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9월 중순경 야생화 탐사를 위해 동호회원들과 함께 경기도 광주에 있는 남한산(南漢山)을 찾았다. 남한산성(南漢山城) 서문(西門)인 우익문(右翼門)에서 북문(北門)인 전승문(全勝門)을 향해 가다가 안경처럼 생긴 열매들이 달려 있는 도둑놈의갈고리를 만났다. 도둑놈의갈고리는 어감이 강렬해서 한 번 들으면 잊어버리지 않을 이름이다. 이 풀은 열매에 난 갈고리 모양의 잔가시 같은 털이 사람의 옷에 잘 달라붙어서 도둑놈의갈고리라는 이름을 얻었다.
도둑놈의갈고리는 장미목 콩과 도둑놈의갈고리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국기표준식물목록(국표)에는 이명에 갈구리풀, 갈쿠리풀, 도독놈갈쿠리, 도둑놈갈구리, 도둑놈의갈구리, 도둑놈의갈쿠리 등이 등재되어 있다. 추천 북한명은 갈구리풀이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생정)에는 이명에 갈구리풀(비추천명)이 등재되어 있다. 꽃말은 '흥분(興奮)'이다.
국표와 국생정에 등재된 도둑놈의갈고리의 학명은 힐로데스뭄 포도카르품 (드 캉돌.) H.오하시 & R.R.밀 섭스피시즈. 옥시필룸 (드 캉돌.) H.오하시 & R.R.밀[Hylodesmum podocarpum (DC.) H.Ohashi & R.R.Mill subsp. oxyphyllum (DC.) H.Ohashi & R.R.Mill]이다. 국생정에는 국표에 이명으로 올라 있는 데스모듐 포도카르품 드 캉돌. 바. 옥시필룸 (드 캉돌) H.오하시[Desmodium podocarpum DC. var. oxyphyllum (DC.) H.Ohashi]가 정명으로 등재되어 있다.
도둑놈의갈고리의 속명 힐로데스뭄(Desmodium)과 종소명 포도카르품(podocarpum), 아종명 또는 변종명 옥시필룸(oxyphyllum)의 기원은 구글링을 통해서도 찾지 못했다. 속명 데스모듐(Desmodium)은 '띠를 두르다(band), 끈, 접착시키다(bond)'라는 뜻의 그리스어 '데스모스(desmos)'에 근대 라틴어 접미사 '이움(-ium)'이 붙어서 이루어진 근대 라틴어 명사로 추정된다(Merriam-Webster). '긴 가지(長枝, long branch), 사슬, 띠, 묶다(chain)'의 뜻을 가진 그리스어로 긴 가지에 달리는 열매의 모양에서 유래한 것 같다(Flora of Wisconsin).
드 캉돌(DC)은 스위스의 식물학자 오귀스탱 피라무스 드 캉돌(Augustin Pyramus de Candolle, 1778~1841)이다. 그는 식물의 내부 생체시계 발견으로 유명하다. 그의 아들 알퐁스 루이 피에르 피라뮤 드 캉돌(Alphonse Louis Pierre Pyramus de Candolle, 1806~1893)도 식물학자이다. H.오하시(H.Ohashi)는 일본의 식물학자 오하시 히로요시(大橋広好, 1936~)이다. R.R.밀(R.R.Mill)은 스코틀랜드 식물학자 로버트 레이드 밀(Robert Reid Mill, 1950~)이다. 'subsp'는 '섭스피시즈(subspecies)'의 줄임말로 아종(亞種)의 뜻이다.
국표와 국생정에 등재된 도둑놈의갈고리의 영어명은 빅-립 틱 클로버(Big-leaf tick clover)이다. '빅-립(Big-leaf)'은 '큰 잎', '틱(tick)'은 '체크 표시, 진드기', '클로버(clover)'는 '토끼풀'이다. 일문판 Flora of Mikawa(三河の植物観察, FOM)에 등재된 일본명은 누스비토하기(ヌスビトハギ, 盗人萩)이다. '누스비토(盗人)'는 '도둑놈', '하기(萩)'는 '싸리'이다. FOM, 중문판 위키백과(维基百科)에 등재된 중국명은 졘예창빙샨마황(尖叶长柄山蚂蝗)이다. 바이두백과(百度百科)에 등재된 중국명은 졘예창빙샨마황(尖叶长柄山蚂蟥)이다. '뾰족한 잎에 잎자루가 긴 도둑놈의갈고리'란 뜻이다. 바이두백과에 등재된 이명에는 졘예창빙샨마황(尖叶长柄山蚂蝗), 샨마황(山蚂蝗), 샤오샨마황(小山蚂蝗) 등이 있다.
도둑놈의갈고리는 한강토(조선반도)의 평남, 함남(원산) 이남에 난다. 일본, 타이완, 중국, 인도에도 분포한다(국생정). 도둑놈의갈고리는 일본 재래종이다. 한강토, 일본, 중국, 러시아, 인도, 부탄, 네팔, 인도네시아, 라오스, 미얀마, 베트남 등지에 분포한다(FOM). 중국에서는 주로 친링(秦岭), 화이허(淮河) 이남 지역에 난다. 한강토, 인도, 네팔, 미얀마, 일본에도 분포한다(百度百科).
도둑놈의갈고리의 뿌리는 단단한 목질이다. 키는 60~90cm이다. 줄기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능선이 있으며, 자흑색(紫黑色)이 돈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엽병(葉柄)이 길며, 3출복엽(三出復葉)이고 장란형(長卵形) 또는 난상 능형(卵狀稜形)이다. 잎 길이는 4~8cm, 너비 2.5~4cm이고, 끝은 둔하거나 뾰족하며 밑은 둥글다.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탁엽(托葉)은 침상 피침형(針狀鈹針形)으로 길이 3~7mm이다.
꽃은 7~8월에 연한 홍색(紅色)으로 핀다. 잎겨드랑이나 줄기 끝에 총상꽃차례로 달리고, 꽃자루는 길이 5~10mm이다. 꽃받침은 얕은 열편(裂片)으로 갈라지고, 꽃부리는 나비형이다. 열매는 꼬투리열매(莢果)이다. 꼬투리열매의 소절과(小節果)는 보통 2개로 잘록하고, 익으면 1개씩 갈라져 떨어진다. 열매는 소절과 하나만 보면 반달 모양이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안경 모양이다. 열매에는 갈고리 모양의 털이 있다.
도둑놈의갈고리는사료용으로 재배하기도 한다(다음백과). 지상부를 사료로 사용한다. 뿌리, 지상부를 타박상, 관절염, 요통 등에 사용한다(민속특산식물사전). 전초(全草)를 다 약용(药用)한다. 해표산한(解表散寒), 거풍해독(祛风解毒)의 효능이 있어 풍습골통(风湿骨痛), 해수토혈(咳嗽吐血) 등을 치료한다(百度百科).
국표에 등재된 도둑놈의갈고리의 유사종 자생식물에는 개도둑놈의갈고리(Common tick clover, マルバヌスビトハギ, 丸葉盗人萩, 长柄山蚂蝗), 긴도둑놈의갈고리(Long-fruit tick clover, ケヤブハギ, 毛藪萩, 宽卵叶长柄山蚂蝗), 애기도둑놈의갈고리(Manchurian tick clover, ヤブハギ, 藪萩, 长柄山蚂蝗), 큰도둑놈의갈고리(Oldham’s tick clover, フジカンゾウ, 藤甘草, 羽叶长柄山蚂蝗) 등이 있다.
개도둑놈의갈고리[Hylodesmum podocarpum (DC.) H.Ohashi & R.R.Mill]의 원산지는 한강토, 일본(本州 岩手県 이남, 四国, 九州), 중국, 타이완, 부탄, 인도, 인도네시아, 라오스, 미얀마, 네팔, 파키스탄, 필리핀, 러시아 극동 지방, 베트남이다. 도둑놈의갈고리와 비슷하지만 보다 털이 많고, 정소엽(頂小葉)의 중앙 이상이 보다 넓으며, 둥글게 보이는 것이 다르다. 전체에 털이 밀생(密生)한다. 긴도둑놈의갈고리[Hylodesmum podocarpum (DC.) H.Ohashi & R.R.Mill subsp. fallax (Schindl.) H.Ohashi & R.R.Mill]는 한강토의 전남 매가도, 경북 울릉도, 황해 장산곶, 일본, 만주, 중국, 우수리에 분포한다. 도둑놈의갈고리에 비해 잎이 엷고, 줄기의 중앙보다 밑쪽에 모여 달리며, 협과의 자루가 길다. 애기도둑놈의갈고리[Hylodesmum podocarpum (DC.) H.Ohashi & R.R.Mill var. mandshuricum (Maxim.) H.Ohashi & R.R.Mill]의 원산지는 한강토, 일본, 중국, 인도, 네팔, 파키스탄, 필리핀이다. 잎이 중앙 부근에 붙는 것이 특징이다. 꽃은 7~8월에 연한 녹색으로 핀다. 큰도둑놈의갈고리[Hylodesmum oldhamii (Oliv.) H.Ohashi & R.R.Mill]의 원산지는 한강토, 일본(本州, 四国, 九州), 중국, 러시아이다. 키가 1~1.5m 정도까지 자란다.
2023. 5. 12. 林 山
#도둑놈의갈고리
'야생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리장나무 '깨끗한 사랑' (1) | 2023.05.16 |
---|---|
구름조개풀 '허무한 삶' (0) | 2023.05.15 |
나도송이풀 '욕심(欲心)' (4) | 2023.05.09 |
송장풀 '열정(熱情)' (0) | 2023.05.06 |
큰꿩의비름 '순종(順從), 희망(希望), 생명(生命)' (1) | 2023.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