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6월 중순 경기도 포천에 있는 국립수목원에서 하얀색의 귀여운 꽃이 한창 피어나고 있는 개다래를 만났다. 개다래라는 이름은 열매가 쏘는 듯한 아린 맛이 나고 달지도 않아 먹기가 어려우므로 쓰임새가 다래보다 못하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개다래는 다래, 양다래, 쥐다래, 섬다래 등 친척이 제법 많은 편이다. 야생에서 흔히 만나는 다래와 개다래, 쥐다래는 어떻게 구별할까? 먼저 꽃밥을 본다. 다래의 꽃밥은 까만색, 개다래와 쥐다래는 노란색이다. 다음에 잎을 본다. 흔히 개다래와 쥐다래는 잎을 보고 구별한다. 잎에 흰색 무늬가 있으면 개다래, 붉은색 무늬가 있으면 쥐다래로 구별하는데, 이는 확실한 방법이 아니다. 왜냐하면 두 종류 모두 잎에 무늬가 없는 경우도 있고, 또 쥐다래는 잎에 생긴 흰색 무늬가 시간이 지나면서 붉은색으로 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잎에 붉은색 무늬가 있으면 쥐다래로 보면 된다.
개다래는 물레나물목 다래나무과 다래나무속의 낙엽 활엽 덩굴나무(蔓莖木)다. 학명은 악티니디아 폴리가마 (지볼트 & 추카리니.) 플랑숑. 엑스 막시모비치.[Actinidia polygama (Siebold & Zucc.) Planch. ex Maxim.]이다. 속명 '악티니디아(Actinidia)'는 '방사상(放射狀)'을 뜻하는 그리스어 '악티스(aktis)'에서 유래했다. 꽃의 암술머리가 방사상으로 갈라진 것을 표현한 이름이다. 종소명 '폴리가마(polygama)'는 '자주 결혼하는, 일부다처의(often-married)'를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 '폴리가무스(polúgamos, polygamous)'에서 유래했다. 수꽃 양성화 딴그루를 표현한 이름으로 보인다.
'지볼트(Siebold)'는 독일의 의사이자 생물학자 필리프 프란츠 폰 지볼트(Philipp Franz von Siebold, 1796~1866)이다. 지볼트는 일본에서 서양의학을 처음 가르친 유럽인으로 유명하며, 일본의 식물과 동물 고유종을 연구했다. '추카리니(Zucc)'는 독일의 식물학자 요제프 게르하르트 추카리니(Joseph Gerhard Zuccarini, 1797~1848)이다. 뮌헨 대학교 식물학과 교수였던 추카리니는 지볼트가 일본에서 수집한 식물을 분류하는 것을 도왔으며, 멕시코 등지의 식물도 함께 기술했다. '플랑숑(Planch)'은 프랑스의 식물학자 줄스 에밀 플랑숑(Jules Émile Planchon, 1823~1888)이다. '엑스(ex)'는 처음 이름을 붙인 사람이 유효한 출판을 하지 못하고, 다음 사람이 유효한 출판을 했다는 뜻이다. '막시모비치(Maxim)'는 러시아의 식물학자 카를 막시모비치(Karl Maximovich, 1827~1891)이다. 막시모비치는 평생 그가 방문한 극동 아시아의 식물군을 연구하고 많은 새로운 종의 이름을 지었다. 그는 1852년 상트 페테르부르크 식물원에서 식물 표본 수집 큐레이터로 일했으며, 1869년에는 감독이 되었다.
개다래의 영어명은 실버 바인(silver vine)이다. 직역하면 '은백색 덩굴' 정도의 뜻이다. 흰색 이파리를 표현한 이름이다. 중국명은 꺼자오미허우타오(葛枣猕猴桃)이다. '꺼자오(葛枣)'는 '개다래(나무)', '미허우타오(猕猴桃)'는 '다래(나무)'이다. 이명에는 꺼자오즈(葛枣子, 辽宁), 무톈랴오(木天蓼) 등이 있다. 한강토(조선반도)에서는 개다래를 개다래나무, 개다래덩굴, 말다래(나무), 못좃(좆)다래나무, 묵다래나무, 쉬젓가래, 쥐다래나무라고도 한다. 북한명은 말다래나무다. 본초명은 천료(天蓼), 등천료(藤天蓼)이다. 꽃말은 '꿈꾸는 심정(心情)'이다.
개다래의 일본명은 마타타비(マタタビ, 木天蓼), 이명에는 고제노키(ゴゼノキ), 나츠우메(夏梅) 등이 있다. 마타타비(木天蓼)라는 이름은 918년에 나온 '혼조와미요우(本草和名)에 기록된 '와타타히(和多々比)', 927년에 나온 '엔기시키(延喜式)'에 기록된 '와타타타비(和太太備)'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가이바라 에키켄(貝原益軒)이 1699년애 쓴 '니혼샤쿠묘우(日本釈名)'에는 '과실이 길고 평평한 것이 생기는 것으로 보아 마타츠미(マタツミ)의 뜻일 것'이라는 설명도 있다.
현재는 아이누어의 '마타탐부(マタタムブ)'에서 왔다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 '마키노신일본식물도감(牧野新日本植物図鑑, 北隆館, 1985년. 331쪽)에는 "아이누어로 '마타(マタ)'는 '겨울(冬)', '탐부(タムブ)'는 '귀갑, 거북 등딱지(亀の甲)'의 뜻으로 '충영(虫えい, 虫癭)'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고 나와 있다. 후카츠 타다시(深津正)의 '쇼쿠부츠와메이노켕큐(植物和名の研究, 八坂書房)'나 지리 마시호(知里真志保)의 '분루이아이누고지텐(分類アイヌ語辞典, 平凡社)'에는 "'탐부(タムブ)'는 츠토(苞, 手土産)'의 뜻이다."라고 나와 있다. '츠토(苞·苞苴)'는 '짚 따위로 싼 것, 꾸러미(わらづと)'이다. 아어(雅語, 속어)로는 '(집에 갖고 가는) 선물, 토산물(家づと)'의 뜻이다.
개다래는 한강토를 비롯해서 일본, 중국, 극동러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한강토에서는 충청북도를 제외한 전국의 깊은 산지에 자란다. 일본에는 본토 4개 섬에 다 분포한다. 중국에서는 후난(湖南), 윈난(云南), 헤이롱쟝(黑龙江), 샨동(山东), 꾸이저우(贵州), 후베이(湖北), 허베이(河北), 샨시(陕西), 허난(河南), 깐수(甘肃), 지린(吉林), 랴오닝(辽宁) 등지의 해발 500~1,900m의 숲속에 자란다.
개다래의 뿌리는 천근성(淺根性)이다. 줄기는 5m 정도까지 자란다. 일년생 가지는 어릴 때 연갈색 털이나 간혹 가시 같은 억센 털이 있고, 속은 흰색이며 차 있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막질이며, 넓은 달걀형 또는 달걀형의 타원형이고, 점첨두(漸尖頭)에 원저(圓底) 또는 아심장저(亞心臟底)이다. 잎 길이는 8~14cm, 너비 3.5~8cm이다. 줄기 윗부분의 잎 표면 상반부는 때로 전체가 흰색으로 변하기도 한다. 잎 뒷면은 연한 녹색이고, 맥액(脈腋)에 연한 갈색 털이 있으며, 어릴 때는 양면 맥 위에도 연한 갈색털이 있다. 잎 가장자리에는 잔톱니가 있으며, 엽병(葉柄)에 털이 있다.
꽃은 6~7월에 흰색으로 핀다. 꽃 지름은 1.5cm로서 향기가 있고, 가지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한 화경(花梗)에 꽃이 1~3개씩 달린다. 화경은 길이 3~6cm로서 연한 갈색 털이 있다. 꽃잎과 꽃받침 조각은 각각 5개씩으로 넓은 달걀형이다. 씨방에는 털이 없다.
열매는 달걀형의 타원형이다. 열매의 길이는 2~3cm 정도로서 끝이 뾰족하다. 열매는 9월 말~10월 초에 노란색으로 익는다. 과육은 혓바닥을 찌르는 듯한 맛이 있으며, 달지도 않다.
개다래는 도시 공원이나 정원에 틀을 만들어 머루, 다래와 함께 올려 등나무처럼 가꾸면 멋있다. 개다래에 들어있는 액티니딘(actinidine) 성분은 고양이과 동물을 일시적으로 환각상태에 빠지게 한다. 개다래의 열매, 가지, 잎 등은 집에서 기르는 고양이의 장난감을 만드는 데 쓰인다.
일어판 위키백과에는 '재배할 때는 과실이 달리는 암그루를 골라야 한다. 고양이가 선호하는 식물이므로 방지 철망 울타리가 필요하다. 열매와 가지, 잎은 고양이의 병을 고치는 데 쓰인다. 열매는 소금 절임, 된장 절임으로 하거나 약술을 담근다. 다래순처럼 개다래순도 나물로 먹을 수는 있지만,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고 나와 있다. '국가생물자원관 생물 다양성 정보'에는 '잎에는 환각 유발제와 안정제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또 잎에는 고양이류가 매우 좋아하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서 동물원에서 사자를 안정시키거나 마취시킬 때 개다래의 잎을 이용한다. 많은 양을 한 번에 섭취했을 때 환각 증세를 일으킬 수 있다.'고 나와 있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생정)에는 개다래에 대해 '가지와 잎(枝葉)은 목천료(木天蓼), 뿌리(根)는 목천료근(木天蓼根), 충영(蟲癭)이 있는 과실은 목천료자(木天蓼子)라 하며 약용한다. 목천료는 대풍나질(大風癩疾, 한센씨병), 징적(癥積, 腹中硬結), 기리풍로(氣痢風勞)를 치료한다. 목천료근은 풍충아통(風蟲牙痛, 치통), 요통을 치료한다. 목천료자는 중풍구면와사(中風口面喎斜), 산기(疝氣, hernia), 현벽(痃癖, 腹中結塊), 여자의 허로(虛勞, 폐병), 모든 냉증(冷症)을 치료하며 몸을 따뜻하게 하고 요통산통(腰痛疝痛)의 치료에도 쓴다.'고 나와 있다. 목천료, 목천료근, 목천료자 등은 전국 한의과대학 본초학 교과서나 '동의보감'에는 등재되어 있지 않고, 한의사들도 임상에서 거의 사용하지 않는 한약재다.
일어판 위키백과에는 목천료 또는 목천료자에 대해 '진통(鎮痛), 보온(保温, 冷え性), 강장(強壮)의 효능이 있어 신경통(神経痛), 요통을 치료한다. 약술로도 담가서 먹는다.'고 나와 있다.
중문판 빠이두백과(百度百科)에는 '개다래는 전체가 귀중하다. 덩굴에는 고품질의 식물성 접착제와 섬유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고급 종이를 만들 수 있다. 종자와 꽃, 잎 등을 약재로 사용하여 차를 만들 수 있다. 생과일은 먹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스, 와인, 통조림으로 만들 수 있다. 비타민과 영양이 풍부하여 다양한 건강식품과 의약품을 개발할 수 있는 귀중한 건강 과일이다...... 충영은 탈장 및 요통 치료약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과일에서 추출한 신약 폴리가몰(Polygamol)은 강심, 이뇨를 강화하는 주사제다.(葛枣猕猴桃全身是宝, 藤蔓中含有大量优质植物胶和纤维, 可以制成高档纸, 种子, 花, 叶均可入药, 制茶, 果实不仅可以鲜食, 还可用以制作果汁, 果酒, 罐头, 是珍贵的保健果品, 富含维生素, 营养丰富, 可开发多种保健食品和医药产品..... 虫瘿可入药, 治疝气及腰痛, 从果实提取新药Polygamol为强心利尿的注射药.)'라고 나와 있다.
개다래의 유사종에는 다래(Vine pear, 다래몽두리), 섬다래(Reddish-brown hardy kiwi), 쥐다래, 녹다래(Red-nerve hardy kiwi), 털다래, 붉은다래(purple kiwi, red kiwi), 양다래(델리키오사다래, 참다래, 키위, 키위프릇, Gooseberry Chinese, キウイフルーツ, 美味猕猴桃), 호미다래(키위 프루트, 참다래, 양다래, Kiwi fruit, Chinse gooseberry, Yangtao, Gooseberry Chinese, キウイフルーツ, 美味猕猴桃) 등이 있다.
다래[Actinidia arguta (Siebold & Zucc.) Planch. ex Miq.]는 키가 20m까지 자란다. 잎 맥겨드랑이에만 갈색 털이 있다. 꽃밥은 검은색이다. 열매는 장과로 난상 원형이며, 황록색으로 익고 맛이 좋다. 섬다래[Actinidia rufa (Siebold & Zucc.) Planch. ex Miq.]는 전라남도 신안군, 여수시, 진도군, 제주도 서귀포시에 분포한다. 키는 10m 정도까지 자란다. 잎과 엽병,일년생 가지, 열매에는 갈색 털이 있다. 쥐다래[Actinidia kolomikta (Maxim. & Rupr.) Maxim.]는 평안남북도, 함경남북도에서 지리산까지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분포한다. 잎이 얇고 대부분 흰색의 무늬를 가지며, 나중에 붉은색으로 변한다. 줄기는 자갈색이다. 열매는 가늘고 길다. 녹다래(Actinidia arguta var. rufinervis Nakai)는 동부 아시아와 인도에 약 25종, 한강토에는 4종이 분포한다. 키는 7m 정도까지 자란다. 잎 뒷면 맥액에 갈색 털이 있다. 열매 맛이 좋다. 털다래[Actinidia arguta var. platyphylla (A.Gray) Nakai]는 키가 7m 정도까지 자란다. 잎 뒷면 맥 위에 돌기가 있고, 맥액에 흰색 털이 있다. 열매는 맛이 좋다. 붉은다래(Actinidia melanandra Franch.)는 중국 후베이, 쓰촨, 윈난 지역이 원산지다. 열매는 보라색이고, 과육은 불그스름하다. 열매는 먹을 수 있지만, 상업적으로 재배되지는 않는다.
양다래[Actinidia chinensis Planch. var. deliciosa (A.Chev.) A.Chev.]는 참다래, 키위라고도 한다. 중국 중남동부 지역이 원산지이다. 열매는 구형에 가까운 원통형 또는 도란형이고, 길이는 5~6cm 정도이다. 열매에는 꺼칠꺼칠한 강모(剛毛)가 많이 나 있으며, 껍질은 녹색에서 갈색을 띤다. 무게는 30~80g이다. 큰 열매는 100g 이상인 것도 있다. 과육은 녹색이고, 일부 품종은 심 주변의 과육이 적색이다. 종자는 검은색 또는 갈색을 띤 검은색이다. 호미다래[Actinidia deliciosa (A.Chev.) C.F.Liang & A.R.Ferguson]는 일어판 'Flora of Mikawa(三河の植物観察, 미카와의 식물 관찰)'에 양다래와 동일종으로 등재되어 있다. 따라서, 설명도 같다.
2022. 12. 15. 林 山
'야생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기(黃芪, 단너삼) '평온(平穩)' (1) | 2022.12.19 |
---|---|
왜당귀(倭當歸, 일당귀) '모정(母情)' (0) | 2022.12.16 |
펜스테몬 디지탈리스(Penstemon digitalis) '은혜(恩惠)' (0) | 2022.12.13 |
독활(獨活, 땃두릅, 땅두릅) '애절, 희생' (0) | 2022.12.07 |
가는다리장구채 '동자(童子)의 웃음' (1) | 2022.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