 있다. 엽병이 잎보다 2~4배 길다. 줄기잎은 콩팥 모양으로서 둔두 또는 예두에 심장저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4~5월에 흰색으로 핀다. 원줄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긴 화경에 1개씩 달린다. 입술 모양 꽃부리에 자주색 줄이 있다. 큰졸방제비꽃(Northern long-stem violet, オオタチツボスミレ, 大立坪菫)은 경북 울릉도에 분포한다. 줄기는 여러 대가 비스듬히 선다. 근생엽은 원심형 또는 편심형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줄기잎은 엽병이 짧으며 탁엽이 중열한다. 액생하는 꽃은 5월에 연한 자주색으로 핀다. 졸방제비꽃에 비해 잎이 둥글다. 낚시제비꽃과 비슷하나 탁엽이 넓고, 얕게 갈라지며, 잎이 둥근 모양이고, 끝이 뾰족한 것이 다르다. 태백제비꽃(Taebaek violet, コマスミレ, 駒菫, 朝鲜堇菜)은 한강토,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줄기는 없다. 잎은 삼각상 달걀 모양이고 예두에 심장저다. 잎 가장자리에 다소 안쪽으로 꼬부라진 톱니가 있다. 꽃은 4~5월에 흰색으로 피고 향기가 있다. 잎 사이에서 긴 화경이 나와 그 끝에 꽃이 1개씩 달린다. 털긴잎제비꽃(Hairy long-leaf violet)은 경남 및 전남 이남에서 자란다. 원줄기에 돌기 같은 짧은 털이 있다. 근생엽은 심원형 또는 심장형이고 톱니가 있다. 밑부분의 줄기잎은 난상 좁은 삼각형 또는 난상 심장형이고, 윗부분의 것은 엽병이 짧으며 피침형 또는 좁은 난상 삼각형이고 희미한 톱니가 있다. 엽병 및 잎몸에 돌기 같은 짧은 털이 있다. 꽃은 4~5월에 연한 자주색으로 핀다. 화경에 돌기 같은 짧은 털이 있다. 긴잎제비꽃과 비슷하나, 원줄기, 화경, 잎자루 및 잎몸에 돌기 같은 짧은 털이 있다.

털낚시제비꽃(Hairy creeping violet, ケタチツボスミレ, 毛立坪菫)은 낮은 산지나 들판에서 자란다. 줄기는 높이 10~20cm로 비스듬히 서거나 옆으로 눕고 끝부분은 위를 향한다. 근생엽은 여러 개가 모여나며, 줄기잎은 어긋난다. 잎은 심장형이다. 꽃은 4~5월에 연한 보라색으로 핀다. 털노랑제비꽃(Hairy yellow violet, ダイセンキスミレ, 大山黄菫)은 함남 갑산에 분포한다. 줄기 윗부분에 흔히 퍼진 털이 있으며, 밑부분에 있는 비늘 같은 잎은 적자색이 돈다. 근생엽은 2~3개이며 윗부분에 3개의 잎이 달린다. 잎은 삼장형이고 표면에 털이 없으며, 맥이 들어가고 엽병이 잎보다 2~3배 길다. 탁엽은 넓은 달걀 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5월에 노란색으로 핀다. 털대제비꽃(Large yellow violet, コウライキスミレ, 高麗黄菫, 大黄花堇菜)은 국표에 정명, 이명, 국명, 외국명만 실려 있다. 국생정 미등재종이다. 털제비꽃(Red-flower violet, アカネスミレ, 茜菫, 莤堇菜)은 잎이 달걀 모양 또는 좁은 달걀 모양이다. 꽃은 4~5월에 홍자색으로 핀다. 부속체, 꽃잎 측열편, 거(距)에는 털 또는 잔털이 있다. 삭과는 잔털이 밀생한다. 호제비꽃(Field purple-flower violet, ノジスミレ, 野路菫)은 한강토(서울 근교, 신촌 일대), 중국(허베이, 허난, 샨둥, 후난, 후베이, 푸졘)에 분포한다. 줄기 전체에 짧은 털이 밀생한다. 잎은 삼각상 넓은 피침형이며 끝이 둔하고 밑부분이 절저나 예저 또는 다소 심장저이다. 잎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다. 꽃은 3~4월에 자주색으로 핀다. 꽃잎 측열편에 털이 없다. 제비꽃에 비해 잎은 좁고 짧으며, 털이 많고, 측판에 털이 없다.

화엄제비꽃(Hwaeom violet, ヒメキクバスミレ, 姫菊葉堇)은 전남 구례, 장흥에 분포한다. 줄기는 무경성(無莖性)이고, 꽃이 필 때는 높이가 10cm에 이른다. 잎은 달걀 모양이고 작으며, 표면은 푸른 빛이 도는 녹색으로서 흔히 흰색 무늬가 있고 윤채가 있다. 얼핏 보면 잎이 단풍제비꽃의 잎 같다. 꽃은 4월에 자주잎제비꽃처럼 밝은 홍자색으로 핀다. 꽃이 진 다음 큰 잎이 나오는 특징은 남산제비꽃과 같다. 남산제비꽃과 자주잎제비꽃의 자연잡종으로 보고 있다. 구례 화엄사 근처에서 자라기 때문에 화엄제비꽃이라고 한다. 흰들제비꽃(White arrowhead violet, アリアケスミレ, 有明菫, 戟叶堇菜 )은 한강토,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잎은 긴 삼각형이고 표면의 맥과 이면의 기부에 짧은 털이 있다. 잎자루 상부 좁은 날개 가장자리에 짧은 털이 있다. 꽃은 4~5월에 흰색으로 핀다. 측판 2장은 기부에 털이 밀생하고 줄무늬가 있다. 상판 2장은 기부에 털이 있기도 하며 줄무늬가 있다. 흰제비꽃은 잎자루 상부 날개 가장자리와 엽 표면에 털이 없으며, 꽃잎 중 상판에 줄무늬가 없고 상판 기부에 털이 없다. 흰젖제비꽃은 잎자루에 날개와 털이 없으며, 화경은 적색이고, 꽃받침 부속기는 길고 끝에 거치가 있다. 흰뿌리제비꽃(Prionantha violet, サキガケスミレ, 先駆け菫, 早开堇菜), 흰울릉제비꽃(White Ulleung violet)은 국표에 정명, 국명, 외국명만 실려 있다. 국생정 미등재종이다.

흰젖제비꽃(Milky-white violet, シロコスミレ, 白小菫, 白花堇菜)은 한강토 중부 이남에 분포한다. 잎은 긴 삼각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서 밑부분이 전저(箭底)에 가깝고 끝이 둔하다. 잎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고, 엽병이 길며 날개가 없다. 꽃은 4~5월에 흰색으로 핀다. 측열편 안쪽에 털이 있다. 흰제비꽃(White-flower violet, シロスミレ, 白菫, 白花地丁)은 원줄기가 없다. 잎은 다소 곧추서고 삼각상 피침형 또는 긴 타원상 넓은 피침형이며,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고 밑부분이 수평에 가깝다. 잎 가장자리에 희미한 톱니가 있다. 엽병에 날개가 있다. 잎맥과 엽병 밑부분에 짧게 퍼진 털이 있다. 꽃은 흰색 또는 자주색이 돈다. 꽃잎 측열편에 털이 다소 있고, 입술 모양 꽃부리에 자주색 줄이 있다. 흰털제비꽃(White-hair violet, サクラスミレ, 桜菫, 毛柄堇菜)은 한강토 중부 이남에 분포한다. 줄기는 없다. 잎은 밑동에 모여나기하며 달걀 모양 또는 삼각상 달걀 모양이고, 둔두에 예저다. 잎 표면과 뒷면 맥 위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둔한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다. 엽병은 윗부분에 날개가 약간 있고, 흰색의 퍼진 털이 있다. 화경 중앙부에 2개의 포가 있으며, 백색의 퍼진 털이 있다. 꽃은 4월에 홍자색으로 핀다. 잎 사이에서 나오는 여러 개의 화경 끝에 좌우상칭으로 달린다. 꽃잎 측열편 안쪽에 털이 있다.

 

둥근털제비꽃(태백산, 2021. 4. 18)

 

국표 등재 둥근털제비꽃의 유사종 재배식물에는 삼색제비꽃(Viola tricolor L.), 야생팬지(Viola arvensis Murray), 종지나물(Viola sororia Willd.), 팬지(Viola × wittrockiana Gams), 향기제비꽃(Viola odorata L.) 등 25종이 있다. 국표 등재 둥근털제비꽃의 유사종 외래식물에는 긴꼬리제비꽃(Viola inconspicua Blume), 창원제비꽃(Viola palmata L.) 등 2종이 있다. 설명은 생략한다.

2021. 4. 26. 林 山. 2023.12.1. 최종 수정

#제비꽃 #둥근털제비꽃 #털제비꽃

'야생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산제비꽃  (0) 2021.04.27
민둥뫼제비꽃  (0) 2021.04.27
호제비꽃  (0) 2021.04.24
광대나물 '봄맞이'  (1) 2021.04.23
애기괭이눈 '골짜기의 황금(黃金), 변하기 쉬운 마음'  (1) 2021.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