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9월 중순경 야생화 탐사를 위해 동호회원들과 함께 경기도 광주에 있는 남한산(南漢山)을 찾았다. 남한산성(南漢山城) 남문(南門)인 지화문(至和門)을 지나 성곽 바깥쪽 길을 따라 오르다가 청량산(淸凉山, 497m) 기슭에서 이제 막 연분홍색 꽃을 피워 올린 송장풀을 만났다. 꽃을 보면 앙증맞고 귀여운데 어찌하여 송장풀이라는 무시무시한 이름이 붙었을까? 송장풀은 식물체에서 송장 썩는 냄새가 난다고 해서 그런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실제로 송장풀의 냄새를 맡아보면 송장 썩는 냄새 정도는 어니고 썩은 된장 비슷한 악취가 나기는 한다.
송장풀은 통화식물목 꿀풀과 익모초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국가표준식물목록(국표)에 등재된 이명은 개방앳잎, 개속단, 산익모초, 흰송장풀, 북한명은 산익모초(추천명), 개속단, 송장풀 등이 등재되어 있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생정)에는 개방앳잎(비추천명), 개속단, 대화익모초(大花益母草) 등의 이명이 등재되어 있다. 꽃말은 '열정(熱情)'이다. '현실 도피(現實逃避), 증오(憎惡)'라는 꽃말도 있다.
국표와 국생정 등재 송장풀의 학명은 레오누루스 마크란투스 막시모비치(Leonurus macranthus Maxim.)이다. 속명 '레오누루스(Leonurus)'는 속명 '레오누루스(Leonurus)'는 '사자(lion)'라는 뜻의 라틴어(Wiktionary) 또는 그리스어(Merriam-Webster) 고유명사 '레온(leōn)'에 근대 라틴어 접미사 '-우루스(-urus)'가 붙어서 된 근대 라틴어 고유명사다. 종소명 '마크란투스(macranthus)'는 '큰 꽃송이의(large-flowered)'라는 뜻을 가진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라틴어 형용사이다. '막시모비치(Maxim.)'는 러시아의 식물학자 카를 막시모비치(Karl Maximovich, 1827~1891)이다. 막시모비치는 평생 그가 방문한 극동 아시아의 식물군을 연구하고 많은 새로운 종의 이름을 지었다. 그는 1852년 상트 페테르부르크 식물원에서 식물 표본 수집 큐레이터로 일했으며, 1869년에는 감독이 되었다.
국표와 국표 등재 송장풀의 영어명은 라지-플라워 마더워트(Large-flower motherwort)이다. '라지-플라워(Large-flower)'는 '큰 꽃송이의, 대륜(大輪)', 마더워트(motherwort)'는 '익모초(益母草), 쑥(mugwort)'이다. 국표와 국생정, 일문판 Flora of Mikawa(三河の植物観察, 미카와의 식물 관찰, FOM) 등재 일본명은 기세와타(キセワタ, 着せ綿)이다. '기세와타(着せ綿)'는 '물건 위에 입힌 솜' 또는 '예전에 서리를 막기 위해 국화 꽃 위에 씌운 솜'이라는 뜻이다. 일본에서는 중양절(重陽節)에 기세와타(着せ綿)로 몸을 닦으면 노화(老化)가 방지된다고 여겼다.
FOM과 중문판 바이두백과(百度百科), 위키백과(维基百科) 등재 중국명은 따화이무차오(大花益母草)이다. '큰꽃익모초'라는 뜻이다. 百度百科에는 따화이무차오(大花益母草)에 대해 "따화이무차오(大花益母草)는 셴농뻰차오징(神农本草经)에 처음 실렸다. 꽃이 크고 부인에게 좋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흰 꽃과 자주색 꽃이 있다. 시한(西漢) 시대에 완성된 중국 최초의 자의(字義)를 해석한 사전인 얼야(尔雅)에 따르면 흰 꽃을 피우는 것은 투이(蓷, 益母草, 茺蔚, 萑), 자주색 꽃을 피우는 것은 투이(藬)라고 했다.(大花益母草始载于《神农本草经》. 因其花朵较大, 且对妇人有益处, 因而得名. 其具有白花和紫花两种, 据《尔雅》记载, 开白花者为'蓷', 开紫花者为'藬'. 因其花朵较大, 且对妇人有益处, 因而得名. 其具有白花和紫花两种, 据《尔雅》记载, 开白花者为'蓷', 开紫花者为'藬'.)"고 실려 있다.
송장풀의 원산지는 한강토(조선반도), 일본(北海道, 本州, 四国, 九州), 중국, 러시아이다.(FOM) 송장풀은 중국 랴오닝(辽宁), 지린(吉林), 허베이(河北) 등지에 분포한다. 한강토, 일본, 러시아 극동 지방에도 분포한다.(百度百科) 송장풀은 한강토,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국생정)
송장풀은 키가 1m 정도까지 자란다. 줄기는 둔한 사각형이며, 곧추서고 능각(稜角)이 있으며, 거센 역모(逆毛)가 밀생(密生)한다. 녹색 또는 자주색을 띠고 가지가 없거나 윗부분에서 갈라진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달걀 모양 또는 좁은 달걀 모양이며, 예두(銳頭) 예저(銳底)이다. 잎 길이는 6~10cm, 너비 3~6cm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엽병(葉柄)은 길이 1~5cm이다. 잎의 표면은 녹색으로서 복모(伏毛)가 있으며, 뒷면은 회록색(灰綠色)으로 털이 더 많다. 밑잎은 갈라지고 윗잎은 잎이 점차 작아지며 가장자리도 밋밋해진다.
꽃은 8~9월에 연한 홍색으로 핀다. 꽃 길이는 25~32mm이다.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5~6개씩 윤산화서(輪繖花序)로 핀다. 꽃받침은 통상(筒狀)이고 5개로 갈라지며, 길이 10~15mm로서 끝이 가시처럼 된다. 꽃부리는 2개로 갈라지고 순형(脣形)이며, 길이 2~2.8cm로서 상순(上脣)과 하순(下脣)으로 갈라지고, 상순 뒷면에는 백색털이 있다. 열매는 분과(分果)이다. 분과는 길이 2.5mm로서 쐐기 모양 비슷한 거꿀달걀 모양이며, 3개의 능각이 있다. 흑색으로 익으며 털이 없다.
송장풀은 밀원식물(蜜源植物)로서 가치가 있다. 꽃이 달린 전초를 산후어혈복통(産後瘀血腹痛), 통경(痛經), 월경불순(月經不順), 신염수종(腎炎水腫), 중풍(中風) 등에 쓴다.(국생정) 어린순을 삶아 나물로 먹는다.(우리주변식물생태도감)
따화이무차오(大花益母草)는 휘발성 오일, 알칼로이드, 플라보노이드, 지방산 및 기타 화학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혈소판(血小板) 응집을 억제할 수 있다. 열매는 지방유가 풍부하여 산업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가축 사료로도 이용할 수 있다. 보조 밀원식물로도 이용할 수 있다.(百度百科)
따화이무차오(大花益母草)는 전초(全草)를 약으로 쓴다. 활혈행어(活血行瘀), 산후어혈복통(产后瘀血腹痛), 월경부조(月经不调), 요복동통(腹腰疼痛) 등의 증상에 쓸 수 있다.(百度百科)
국표 등재 송장풀의 유사종 자생식물은 익모초(Oriental motherwort, motherwort, メハジキ, 目弾き, ヤクモソウ, 益母草) 1종이 있다. 익모초(Leonurus japonicus Houtt.)의 원산지는 한강토, 일본(本州, 四国, 九州, 沖縄), 중국, 러시아, 열대 아시아(인도, 네팔, 인도차이나, 말레이시아)이다. 두해살이풀이다. 키는 1m 이상 자라기도 한다. 줄기는 곧게 서고 둔한 사각형으로 모가 지며, 백색털이 있어 전체가 백록색이 돌고, 가지가 갈라진다. 근생엽(根生葉)은 난상 원형이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거나 결각상(缺刻狀)이며, 꽃이 필 때 없어진다. 줄기잎은 3개로 갈라지고, 열편(裂片)은 다시 2~3개로 갈라지며, 각 소열편은 톱니 모양이거나 우상(羽狀)으로 다시 갈라지고 톱니가 있다. 최종열편은 선상 피침형(線狀披針形)이고 예두이며 회록색이다. 꽃은 7~8월에 홍자색(紅紫色)으로 핀다.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몇 개씩 층층으로 달려 윤산화서를 이룬다.
국표 등재 송장풀의 유사종 재배식물에는 사자귀익모초(lion's tail, Motherwort, throw-wort, lion's ear, モミジバキセワタ, 紅葉葉着せ綿) 1종이 있다. 사자귀익모초(Leonurus cardiaca L.)의 원산지는 남동부 유럽, 중앙아시아, 튀르키예 등이다.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손바닥 모양으로 마주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가 길다. 기부 잎은 쐐기 모양으로 3갈래지고, 위쪽 잎은 3~5갈래로 갈라진다. 꽃은 한여름에서 늦여름까지 분홍색에서 라일락색으로 핀다. 윗입술은 볼록하고 흰 털로 덮여 있다. 아랫입술은 3개의 갈라진 아래쪽으로 구부러져 있으며 붉은 반점이 있다. 아랫입술에도 털이 많다.
FOM에는 흥안익모초(ダッタンメハジキ, 兴安益母草, 학명 Leonurus deminutus V.I.Krecz. et Kuprian.), 흰꽃익모초[シロバナメハジキ, 白花目弾き, 학명 Leonurus japonicus Houtt. f. niveus (A.I.Baranov et Skvortzov) H.Hara], 개송장풀(イヌキセワタ, 犬着せ綿, 錾菜, 학명 Leonurus pseudomacranthus Kitag.), 흰꽃개송장풀(シロバナイヌキセワタ, 白花犬着せ綿, 학명 Leonurus pseudomacranthus Kitag. f. leucanthus Kitag.), 시베리아익모초(Siberian motherwort, ホソバメハジキ, 細葉目弾き, 细叶益母草, 학명 Leonurus sibiricus L.), 흰꽃시베리아익모초[シロバナホソバメハジキ, 白花细叶益母草, Leonurus sibiricus L. f. albiflorus (Nakai et Kitag.) C.Y.Wu et H.W.Li] 등이 등재되어 있다.
2023. 5. 6. 林 山
#송장풀 #익모초
'야생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둑놈의갈고리 '흥분(興奮)' (2) | 2023.05.12 |
---|---|
나도송이풀 '욕심(欲心)' (4) | 2023.05.09 |
큰꿩의비름 '순종(順從), 희망(希望), 생명(生命)' (1) | 2023.05.05 |
털진득찰 '신비(神祕), 요술(妖術)' (1) | 2023.05.04 |
방아풀 '인내(忍耐)' (0) | 2023.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