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이야기

천남성(天南星)

林 山 2021. 9. 23. 12:04

우스개소리로 천남성(天南星)은 여성들이 좋아한다는 말이 있다. 천남성을 '첫남성'으로 읽으면 말이 된다. 첫남성을 싫어할 여성이 있을까? 하지만 천남성은 맹독(猛毒)을 가지고 있으므로 조심해야 한다. 천남성의 구근(球根) 껍질을 맨손으로 벗기면 피부가 상할 정도로 독성이 강하다.    

 

천남성(남양주 천마산, 2013. 5. 8)

천남성은 천남성목 천남성과 천남성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학명은 아리사에마 아무렌세 에프. 세라툼 (나카이) 기타가와[Arisaema amurense f. serratum (Nakai) Kitag.]이다. 천남성(天南星)은 '남쪽 하늘의 별'이란 뜻이며, 별자리 이름이기도 하다. 천남성은 사람의 탄생과 무병장수를 관장한다는 궁수자리에 속하는 남두육성(南斗六星)의 별명이다. 성질이 양기가 강해 별 중 가장 양기가 강한 천남성을 빗대어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이 있다. 

 

천남성의 영어명은 어라이세마(arisaema), 일어명은 덴난쇼( テンナンショウ, てんなんしょう, 天南星)이다. 중국명은 톈난싱(天南星) 또는 난싱(南星), 후장차오(虎掌草)이다. 천남성의 이명에는 남성(南星), 반하정(半夏精), 삼봉자(三棒子), 가새천남성 등이 있다. 크고 둥근 덩이줄기 주변에 구형의 곁눈이 있는 것이 마치 호랑이 발바닥처럼 생겨서 호장(虎掌)이라고도 한다. 뱀이 머리를 쳐들고 있는 꽃 같다고 해서 사두화(蛇頭花), 푸른 뱀이 머리를 쳐들고 있는 풀 같다고 해서 청사두초(靑巳頭草)라고도 한다. 고려 때의 이두 명칭은 두야미차○야○차화(豆也味次○也○次火)였다. '향약채취월령(鄕藥採取月令)'에는 두야미주작지(豆也未注作只), '촌가구급방(村家救急方)'에는 두야마조작지(豆也麻造作只), '동의보감'에서는 두여미조차기, '산림경제'에는 두어미즈차기로 기재되어 있다. 꽃말은 '보호', '비밀', '여인의 복수', '장대한 아름다움'이다.

 

천남성은 한반도를 비롯해서 중국 동북 지방, 러시아 극동 지방 등지에 분포한다. 한반도에서는 전국 산지의 습한 응달에서 자란다. 숲의 나무 밑이나 토양이 비옥하고 물 빠짐이 좋은 곳에 자생한다.

 

천남성(가평 연인산, 2005. 5. 29)

천남성의 알줄기는 편평한 구형이며, 주위에 작은 알줄기가 2~3개 달린다. 알줄기 윗부분에서 수염뿌리가 사방으로 퍼지고, 알줄기 위의 비늘조각은 얇은 막질이다. 키는 15~30cm이다. 줄기는 곧추서고 겉은 녹색이나 때로 자색 반점이 있다. 잎자루가 있는 잎에 달리는 소엽은 5~12개로 난상 피침형 또는 도란상 피침형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발육 상태가 불량하면 소엽이 5개 이하일 때도 있다.  

 

꽃은 5∼7월에 피고 육수꽃차례로 달린다. 불염포는 녹색이며, 윗부분이 모자처럼 앞으로 꼬부라지고 난상 장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다. 꽃차례의 부속체는 곤봉형이다. 열매는 장과다. 장과는 붉게 익어 옥수수처럼 달린다. 

 

천남성은 꽃과 열매 모두 관상가치가 커서 공원이나 정원의 낙엽수림 하부의 지피식물로 이용하기도 한다. 또, 화분에 관상용으로 심어도 좋다. 

 

천남성은 맹독을 가진 독초로서 먹으면 구토, 허탈 증세, 심장마비 등이 일어난다. 특히 빨간 열매는 독성이 강해 입으로 씹을 경우 혀는 물론 입안에 심각한 마비가 온다. 이런 까닭에 천남성은 옛날에 사약(賜藥)으로 사용되었다. 조선 숙종(肅宗)이 장희빈(張禧嬪)에게 내린 사약이 바로 천남성 뿌리의 가루였다. 한약에 처방되는 천남성 외에는 절대로 먹어서는 안 된다. 

 

천남성의 유사종에는 둥근잎천남성(东北南星, 아무르천남성, Amur jack-in-the-pulpit), 두루미천남성(Diversileaf jack-in-the-pulpit), 큰천남성(푸른천남성,  Ringens jack-in-the-pulpit, puto-jackinthepulpit), 무늬천남성(Asian jack-in-the-pulpit), 점박이천남성(Variegate jack-in-the-pulpit), 트리필룸천남성(jack-in-the-pulpit), 넓은잎천남성, 섬천남성(우산천남성, Island jack-in-the-pulpit), 남산천남성 등이 있다. 

 

둥근잎천남성(Arisaema amurense Maxim.)은 위경(僞莖) 꼭대기에서 1개의 잎이 난다. 소엽은 11개이며 난상 피침형 또는 도란상 피침형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엽병이 길다. 포는 녹색이다. 두루미천남성(Arisaema heterophyllum Blume)은 잎이 1개이고, 소엽은 13~19개로 거꿀피침모양이며 양끝이 좁다. 엽병이 길다. 줄기가 유난히 길쭉하고, 꽃대가 올라온 모습이 꼭 두루미 머리 같아서 붙여진 이름이다. 큰천남성[Arisaema ringens (Thunb.) Schott]은 전남, 경남의 계곡이나 남쪽 섬에서 자란다. 잎은 2개가 마주나기하고 엽병이 있다. 소엽은 3개이고 마름모 비슷한 넓은 달걀모양이며, 엽병이 없다. 소엽은 길이 8~30cm, 나비 4~10cm이다. 소엽 끝이 실처럼 가늘다. 다른 천남성에 비해 잎과 줄기, 꽃이 모두 크다. 무늬천남성(Arisaema thunbergii Blume)은 남쪽 섬에 분포한다. 잎은 1개이며 길이 30~60cm의 엽병이 있다. 소엽은 9~17개이며 선상 피침형 또는 피침형이고 중앙부의 소엽은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잎에 무늬가 있다. 꽃은 흑자색이 돈다. 점박이천남성(Arisaema peninsulae Nakai)은 잎이 2개인데, 첫째 잎은 길이 엽병이 있으며, 소엽은 5~14개로서 긴 타원형 또는 거꿀달걀모양이다. 가운데 소엽이 가장 크다. 줄기에 무늬가 있다. 트리필룸천남성(Arisaema triphyllum)은 북미에 분포한다. 엽병이 길고, 3갈래로 갈라진 2장의 잎이 꽃을 가리며 달린다. 꽃은 녹색과 자주색의 줄무늬가 있는 불염포에 싸여 있다. 넓은잎천남성(Arisaema robustum)은 소엽이 5개로 중앙부의 것이 가장 크고 긴 타원형 또는 달걀 모양이며 양 끝이 좁다. 섬천남성(Arisaema negishii Makino)은 키가 60㎝ 정도이다. 하부에 비늘잎이 있다. 잎은 2개이며 엽병이 길다. 소엽은 9~15개로서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은 예저다. 거문도에 자생한다. 남산천남성(Arisaema amurense var. violaceum)은 포가 자주색 또는 보라색이고 세로로 흰 줄이 있다.

 

천남성(양평 용문산, 2006. 7. 2)

독은 잘만 쓰면 천하의 명약이라는 말이 있다. 뿌리줄기는 독성을 약화시켜 약재로 이용한다. 약효는 거담작용이 탁월하여 중풍과 고혈압으로 인한 사지마비, 구안와사(口眼喎斜), 반신불수, 현훈(眩暈) 등을 치료한다.

 

한의학에서는 천남성과 동북천남성(東北天南星, 둥근잎천남성), 이엽천남성(異葉天南星, 두루미천남성)의 괴경(塊莖)을 본초명 천남성이라고 한다. 천남성은 본초학에서 화담지해평천약(化痰止咳平喘藥) 중 온화한담약(溫化寒痰藥)으로 분류된다. 천남성은 조습화담(燥濕化痰), 거풍지경(祛風止痙), 산결소종(散結消腫)의 효능이 있어 완담해수(頑痰咳嗽), 풍담현훈(風痰眩暈), 구안와사(口眼喎斜), 반신불수(半身不遂), 전간(癲癎), 경풍(驚風), 파상풍(破傷風)을 치료한다. 날것을 짓찧어 외용하면 옹종(癰腫), 사충교상(蛇蟲咬傷)을 치료한다. 천남성은 본초학에서 풍담(風痰)을 치료하는 요약(要藥)이다.  

 

'동의보감' <탕액편 : 풀>에는 천남성(天南星)에 대해 '성질은 평(平)하고 맛은 쓰며 맵고[苦辛] 독이 있다. 중풍을 낫게 하고 담을 삭이며 가슴을 편안하게 하고 옹종을 삭게 하며 유산시키고 또 파상풍(破傷風)을 낫게 한다. ○ 산과 들에 나는데 음력 2월, 8월에 뿌리를 캐며 약으로 쓸 때에는 싸서 구워 쓴다[본초]. ○ 풍담과 파상풍 및 어린이의 경간을 낫게 한다. 우담에 법제한 것이 더욱 좋다[의감]. ○ 음력 12월에 물 속에 담가 얼려서[凍] 조(燥)한 성질을 없애고 싸서 터지게[裂] 구워 쓰든가 생강즙이나 백반물에 속에 있는 흰 점이 없어지도록 삶은 것이 좋다[단심].'고 나와 있다. 

 

2021. 9. 23. 林 山

'야생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새냉이  (0) 2021.09.24
산이스라지 '수줍음'  (0) 2021.09.23
점현호색(點玄胡索)  (0) 2021.09.18
왜현호색(倭玄胡索)  (0) 2021.09.17
조선현호색(朝鮮玄胡索)  (0) 2021.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