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 생김새도 특이하고 이름도 희한한 식물이 있다. 광대나물도 그런 식물 가운데 하나다. 한강토(조선반도) 중부 지방에는 3월말부터 광대나물 꽃이 피어나기 시작한다. 진분홍색을 띤 광대나물의 작은 꽃은 앙증맞고 귀여운 느낌을 준다.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 생물다양성(국생관)의 광대나물 분류는 피자식물문(被子植物門, Magnoliophyta) 목련강(木蓮綱, Magnoliopsida) 꿀풀목(Lamiales) 꿀풀과(Lamiaceae) 광대나물속(Lamium)의 두해살이풀이다. 피자식물문을 현화식물문(顯花植物門, Anthophyta), 속씨식물문(Magnoliophyta, Flowering plants)이라고도 한다. 다음백과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생종)의 분류는 통화식물목(筒花植物目, 통꽃식물목, Tubiflorales) 꿀풀과 광대나물속의 두해살이풀이다.
국가표준식물목록(국표) 등재 광대나물의 국명(國名)에는 광대나물(추천명), 긴잎광대수염, 작은잎꽃수염풀, 흰광대나물 등이 있다. 북한명은 작은잎꽃수염풀(추천명), 광대나물이다. 다음백과 국생관 등재 국명에는 코딱지나물, 광주리나물, 목걸레나물, 작은잎광대수염, 진주연, 보개초(寶蓋草), 등룡초(燈龍草), 풍잔(風盞) 등이 있다. 광대나물의 꽃말은 봄에 꽃이 일찍 핀다고 해서 '봄맞이'다.
광대나물은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이 바람에 살랑거리는 모습이 마치 광대가 재주를 부리는 듯해서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이 있다. 또, 울긋불긋한 꽃이 광대들이 목 아래 두르던 장식용 옷과 비슷하여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도 있다. 꽃을 잘 보면 광대들이 입는 옷을 연상케 한다. 목 주변에 주름이 많은 옷 말이다. 그래서 광대나물이라고 부른다(야생화백과사전). 하지만, 일반인들이 광대나물이라는 이름의 유래를 이해하기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국표, 국생종, 국생관 등재 광대나물의 학명은 라미움 암플렉시카울레 린네.(Lamium amplexicaule L.)다. 속명(屬名, generic name) '라미움(Lamium)'은 '광대수염(deadnettle)'을 뜻하는 라틴어 고유명사 '라미움(lamium)'에서 유래했다(Wikipedia). '괴물(monster)'을 뜻하는 그리스어 '라미아(lamia)'의 지소어(指小語) '라미온(lamion)'에서 '광대수염(dead nettle)'을 뜻하는 라틴어 '라미움(Lamium)'이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Merriam-Webster).
종소명(種小名, specific name, species epithet) '암플렉시카울레(amplexicaule)'는 라틴어 형용사 '암플렉시카울리스(amplexicaulis)'의 주격/대격/호격 중성 단수형이다. '암플렉시카울리스(amplexicaulis)'는 '감싼, 움켜쥔, 껴안은, 둘러싼(clasped)'이라는 뜻의 라틴어 분사 '암플렉수스(amplexus)'와 줄기(stalk, stem)'라는 뜻의 명사 '카울리스(caulis)'의 합성어다. 줄기를 둘러싼 포엽(苞葉)을 표현한 이름이다. 'L.은 스웨덴의 식물학자 칼 폰 린네(Carl von Linn'e, 1707~1778)다. 린네는 생물 분류학의 기초를 놓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하여 현대 식물학의 시조로 불린다.
국표, 국생종, 일본어판 Flora of Mikawa(三河の植物観察, FOM) 등재 광대나물의 영문명은 헨빗 데드네틀(Henbit deadnettle)이다. '광대나물(Henbit) 광대수염(deadnettle)'이라는 뜻이다. FOM에는 그레이터 헨빗(greater henbit)이라는 영문명도 실려 있다. '더 큰(greater) 광대나물(henbit)'이라는 뜻이다.
국표, 국생종, FOM 등재 광대나물의 일본명은 호토케노자(ホトケノザ, 仏の座)다. 호토케노자(仏の座)는 수미단(須彌壇, 佛座)이라는 뜻이다. 꽃 밑에 있는 잎 모양이 부처(仏様)의 대좌(台座, 蓮花座)를 닮았다는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FOM에는 산가이구사(サンガイグサ, 三階草)라는 별명도 실려 있다. 잎이 단상(段状)으로 층계(層階)를 이루며 달리는 모습에서 유래한 별칭이다.
FOM, 중문판 바이두백과(百度百科), 위키백과(維基百科) 등재 광대나물의 중국명은 빠오가이차오(宝盖草)다. 네모난 줄기에 두 개의 반원형 잎이 마주보고 원형으로 둘러싸고,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어 옛날 제왕의 수레 위에 씌우던 일산(日傘)인 화개(华盖)를 닮은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百度百科에는 젠주롄(珍珠莲), 지에구차오(接骨草), 롄타이샤쿠차오(莲台夏枯草)의 별명이 실려 있다.
일본과 중국의 식물 국명(國名)을 보면 그 식물의 특징을 잘 살려서 체계적으로 명명(命名)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 식물학자들은 일본과 중국 식물학자들로부터 좀 배워야 한다. 식물 이름에 지명(地名)이나 갖다 붙이는 그런 명명 방식은 바람직하지 않다.
광대나물은 (한강토) 전국 각처에 분포하고, 아시아와 유럽, 아프리카 북부, 북미 등 북반구의 거의 전역에 분포한다. 습한 길가나 밭둑에서 자란다.(국생종). 양지바른 숲의 가장자리, 길가, 밭에 자란다(국생관).
호토케노자(仏の座)는 일본 재래종(在来種)이다. 홋카이도(北海道)을 제외한 일본 전역, 중국, 러시아, 서아시아, 중앙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귀화) 등지에 분포한다(FOM).
빠오가이차오(宝盖草)는 중국 쟝쑤(江苏), 안후이(安徽), 쩌쟝(浙江), 푸졘(福建), 후난(湖南), 후베이(湖北), 허난(河南), 샨시(陕西), 간쑤(甘肃), 칭하이(青海), 신쟝(新疆), 쓰촨(四川), 구이저우(贵州), 윈난(云南), 시짱(西藏, 티베트)에 분포한다. 유럽(欧洲), 아시아(亚洲)에도 널리 분포한다. 길가, 숲 가장자리, 습지 초원, 텃밭에서 자라거나 밭의 잡초로 해발 4000m까지 자랄 수 있다(百度百科).
광대나물의 키는 10~30cm 정도이다. 원줄기는 가늘며 자주빛이 돈다. 줄기는 네모지고 기부(基部)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져 뭉쳐 난다. 잎은 마주나기한다. 밑부분의 잎은 엽병(葉柄)이 길고 원형(圓形)이다. 윗부분의 잎은 엽병이 없고 반원형(半圓形)이며, 양쪽에서 원줄기를 완전히 둘러싼다. 잎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다.
꽃은 3~5월에 홍자색(紅紫色) 또는 진분홍색(津粉紅色)으로 핀다. 중부 지방에서는 가을, 남부 지방에서는 겨울에도 핀다. 잎겨드랑이에서 여러 개의 꽃이 나와 돌려나기한 것처럼 보인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잔털이 있다. 꽃부리는 판통(瓣筒)이 길고 하순(下脣)이 3개로 갈라지며, 상순(上脣)은 앞으로 약간 굽고 바깥면에 잔털이 있다. 수술은 2강웅예(二强雄蕊, 4개의 수술 가운데 2개는 길고 2개는 짧은 것)다. 닫힌꽃이 흔히 생긴다.
열매는 소견과(小堅果)로 3개의 능선(稜線)이 있고, 거꿀달걀 모양(倒卵形, obovate, obovoid)으로 전체에 흰 반점(斑點)이 있다.
광대나물은 밀원식물(蜜源植物)이다. 꽃이 특이하고 아름다워서 관상용(觀賞用)으로 심기도 한다. 꽃을 말려 차(茶)로 마시기도 한다.
광대나물은 연한 어린잎과 줄기를 무쳐서 나물로 먹는다. 약간 고소한 맛이 나며 부드럽고 식감도 좋다. 충청도에서는 봄에 어린잎을 겉절이, 초무침, 쌈, 국으로 먹는다. 삶아서 나물로 먹기도 한다. 전라도, 경상도에서는 부드러운 새순을 뜨거운 물에 데쳐서 우려내고 갖은양념을 해서 무쳐 먹는다.
광대나물은 3월에 어린 순을 캐서 나물로 먹는 것이 일반적이다. 독특한 향이 있기 때문에 조리할 때에는 가급적 향을 해치지 않는 간단한 양념을 사용하면 봄철에 입맛을 돋우는 훌륭한 별미로 먹을 수 있다(다음백과).
일본에는 음력 1월 7일에 7가지 나물로 죽을 쑤어 먹는 풍습이 있다. 이 죽을 칠초죽(七草粥)이라고 하는데 나리, 냉이, 떡쑥, 별꽃, 순무, 무, 광대나물이 재료가 된다(야생화백과사전).
광대나물의 전초(全草)를 본초명 보개초(寶蓋草)라고 하며, 민간에서 약용한다. 여름에 채취한다. 거풍통락(祛風通絡), 소종지통(消腫止痛)의 효능이 있어 근골동통(筋骨疼痛), 사지마목(四肢痲木), 타박상, 나력(瘰癧) 등을 치료한다. 달여서 복용하던가 산제(散劑)로 만들어 복용한다. 외용시에는 짓찧어서 바른다(국생종).
보개초는 동의보감이나 전국 한의과대학 본초학 교과서에는 수재(收載)되어 있지 않다. 한의사들도 임상에서 보개초를 거의 안 쓴다.
광대나물은 민간에서는 지혈제로 쓰인다. 이와 비슷하게 중국에서는 외상성 손상에 약으로 쓴다. 신경통, 흥분제, 설사약으로도 쓴다(국생관). 혈관과 혈압 등에 좋은 성분이 들어있어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고혈압을 방지하는 효능이 탁월하다. 붓기를 가라앉히기 때문에 근육통에도 도움이 되고, 뼈 건강에도 좋아 관절염 등에도 효과가 있다. 식물 전체를 여름에 캐서 피를 토하거나 코피가 날 때 쓰기도 한다(다음백과).
빠오가이차오(宝盖草)는 전초(全草)를 약으로 쓴다. 주로 질타손상(跌打损伤, 타박상), 근공동통(筋骨疼痛), 사지마목(四肢麻木, 手足麻木), 반신불수(半身不遂, 片痲痺), 면탄(面瘫, 안면신경마비), 황달(黄疸), 비연(鼻渊, 鼻痈, 慢性鼻道炎, 上额窦蓄脓症, 축농증), 나력(瘰疬, 연주창. 목 부위 임파선 결핵), 종독(肿毒), 황수창(黄水疮) 등을 치료한다. 나물로 먹을 수 있다. 연한 줄기와 잎을 따서 데친 다음 물에 담가 쓴맛을 우려낸다. 잘게 썰어서 볶거나 건두부와 함께 볶음요리로 만들 수도 있고, 달걀 스크램블(scrambled eggs, 炒鸡蛋)이나 기타 고기 요리에 넣어도 된다. 잘게 썰어서 절인 후 반찬으로 활용할 수 있다(百度百科).
국표 등재 광대나물의 유사종 자생식물(自生植物, indigenous plant, 土種植物, native plants, 在来種, landrace)은 광대수염[Lamium album L. subsp. barbatum (Siebold & Zucc.) Mennema], 섬광대수염(Lamium takeshimense Nakai), 왜광대수염(Lamium album L.) 등 3종이 있다.
광대수염(廣大鬚髥, Beard white deadnettle, オドリコソウ, 踊子草, 野芝麻)은 일본, 만주, 우수리, 아무르에 분포한다. 제주도, 서울(관악산), 전남(지리산), 전북, 경북(가야산, 팔공산, 금오산, 소백산), 충남, 경기(가평, 인천), 강원, 함남, 함북에 야생한다(국생종). 오도리코소우(踊子草)는 일본 홋카이도(北海道), 혼슈(本州), 시코쿠(四国), 큐슈(九州), 한강토(朝鮮), 중국, 러시아에 분포한다(FPM). 키는 30~60cm다. 원줄기는 곧게 서며 네모나고 털이 약간 있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엽병이 있으며 달걀 모양이다. 잎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원저 또는 심장저다. 잎 양면 맥 위에 털이 드문드문 있으며 주름살이 지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5월에 연한 홍색 또는 흰색으로 핀다. 잎겨드랑이에 5~6개씩 꽃이 달리므로 돌려나기한 것처럼 보인다. 분과(分果)는 3개의 능선이 있다. 섬광대수염(Ulleungdo deadnettle, タケシマオドリコソウ, 竹島踊子草)은 한강토 울릉도에 분포한다. 키는 1m 정도까지 자란다. 줄기에는 털이 없다. 잎은 달걀 모양이고 길게 뾰족해지며 밑부분이 다소 심장저다. 잎 가장자리에는 굵은 톱니가 있고 잔털이 다소 산생(散生)한다. 꽃은 5~6월에 흰색으로 핀다.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꽃이 모여 달리고, 포(苞)는 침형(針形)으로서 잔털이 있다. 꽃받침은 겉에 털이 없고 끝이 5개로 갈라지며 열편(裂片)에 잔털이 다소 있다. 꽃부리는 순백색이고 겉에 털이 있으며, 측열편(側裂片)에 짧은 부속편(附屬片)이 있다. 왜광대수염(White deadnettle, 短柄野芝麻)은 전남, 경남(해인사), 강원, 평북, 함남북에 나며 만주, 우수리, 시베리아, 몽고, 히말라야, 코카사스, 중앙아시아, 유럽에 분포한다. 키는 50cm 정도까지 자란다. 줄기는 곧추서고 네모지며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달걀 모양 또는 장란형이다. 잎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거나 다소 심형이다. 잎 가장자리에 거친 톱니가 있다. 엽병이 길다. 꽃은 5~6월에 흰색으로 핀다. 줄기 위쪽의 잎겨드랑이에 윤산화서(輪繖花序)로 달린다. 포는 선형(線形)이다. 꽃받침은 통형(筒形)으로 5열하고, 열편은 3각상 선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꽃부리는 통상 순형(筒狀脣形)이고, 상순은 활 모양으로 굽으며 털이 밀생(密生)한다. 하순은 3열하여 밑으로 향한다. 수술은 둘긴수술이다.
국표 등재 광대나물의 유사종 재배식물은 라미움 마쿨라툼 '비컨 실버'(Lamium maculatum 'Beacon Silver') 1종이 있다. 국표 등재 광대나물의 유사종 외래식물은 유럽광대나물[Lamium purpureum L. var. hybridum (Vill.) Vill.], 자주광대나물(Lamium purpureum L.) 등 2종이 있다.
2021. 4. 23. 林 山. 2024.1.27. 최종 수정
#광대나물 #광대수염
'야생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둥근털제비꽃 '순진(純眞)한 사랑, 수줍은 사랑' (1) | 2021.04.26 |
---|---|
호제비꽃 (0) | 2021.04.24 |
애기괭이눈 '골짜기의 황금(黃金), 변하기 쉬운 마음' (1) | 2021.04.22 |
천마괭이눈 '골짜기의 황금(黃金), 변하기 쉬운 마음' (1) | 2021.04.21 |
만주바람꽃 '덧없는 사랑' (1) | 2021.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