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10월 초순경 야생화 탐사를 위해 동호회원들과 함께 경기도 광주에 있는 남한산(南漢山)을 찾았다. 남한산성(南漢山城) 남문(南門)인 지화문(至和門)에서 동문(東門)인 좌익문(左翼門)을 향해 성곽길을 따라가다가 새빨간 받침 위에 보석 같은 흑벽색(黑碧色)의 반들반들한 열매가 열린 누리장나무를 만났다. 누리장나무의 잎을 뜯어서 냄새를 맡아 보면 역한 누린내가 난다. 줄기와 잎에서 누린내가 난다고 해서 누리장나무라는 이름이 붙었다. 하지만 꽃이 필 때는 향긋한 백합향이 난다. 꽃말 '깨끗한 사랑'과 잘 어울리는 꽃 향기다.
누리장나무는 통화식물목(筒花植物目) 마편초과(馬鞭草科) 누리장나무속의 낙엽 활엽 관목이다. 국가표준식물목록(국표)에는 개나무, 개똥나무, 구린내나무, 구릿대나무, 깨타리, 노나무, 누기개나무, 누룬나무, 누르나무, 이라리나무 등의 이명이 등재되어 있다. 추천 북한명은 누리장나무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생정)에는 개나무가 비추천명으로 등재되어 있다.
국표와 국생정에 등재된 누리장나무의 학명은 클레로덴드룸 트리코토뭄 툰베리(Clerodendrum trichotomum Thunb.)이다.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속명 '클레로덴드룸(Clerodendrum)'은 '찬스 트리(chance tree)'의 뜻,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종소명 '트리코토뭄(trichotomum)'은 '세 갈래의(three-forked), 삼중 가지의(triple-branched)'라는 뜻이다(Wikipedia). 찬스 트리는 누리장나무, 트리코토뭄(trichotomum)은 줄기에서 가지가 세 갈래로 갈라지고, 각 가지는 다시 또 세 갈래로 갈라지는 경향을 표현한 이름이다.
'툰베리(Thunb)'는 스웨덴의 식물학자 칼 페테르 툰베리(Carl Peter Thunberg, 1743~1828)다. 툰베리는 '남아프리카공화국 식물학의 아버지', '일본의 린네'라고 불린다. 웁살라 대학교에서 '식물학의 시조' 칼 폰 린네(Carl von Linn'e, 1707~1778)에게 배운 툰베리는 1771년에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선의(船醫)가 되었고, 1775년에 일본 나가사키에 도착하여 1777년 7월 떠날 때까지 식물을 수집했다.
국표와 국생정, 일문판 Flora of Mikawa(三河の植物観察, FOM)에 등재된 누리장나무의 영어명은 할러퀸 글로리바워(Harlequin glorybower)이다. '할러퀸(Harlequin)'은 '어릿광대(buffoon)' 또는 '잡색의, 얼룩색의, 변화 무쌍한, 다채로운', '글로리바워(glorybower)'는 '누리장나무속 식물의 총칭'이다. FOM에는 재퍼니즈 클레로덴드룸(Japanese clerodendrum)이란 영어명도 실려 있다. '일본 누리장나무'란 뜻이다. 국표와 국생정, FOM에 등재된 일본명은 구사기(クサギ, 臭木・臭梧桐)이다. '냄새나는 나무'란 뜻이다. FOM과 중문판 위키백과(维基百科), 바이두백과(百度百科)에 등재된 중국명은 하이저우창샨(海州常山)이다. '하이저우(海州)'는 '장쑤성(江苏省) 북부에 있는 지명', '창샨(海州常山)'은 '운향과의 낙엽 활엽 관목인 상산(常山)'이다. 위키백과에는 처우우퉁(臭梧桐), 바이두백과에는 처우퉁(臭桐), 바쟈오우퉁(八角梧桐) 등의 이명이 실려 있다.
누리장나무는 한강토(조선반도), 타이완, 중국, 필리핀, 일본에 분포한다. 한강토에서는 강원도 및 황해도 이남 전체에 분포한다(국생정). 구사기(クサギ, 臭木)는 일본 재래종(在来種)이다. 일본 전토, 한강토, 중국, 서남아시아에 분포한다(FOM). 하이저우창샨(海州常山)은 중국 동북부, 중부~남서부, 타이완 북부, 일본, 한강토, 필리핀에 분포한다(维基百科). 중국 랴오닝(辽宁), 깐쑤(甘肃), 샨시(陕西), 화베이(华北), 중난(中南), 시난(西南) 각지에서 생산된다. 한강토, 일본, 필리핀 북부에도 분포한다. 해발 2,400m 이하의 산비탈 관목 지대에서 자란다(百度百科).
누리장나무는 키가 2m 정도까지 자란다. 나무껍질은 회백색이고 속은 백색이며, 줄기 전체에서 누린내가 난다. 마주나기하는 잎은 넓은 달걀형에 점첨두(漸尖頭), 예형(銳形) 또는 절저(截底)이다. 잎 길이는 8~20cm, 너비 5~13cm이다. 잎 뒷면 맥위에는 털이 있고, 희미한 샘이 산생(散生)한다.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큰 톱니가 있다. 잎자루 길이는 3~10cm로 털이 있다.
꽃은 7월 중순~8월 중순 양성꽃이 취산꽃차례에 달린다. 취산꽃차례는 지금 24cm로 새가지 끝에 달린다. 꽃부리는 지름 3cm로 5개로 갈라지며, 열편(裂片)은 긴 타원형이고 흰색이다. 꽃받침은 홍색이 돌고 5개로 깊게 갈라진다.
열매는 핵과(核果)이다. 핵과는 둥근 모양이며 지름 6~8mm로 흑벽색으로 익는다. 붉은색의 꽃받침에 싸여 있다가 밖으로 나출(裸出)된다. 종자는 9월 말~10월 중순에 성숙한다.
누리장나무의 어린순은 나물로 먹을 수 있다. 잎이 갓 피었을 때 따서 삶아 먹거나 소금으로 간을 하여 튀겨 먹기도 한다. 누린내가 나는 냄새 성분은 휘발성이 강하여 금방 날아간다. 꽃으로는 술을 담가 먹기도 한다. 열매의 푸른 쥐색을 내는 색소는 염료와 식품첨가물로 사용되기도 했다. 누리장나무는 꽃이 예쁘고 열매가 특이해서 공원이나 정원에 관상용으로 심는다. 도시 조경용수로도 다양하게 쓰인다. 밀원용으로도 가치가 있다.
누리장나무와 털누리장나무의 어린 가지와 잎(枝葉)은 본초명 취오동(臭梧桐), 꽃(花)은 취오동화(臭梧桐花), 과실은 취오동자(臭梧桐子), 뽀리(根)는 취오동근(臭梧桐根), 뿌리껍질(根皮)을 짓찧어서 만든 끈적끈적한 즙은 토아위(土阿魏)라 하며 약용한다.
취오동은 거풍습(祛風濕), 강혈압(降血壓)의 효능이 있다. 류머티즘에 의한 비통(痺痛), 반신불수(半身不隨), 고혈압, 편두통, 말라리아, 이질, 치창, 옹저창개(癰疽瘡疥, 化膿性 瘡疥)를 치료한다. 취오동화는 두통, 이질, 산기(疝氣, Hernia)를 치료한다. 취오동자는 거풍습(祛風濕), 평천(平喘)의 효능이 있다. 취오동근은 학질(말라리아), 풍습비통(風濕痺痛, 류머티즘에 의한 사지마비, 통증), 고혈압, 식체(食滯)에 의하여 복부(腹部)가 땅기는 것, 소아감질(小兒疳疾, 정신불안정을 수반하는 소아허약), 타박상을 치료한다. 토아위는 서근(舒筋), 활혈(活血), 소비파징(消痞破癥)의 효능이 있다(국생정).
본초학(本草學)에서는 누리장나무의 어린 가지와 잎을 말린 것을 본초명 취오동이라고 한다. 취오동은 거풍습약(祛風濕藥) 가운데 서근활락약(舒筋活絡藥)으로 분류된다. 거풍습(祛風濕), 강혈압(降血壓), 지통(止痛)의 효능이 있어 풍습비통(風濕痺痛), 반신불수, 사지마비, 류마티스 관절염, 고혈압, 편두통, 이질, 학질, 치창(痔瘡), 옹저창개(癰疽瘡疥) 등을 치료한다. 치창이나 옹저창개에는 외부(外敷)한다(전국 한의과대학 본초학 교과서). 민간에서는 누리장나무의 잔가지와 뿌리를 말려서 기침이나 감창(疳瘡) 등의 피부병에 이용하기도 한다. 한의사들이 임상에서 그리 자주 처방하는 한약재는 아니다.
국표에 등재된 누리장나무의 유사종 자생식물에는 섬누리장나무(거문누리장나무, Glabrous harlequin glorybower, ショウロクサギ), 털누리장나무(Hairy harlequin glorybower, ケクサギ) 등 2종이 있다.
섬누리장나무(Clerodendrum trichotomum Thunb. var. esculentum Makino)는 국생정에 거문누리장나무로 등재되어 있다. 강원도 및 황해도 이남 지방에 분포한다. 잎은 심장저로 끝이 뾰족하고 꽃차례가 짧으며 꽃받침 열편이 좁고 길다. 열매는 벽색(碧色)이다. 털누리장나무(Clerodendrum trichotomum Thunb. var. ferrugineum Nakai)는 잎 뒷면에 갈색털이 밀생한다.
국표에 등재된 누리장나무의 유사종 재배식물에는 꽃누리장나무(glory flowerGlory flower, ボタンクサギ, Clerodendrum bungei Steud.), 꽃누리장나무 '핑크 다이아몬드'(glory flowerGlory flower, Clerodendrum bungei 'Pink Diamond'), 누리장나무 '카니발'(harlequin glorybower, Clerodendrum trichotomum 'Carnival'), 당오동[ヒギリ, Clerodendrum japonicum (Thunb.) Sweet], 클레로덴드룸 스페키오숨(pagoda flower, Java glory bean, Clerodendrum × speciosum Dombrain), 클레로덴드룸 톰소니아이(bleeding glory bower, bleeding heart, bag flower, bleeding heart vineBag flower, Bleeding heart vine, Clerodendrum thomsoniae Balf.f.), 클레로덴드룸 파니쿨라툼(pagoda flower, Clerodendrum paniculatum L.) 등이 있다.
2023. 5. 17. 林 山
#누리장나무 #취오동
'야생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부자(白附子) '아름답게 빛나다' (0) | 2023.05.24 |
---|---|
자주조희풀 '딸과 사위를 위하여' (0) | 2023.05.18 |
구름조개풀 '허무한 삶' (0) | 2023.05.15 |
도둑놈의갈고리 '흥분(興奮)' (2) | 2023.05.12 |
나도송이풀 '욕심(欲心)' (4) | 2023.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