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5월 8일 봄도 끝나갈 무렵 경기도 포천에 있는 국립수목원을 찾았다. 연못가 영춘화(迎春花) 덤불에는 가는 봄을 아쉬워하는 듯 노오란 꽃 두 송이가 피어 있었다. 그런데, 국립수목원의 영춘화는 늦게 피어 봄을 떠나보내고 있었다. 그러니 송춘화(送春花)라고나 할까!
국립생물자원관(국생관)에는 영춘화가 피자식물문(被子植物門, Magnoliophyta) 목련강(木蓮綱, Magnoliopsida) 현삼목(玄蔘目, Scrophulariales) 물푸레나무과(Oleaceae) 영춘화속(迎春花屬, Jasminum)의 관상용으로 정원에 심어 기르는 낙엽 떨기나무로 분류되어 있다. 다음백과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생정)에는 물푸레나무목 물푸레나무과 영춘화속으로 분류되어 있다. 크론퀴스트 분류에 따르면 현삼과(玄蔘科, Scrophulariaceae), 물푸레나무과 등 예전에 현삼목에 속했던 대부분의 과들은 현대에는 꿀풀목(Lamiales)으로 분류된다. 크론퀴스트 분류법에 따르면 영춘화는 피자식물문 목련강 꿀풀목 물푸레나무과 영춘화속이다.
국가표준식물목록(국표), 국생정 등재(登載) 국명(國名, common name)은 영춘화(추천명)다. 국생관 등재 국명은 영춘화(추천명), 봄맞이꽃나무 등이 있다. '영춘화(迎春花)'는 봄(春)을 맞는(迎) 꽃(花)'이라는 뜻이다. 영춘화의 꽃말은 '사모(思慕)하는 마음'이다.
국표, 국생정, 국생관 등재 영춘화의 학명(學名, Scientific name)은 야스미눔 누디플로룸 린들리(Jasminum nudiflorum Lindl.)이다.
속명(屬名, generic name) '야스미눔(Jasminum)'은 '식물학의 시조' 칼 폰 린네(Carl von Linnaeus, 1707~1778)가 명명했으며, '영춘화속 식물의 꽃(Jasminum flower)'이라는 뜻을 가진 페르시아어 '야스민(یاسمین, yâsmin)'에서 유래한 다국어(Translingual) 고유명사다.
종소명(種小名, specific name, species epithet) '누디플로룸(nudiflorum)'은 '벌거벗은 꽃, 알몸 꽃, 나화(裸花)'라는 뜻의 라틴어다. 잎이 나오기도 전에 꽃이 먼저 핀다는 뜻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린들리(Lindl.)'는 잉글랜드의 식물학자이자 정원사 존 린들리(John Lindley FRS, 1799~1865)다.
국표, 국생정, 일본어판 Flora of Mikawa(三河の植物観察, FOM) 등재 영춘화의 영문명(英文名, English name)은 윈터 재스민(Winter jasmine)이다. '겨울(Winter)에 피는 재스민(jasmine)'라는 뜻이다.
국표, 국생정, FOM 등재 영춘화의 일문명(日文名, Japanese name)은 '오우바이(オウバイ, 黄梅)'다. '노란색(黄) 꽃이 피는 매화(梅)'라는 뜻이다. 잎이 나오기 전에 노란색으로 피는 꽃잎이 6장으로 매화와 비슷한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FOM에는 게이슌카(ゲイシュンカ, 迎春花)라는 별명이 실려 있다. 일본에서는 꽃이 1월 중순~3월 하순에 피어나기 때문에 게이슌카(迎春花)라고 하였다.
FOM, 중국어판 바이두백과(百度百科), 위키백과(維基百科) 등재 중문명(中文名, Chinese name)은 잉춘화(迎春花)다. 중국에서는 2월(구정)~4월 무렵에 잎보다 먼저 꽃이 피어나 봄을 맞이한다는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百度百科에는 샤오황화(小黄花), 진야오다이(金腰带), 황메이(黄梅), 칭밍화(清明花) 등의 별명이 실려 있다. 維基百科에는 별명 총반잉춘(重瓣迎春),홍콩 속칭(香港俗称) 촨촨진(串串金) 등도 실려 있다.
잉춘화(迎春花)는 모든 꽃 가운데 가장 먼저 노란색의 작은 꽃이 핀다. 때로는 눈과 함께 피기도 하며, 이 꽃이 핀 후에야 비로소 다른 꽃들도 만발하는 봄이 온다. 그래서, 중국에서는 예로부터 잉춘화(迎春花)와 메이화(梅花), 슈이셴화(水仙花), 샨차화(山茶花, 동백꽃)를 쉬에쭝쓰여우(雪中四友), 즉 '눈 속의 네 벗'이라고 불렀다.
잉춘화(迎春花)는 중국에서 가장 흔한 꽃 가운데 하나다. 중국인들에게 잉춘화는 아름다우면서도 위엄이 있고 비범한 기질을 가지고 있는 꽃으로 인식되고 있다. 중국에서 잉춘화 재배의 역사는 1,000년이 넘는다. 탕(唐)나라 시인 빠이쥐이(白居易)의 시 '다이잉춘화자오류랑쭝(代迎春花召刘郎中, 영춘화 대신 류랑쭝을 부르다)와 송(宋)나라 때 한치(韩琦)의 시 '쭝슈동팅잉춘(中书东厅迎春, 중서동청 봄맞이)', 밍(明)나라 때 쩌우원화(周文华)가 찬한 '루난푸싀(汝南圃史, 루난정원사)'에도 잉춘화가 등장한다. 잉춘화는 현재 허난성(河南省) 허비시(鹤壁市)의 시화(市花)이기도 하다.
영춘화는 중국에 분포한다. 한강토(조선반도, 한반도)에는 남부 지방에 식재한다(국생정). 영춘화는 중국 원산이며 관상용으로 정원에 심어 기른다(국생관).
'오우바이(オウバイ, 黄梅)'의 원산지는 중국이다. 일본에서는 귀화종(帰化種)이다. 에도시대(江戸時代) 초기에 중국에서 전래되었다. 윈터 재스민(Winter jasmine)이라고 부르지만, 쟈스민(ジャスミン) 향기는 없다(FOM).
잉춘화(迎春花)의 원산지는 중국 중부 및 북부 지방이다. 정원에 심거나 분재로 이용하기도 한다(維基百科). 잉춘화는 중국 간쑤(甘肃), 샨시(陕西), 쓰촨(四川), 윈난(云南) 서북부, 시장(西藏, 티베트) 동남부의 800~2000m 지대에 난다. 옛날부터 양쯔강(揚子江) 유역을 따라 정원에 관상용으로 많이 심었다. 오늘날에는 중국은 물론 전 세계적으로 널리 재배된다(百度百科).
영춘화는 대개 낙엽성이지만 상록성으로 자라기도 한다. 키는 3m까지 자란다. 줄기는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옆으로 퍼지고, 땅에 닿은 곳에서 뿌리가 내린다. 줄기는 능선이 있고 녹색이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1회 홀수 깃꼴형겹잎(奇數羽狀複葉)이다. 소엽(小葉)은 3~5개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잎보다 먼저 피고 노란색에 판통(瓣筒)이며 각 마디에 마주 달린다.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6개이다. 꽃은 향기(香氣)가 없다. 수술은 2개이다.
밍(明)나라 리싀젠(李時珍)의 뻰차오강무(本草綱目)에는 잉춘화(迎春花)가 활혈산어(活血散瘀), 소종지통(消肿止痛)의 효능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잉춘화 차(茶)는 소염(消炎), 이뇨(利尿), 미세순환(微循环) 개선 등의 효능이 있다(百度百科).
국표 등재 영춘화의 유사종(類似種, similarity species) 자생식물(自生植物, Indigenous plant)은 없다. 국표 등재 영춘화의 유사종 재배식물(裁培植物, garden plant, cultivated plant)에는 별자스민, 아피네약자스민(대만 자스민, Jessamine Poet's), 약자스민(Jessamine Poet's, Common jasmine, True jasmine, Jessamine, Jasmine Common), 왜탐춘화(矮探春花, Italian yellow jasmine, Jasmine Yellow), 탐춘화(探春花), 하지자스민, 학자스민 등 8종이 있다.
2022. 7. 9. 林 山. 2024.3.27. 최종 수정
#영춘화 #オウバイ #黄梅 #迎春花
'야생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촛대앵초 (0) | 2022.07.12 |
---|---|
제비붓꽃 '우아한 심정' (0) | 2022.07.11 |
청나래고사리 '신비, 요술' (0) | 2022.07.08 |
황철쭉 '정열' (0) | 2022.07.02 |
괴불나무 '사랑의 희열' (0) | 2022.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