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이야기

가는잎그늘사초 '강인함'

林 山 2023. 5. 30. 18:29

2022년 9월 중순경 야생화 탐사를 위해 동호회원들과 함께 경기도 광주에 있는 남한산(南漢山, 522m)을 찾았다. 남한산성(南漢山城) 북문(北門)인 전승문(全勝門)에서 동쪽 능선을 따라 남한산 정상에 올랐다. 남한산 정상 기슭 성곽에서 꽃이 활짝 핀 백부자(白附子)를 보고 내려오다가 가는잎그늘사초를 만났다. 가는잎그늘사초는 다른 식물의 생존을 잘 허용하지 않는 소나무 아래서도 잘 자랄 만큼 생명력이 매우 강인한 식물이다. 그래서, 꽃말도 '강인함'이다.  

어린 시절 고향 시골집에서는 소를 키웠다. 당시 학교에서 돌아오면 산으로 들로 소에게 줄 꼴을 베러 다니곤 했다. 야생화 공부를 하면서 돌이켜보면 소가 잘 먹던 풀들이 바로 거의 대부분 사초류가 아니었나 생각된다. 낫으로 베기도 좋고, 또 소들이 잘 먹던 풀이 바로 사초류였던 것 같다.  사초속(莎草屬) 식물은 국가표준식물목록(국표)에 등재된 한강토 자생종만 213종이나 되는 대가족이다. 워낙 대가족 식물이라서 이름만 외는데도 벅차다.    

가는잎그늘사초(경기도 광주 남한산, 2022. 9. 17)

가는잎그늘사초는 사초목(莎草目) 사초과(莎草科) 사초속(莎草屬)의 여러해살이풀이다. 가는잎그늘사초는 잎이 가는 그늘사초, 그늘사초는 그늘에서도 잘 자라는 사초(莎草)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국표에는 그늘사초, 김의털, 산거울, 좀그늘사초 등의 이명이 실려 있다. 북한명은 좀그늘사초(추천명), 산거울, 애기그늘사초 등이 있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생정)에는 그늘사초가 비추천명으로 등재되어 있다.       

국표와 국생정 등재 가는잎그늘사초의 학명은 카렉스 후밀리스 바. 나나 (H.레베이예 & 바니오) 오이[Carex humilis var. nana (H.Lev. & Vaniot) Ohwi]다. 속명 '카렉스(Carex)'는 '갈대(reed), 사초(sedge)'의 뜻을 가진 라틴어 '카렉스(cārex)'에서 유래한 고유명사이다. 종소명 '후밀리스(humilis)'는 '낮은(low, lowly), 작은(small), 가냘픈(slight), 얕은(shallow)' 등의 뜻을 가진 라틴어 형용사이다. '후밀리스(humilis)'는 '지면(ground), 바닥(floor), 지면(earth), 흙(soil)'의 듯을 가진 라틴어 명사 후무스(humus)의 속격 '후미((humi)에 관계의 형용명사(adjective noun)를 형성하는 접미사 '-일리스(-ilis)'가 붙은 것이다. 땅에 붙어서 자라고, 잎이 가는 것을 표현한 이름이다.

 

'바(var.)'는 '변종(variant, 베리언트)'의 약자이다. 변종명 '나나(nana)'는 '난쟁이(dwarf)'라는 뜻의 라틴어 명사다. 키가 작은 것을 표현한 이름이다.       

'H.레베이예(H.Lev.)'는 프랑스 식물학자 오귀스탱 아벨르 엑토르 레베이예(Augustin Abel Hector Léveillé, 1864~1918)다. '바니오(Vaniot)'는 프랑스의 신부이자 식물학자 외젠 바니오(Eugène Vaniot)다. 바니오는 레베이예와 함께 2,000종 이상의 식물을 설명했다. '오이(Ohwi)'는 일본의 식물분류학자 오이 지사부로(大井次三郎, 1905~1977)이다. 오이는 교토제국대학(京都帝国大学) 과학학부의 저명한 학자였으며, 1953년에 출판한 '일본식물지(日本植物誌)'로 유명하다.    

국표와 국생정 등재 가는잎그늘사초의 영어명은 로우 세지(Low sedge)이다. '(키가) 낮은(Low) 사초(sedge)'라는 뜻이다. 국표와 국생정 등재 일어명은 히메히카게스게(ヒメヒカゲスゲ, 姫日陰菅)이다. '작은(姫) 그늘(日陰)사초(菅)'라는 뜻이다. 일문판 Flora of Mikawa(三河の植物観察, FOM)과 YList에 실려 있는 일어명은 호소바히카게스게(ホソバヒカゲスゲ, 細葉日陰菅)이다. '가는 잎을 가진 그늘사초'라는 뜻이다. 온라인 일문판 도네리공원야초원(舎人公園野草園)에는 히메히카게스게(姫日陰菅)가 이명으로 실려 있다. 호소바히카게스게(細葉日陰菅)가 더 정확한 이름으로 보인다. YList, 중문판 바이두백과(百度百科)에 등재된 중국명은 아이총타이차오(矮叢薹草)이다. '(키) 작은(矮) 덤불(叢) 사초(薹草)'라는 뜻이다. 바이두백과 등재 학명은 Carex callitrichos var. nana (levl.et Vant.) Ohwi이다.     

가는잎그늘사초는 한강토 전도에 나며 일본, 만주, 중국, 우수리, 다후리아에 분포한다. 건조한 숲속에서 자란다(국생정). 아이총타이차오(矮叢薹草)는 중국 헤이룽쟝(黑龍江), 지린(吉林), 랴오닝(遼寧), 네이멍구(內蒙古), 허베이(河北)성에 분포하며 한강토, 러시아, 일본에도 분포한다. 해발 50~1000m의 돌산, 민둥산, 소나무와 참나무의 혼합림, 만주곰솔(油松林, 만주흑송) 숲 아래에서 자란다(百度百科).  

가는잎그늘사초의 근경은 짧다. 키는 3~6cm이다. 줄기는 모여나기하며, 둔한 3각형으로 밋밋하고, 잎 틈에 끼어 잘 보이지 않는다. 잎은 편평하거나 안쪽으로 말리고 너비 0.5~1mm이며, 줄기보다 길고 꽃이 진 뒤에 더 길어진다. 기부(基部)의 엽초(葉鞘)는 짙은 적갈색으로 섬유처엄 갈라진다.   

꽃은 4~5월에 피고 2~4개의 소수(小穗)가 달린다. 소수는 곧추 서고 정소수(頂小穗)는 길이 5~15mm로 선형(線形)이며 수꽃이 달린다. 측소수(側小穗)는 달걀 모양으로 길이 5~7mm이고 접근하여 나며, 암꽃이 성글게 달린다. 포(苞)는 길이 1cm 정도의 엽초로 되고 황록색이다. 암꽃의 비늘조각은 좁은 거꿀달걀 모양으로 길이 4~6mm이다.  

열매는 수과(瘦果, achene)이다. 과포(果苞)는 세모진 넓은 거꿀달걀 모양으로 짧은 털이 밀생한다. 수과는 세모진 넓은 거꿀달걀 모양이다. 암술머리는 3열한다.  

 

그늘사초(경기도 광주 남한산, 2022. 9. 17)

국표 등재 가는잎그늘사초의 유사종 자생식물은 그늘사초(Carex lanceolata Boott), 긴그늘사초(Carex callitrichos V.I.Krecz.), 나도그늘사초(Carex tenuiformis H.Lév. & Vaniot), 넓은잎그늘사초(Carex pediformis C.A.Mey.), 성긴그늘사초(Carex lanceolata Boott var. laxa Ohwi), 왕그늘사초(Carex pediformis C.A.Mey. var. pedunculata Maxim.), 가거줄사초(Carex brunnea Thunb.), 가는밀사초(Carex toyoshimae Tuyama), 가는비늘사초(Carex suifunensis Kom.), 가는청사초(Carex puberula Boott), 갈색청사초(Carex stenostachys Franch. & Sav.), 가는사초(Carex disperma Dewey), 가지청사초(Carex polyschoena H.Lév. & Vaniot), 갈미사초(Carex bigelowii Torr. ex Schwein.), 갈사초(Carex ligulata Nees), 갈색사초[Carex caryophyllea Latourr. var. microtricha (Franch.) Kük.], 감둥사초(Carex atrata L.), 개바늘사초(Carex uda Maxim.), 개찌버리사초(Carex japonica Thunb.), 갯바위청사초[Carex meridiana (Akiyama) Akiyama], 갯보리사초(Carex laticeps C.B.Clarke ex Franch.), 갯청사초[Carex breviculmis R.Br. var. fibrillosa (Franch. & Sav.) Matsum. & Hayata], 검은꼬리사초(Carex tarumensis Franch.), 검정사초[Carex cespitosa L. var. minuta (Franch.) Kük.], 검정타래사초(Carex norvegica Retz.), 겨사초(Carex mitrata Franch.), 경성사초(Carex accrescens Ohwi), 곧은이삭사초(Carex atherodes Spreng.), 골사초(Carex aphanolepis Franch. & Sav.), 곱슬사초[Carex glabrescens (Kük.) Ohwi], 괭이사초(Carex neurocarpa Maxim.), 구름사초(Carex subumbellata Meinsh. var. koreana Ohwi), 구멍사초(Carex foraminata C.B.Clarke), 구슬사초(Carex tegulata H.Lév. & Vaniot), 그늘실사초[Carex tenuiformis H.Lév. & Vaniot var. neofilipes (Nakai) Ohwi ex Hatus.], 그늘흰사초(Carex planiculmis Kom.), 금강산뚝사초(Carex forficula Franch. & Sav. var. scabrida Kük.), 긴갈색청사초[Carex stenostachys Franch. & Sav. var. cuneata (Ohwi) Ohwi & T.Koyama], 긴목포사초(Carex formosensis H.Lév. & Vaniot), 긴잔솔잎사초[Carex capillacea Boott var. sachalinensis (F.Schmidt) Ohwi], 긴화살사초(Carex benkei Tak.Shimizu), 길뚝사초(Carex bostrychostigma Maxim.), 까락겨사초(Carex mitrata Franch. var. aristata Ohwi), 꼬랑사초(Carex mira Kük.), 꼬리사초(Carex pisiformis Boott), 나도별사초(Carex gibba Wahlenb.), 나래사초[Carex filipes Franch. & Sav. var. oligostachys (Meinsh. ex Maxim.) Kük.], 낚시사초(Carex filipes Franch. & Sav.), 난사초(Carex lasiolepis Franch.), 난쟁이사초(Carex sedakowii C.A.Mey. ex Meinsh.), 냇사초(Carex bohemica Schreb.), 노끈사초[Carex capillacea Boott var. aomorensis (Franch.) Ohwi], 녹빛사초[Carex quadriflora (Kük.) Ohwi], 녹빛실사초[Carex pisiformis Boott var. sikokiana (Franch. & Sav.) T.Koyama], 논두렁사초(Carex autumnalis Ohwi), 눈사초(Carex rupestris All.), 늪사초(Carex buxbaumii Wahlenb.), 대구사초(Carex paxii Kük.), 대사초(Carex siderosticta Hance), 대암사초(Carex chordorrhiza L.f.), 대택사초(Carex limosa L.), 덕진사초(Carex gmelinii Hook. & Arn.), 덩굴사초(Carex pseudocuraica F.Schmidt), 도깨비사초(Carex dickinsii Franch. & Sav.), 도랭이사초[Carex nubigena D.Don ex Tilloch & Taylor var. albata (Boott ex Franch.) Kük. ex Matsum.], 동백사초[Carex livida (Wahlenb.) Willd.], 두메사초[Carex breviculmis R.Br. var. discoidea (Boott) Makino], 두메청사초(Carex candolleana H.Lév. & Vaniot), 들사초(Carex duriuscula C.A.Mey.), 뚝사초[Carex appendiculata (Trautv. & C.A.Mey.) Kük.], 레만사초(Carex lehmannii Drejer), 만주사초(Carex mandshurica Meinsh.), 망사초(Carex vanheurckii Müll.Arg.), 모래사초(Carex drymophila Turcz. var. pilifera Kük.), 목포사초(Carex genkaiensis Ohwi), 묏풀사초(Carex capillaris L.), 무늬사초(Carex maculata Boott), 물꼬리사초(Carex aequialta Kük.), 물사초[Carex oligosperma Michx. subsp. tsuishikarensis (Koidz. & Ohwi) T.Koyama & Calder], 물삿갓사초[Carex rostrata Stokes var. borealis (Hartm.) Kük.], 민뚝사초(Carex sadoensis Franch.), 민숲이삭사초(Carex sordida Van Heurck & Müll.Arg.), 밀사초(Carex boottiana Hook. & Arn.), 바늘사초(Carex onoei Franch. & Sav.), 바늘청사초[Carex tsushimensis (Ohwi) Ohwi], 바랭이사초(Carex incisa Boott), 바위사초(Carex lithophila Turcz.), 바위포기사초(Carex makinoensis Franch.), 반들대사초(Carex splendentissima U.Kang & J.M.Chung), 반들사초(Carex tristachya Thunb.), 백두사초(Carex peiktusanii Kom.), 백두산피사초(Carex nodaeana A.I.Baranov & Skvortsov), 벌사초(Carex lasiocarpa Ehrh.), 별사초(Carex tenuiflora Wahlenb.), 별풍경사초(Carex maximowiczii Miq. var. levisaccus Ohwi), 보리사초[Carex jackiana Boott subsp. parciflora (Boott) Kük. var. macroglossa (Franch. & Sav.) Kük. ex Matsum.], 부리실청사초[Carex sabynensis Less. ex Kunth var. rostrata (Maxim.) Ohwi], 부산사초(Carex fusanensis Ohwi), 북사초(Carex augustinowiczii Meinsh. ex Korsh.), 비늘사초(Carex phacota Spreng.), 뿌리대사초(Carex rhizopoda Maxim.), 산괭이사초(Carex leiorhyncha C.A.Mey.), 산꼬리사초(Carex shimidzensis Franch.), 산뚝사초(Carex forficula Franch. & Sav.), 산바늘사초(Carex pauciflora Lightf.), 산비늘사초(Carex heterolepis Bunge), 산사초(Carex canescens L.), 산양지사초(Carex ulobasis V.I.Krecz.), 산이삭사초(Carex lyngbyei Hornem.), 산타래사초(Carex lachenalii Schkuhr), 삿갓사초(Carex dispalata Boott), 새방울사초(Carex vesicaria L.), 서수라사초(Carex kirganica Kom.), 선사초(Carex alterniflora Franch.), 솔잎사초(Carex biwensis Franch.), 쇠낚시사초(Carex papulosa Boott), 수원사초(Carex omiana Franch. & Sav.), 숲이삭사초(Carex drymophila Turcz. ex Steud.), 실사초(Carex fernaldiana H.Lév. & Vaniot), 실이삭사초(Carex laxa Wahlenb.), 실청사초(Carex sabynensis Less. ex Kunth), 실피사초[Carex longerostrata C.A.Mey. var. pallida (Kitag.) Ohwi], 싸라기사초(Carex ussuriensis Kom.), 쌀사초(Carex glauciformis Meinsh.), 애괭이사초(Carex laevissima Nakai), 애기감둥사초(Carex gifuensis Franch. var. koreana Nakai), 애기바늘사초(Carex hakonensis Franch. & Sav.), 애기반들사초[Carex tristachya Thunb. var. pocilliformis (Boott) Kük.], 애기사초(Carex conica Boott), 애기이삭사초(Carex ochrochlamys Ohwi), 애기천일사초(Carex subspathacea Wormsk. ex Hornem.), 애기흰사초(Carex mollicula Boott), 양덕사초(Carex stipata Muhl. ex Willd.), 양뿔사초(Carex capricornis Meinsh. ex Maxim.), 양지사초(Carex nervata Franch. & Sav.), 언덕사초[Carex oxyandra (Franch. & Sav.) Kudô], 얼룩사초(Carex misandra R.Br.), 여우꼬리사초(Carex blepharicarpa Franch.), 엷은갈미사초(Carex eleusinoides Turcz. ex Kunth), 염낭사초(Carex mollissima Christ ex Scheutz), 염주사초(Carex ischnostachya Steud.), 왕밀사초(Carex matsumurae Franch.), 왕비늘사초(Carex maximowiczii Miq.), 왕삿갓사초(Carex rhynchophysa Fisch. C.A.Mey. & Avé-Lall.), 유성사초(Carex korshinskyi Kom.), 융단사초(Carex miyabei Franch.), 이삭사초(Carex dimorpholepis Steud.), 인제사초(Carex heterostachya Bunge), 일본사초(Carex hondoensis Ohwi), 잔솔잎사초(Carex capillacea Boott), 장군대사초(Carex poculisquama Kük.), 장성사초(Carex kujuzana Ohwi), 조선사초(Carex chosenica Ohwi), 조이삭사초(Carex phaeothrix Ohwi), 좀도깨비사초(Carex idzuroei Franch. & Sav.), 좀목포사초(Carex brevispicula G.H.Nam & G.Y.Chung), 좀방울사초(Carex amgunensis F.Schmidt), 좀보리사초(Carex pumila Thunb.), 좁쌀사초(Carex micrantha Kük.), 주름사초[Carex rugulosa Kük. var. graciliculmis (Ohwi) Kitag.], 주름청사초(Carex tokuii J.Oda & Nagam.), 줄사초(Carex lenta D.Don), 중삿갓사초(Carex tuminensis Kom.), 지리대사초(Carex okamotoi Ohwi), 지리실청사초(Carex sabynensis Less. ex Kunth var. leiosperma Ohwi), 진남포사초[Carex rigescens (Franch.) V.I.Krecz.], 진도사초(Carex taihokuensis Hayata), 진들검정사초(Carex meyeriana Kunth), 진들사초(Carex globularis L.), 진퍼리사초(Carex arenicola F.Schmidt), 집사초(Carex vaginata Tausch), 짠들사초[Carex stenophylla Wahlenb. subsp. stenophylloides (V.I.Krecz.) T.V.Egorova], 짧은비늘사초(Carex phacota Spreng. var. gracilispica Kük.), 참뚝사초(Carex schmidtii Meinsh.), 참사초(Carex hypochlora Freyn), 참삿갓사초(Carex jaluensis Kom.), 천일사초(Carex scabrifolia Steud.), 청사초(Carex breviculmis R.Br.), 청피사초(Carex macrandrolepsis H.Lév.), 층실사초(Carex remotiuscula Wahlenb.), 큰뚝사초(Carex humbertiana Ohwi), 큰물삿갓사초(Carex rostrata Stokes), 큰산사초(Carex mackenziei V.I.Krecz.), 큰숲이삭사초(Carex akanensis Franch.), 큰천일사초(Carex rugulosa Kük.), 큰청사초(Carex chungii Z.P.Wang), 타래사초(Carex maackii Maxim.), 털대사초(Carex ciliato-marginata Nakai), 털사초(Carex pilosa Scop.), 털잎사초(Carex latisquamea Kom.), 톱니열매사초(Carex yamatsutana Ohwi), 통보리사초(Carex kobomugi Ohwi), 포기사초(Carex cespitosa L.), 포태사초(Carex siroumensis Koidz.), 폭이사초(Carex teinogyna Boott), 피사초(Carex longerostrata C.A.Mey.), 한라사초(Carex erythrobasis H.Lév. & Vaniot), 함북사초(Carex echinata Murray), 해산사초(Carex hancockiana Maxim.), 햇사초(Carex pseudochinensis H.Lév. & Vaniot), 호밀사초(Carex loliacea L.), 홍노줄사초(Carex sendaica Franch.), 화산곱슬사초(Carex raddei Kük.), 화산사초(Carex nakasimae Ohwi), 화살사초(Carex transversa Boott), 회령사초(Carex gotoi Ohwi), 회색사초(Carex cinerascens Kük.), 후라벨라타사초(Carex flabellata H.Lév. & Vaniot), 흰꼬리사초(Carex brownii Tuck.), 흰밀사초(Carex multifolia Ohwi), 흰사초(Carex doniana Spreng.), 흰이삭사초(Carex metallica H.Lév.) 등 212종이 있다.              

그늘사초(Lanceolate sedge, ヒカゲスゲ)는 근경이 짧다. 잎은 모여나기한다. 줄기는 세모지고 높이 10~40cm이다. 잎은 꽃이 핀 다음 길게 자라며 너비 1.5~2mm이다. 꽃은 4~6월에 핀다. 소수는 3~6개가 곧추선다. 정소수는 수꽃이고 곤봉형 선형, 측소수는 암꽃이고 짧은 원주형(圓柱形), 3~10개의 꽃이 달리고 대가 있다. 긴그늘사초(Thin sedge)는 국표에 학명, 국명, 영어명만 등재되어 있다. 국생정 미등록종이다. 나도그늘사초(Shadow sedge)는 한라산 및 고산 정상에서 자란다. 그늘사초에 비해 전초가 소형이다. 넓은잎그늘사초(Wide-leaf low sedge)는 중북부 지역에서 자란다. 줄기는 세모지고, 높이 30~40㎝이다. 잎은 납작하고 너비 1.5~2.5㎜이다. 소수는 3~4개이다. 성긴그늘사초(Twisted lanceolate sedge)는 국표에 학명, 국명, 영어명만 등재되어 있다. 국생정 미등록종이다. 왕그늘사초(Peduncled wide-leaf low sedge)는 지리산에 자란다. 키는 30~40㎝이다. 잎은 편평하고 너비 1.5~2.5㎜이다. 소수는 3~4개이며, 정소수는 암꽃으로 구성되고 원주형이다.    

가거줄사초(Greater brown sedge), 가는밀사초(Narrow-leaf coastal rock sedge), 가는비늘사초(Narrow-scale sedge), 가는청사초(Puberula short-stem sedge), 갈색청사초(Brown short-stem sedge)는 국표에 학명, 국명, 영어명만 등재되어 있다. 국생정 미등록종이다. 가는사초(Two-seed sedge, ホソスゲ)는 북부 지역에서 자란다. 잎은 납작하거나 접히고 너비 1~1.5㎜이다. 꽃대 길이는 20~50㎝이다. 소수는 3~4개로서 각 소수는 윗부분에 1~3개의 수꽃이 달리고 밑부분의 1~3개는 암꽃이다. 가지청사초(Sakhalin mitra sedge, ヤナギザクラ)는 전국에 분포한다. 키는 30~50㎝이다. 잎은 납작하고 너비 1.5~3㎜이다. 소수는 2~4개가 곧추선다. 정소수는 수꽃이고 선형이며 색이 연하다. 나머지는 암꽃이고 서로 떨어져 있다. 갈미사초(Gwanmo sedge, オハグロスゲ)는 북부 지방 산악 지대에서 자란다. 키는 10~30cm이다. 잎은 편평하고 너비 3~4mm이다. 꽃대는 예리한 삼각형이다. 소수는 3~5개이고, 웅화수(雄花穗)는 선형이며 밑부분에 암꽃이 달리고, 자화수(雌花穗)는 옆에 달리며 긴 타원형이다. 갈사초(褐莎草, Ligulate sedge, サツマスゲ)는 일본, 한강토의 전라남도 화순군, 제주도에 분포한다. 키는 40~80cm이다. 잎은 편평하고 너비 7~15mm이다. 꽃은 6~7월에 핀다. 5~7개의 소수가 총상으로 달린다. 정소수는 선형으로 연한 갈색이며 수꽃이 달린다. 측소수는 원주형으로 짧은 대가 있으며, 곧추 서고 암꽃이 약간 성글게 달린다.    

갈색사초(褐色莎草, Short-hair spring sedge, チャシバスゲ)는 북부 지역에서 자란다. 키는 10~40㎝이다. 잎은 편평하고 너비 2~3㎜이다. 소수는 2~4개이고, 정소수는 곤봉형 피침형이며 수꽃이고, 다른 것은 암꽃이며 긴 타원형이다. 자화영(雌花穎)은 검은색이다. 감둥사초(Black-spike sedge, クロボスゲ)는 한강토 평북, 함남북에 난다. 사할린, 만주, 유럽에도 분포한다. 엽초는 검은빛이 도는 적색이다. 자화영은 달걀 모양으로 흑자색이다. 개바늘사초(Uda needle sedge, えゾハリスゲ)는 북부 지방에서 자란다. 줄기는 높이 15~50㎝, 지름 1mm 정도이며 능각이 예리하다. 잎은 납작하고 너비 2~3㎜이다. 소수는 끝에 1개 달리고 윗부분에는 수꽃, 밑부분에는 암꽃이 달린다. 개찌버리사초(East Asian sedge, ヒゴクサ)는 전국에 분포한다. 꽃대 높이는 20~40cm이다. 잎은 편평하고 너비 2.5~4mm이다. 꽃은 5~6월에 핀다. 소수는 2~4개가 떨어져 있고, 정소수는 수꽃이며 대가 있고, 측소수는 암꽃이지만 끝부분에 수꽃이 약간 달리기도 한다. 갯바위청사초(Seashore rock sedge)는 한강토 제주도와 남해안, 일본에 분포한다. 줄기의 키는 5~20cm이다. 잎 너비는 1.5~4mm이다. 소수는 2~4개로 정소수는 웅성(雄性)이고, 선상 원주형이며, 측소수는 자성(雌性)으로 짧은 원주형이다. 포복 근경이 발달하고, 과포가 장란형인 것이 청사초, 두메청사초와 구분된다. 갯보리사초(Bent-beak sedge, オオムギスゲ)는 백양산 근처와 목포에서 자란다. 키는 30~50㎝이다. 줄기 전체에 털이 밀생한다. 잎은 너비 3~5㎜로서 흰빛이 도는 녹색이다. 소수는 2~3개이고 서로 떨어져 있다. 정소수는 수꽃이고 곤봉형 선형이며 긴 대가 있고 구리색이다. 측소수는 암꽃이고 긴 타원상 원주형 또는 긴 타원형이다. 갯청사초(Fibrillose short-stem sedge)는 안면도에서 자란다. 키는 5~40cm이다. 잎은 편평하고 너비 1~5mm이다. 소수는 2`6개이고 곧추선다. 웅화수는 끝에 달리고 곤봉형이며, 자화수는 옆에 달린다.   

검은꼬리사초(Black tail sedge), 검정사초(Minuta turfy sedge)는 국표에 학명, 국명, 영어명만 등재되어 있다. 국생정 미등록종이다. 검정타래사초(Norway sedge)는 한강토 함경남북도, 북반구에 분포한다. 레만사초에 비해 최하의 소수에만 짧은 자루를 가진다. 포는 보통 강모상(剛毛狀)이다. 과포는 팽대하고 거의 맥이 없으며, 부리는 가늘고 작다. 구변은 요형이다. 겨사초(Mitra sedge, ヌカスゲ)는 함북 경흥군, 전남 목포 및 지도에서 자란다. 키는 10~30㎝이다. 잎은 편평하거나 접히며 너비 1.5~2㎜이다. 소수는 3~4개로서 끝부분에 달리며, 정소수는 수꽃이고 좁은 선형이며, 측소수는 암꽃이다. 경성사초(Seoul sedge, ウスイロスゲ)는 금강산 이북 깊은 산에서 자란다. 키는 30~80㎝이다. 잎은 너비 3~5mm이다. 소수는 길이 5~10mm로서 꽃이 빽빽하게 달리고, 꽃차례 밑에서는 서로 떨어져 달리지만 윗부분에서는 근접하여 달린다. 곧은이삭사초(Wheat sedge)는 국표에 학명, 국명, 영어명만 등재되어 있다. 국생정 미등록종이다. 골사초(Nerved-scale sedge, エナシヒゴクサ)는 전국에 분포한다. 꽃대의 높이는 20~40㎝이다. 잎은 너비 2~4㎜이며 황록색이다. 소수는 3~4개이다. 웅소수(雄小穗)는 줄기 끝에 달리고 선형이며, 자소수(雌小穗)는 옆에 달리고 구형 또는 긴 타원형이다. 곱슬사초(Glabrate sedge, イヌカサスゲ)는 전국에 분포한다. 키는 60~80㎝이다. 잎은 회록색이고 너비 3.5~4mm로서 딱딱하다. 소수는 곧추서고, 끝부분에 달린 2~3개 간혹 4개의 웅소수는 선형이며, 옆에 달린 2개 간혹 1~3개의 자소수는 원주형이다. 괭이사초(Nerved-fruit sedge, ミコシガヤ)는 한강토, 중국,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한강토에서는 전국에 분포한다. 키는 30-60cm이다. 잎은 황록색이고 길이 10~30cm, 너비 2~3mm이다. 꽃은 7~8월에 핀다. 화수(花穗)는 소수가 밀집하여 난상 원주형으로 되고 적갈색이 돈다.    

구름사초(Subumbellate sedge)는 함남 갑산군 설령(雪嶺)의 고산 초원에서 자란다. 키는 20~30㎝이다. 잎은 편평하고 너비 2~3mm이다. 소수는 3~5개가 서로 인접해 있으며, 정소수는 길이 1㎝이고, 측소수는 암꽃이다. 구멍사초(穿孔薹草)는 국표에 학명, 국명, 영어명만 등재되어 있다. 국생정 미등록종이다. 구슬사초(Orbicular sedge)는 한강토 자강, 평남, 강원, 경기, 충북, 경남, 전북, 전남에 난다. 중국, 러시아, 동아시아에도 분포한다. 줄기는 높이 10~25cm이다. 잎은 선형이며, 너비 1.5~3mm이다. 소수는 2~4개, 정소수는 웅성이고, 원주형으로 소수자루가 있다. 측소수는 자성이고, 난형 또는 타원형이다. 그늘실사초(Slender shadow sedge)의 키는 25∼30cm이다. 잎은 편평하고 너비 2∼3mm이다. 꽃은 5∼8월에 피고, 3∼4개의 소수가 달린다. 정소수는 선상 원주형이고 수꽃이 달리며 거의 대가 없다. 측소수는 좁은 원주형이다. 과포의 길이가 5.5mm 정도이고, 과포와 부리의 길이가 거의 같다. 그늘흰사초(Shady mucronate sedge, ヒカゲシラスゲ)는 울릉도, 지리산, 북부 지방에서 자란다. 키는 40~60㎝이다. 잎은 편평하며 너비 5~10mm이다. 소수는 4~5개로 서로 접근하여 서고, 정소수는 수꽃, 측소수는 암꽃이며 원주형이다. 금강산뚝사초(Scabrous scissors-like sedge)는 전국적으로 자란다. 과포(果苞)의 표면이 거칠다. 긴갈색청사초(Long brown short-stem sedge)는 국표에 학명, 국명, 영어명만 등재되어 있다. 국생정 미등록종이다. 긴목포사초(Long Mokpo sedge, タイワンスゲ)는 목포에서 자란다. 키는 30~50㎝이다. 잎은 너비 2~6mm이다. 소수는 3~7개이다. 웅화수는 끝에 달리고 선형. 자화수는 옆에 달리고 원주형이다. 긴잔솔잎사초(Sakhalin tiny sedge, ミチノクハリスゲ)는 국표에 학명, 국명, 영어명, 일어명만 등재되어 있다. 국생정 미등록종이다.    

긴화살사초(Long pistillate scale sedge)는 한강토 전남,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화살사초와 비교하여 기부 엽초가 갈색이고, 과포는 까락을 제외한 길이가 자인편의 길이와 같다. 자인편이 화살사초에 비해 길고 크다. 길뚝사초(Curled-stigma sedge, ヤマジスゲ)는 전국에 걸쳐 분포한다. 꽃대의 높이는 10~40cm이다. 잎은 편평하고 부드러우며 너비 3~4mm이다. 꽃은 4~5월에 핀다. 소수는 5~10개이다. 웅소수는 끝에 달리고 선상 피침형으로서 검은 빛이 도는 황갈색이다. 자소수는 옆에 달리며 꽃이 약간 성글게 달린다. 까락겨사초(Aristate mitra sedge, ノゲヌカスゲ, 芒糠菅, 具芒灰帽薹草)는 한강토 경기, 충남, 경북, 전북, 전남, 제주에 분포한다. 중국, 일본, 타이완에도 분포한다. 줄기는 높이가 10~30cm, 잎 너비는 1.5mm 정도이며 편평하다. 소수는 3~4개로 정소수는 웅성이고, 장타원상 선형이다. 길이가 매우 짧아서 측소수보다 낮거나 거의 같은 높이로 달린다. 측소수는 자성으로 선상 원주형이다. 자인편에 긴 까락이 있고, 포의 엽신(葉身)이 잎 모양인 특징이 겨사초와 구분된다. 꼬랑사초(Remarkable sedge, サワヒメスゲ)는 지리산, 원산 근처에 분포한다. 키는 20~40㎝, 잎은 너비 2mm 정도이다. 소수는 2~4개가 서로 접근하여 서며, 정소수는 수꽃이고 검은 적갈색이며, 넓은 선형이다. 다른 것은 암꽃이며 긴 타원형이다. 꼬리사초(Pisiformis Sedge)는 국표에 학명, 국명, 영어명만 등재되어 있다. 국생정 미등록종이다.    

나도별사초(Gibbous sedge, マスクサ, 穹窿薹草)는 중부 이남에서 자란다. 줄기 높이는 30~70cm, 잎은 편평하고 너비 2~4mm이다. 소수는 5~8개가 수상(穗狀)으로 달리고 윗부분에 암꽃, 밑부분에 수꽃이 약간 달린다. 나래사초(Tufted wide-leaf sedge)는 국표에 학명, 국명, 영어명만 등재되어 있다. 국생정 미등록종이다. 낚시사초(Fishing-rod-like sedge, オオタマツリスゲ)는 전국에 심산에 분포한다. 가는 자루에 의해 암꽃 소수가 밑으로 처진 모양이 낚시줄을 드리운 것 같기에 낚시사초라 한다. 난사초(Woolly-scale sedge, アズマスゲ)는 중부 이북 지역에서 자란다. 꽃대 높이는 5~15㎝, 잎은 너비 3~5㎜로서 황록색이며 잔털이 있다. 소수는 3~4개이다. 정소수는 수꽃이고 곤봉형으로 길게 자라며, 측소수는 암꽃이다. 난쟁이사초(Sedakov's sedge)는 한강토 함경남북도에 난다. 일본, 만주, 아무르, 우수리, 몽고, 시베리아에도 분포한다. 잎은 너비 1mm로 좁고, 홈이 있다. 과포는 2.5mm로 보다 짧고, 부리도 짧다. 냇사초(Rivers sedge)는 국표에 학명, 국명, 영어명만 등재되어 있다. 국생정 미등록종이다. 노끈사초는 함남 원포리에서 자란다. 꽃대 높이는 10~30㎝, 잎 너비는 1㎜ 정도이다. 소수는 1개가 끝부분에 달리며, 윗부분에는 3~5개의 수꽃, 밑부분에는 5~10개의 암꽃이 달린다. 솔잎사초와 비슷하다. 식물체가 크다. 녹빛사초(Four-flower sedge, アカスヂ)는 금강산 이북에서 자란다. 꽃대 높이는 20~30㎝, 잎은 짙은 녹색으로서 너비 2~4㎜이며, 납작하고 연하다. 소수는 3~4개이다. 웅소수는 끝에 달리고 선형이며, 대가 짧고 바로 밑부분의 소수보다 낮다. 자소수는 옆에 달리며, 서로 접해 있고 약간의 꽃이 드물게 달린다. 녹빛실사초(Green thread sedge, ベニイトスゲ)는 경기도 수원, 제주도에서 자란다. 키는 20~50㎝, 잎은 너비 2㎜이다. 소수는 3~5개가 서며, 정소수는 수꽃이고, 측소수는 암꽃이며 원주형이다. 논두렁사초(Autumnal sand sedge)는 북부의 산록에 난다. 키는 70~80㎝, 잎은 단단하고 너비 2.5~3㎜이다. 소수는 10개 정도이다. 웅소수는 줄기끝 쪽에 달리며, 이삭자루는 거의 없다. 양성꽃 이삭은 줄기옆에 달리고 넓은 선형이다.   

눈사초(Curly sedge, カラフトイワスゲ, 石薹草)는 함북 관모봉(冠帽峯)에서 자란다. 키는 10~15㎝, 잎은 너비 1.5~3㎜이다. 화수(花穗)는 줄기끝에 1개가 달리고 피침형이며, 윗부분에는 수꽃이 암꽃보다 많이 달리고, 밑부분에는 암꽃이 달린다. 늪사초(Marsh sedge, タルマイスゲ, 長鱗薹草)는 한강토 북부 습지에 난다. 키는 30~40㎝, 잎은 너비 2~3㎜이다. 소수는 3~4개로 인접해 있다. 양성꽃이나 수꽃은 줄기 끝에 달리고, 암꽃은 줄기 밑에 달린다. 대구사초(大邱莎草, Pax's sedge, キビノミノボロスゲ)는 경기도 화성시, 전남 구례군, 대구시에 분포한다. 일본에도 난다. 키는 40~60㎝, 잎은 너비 1.5~2.5mm이다. 소수는 윗부분에 수꽃, 밑부분에 암꽃이 달린다. 대사초(Creeping broad-leaf sedge, タガネソウ, 鏨草, 宽叶薹草)는 한강토, 중국,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한강토에서는 전국에 분포한다. 키는 10~40cm, 잎은 3맥이 뚜렷하고 너비 1~3cm이다. 꽃은 7월에 핀다. 소수는 4~8개이다. 각 소수의 윗부분에는 수꽃, 밑부분에는 암꽃이 1개 또는 2개씩 달린다. 대암사초(Creeping sedge, ヒメツルスゲ)는 한강토 강원도 양구군에서 자란다. 러시아, 미국, 유럽에도 분포한다. 키는 20㎝, 잎 너비는 1~1.5㎜이다. 소수는 2~4개이고 달걀 모양이다. 수꽃은 윗부분에 달리고, 암꽃은 밑부분에 달리며 포가 없다. 자화영(雌花穎)은 달걀 모양에 예두로서 밤색이다. 대택사초(Mud sedge, ヤラスゲ)는 북부 지방 습지에서 자란다. 키는 20~45cm이고 기는 줄기가 있다. 잎은 젓꼭지 모양의 돌기가 밀포하고 너비 1.5~2.5㎜이다. 소수는 2~3개가 떨어져서 달린다. 정소수는 수꽃이고 선형이며, 대가 있고 적갈색이다. 측소수는 암꽃이지만 끝부분에 수꽃이 약간 달린다. 덕진사초(Gmelin's sedge, ネムロスゲ, 長芒薹草)는 함북 덕진 바닷가 모래땅에서 자란다. 키는 30~70㎝, 잎 너비는 3~5mm이다. 소수는 소수는 3~5개이다. 정소수는 윗부분에 암꽃, 밑부분에 수꽃이 달린다. 측소수는 암꽃뿐이며 밑으로 갈수록 꽃이 성글게 달리고 대가 있다.     

덩굴사초(Creeper-like sedge, ツルスゲ)는 북부 지방 습지에서 자란다. 꽃대 높이는 20~40㎝, 잎 너비는 1.5~4㎜이다. 소수가 약간 떨어져 달린다. 위에 수꽃, 밑에 암꽃이 달리지만 밑의 것이 암꽃뿐인 것도 있다. 도깨비사초(Dickins' sedge, オニスゲ)는 전국 각지 물가나 산기슭 습지에 분포한다. 꽃대 높이는 20~50cm, 잎 너비는 4~8mm로서 회맥이 있다. 소수는 2~4개이지만 흔히 3개이다. 웅소수는 줄기 끝에 달리고 대가 길며 선형으로서 곧추선다. 자소수는 옆에 달리고 타원형 또는 약간 원형이다. 도랭이사초(Ditch sedge)는 전북, 경기, 평남, 평북, 함남, 함북에 분포한다. 키는 30cm, 잎 너비는 3mm 정도이다. 꽃은 4∼6월에 핀다. 소수는 양성이다. 암꽃영은 달걀 모양으로 끝이 뾰족하고 다갈색이다. 동백사초(Livid sedge), 두메사초(Discoid sedge)는 국표에 학명, 국명, 영어명만 등재되어 있다. 국생정 미등록종이다. 두메청사초(Mountain mitra sedge)는 한강토 제주, 일본에 분포한다. 줄기는 높이 5~20cm, 잎의 너비는 1~2mm이다. 흔히 근생상의 자소수가 발달한다. 정소수는 웅성으로 선형이고, 짧은 자루가 있다. 측소수는 자성으로 짧은 원주형이다. 들사초(Needle-leaf sedge)는 한강토 북부, 중국, 러시아, 몽골, 중앙아시아, 북아메리카에 분포한다. 키는 5~20cm, 잎 너비는 0.8~1mm이다. 소수는 달걀 모양이고 윗부분의 것은 수꽃이다. 화영은 나선형으로 돌려 난다. 자화영은 둥글거나 넓은 달걀 모양이며, 끝은 뾰족하거나 무디고, 길이는 보통 과포와 같으며, 가운데는 갈색 혹은 붉은빛을 띤 갈색이다. 뚝사초(Appendicular sedge, オオアゼスゲ)는 한강토, 일본 등 동아시아 북부 한대에 분포한다. 키는  20∼80cm, 잎 너비는 1.5~4mm이다. 소수는 3~5개이며, 정소수는 1~2(3)개가 웅소수이고, 자소수는 원주형 또는 긴 타원형이다. 산비늘사초와 비슷하나 잎이 가늘고 비늘조각이 과포보다 짧다.   

레만사초(Lehman's sedge, センジョウスゲ)는 한강토 북부, 일본, 중국, 동남아시아, 인도, 중앙아시아에 분포한다. 키는 20~40cm, 잎 너비는 너비 3~4mm이며, 진한 녹색이다. 맨윗쪽의 소수는 윗쪽에 암꽃이 피고 밑에는 몇 개의 수꽃이 피며, 그밖의 소수들은 모두 암꽃만 피는 자소수이다. 만주사초(Manchurian sedge)는 한강토 북부, 만주, 아무르, 우수리, 사할린, 캄차카, 사베리아, 유럽에 분포한다. 키는 20~50cm, 꽃은 6~7월에 피고 2~4개의 소수가 달린다. 소수는 곧추서고 정소수는 선형으로 수꽃이 달리나 드물게 위쪽에 소수의 암꽃이 나기도 한다. 측소수는 암꽃이 달린다. 진들사초에 비해 잎이 좁고 측소수가 구형 또는 원주형이며 비늘조각이 자갈색이다. 망사초(網絲草, Northern meadow sedge, ヌイオスゲ, シロウマヒメスゲ, 鱗苞薹草)는 한강토 북부, 일본, 중국, 러시아에 분포한다. 키는 15~40cm, 잎 너비는 1~2mm이다. 꽃은 단성꽃이고 6월경에 핀다. 소수는 2~3개이다. 정소수는 웅소수, 그밖의 소수는 자소수이다. 모래사초(Hairy forest-live sedge)는 제주를 제외한 거의 전도의 모래땅이나 습지에 난다. 만주에도 분포한다. 키는 30~40cm, 잎 너비는 2.5~4mm이다. 꽃은 6~7월에 피고 3~6개의 소수가 달린다. 위쪽의 1~3개의 소수는 곧추서며 수꽃이 달린다. 아래쪽 2~3개는 원주형으로 많은 암꽃이 밀생한다. 목포사초(Mokpo sedge)는 전남 목포에서 자란다. 키는 30~50cm, 잎 너비는 2~6mm이다. 소수는 3~7개이다. 웅화수는 끝에 달리고 선형이다. 자화수는 옆에 달리며 원주형이다. 긴목포사초와 비슷하나 자화영의 끝이 둔한 것이 다르다. 묏풀사초(Hair-like sedge, タカネシバスゲ, 綠穗薹草, 纎弱薹草)는 한강토 북부 고산 지대에서 자란다. 꽃대는 높이 10~20cm, 잎은 너비 1~1.5㎜이다. 소수는 3~4개이다. 웅화수는 끝에 달리고 선상 피침형으로서 실같은 대가 있다. 자화수는 옆에 달리고 긴 타원형이며 많은 꽃이 드물게 달린다. 무늬사초(Maculate sedge, タチスゲ, 立菅, 斑点果薹草)는 제주도 협재와 목포에서 자란다. 키는 20~60㎝, 잎 너비는 3-5mm로서 3맥이 뚜렷하고. 뒷면에 젓꼭지 모양의 돌기가 밀생한다. 소수는 3~4개가 곧추서며 윗부분의 것은 밀접하지만 첫째 소수는 떨어져 있다. 정소수에는 간혹 암꽃이 섞이며 선형이고 연한 구리색이다. 측소수는 암꽃뿐이다.    

물꼬리사초(Weter corymblike sedge, トダスゲ, アワスゲ, 等高薹草)는 한강토 제주,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줄기는 높이 30~60cm, 잎은 너비 3~4mm이다. 소수는 늘어지지 않고 위를 향한다. 과포는 완숙하면 거의 구형으로 얼룩 반점이 있다. 자인편의 끝에는 까락이 없다. 물사초(Round sedge, コヌマスゲ, ホロムイクグ)는 한강토 북부 습지의 이끼틈에 난다. 키는 20~30㎝, 잎 너비는 1~1.5㎜이고 잿빛이 돈다. 소수는 2~3개이다. 웅소수는 정생하며 선형이고, 흑색이며 화경이 길다. 자소수는 1~2개이고 옆에 달리며, 긴 타원형 또는 구형이다. 물삿갓사초(Northern beak sedge)는 한강토 북부 고산 지대 습지에 난다. 일본, 러시아, 유럽에도 분포한다. 기본종인 큰물삿갓사초에 비해 암소수는 보다 가늘고, 자화영은 색이 더 진하며 끝은 뾰족하다. 과포는 길이 약 3mm로서 보다 더 작다. 민뚝사초(Northern scissors-like sedge)는 국표에 학명, 국명, 영어명만 등재되어 있다. 국생정 미등록종이다. 민숲이삭사초(Short forest-live sedge, モリカサスゲ)는 함북에서 자란다. 키는 60~100㎝, 잎은 너비 4~6㎜로서 털이 있다. 윗부분 2~3개의 소수는 수꽃이며 선형이고 연속해서 달리며, 밑부분의 3~4개는 암꽃이다. 밀사초(Coastal rock sedge, イソスゲ)는 국표에 학명, 국명, 영어명, 일어명만 등재되어 있다. 국생정 미등록종이다. 바늘사초(Needle sedge, ハリスゲ)는 전국에 분포한다. 키는 15~30cm, 잎 너비는 1.5~3mm로서 실처럼 가늘다. 꽃은 6~7월에 핀다. 소수는 줄기 끝에 1개씩 달리며 거의 둥글고 연한 녹색이다. 윗부분에 수꽃, 그 밑에 암꽃이 달린다. 애기바늘사초에 비해 잎이 넓고, 과포가 보다 길며 가는 맥이 있다. 바늘청사초(Needle short-stem sedge)는 한강토 전남, 일본 쓰시마섬(對馬島)에 분포한다. 줄기 높이는 20~60cm, 잎은 선형이고, 너비 3~8mm이다. 소수는 3~5개, 정소수는 웅성으로 방추형이고, 긴 자루가 있다. 측소수는 자성으로 원주형이다. 자인편에 과포보다 긴 까락을 지닌다.    

바랭이사초(Digitaria-like sedge, カワラスゲ, 河原菅, タニスゲ, 谷菅)는 한라산 습지에서 자란다. 키는 20~50㎝, 잎은 너비 3~6mm이며 부드럽다. 소수는 4~6개가 거의 비슷한 높이로 발달한다. 정소수는 수꽃만이거나 암꽃이 약간 달리고 곧추서거나 약간 굽는다. 측소수는 암꽃뿐이다. 바위사초(Rock-loving sedge, アサマスゲ, 二柱苔草)는 전국에 난다. 키는 20~50㎝, 잎은 너비 2.5~3㎜이다. 소수는 8~10개가 거의 밀착한다. 소수는 붉은빛이 도는 흑갈색이고, 중앙부에 수꽃만 달리는 것이 많으나 다른 것은 윗부분에 수꽃, 밑부분에 암꽃이 달리며 포는 없다. 바위포기사초(Tufted rock-living sedge, イワカンスゲ, 牧野薹草)는 강원도 설악산에서 난다. 키는 40㎝, 잎은 단단하고 너비 2~3㎜이다. 소수는 3~5개이다. 수꽃이삭은 줄기 끝에 달리고, 선형이며 검은 자주색이다. 암꽃이삭은 줄기 옆에 달리고 짧은 원통형이다. 반들대사초(Shiny creeping broad-leaf sedge)는 한강토 특산종으로 석회암 지대에만 분포한다. 줄기 높이는 14~20cm이고, 털이 없다. 잎은 길이 10~24cm, 너비 1.4~4.6cm이다. 표면은 털이 없고, 광택이 난다. 정소수는 웅성으로 난형이다. 측소수는 웅자성으로 4~6개가 달린다. 반들사초(Shiny-spike sedge, モエギスゲ)는 중부 이남에서 자란다. 키는 20-40㎝, 잎은 너비 3~4㎜이다. 소수는 3~5개가 밀접하여 키가 거의 같지만 첫째 소수는 떨어져 있다. 정소수는 수꽃이며 선형으로서 대가 없고, 측소수는 암꽃이지만 끝에 수꽃이 약간 달린다. 백두사초(Baekdu sedge, ハクトウスゲ, 白头山薹草)는 한강토와 일본에 분포한다. 한강토에서는 강원도 속초시, 평창군, 충북 영동군, 전남 구례군, 경남 산청군, 제주도 서귀포시, 지리산, 화악산 등지에 난다. 키는 40~60㎝, 잎은 너비 2~4mm이다. 소수는 3~4개로서 끝이 처진다. 정소수는 윗부분에 암꽃, 밑부분에 수꽃이 달린다. 측소수는 암꽃이 달린다. 백두산피사초(Baekdusan rostrate sedge)는 국표에 학명, 국명, 영어명만 등재되어 있다. 국생정 미등록종이다.   

벌사초(Woolly-fruit sedge, ムジナスゲ)는 북부 지방 높은 지대 습지에서 자란다. 키는 70~100㎝, 잎은 홈이 있으며 너비 2~3㎜로서 횡맥이 있다. 정소수의 1~4개는 수꽃이며 연속해서 달리고 적자색이며 선형이고 곧추선다. 밑에 있는 1~2개의 소수는 암꽃이다. 별사초(Sparse-flower sedge, イツボンスゲ, シロハリスゲ, ハリタマスゲ, 细花薹草)는 압록강 연안과 높은 지대의 습지에서 자란다. 키는 20~60㎝, 잎은 너비 1~1.5mm로서 화경과 더불어 젓꼭지 모양의 돌기가 밀생한다. 소수는 2~3개이며 윗부분에 암꽃, 밑부분에 수꽃이 있다. 별풍경사초(Smooth Maximowicz's sedge, ホシナシゴウソ, 星無長刀茅)는 한강토,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한강토에서는 북부의 습지에 난다. 키는 40~70㎝, 잎은 너비 4~6㎜로 납작하고 연하다. 소수는 2~4개이다. 수꽃이삭은 줄기 끝에 달리고, 선형이며 적갈색이다. 암꽃이삭은 줄기옆에 달리고 짧은 원기둥 모양이다. 보리사초(Big-tongue jack sedge, コジュズスゲ)는 일본, 한강토 충남, 경남, 전북, 전남에 분포한다. 높이는 15~35cm, 잎은 너비 2~10mm이다. 정소수는 웅성으로 방추형이고, 거의 자루가 없다. 측소수는 자성이고, 짧은 원주형이다. 쇠낚시사초에 비해 측소수의 자루가 짧아 측소수가 아래로 늘어지지 않는 점이 특징이다. 부리실청사초(Beaked-fruit narrow mitra sedge, ツルカミカワスゲ, 小苞葉薹草)는 금강산 이북에서 자란다. 키는 20~50㎝, 잎은 꽃이 진 다음 자라며 너비 2~3㎜이다. 소수는 2~3개가 서로 접근하여 선다. 정소수는 수꽃이고 곤봉형이며, 측소수는 달걀 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다. 첫째 소수는 짧은 대가 있다. 부산사초(Busan sedge)는 한강토 특산종이다. 강원, 경기, 충북, 경북, 경남, 전북, 전남에 난다. 줄기 높이는 약 20cm로 가늘고 단면은 삼릉형이며, 까끌거린다. 잎 너비는 약 2mm이다. 소수 2~3개가 줄기 끝에 모여서 달린다. 정소수는 웅성이고, 곤봉 모양이며, 거의 자루가 없다. 측소수는 자성이고, 짧은 원통형이며, 여러 개의 꽃이 빽빽하게 모여 달린다.   

북사초(Augustinowicz's sedge, ヒラギシスゲ, エゾアゼスゲ, 短鱗薹草)는 지리산, 금강산, 양덕 및 함북의 깊은 산에서 자란다. 키는 30~50㎝, 잎 너비는 2~4mm이다. 소수는 4~6개이다. 정소수는 수꽃만 달리거나 윗부분에 암꽃이 달린다 측소수는 암꽃이지만 밑부분에 수꽃이 약간 달린다. 비늘사초(Lentoid sedge, ヒメゴウソウ, アオゴウソ, 鏡子薹草, 鏡子薹)는 수원 및 남쪽 섬에서 자란다. 키는 20~60㎝, 잎 너비는 2~6mm이다. 소수는 3~5개이다. 웅소수는 끝, 자소수는 옆에 달리며 윗부분에 수꽃이 약간 달리는 수도 있다. 뿌리대사초(Rhizopoda sedge, シラコスゲ, 白子菅)는 한강토 충남, 일본에 분포한다. 줄기 높이 30~60cm로서 단면은 삼릉형이고, 위쪽은 까끌거리며, 연하다. 잎은 너비 2~4mm이다. 한 개의 소수가 줄기 끝에 정생하고, 웅자성이며, 선상 원주형이다. 웅화부는 매우 짧고, 3~5개의 소화로 이루어진다. 자화부는 느슨하게 암꽃이 붙으며, 가끔은 가장 아래쪽 2개의 암꽃이 1~2cm 떨어져 달리기도 한다. 산괭이사초(Mountain cat-tail sedge, ヤマミコシガヤ, 尖嘴薹草)는 전국에 분포한다. 키는 20~60㎝, 잎 너비는 2~3.5㎜이다. 꽃대끝에 달린 꽃차례는 수꽃과 암꽃이 같이 달리고, 원주형 또는 난상 원주형이며 많은 소수가 밀착한다. 산꼬리사초(Long-tail-spike sedge, アズマナルコ)는 울릉도, 제주도 및 경기도 이남에 분포한다. 키는 40~80cm, 잎 너비는 4~10mm로서 3맥이 뚜렷하다. 꽃은 5-6월에 핀다. 소수는 3~6개가 서로 접근하여 달리고 처진다. 정소수는 끝에 암꽃, 밑부분에 수꽃이 달리지만 때로는 수꽃만 달리는 것도 있다. 측소수는 암꽃이지만 때로는 수꽃이 끝에 달린다. 산뚝사초(Scissors-like sedge, タニガワスゲ, 谷川菅, 溪水薹草)는 전국 각지의 산과 들에 분포한다. 키는 30~50㎝, 잎 너비는 2~4mm이다. 소수는 3~6개로서 윗부분의 것은 접근하고 밑부분의 것은 떨어진다. 정소수는 수꽃이고 선형이다. 측소수는 암꽃이며 곧추선다. 둑사초에 비해 잎의 폭이 좁고, 과포는 긴 부리가 있다. 과포의 표면이 거친 것을 금강산뚝초라고 한다.  

산바늘사초(Few-flower sedge, タカネハリスゲ, ミガエリスゲ)는 북부 고원 지대 물이끼 틈에서 자란다. 키는 10~15㎝, 잎은 홈이 있으며 너비 1mm 정도로서 황록색이다. 소수는 끝에 1개 달리며, 수꽃은 윗부분에 2~3개, 암꽃은 밑부분에 2~4개 달린다. 산비늘사초(Different-scale sedge, ヤマアゼスゲ, 异鳞薹草)는 전국 각지에 분포한다. 키는 20~60cm, 잎 너비는 3~5mm이다. 소수는 3~7개이다. 웅화수는 끝에 달리고, 측소수는 암꽃이며 원주형이다. 산사초(Silvery sedge, ハクサンスゲ, 白山薹草)는 함남북에 나며 북반구의 고산 및 북미, 오스트레일리아에 분포한다. 키는 20~60cm, 잎은 너비 1.5~4mm이고 회록색이다. 꽃은 6∼7월에 피고 4~7개의 소수가 수상으로 달린다. 각 소수의 정부는 난구형으로 암꽃이 밀생한다. 기부의 4mm 내외인 선형인 곳에 수꽃이 달리고 회록색 또는 연한 회색이다. 산양지사초(Montane sedge)는 백두산에서 자란다. 키는 20~40cm, 잎 너비는 2mm 정도이다. 소수는 2~4개가 서로 접근하여 선다. 정소수는 수꽃이고 검은 적갈색이며 넓은 선형이고, 다른 것은 암꽃이며 긴 타원형이다. 산이삭사초(Lyngbye's sedge, ヤラメスゲ)는 북부 고산 지대에서 자란다. 키는 30~100㎝, 잎은 가장자리가 뒤로 말리며 너비 3~8㎜로서 회록색이다. 웅소수는 1~3개이며 끝에 달린다. 자소수는 2~4개가 밑부분에 달리며 때로는 수꽃이 끝부분에 붙기도 한다. 산타래사초(Two-tip sedge, タカネヤガミスゲ, 二裂薹草)는 국표에 학명, 국명, 영어명, 일어명만 등재되어 있다. 국생정 미등록종이다. 삿갓사초(Curved-utricle sedge, カサスゲ, 笠菅, ミノスゲ, 皱果薹草)는 전국 각지에 자란다. 꽃대는 높이 40~100cm, 잎은 두꺼우며 폭 4~8mm이다. 꽃은 5~7월에 핀다. 줄기 상부에 4~7개의 소수가 달린다. 소수는 곧추서며 웅소수는 선상 원주형이고 검은 적갈색이다. 측소수는 암꽃뿐이지만 간혹 끝부분에 수꽃이 달린다. 새방울사초(Blister sedge, オニナルコスゲ, ホソボナルコスゲ, 膜囊薹草)는 강원도 이북에서 자란다. 키는 30~100㎝, 잎은 단단하고 너비 3~6㎜이다. 꽃대 끝부분에 있는 2-3개의 소수는 수꽃이며 서로 인접하고, 자소수는 1~2개이며 원주형이다.   

서수라사초(Seosura sedge, ムシャスゲ, 显脉薹草)는 북부 지방 고산 지대에서 자란다. 키는 30~100㎝, 잎은 가장자리가 뒤로 말리며 너비 3~8㎜로서 회록색이다. 선사초(Alternate-flower thread sedge, オオイトスゲ)는 경기도, 강원도 이남에 분포한다. 꽃대의 높이 30~50cm, 잎은 너비 2~3mm이다. 꽃은 4-5월에 핀다. 소수는 2~4개로서 곧게 선다. 웅화수는 가장 끝에 달리며 선형이다. 자화수는 옆에 달리며 원주형이고 꽃이 성글게 달린다. 솔잎사초(Pine-leaf sedge, マツバスゲ, 独穗苔草)는 전국 각지에 분포한다. 꽃대는 높이 15~40cm, 지름 1mm이다. 잎은 너비 1.5mm로서 표면에 홈이 있으며 윗부분은 삼각형이다. 꽃은 5월에 핀다. 소수는 자웅성이고 화경 끝에 달린다. 윗부분에 달린 수꽃 부분은 선형이다. 암꽃 부분은 달걀 모양 또는 긴 타원상 원주형이다. 쇠낚시사초(Papillose sedge, エゾツリスゲ)는 중부 이북 지역에서 자란다. 키는 30~50㎝, 잎은 납작하며 너비 3~7(12)㎜로서 회록색이고 젓꼭지 모양의 소돌기가 있으며 3맥이 뚜렷하다. 소수는 2~3개가 서로 넓게 떨어져 있다. 정소수는 수꽃이고 원통형이며 황갈색이다. 측소수는 암꽃이고 긴 대가 있어 밑으로 처진다. 수원사초(Suwon sedge, ヤチカワズスゲ, 星穗苔草)는 중부 이북의 습지에 난다. 키는 30~50㎝, 잎은 너비 1.5~2.5㎜이다. 소수는 3~5개이고 공 모양이다. 웅화수는 줄기 끝에 달리고, 자화수는 밑에 달린다. 숲이삭사초(Forest-live sedge, 野笠薹草)는 평북, 함남북에 난다. 만주, 아무르, 우수리, 사할린, 캄차카, 몽고, 동시베리아에도 분포한다. 키는 40~100cm, 잎 너비는 4~6mm이며 횡맥이 현저하다. 꽃은 5∼6월에 핀다. 소수는 5~8개가 달린다. 위쪽에 나는 2~4개의 소수는 선형으로 대가 없이 서로 가까이 곧추서며 수꽃이 달린다. 아래쪽 3~4개는 원주형으로 서로 떨어져 곧추서며 암꽃이 밀생한다.  

실사초(Thread sedge, イトスゲ, 線葉宿柱薹)는 중부 이남에서 자란다. 키는 15~30㎝, 잎은 지름 0.3~1㎜로서 밑부분에서는 항상 안쪽으로 말린다. 소수는 2~3개이다. 웅화수는 끝에 달리고 선형이다. 측소수는 암꽃이고 짧은 원주형이며, 몇 개의 꽃이 드물게 달린다. 실이삭사초(Loosely-spike sedge, イトナルコスゲ, 稀花薹草)는 북부의 고원 지대에서 자란다. 꽃대 높이는 20~40㎝이다. 잎은 너비 1.5~2.5mm로서 회록색이고 부드러우며, 뒷면에 젓꼭지 모양의 돌기가 있다. 소수는 2~3개로서 서로 떨어져 있다. 정소수는 수꽃이지만 때로는 암꽃이 섞여 있고 선형이며 황갈색이다. 측소수는 암꽃이지만 끝에 수꽃이 약간 있을 때도 있다. 실청사초(Narrow mitra sedge, カミカワスゲ)는 전국에 분포한다. 키는 20~50㎝, 잎 너비는 2~3㎜이다. 소수는 2~3개가 서로 접근하여 선다. 정소수는 수꽃이고 곤봉형이다. 측소수는 달걀 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다. 실피사초(Pallid long-rostrate sedge, チュウゼンジスゲ, 细穗薹草)는 원산 이북에서 자란다. 키는 20~40cm, 잎은 너비 2~3㎜이다. 소수는 2개로서 곧게 서고, 윗부분의 것은 수꽃이며, 밑부분의 것은 암꽃으로 된다. 싸라기사초(Ussuri sedge, チョウセンイトスゲ, 乌苏里薹草)는 금강산 이북 지방에서 자란다. 키는 20~40㎝, 잎은 지름 1㎜ 정도로서 거의 곧게 선다. 소수는 2~3개로서 서며 흰빛이 돈다. 정소수는 수꽃이며 긴 대가 있다. 측소수는 암꽃이며 긴 타원형으로서 꽃이 약간 성기게 달린다. 쌀사초(Pseudo-glaucous sedge)는 한강토 북부, 중국, 러시아에 분포한다. 키는 30~60cm, 잎은 너비 2~3mm로서 줄기보다 짧고 굳으며, 가장자리는 뒤로 조금 말린다. 꽃은 단성꽃이고 5월에 핀다. 소수는 2~3개이다. 맨 위에 나는 소수는 웅소수며 선형이다. 그 밖의 소수는 자소수이며 서로 떨어져 있다.    

애괭이사초(Small nerved-fruit sedge, ヒメミコシガヤ, 假尖嘴薹草)는 전국 각지에 분포한다. 키는 15~40cm, 잎은 너비 2~3mm로서 흔히 흑색 반점이 생긴다. 소수는 길이 5~8mm로서 윗부분에 수꽃, 밑부분에 암꽃이 달리지만 단성으로 되는 수도 있다. 애기감둥사초(Black-tiny sedge)는 경남 부산, 지리산에 분포한다. 키는 20~30cm, 잎은 너비 1.5~2.5mm이다. 꽃은 4∼6월에 피고 2∼3개의 소수가 달린다. 정소수는 곤봉형으로 암꽃이 달리며 포는 인편 같다. 애기바늘사초(Small-needle sedge, コハリスゲ)는 제주도, 지리산, 금강산, 북부 지방에서 자란다. 꽃대의 높이는 10~30㎝, 잎은 털 같은 모세관형이며 안쪽으로 말리고 너비 1㎜ 정도이다. 소수는 1개가 줄기 끝에 달리고, 끝 부분에 수꽃이 달리며, 밑부분에서 암꽃이 피는데 포가 없다. 애기반들사초(Small shiny-spike sedge, ヒメモエギスゲ, 合鱗薹草, 抱鱗宿柱薹)는 전국에 분포한다. 키는 10~40㎝, 잎은 너비 1.5~4mm이다. 소수는 3~4개로서 위에서는 가깝게 달리고 밑에서는 떨어져 달리며 긴대가 있다. 정소수는 수꽃이고 선형이며, 측소수는 원주형이다. 애기사초(Miniature sedge, ヒメカンスゲ)는 남부 지역 및 남쪽 섬에서 자란다. 키는 20~50㎝, 잎은 너비 2~4㎜이다. 소수는 3~5개가 서로 떨어져 곧게 선다. 웅소수는 곤봉형으로서 끝에 달리며 암갈색이다. 자소수는 짧은 원주형이며, 윗부분의 것은 엽초 속에 들어 있고, 밑부분의 것은 대가 길게 나온다. 애기이삭사초(Yellow-mantle sedge)는 함남 북소령, 함북 관모봉에 분포한다. 경성사초에 비해 과포는 밋밋하고, 바위사초에 비해 영의 비늘조각은 녹색 또는 볏짚색이며, 과포 양측에 극히 좁은 날개가 있다. 애기천일사초(Hoppner's sedge)는 서해안의 염전에 난다. 키는 30㎝이다. 잎은 연하고, 줄기보다 길다. 소수는 2~3개이다. 웅화수는 줄기끝에 1~2개 달리고, 종 모양이다. 자화수는 줄기 옆에 1~3개 달리고 곧게 서며 긴 타원형이다.  

애기흰사초(Small mucronate sedge, ヒメシラスゲ, 柔果薹草)는 제주도, 완도, 백양산 및 북부 지방에서 자란다. 키는 15~30㎝, 잎은 너비 4~8mm로서 3맥이 뚜렷하고 넓은 선형이다. 소수는 3~6개로서 대가 없으나 밑부분에 떨어져 있는 것은 짧은 대가 있다. 정소수는 수꽃이지만 끝에 암꽃이 달리기도 한다. 측소수는 암꽃이다. 양덕사초(Awl-fruit sedge, オオカワズジシゲ, 海綿基薹草)는 평남 양덕 지방에서 자란다. 키는 30~60㎝, 잎은 너비 3~7mm이다. 소수는 난상 원형이며 끝에 수꽃이 약간 달리고, 밑부분에 암꽃이 달린다. 양뿔사초(Capricornis sedge, ゾロスゲ, 弓嘴苔草)는 중국, 한강토 강원도 철원군, 횡성군에 분포한다. 키는 40~70㎝, 잎은 두껍고 너비 4~6㎜로서 횡맥이 약간 뚜렷하다. 소수는 4~6개가 모여 달린다. 웅소수는 줄기끝에 붙고 선형이지만 윗부분에 암꽃, 밑부분에 수꽃이 달리는 수도 있다. 자소수는 줄기 옆에 달리며 긴 달걀 모양이고 대가 거의 없으나 첫째 소수는 대가 길며 밑으로 처진다. 양지사초(Nerved-mitra sedge, シバスゲ, 截嘴薹草)는 한라산, 지리산 및 북부 지방에서 자란다. 키는 10~30㎝, 잎은 너비 2~3㎜이다. 소수는 2~4개가 서로 접근하나 첫째 소수는 떨어져 있고 곧추 선다. 정소수는 수꽃이고 줄기 끝에 달리며연한 황갈색이다. 측소수는 줄기 옆에 달리며 타원형이고 짧은 대가 있다. 언덕사초(Hill sedge, ヒメスゲ, 球穗薹, 南投薹)는 전국에 분포한다. 키는 10~50㎝, 잎은 너비 2~3mm이다. 소수는 3~6개로서 곧추서며 윗부분의 것은 서로 접촉, 밑부분의 것은 떨어진다. 정소수는 수꽃이며 선형이고 갈자색이다. 측소수는 대가 없고 거의 둥글다. 얼룩사초(Short-leaf sedge, ヒメタヌキラン)는 백두산에서 자란다. 키는 10~20㎝, 잎은 너비 2~3mm이다. 소수는 2~3개로서 긴 타원상 거꿀달걀 모양이고 밑으로 처지며 긴 대가 있다. 정소수는 밑부분에 수꽃이 달리며 측소수는 모두 암꽃이다. 여우꼬리사초(Ciliated-fruit sedge, タケシマショウジョウスゲ, ショウジョウスゲ, 猩々菅)는 전국에 분포한다. 키는 10~50㎝, 잎은 질이 단단하고 너비 2~4㎜이다. 소수는 2~5개로서 서로 떨어져 있고 옆으로 벌어진다. 웅소수는 곤봉 같고 줄기 끝에 달린다. 자소수는 짧은 주상(柱狀) 또는 긴 타원형이고 끝이 가시처럼 뾰족하다.   

엷은갈미사초(Goosegrass sedge, ヒメアゼスゲ, 蟋蟀薹草)는 한강토 북부, 일본, 중국, 러시아, 몽골에 분포한다. 키는 20~50cm, 잎은 너비 2~2.5mm이며 줄기보다 짧다. 꽃은 단성꽃이고 6월경에 핀다. 소수는 3~5개인데 서로 모양이 비슷하고 가까이 모여 있으며 곧추 선다. 아래의 포는 잎 모양이고 화서보다 길며 엽초는 없다. 맨 위에 나는 소수는 윗부분에 암꽃이 피고 아래에 수꽃이 피며 짧은 기둥 모양이다. 그 밖의 소수는 암소수며 원주형이고 짧은 대가 있다. 염낭사초(Softest sedge, フクロスゲ, 柄薹草)는 국표에 학명, 국명, 영어명만 등재되어 있다. 국생정에는 학명과 국명만 등재되어 있다. 염주사초(Thin-spiculate sedge, ジュウズスゲ, 球穗苔草, 狹穗薹草)는 일본, 중국, 한강토 서울시 종로구, 경기 가평군, 동두천시, 강원 평창군, 전북 부안군, 전남 장흥군, 제주도에 분포한다. 키는 30~60㎝, 잎은 너비 5~10㎜로서 3맥이 뚜렷하다. 소수는 3~6개가 곧추선다. 정소수는 수꽃이며 연한 황색이고 대가 없다. 측소수는 암꽃이며 원주형이고 끝에서는 꽃이 배게 달리지만 밑에서는 성기게 달린다. 왕밀사초(Big-wheat sedge, キノクニスゲ)는 울릉도 및 거문도 해안에서 자란다. 키는 30~50㎝, 잎은 너비 8~12mm로서 표면에 2개의 줄이 있다. 소수는 4~5개이다. 정소수는 수꽃이고 넓은 선형이다. 측소수는 암꽃이지만 끝에 수꽃이 약간 달리기도 하고 원주형이다. 왕비늘사초(Maximowicz's sedge, ゴウソ, 長刀茅, タイツリスゲ, 鯛釣菅, 乳突薹草)는 전국에 분포한다. 키는 40~70cm, 잎은 너비 4~6mm로서 뒷면에 흰빛이 돈다. 꽃은 5~6월에 핀다. 소수는 2~4개로서 대가 있으며 밑으로 처진다. 웅소수는 상부에 달리며 선형이고 수꽃만 달린다. 측소수는 1~3개로서 자소수이고, 원주형이다.  

왕삿갓사초(Large-spike sedge, オオカサスゲ, 大穗苔草)는 중부 이북 지역에서 자란다. 키는 60~100㎝, 잎은 너비 8~15㎜로서 맥이 뚜렷하다. 끝에 달린 3~7개의 소수는 수꽃이고 선형이며 접근하며 곧추서고, 첫째 소수는 밑부분에 암꽃이 약간 달린다. 밑에 달린 2~5개의 자소수는 서로 떨어져 있으며 원주형이고, 윗부분의 것은 끝에 수꽃이 약간 달리며 갈라지는 수가 있다. 유성사초(Korshinsky's sedge, ホソバスゲ, 黄囊薹草)는 북부 지방에서 자란다. 꽃대 높이는 10~30㎝, 잎은 너비 1~2mm이다. 소수는 2~3개로서 대가 없고 서로 인접해 있으나 첫째 소수만이 떨어지는 수가 있다. 정소수는 수꽃으로 되며 곤봉형 선형이다. 측소수는 암꽃으로 되며 달걀 모양이다. 융단사초(Pubescent perigynia sedge, ビロードスゲ, 柔叶薹草)는 한강토 강원, 경기, 충북, 충남, 경북, 경남, 전북, 전남에 난다. 일본에도 분포한다. 키는 30~100cm이고, 단면은 삼릉형이다. 잎은 너비 3~5mm이다. 소수는 5~6개, 위쪽의 2~4개는 웅성으로 선형이다. 나머지는 자성이고, 원주형이다. 곱슬사초에 비해 과포에 털이 밀생하고, 자인편의 끝은 길이 1.2~2.2mm의 긴 까락이 되므로 구분된다. 이삭사초(Dimorphous-spike sedge, アゼナルコ, アゼナルコスゲ, 二形鱗薹草, 垂穗薹草)는 전국 각지에 자란다. 키는 40~80㎝, 잎은 너비 4~10mm이다. 소수는 4~6개가 접근하여 달리며 대가 있고 원주형이다. 암꽃 지름은 5mm, 수꽃 지름은 3~4mm로서 밑으로 처진다. 위에서부터 1~4개는 윗부분에 암꽃이 달리지만 다른 것은 암꽃뿐이며 대에 굳센 털이 있다. 인제사초(Different-spike sedge, ヘイジョウスゲ, 异穗薹草)는 수원, 서울, 인제 및 북부 지방에서 자란다. 키는 40~50㎝, 엽초는 부분적으로 붉은 빛이 돈다. 소수는 4개이다. 웅소수는 2개가 끝에 서로 인접해 있고 짧은 대가 있으며 곧추선다. 측소수는 2개이고 서로 떨어져 있으며 원주형이고 곧추선다. 일본사초(Hondo sedge, アイズスゲ)는 전국에 분포한다. 키는 50~70㎝, 잎은 너비 3~4㎜이다. 소수는 4~6개이다. 정소수 2~3개는 서로 접근하며 수꽃뿐이고 좁은 피침형이며 황갈색이다. 그밖의 소수에는 암꽃이 달리고 긴 대가 있어 밑으로 처진다.   

잔솔잎사초(Tiny sedge, ハリガネスゲ, 髮稈薹草, 單穗薹草, 單穗薹)는 전국에 분포한다. 꽃대 높이는 10~30㎝, 지름 0.5mm이다. 잎은 약간 안쪽으로 말리고 선형이며 너비 1㎜ 정도이다. 소수는 1개가 끝부분에 달린다. 윗부분에는 3~5개의 수꽃, 밑부분에는 5~10개의 암꽃이 달린다. 장군대사초(Bowl-shape-scale sedge, アカネスゲ, 杯鱗薹草)는 한강토 강원과 충북,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키는 0~70cm이고, 위쪽은 까끌거리며, 단면은 둔한 삼릉형이다. 잎은 너비 2~5m이다. 소수는 3~4개, 정소수는 웅성이고, 선형이다. 측소수는 자성으로 선상 원주형이다. 경남 진주의 장군대산에서 자생지가 발견되었다. 과포가 마름모상 타원형이고, 맥 위에만 단모가 있으며, 웅인편이 컵모양인 특징으로 갈사초와 구분된다. 장성사초(Jangseong sedge, クジュウツリスゲ, クズツリスゲ)는 전북 정읍에서 전남 장성 사이에서 자란다. 꽃대는 높이 50~60cm, 잎은 너비 3~4mm로서 뒤로 처진다. 소수는 2~3개가 서로 떨어져 있다. 웅소수는 끝에 달리고 대가 길며 피침형이고 붉은 빛이 돈다. 측소수는 암꽃뿐이며 긴 타원형이다. 조선사초(Korean sedge)는 함북에 난다. 줄기와 잎이 단단하다. 잎은 직립한다. 소수는 1개가 끝에 달린다. 소수 끝에 있는 웅화부는 짧고 과포는 거의 삼각형으로 달걀 모양이며, 폭이 넓고 양면에 수개의 맥을 가지며, 거의 부리가 없다. 조이삭사초(Brown-spike sedge)는 함북 백두산에 분포한다. 좀도깨비사초(Small Dickins' sedge, ウマスゲ, 馬菅)는 일본, 한강토 경기 고양시, 강원 양양군, 인제군, 춘천시, 충북 청주시, 충남 천안시, 전남 영광군, 광주시 동구, 경남 합천군에 분포한다. 꽃대 높이는 40~60㎝, 잎은 너비 4~8㎜로서 3맥이 뚜렷하고 횡맥이 많다. 소수는 4~5개이다. 정소수 1~2개는 수꽃이며 선형이다. 측소수 2~3개는 암꽃이며 긴 타원형이고 곧추서며 서로 떨어져서 대가 없거나 밑부분의 것에 대가 있다. 좀목포사초(Minuta Mokpo sedge)는 한강토 강원, 경기, 경북, 경남, 충북, 전북, 전남과 일본에 분포한다. 키는 20~40cm, 잎은 너비 1.5~3mm이다. 정소수는 웅성이고, 선상 원주형에서 곤봉 모양이다. 측소수는 자성으로 좁은 원주형이고, 아래쪽의 것은 다소 떨어져서 달리며, 거의 자루가 없다.     

좀방울사초(Minuta bilster sedge, 球穗薹草)는 국표에 학명, 국명, 영어명만 등재되어 있다. 국생정 미등록종이다. 좀보리사초(Dwarf sand sedge, コウボウシバ, 小海米, 矮生薹草)는 전국에 분포한다. 키는 10~25cm, 잎은 너비 2~4mm이다. 꽃은 6~7월에 핀다. 소수는 3-5개이다. 상부 2~3개는 웅소수이고 선형이며 자갈색이다. 자소수는 약간 밑으로 떨어져 있으며 긴 타원형 또는 원주형이고 대가 짧으며 선다. 좁쌀사초(Small-flower sedge, ヌマアゼスゲ, 滑茎薹草)는 중부 이북에서 자란다. 키는 60㎝, 잎은 너비 2~3㎜이다. 소수는 3~5개로서 윗부분의 것은 서로 가깝게 달리고 밑부분의 것은 떨어져 달린다. 웅화수는 끝에 달리고 선형이며 대가 있고 갈색이 돈다. 자화수는 옆에 달리며 짧은 원주형이고 굳게 서며 대가 없고, 첫째 것은 밑을 향하며 꽃이 성글게 달리고 짧은 대가 있다. 주름사초(Slender-culm thick-nerve sedge)는 함남 원산에 나며 일본, 만주, 우수리에 분포한다. 바닷물이 드나드는 하구의 습지에 자란다. 키는 40~70cm, 잎은 너비  5~8mm이며 횡맥이 현저하다. 꽃은 5~7월에 핀다. 위쪽 3~5개의 소수는 선상 원주형으로 접근하여 나고 곧추서며 짙은 갈색이고 수꽃이 달린다. 아래쪽 2~4개의 소수는 원주형으로 짧은 대가 있으며 암꽃이 달린다. 주름청사초(Glabrous perigynia short-stem sedge)는 국표에 학명, 국명, 영어명만 등재되어 있다. 국생정 미등록종이다. 줄사초(Sluggish sedge, ナキリスゲ)는 전국에 분포한다. 키는 40~70㎝, 잎은 너비 2~3㎜로서 단단하다. 소수는 타원형이며 윗부분에 수꽃, 밑부분에 암꽃이 달리지만 중앙부의 것은 모두 암꽃이며 대가 있다. 중삿갓사초(Dumangang sedge, ハハキカサスゲ, 图门苔草)는 두만강에서 백두산에 걸친 북부 지방에서 자란다. 키는 1m, 잎은 너비 5~10㎜이다. 마디의 꽃차례는 3~5개로서 많은 소수가 달린다. 끝부분의 소수 3~5개는 수꽃, 밑부분의 15~20개는 암꽃이고 긴 대가 있어 밑으로 처지며 원주형이고 대가 깔깔하다.    

지리대사초(Creeping narrow-leaf sedge, チイサンタガネソウ)는 중부 이남에서 자란다. 꽃대는 높이 15~20cm이다. 잎은 화경보다 길고 젖혀지며 넓은 선형이고 너비 4~7mm로서 편평하며 표면은 황록색, 뒷면은 흰빛이 돈다. 소수는 4~5개가 떨어져 달려 있다. 정소수는 수꽃이며 거꿀피침 모양이다. 측소수는 선상 긴 타원형이며 화경이 길고 수꽃과 암꽃이 달린다. 지리실청사초(Smooth-fruit narrow mitra sedge, チイサンシバスゲ)는 지리산에서 자란다. 키는 20~50㎝, 잎은 너비 2~3㎜이다. 과포의 능선 이외에 털이 없다. 소수는 2~3개가 서로 접근하여 선다. 정소수는 수꽃이고 곤봉형이다. 측소수는 달걀 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고, 첫째 소수는 짧은 대가 있다. 진남포사초(Rigescent sedge)는 한강토 중부 이북 지방, 중국, 러시아에 분포한다. 키는 10~25cm, 잎 가장자리는 약간 안으로 말리고 너비 1.5~2.5mm이다. 꽃은 단성이며 4~5월에 핀다. 꽃차례는 소수 4~8개가 촘촘히 모여 붙어 두상을 이루고 백색이다. 포는 비늘 모양이다. 소수는 달걀 모양이고 윗부분에 많은 수꽃이 핀다. 진도사초(Jindo sedge, タイホクスゲ, 台北薹, 锐果薹)는 한강토 전남, 일본, 대만에 분포한다. 키는 5~30cm이고, 가늘며, 단면은 삼릉형이다. 잎은 경질로 까끌거리고, 줄기보다 길이가 길며, 넓거나 좁은 선형으로 너비 3~7mm이다. 꽃차례는 소수 2~4개가 선단부에 모여 달린다. 정소수는 웅성이고, 옅은 갈색에 선형이다. 측소수는 자성으로 짧은 원주형이고, 자루가 없으며, 꽃이 성글게 달린다. 진들검정사초(Meyer's sedge, ヌマクロボスゲ, 烏拉草)는 아시아, 유럽 대륙의 한온대에 분포한다. 한강토에서는 함북 부령(富寧) 근처에서 자란다. 키는 30~50cm, 잎은 너비 1~1.5mm로서 세모진다, 꽃은 6월에 핀다. 소수는 2~3개이다. 웅소수는 1개뿐인 때도 있고 끝에 달리며 선형이고 대가 거의 없다. 자소수는 옆에 달리고 거의 둥글다. 진들사초(Globular-spike sedge, トナカイスゲ, 玉簪苔草)는 강계 이북의 높은 산에서 자란다. 키는 30~50㎝, 잎은 너비 1.5-2mm로서 딱딱하다. 소수는 2~5개로서 서로 접근하거나 떨어져 있다. 웅화수는 끝에 달린다. 측소수는 암꽃이고 대가 없으며 달걀 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다. 진퍼리사초(Wet-sand sedge, クロカワズスゲ)는 중부 이북에서 자란다. 키는 10~30㎝, 잎은 너비 2~3mm이다. 소수는 달걀 모양이며 몇 개가 끝에 모여서 이삭꽃차례와 비슷하게 된다. 웅자성(雄雌性)으로서 각 소수의 위에는 수꽃, 밑에는 암꽃이 달리며 달걀 모양이다.   

집사초(Sheathed sedge, サヤスゲ, 少花薹草, 鐮薹草)는 북부 지방에서 자란다. 키는 20~50㎝, 잎은 너비 2~5㎜이다. 소수는 2~4개가 서로 떨어져서 곧추선다. 정소수는 수꽃이며 넓은 선형이고 대가 있고, 꽃은 밑으로 갈수록 성글게 달린다. 짠들사초(Coastal sand sedge), 짧은비늘사초(Jeju lentoid sedge, ヒメゴウソ)는 국표에 학명, 국명, 영어명만 등재되어 있다. 국생정 미등록종이다. 참뚝사초(Schmidt's sedge, シュミツトスゲ, 瘤囊薹草, 臌囊薹草)는 금강산 이북에서 자란다. 키는 50~70㎝, 잎은 너비 2~4mm이다. 소수는 3~4개로서 서로 인접해 있다. 정소수 1~2개는 수꽃이고 선형이다. 첫째 소수1~2개는 암꽃이고 원주형이며 첫째 것은 대가 약간 있다. 참사초(Winter true sedge, 绿囊薹草)는 한강토, 일본, 중국, 인도, 뉴기니, 호주에 분포한다. 키는 5~40cm, 잎은 너비 1~5mm이다. 꽃은 4~5월에 핀다. 2~6개의 소수가 떨어져 달린다. 소수는 곧추선다. 정소수는 곤봉형으로 짧은 자루가 있고 연한 녹색이며 수꽃이 난다. 측소수는 구형 또는 짧은 원주형으로 밑의 것은 약간 자루가 있고 암꽃이 달리며, 최하의 포는 짧은 엽상으로 기부에 짧은 엽초가 있다. 참삿갓사초(Amrokgang sedge, チョウセンカサスゲ, 鸭绿苔草)는 전국에 분포한다. 키는 40~70cm, 잎은 너비 3~8mm이다. 소수는 4~6개이다. 웅화수는 1~2개가 끝에 달리며 선상 원주형이고 녹갈색이다. 나머지는 자화수이며 원주형이고 밑으로 처지거나 끝이 처지며 녹색이다. 천일사초(Scabrous-leaf sedge, シオクグ, 糙葉薹草, 鋼草, 鹼簣)는 제주도 등 전국 바닷가에 분포한다. 키는 30~70cm, 잎은 너비 1.5~2.5mm이다. 꽃은 5~7월에 핀다. 소수는 3~5개이다. 윗부분의 2~3개는 수꽃이고 가깝게 붙어 있으며 선형이다. 자소수는 1~2개가 밑부분에 달리며 긴 타원형이고 곧추서며 첫째 소수는 짧은 대가 있다.  

청사초(Short-stem sedge, アオスゲ, 青绿薹草)는 전국에 분포한다. 키는 5~40cm, 잎은 너비 1~5mm이다. 소수는 2~6개이고 곧추선다. 웅화수는 끝에 달리고 곤봉형이다. 자화수는 옆에 달리고 대가 있는 것이 있다. 청피사초(Big male-scale sedge, アオヒエスゲ)는 제주 법환동과 대정읍 사이 지역에서 자란다. 키는 15~40㎝, 잎은 너비 2~3mm이다. 소수는 3~4개로서 떨어져 있으나 윗부분의 것은 접근해 있다. 정소수는 수꽃이며 선형이다. 측소수는 암꽃이며 긴 대로 곧추선다. 층실사초(Minute-gibbous sedge, イトヒキスゲ, 丝引薹草)는 중부(오대산) 이북 지역에서 자란다. 키는 30~50㎝, 잎은 연하고 연한 녹색이며 너비 1~2㎜이다. 소수는 4~7개이다. 소수는 대부분 암꽃이지만 밑부분에 수꽃이 약간 있고 연한 녹색이며 밑부분의 것이 가장 멀리 떨어진다. 큰뚝사초(Humbert’s sedge, フトボアゼスゲ)는 함북 고산 지대에서 자란다. 키는 30~50㎝, 잎은 너비 3~4㎜이다. 소수는 3개이다. 정소수는 수꽃이다. 측소수는 암꽃이고 짧은 원주형이며 서로 접근해 있고 곧추서며 짧은 대가 있다. 큰물삿갓사초(Beak sedge, カラフトカサスゲ, 灰株薹草)는 한강토 북부, 중국, 러시아, 몽골, 유럽, 북미에 분포한다. 키는 40~100cm, 잎은 너비 4~8mm이다. 꽃은 단성이고 6~7월에 핀다. 꽃차례는 5~10개의 소수로 되었다. 포는 잎 모양이고 꽃차례보다 길다. 정소수 2~5개는 수꽃이며 서로 가까이 있고 선형이며 붉은 갈색을 띤다. 나머지 소수는 자소수이며 서로 좀 떨어져 있고 곧추서며 원주형이고 많은 꽃이 촘촘히 핀다. 큰산사초(Mackenzie's sedge, ノルゲスゲ)는 북부의 바닷가 근처에 난다. 키는 20~40㎝, 잎은 너비 2~3㎜로서 연하고 납작하며 회록색이고 돌기가 밀생한다. 소수는 3~5개이고 모두 양성꽃이다. 줄기 끝에 때로 수꽃 이삭이 달리고 방망이 모양이다. 암꽃 이삭은 긴 타원형이고, 암꽃의 비늘조각은 난상 공 모양이고 녹갈색이다.  

큰숲이삭사초(Big forest-live sedge), 큰청사초(Coast-live sedge, 仲氏薹草)는 국표에 학명, 국명, 영어명만 등재되어 있다. 국생정 미등록종이다. 큰천일사초(Thick-nerve sedge, オオクグ, 粗脉薹草)는 전국의 바닷가에 분포한다. 키는 40~70㎝, 잎은 너비 5~8mm이며 회색 또는 청록색이고 단단하다. 윗부분 3~5개의 소수는 수꽃이고 선형이며 짙은 갈색이다. 자소수는 2~4개가 밑부분에 달리며 원주형이고, 밑부분일수록 대가 길며 떨어져 있다. 천일사초와 비슷하지만 보다 크고, 수과의 부리 끝이 넓어지지 않는다. 타래사초(Maack's sedge, ヤガミスゲ, 卵果薹草)는 경기도 이북에서 자란다. 키는 40~60㎝, 잎은 너비 2~5㎜이며 가는 털이 퍼져 난다. 소수는 6~14개이며 난상 원형이고 밑부분에 소꽃이 달리며 모여서 이삭꽃차례를 형성하고 보통 포가 없다. 털대사초(Hairy creeping broad-leaf sedge, ケタガネソウ, 毛鏨草, 毛缘宽叶薹草)는 황해도 이남에서 자란다. 줄기 전체에 다갈색 반점이 있다. 꽃대는 높이 5~12㎝, 잎은 너비 1~2cm로서 3맥이 뚜렷하고 양면에 털이 있으며 특히 밑부분의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다. 소수는 3~5개가 떨어져서 곧추선다. 웅소수는 끝에 달린다. 자소수는 옆에 달리고 끝에 수꽃, 밑에 암꽃이 달리는데, 달걀 모양이며 첫째 소수는 대가 길다. 털사초(Pilose-leaf sedge, サッボロスゲ, 毛缘薹草)는 금강산 이북에 분포한다. 키는 30~60㎝, 잎은 너비 5~10㎜이며 털이 드문드문 있는 것도 있고 단면은 M자형이다. 소수는 3~4개이다. 정소수는 수꽃이고 곤봉형 피침형이며 흑자색이다. 측소수는 암꽃이고 줄기옆에 달리며 원주형이고 꽃이 성기게 달린다. 밑부분의 것은 긴 대가 있어 끝이 처진다. 털잎사초(Woolly-leaf sedge, ハタベスゲ, 寬鱗薹草)는 강원도 이북에서 자란다. 키는 40~75㎝, 잎은 너비 3~6mm로서 3맥이 뚜렷하다. 털은 엽초에 더욱 많다. 소수는 3~4개이다. 정소수는 수꽃이며 선형이고 대가 있다. 나머지는 모두 암꽃으로 엽초가 있다. 

 

톱니열매사초(Serrate-achene sedge, 山林薹草)는 국표에 학명, 국명, 영어명만 등재되어 있다. 국생정 미등재종이다. 통보리사초(Asian sand sedge, コウボウムギ, 筛草, 海米, 砂砧苔草)는 전국 바닷가에 분포한다. 키는 10~20cm, 잎은 너비 4~6mm이다. 꽃은 5~7월에 핀다. 이삭꽃차례는 끝에 1개씩 달리고 달걀 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다. 이가화이지만 간혹 일가화도 있다. 잎 같은 2~3개의 포는 꽃차례보다 짧고, 웅화수와 자화수는 달걀 모양이다. 포기사초(Turfy sedge, カブスゲ, 丛薹草)는 함남에 나며 유라시아의 아한대에 널리 분포한다. 키는 30~70cm, 잎은 거의 2개로 접히고 너비 2~3mm이며 몹시 껄끄럽다. 꽃은 6~7월에 핀다. 소수는 2~4개가 줄기 위쪽에 접근하여 달린다. 정소수는 선형으로 흑자갈색을 띠며 수꽃이 달린다. 측소수는 짧은 원주형으로 곧추서고 암꽃이 달린다. 포태사초(Potae sedge, タカネナルコ, 冻原薹草)는 포태산에서 자란다. 키는 20~30㎝, 잎은 너비 1~2.5mm이다. 소수는 3~4개로 밑부분에 긴대가 있는것을 제외하고는 서로 접근한다. 정소수는 끝부분에 암꽃, 밑부분에 수꽃이 달리는 것과 모두 수꽃인 것이 있으며, 곤봉형 피침형이다. 측소수는 암꽃뿐이며 곤봉형 긴 타원형이다. 일본 중부 시로우마다케(白馬岳)에서 채집되어 명명된 종으로서 시로우마사초라고 한다. 폭이사초(Slender-pedicel sedge, フサナキリスゲ, 长柱头薹草)는 한라산 남쪽 숲속에서 자란다. 키는 40~60㎝, 잎은 너비 2~3.5mm이다. 소수는 윗부분에 수꽃이 약간 달린다. 밑부분은 대부분 암꽃이며 선형이고 선다. 피사초(Long-rostrate sedge, ヒエスゲ, 长嘴薹草)는 한라산 및 백두산의 초원에서 자란다. 키는 20~40㎝, 잎은 너비 2~3㎜이다. 소수는 2개로서 곧게 서고, 윗부분의 것은 수꽃이며 밑부분의 것은 암꽃으로 된다. 웅화수는 곤봉형이고 갈색이며, 자소수는 난상 원형이다. 한라사초(Red-based leaf sedge, タンナカンスゲ)는 한라산, 지리산, 금강산 및 북부 지방의 깊은 산에서 자란다. 키는 10~40㎝, 잎은 너비  2~4mm이다. 소수는 2~4개이다. 웅화수는 끝에 달리며 피침형이다. 자화수는 옆에 달리며 짧은 원주형이고 꽃이 약간 성글게 달리며 실 같은 가는 대가 있다. 함북사초(Star sedge, キタノカワズスゲ, 刺苞薹)는북부 지방 고원 지대에서 자란다. 키는 20~50㎝, 잎은 너비 1~2㎜이고 연약하다. 소수는 3~4개이다. 윗부분에 암꽃, 밑부분에 수꽃이 달린다. 측소수는 둥글고 암꽃만 달린다. 

해산사초(Hancock's sedge, クロカワスゲ, 点叶薹草)는 함경북도에서 자란다. 키는 40~70㎝, 잎은 너비 3~6㎜이다. 소수는 5개 정도로서 곧게 선다. 정소수는 윗부분에 암꽃, 밑부분에 수꽃이 달린다. 측소수는 암꽃이 달리고 모두 긴 타원형 또는 긴 타원상 원주형으로서 약간 밑으로 처진다. 햇사초(False Chinese sedge, キシベスゲ)는 경기도 수원시, 오산시, 경남 양산시에 난다. 키는 30~60㎝, 잎은 너비 2.5~4㎜이다. 소수는 3~5개가 서로 접근하거나 첫째 소수는 짧은 대가 있어 떨어진다. 정소수는 수꽃이며 선형이고 자주색이다. 측소수는 암꽃이고 짧은 원주형이다. 호밀사초(Ryegrass sedge, アカンスゲ, 间穗薹草)는 북부에 드물게 난다. 키는 20~50㎝, 잎은 납작하며 얇고 너비 1~2㎜로 밋밋하다. 소수는 3~5개이고 양성꽃이다. 달걀 모양 또는 공 모양이며, 비늘조각은 연한 색이고 가장자리는 둔하다. 홍노줄사초(Creeping sluggish sedge, センダイスゲ, 仙台菅, 仙台薹草)는 한강토 경기, 충남, 경남, 전남, 제주에 난다. 중국, 일본, 대만, 동남아시아에도 분포한다. 키는 10~30cm으로서 단면은 삼릉형이다. 잎은 너비 2~3mm이다. 소수는 웅자성이고, 3-4(8)개이며, 원주형이다. 마디에 1개씩 액생한다. 화산곱슬사초(Radde's sedge, コノゲスゲ, 锥囊薹草)는 수원 근처의 습지와 북부 지방에서 자란다. 키는 30~40㎝, 잎은 너비 2.5~4㎜로서 분백이고 뒷면에 젖꼭지 모양의 돌기가 있다. 윗부분 1~3개의 소수는 수꽃이며 인접해 있고 선형이며 혈자색이다. 자소수는 2~3개이며 웅소수로부터 떨어지고 짧은 원통형이며 선다. 첫째 소수는 대가 길다. 화산사초(Uponeup sedge)는 한강토 특산 식물로 경기, 경남에 난다. 키는 30~70cm, 잎은 너비 2~3mm이며, 표면에 2맥이 있다. 소수는 4~5개이다. 위쪽의 2개는 웅성이다. 여러 개의 꽃이 느슨하게 붙고, 짧은 자루가 있다. 아래쪽 2~3개의 소수는 자성이고, 장타원형이며, 떨어져서 달린다. 조밀하게 많은 꽃이 달린다. 화살사초(Transverse Brown's sedge, ヤワラスゲ, 横果薹草)는 제주도에서 자란다. 키는 20~70㎝, 잎은 너비 2.5~5.5㎜이며 부드럽고 털이 있다. 소수는 3~4개로서 윗부분에서는 인접하고 밑부분의 1~2개는 떨어져 있다. 정소수는 수꽃뿐이지만 간혹 암꽃이 섞이기도 하고 선형이며, 윗부분의 것은 대가 거의 없으나 밑부분의 것은 긴 대가 있다. 회령사초(Two-toothed-beak sedge, コウライヤワラスゲ, 叉齿薹草)는 북부 지역에서 자란다. 키는 40~50㎝, 잎은 너비 2~2.5㎜이다. 소수는 4개 정도이다. 웅소수는 2~3개가 끝에 달리며 대가 짧고 서로 접근해 있으며 선형이다. 자소수는 옆에 달리고 2개가 서로 떨어지며 원통형이고 밑으로 내려갈수록 꽃이 성글게 달린다.     

회색사초(Ashgrey sedge, ヌマアゼスゲ, 灰化薹草, 匍枝薹草)는 한강토 함북과 경남,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키는 25~60cm, 잎은 너비 2~4mm이다. 소수는 3~5개이다. 위쪽 1~2개의 소수는 웅성이고, 좁은 원통형이다. 나머지 소수는 자성이며, 가끔 웅자성이 되면서 끝 쪽에 몇 개의 수꽃이 달린다. 아래쪽 소수는 소수자루가 있으나 위쪽의 것은 없다. 후라벨라타사초(Flabellate sedge, ヤマテキリスゲ)는 북부의 습지에 난다. 키는 40~60㎝, 잎은 너비 4~8㎜이다. 소수는 3~5개로 밀집해 달린다. 웅화수는 줄기끝에 달리며, 선형이다. 자화수는 줄기 옆에 달리고, 원기둥 모양이다. 흰꼬리사초(Brown's sedge, アワボスゲ, 亚澳薹草)는 경북 강구, 부산, 제주 및 북부 지방에서 자란다. 꽃대 높이는 30~80㎝, 잎은 너비 3~5㎜이다. 소수는 3~4개이다. 웅소수는 줄기 끝에 달리고 선형이다. 자소수는 줄기 옆에 달리고 짧은 원주형이며 곧추서고 서로 접근하지만 밑부분의 것은 떨어지며 대가 길다. 흰밀사초(White-coleoptile sedge, ミヤマカンスゲ, 深山寒菅)는 국표에 학명, 국명, 영어명만 등재되어 있다. 국생정 미등재종이다. 흰사초(Don's sedge, シラスゲ, 芒尖苔草, 签草)는 중부 이남 지역에서 자란다. 키는 30~60㎝, 잎은 너비 5~10mm이다. 소수는 4~6개로서 밑부분의 것은 대가 있으며 밑으로 처진다. 웅화수는 줄기 끝에 달리며 선상 원주형이고 연한 녹색이며 곧게 선다. 자화수는 줄기 옆에 달리고 원주형이며 윗부분의 것은 대가 없어 곧추서고 밑부분의 것은 처진다. 흰이삭사초(White-spike sedge, フサスゲ, シラホスゲ, 寬穗薹, 锈果薹草)는 한라산 계곡에서 자란다. 키는 30~70㎝, 잎은 너비 3~6mm로서 3맥이 뚜렷하다. 소수는 5-10(15)개로 윗부분의 것은 접근하며 밑부분의 것은 떨어져 있다. 정소수는 곤봉형 원주형이며 윗부분에 암꽃, 밑부분에 수꽃이 달리지만 수꽃만으로 선형인 것도 있다. 측소수는 암꽃만 있는 것과 밑부분에 수꽃이 있는 것이 있고 원주형이며, 중앙부에서는 한 마디에 1~2개가 달리기도 하고 밑으로 처진다.   

 

국표 등재 가는잎그늘사초의 유사종 재배식물에는 가죽사초(Carex buchananii Berggr.), 그레이사초(Carex grayi J.Carey), 금발사초(Carex albula Allan), 동애사초(Carex berggrenii Petrie), 야자사초(Carex muskingumensis Schwein.), 오렌지사초(Carex testacea Sol. ex Boott), 자동사초(Carex tenuiculmis (Petrie) Heenan & de Lange), 처진사초(Carex pendula Huds.), 코만스사초(Carex comans Berggr.), 흑사초[Carex nigra (L.) Reichard] 등 36종이 있다. 

국표 등재 가는잎그늘사초의 유사종 외래식물에는 가는타래사초(Carex molestiformis Reznicek & Rothrock), 대저사초(Carex molesta Mack.), 미국산사초(Carex hirsutella Mack.), 미국타래사초(Carex muehlenbergii Willd. var. enervis Boott), 작은비사초[Carex brevior (Dewey) Mack. ex Lunell.], 한석사초(Carex scoparia Schkuhr ex Willd.) 등 6종이 있다. 재뱃기물과 외래식물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2023. 6. 2. 林 山

#가는잎그늘사초 #그늘사초 #사초     

'야생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덩굴별꽃 '추억(追憶)'  (1) 2023.06.15
그늘사초  (0) 2023.06.08
실새풀  (1) 2023.05.29
큰꿩의다리 '평안(平安), 순간의 행복'  (2) 2023.05.26
백부자(白附子) '아름답게 빛나다'  (0) 2023.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