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9월 중순경 야생화 탐사를 위해 동호회원들과 함께 경기도 광주에 있는 남한산(南漢山, 522m)을 찾았다. 남한산성(南漢山城) 남문(南門)인 지화문(至和門)으로 오르는 길가에서 깨풀을 만났다. 개풀의 잎은 들깻잎과 그 모양이 아주 비슷하다. 그래서 깨풀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깨풀은 쥐손이풀목(Geraniales) 대극과(大戟科, Euphorbiaceae) 깨풀속(Acalypha)의 한해살이풀이다. 한강토(조선반도)에 자생하는 깨풀속 식물은 깨풀이 유일하다. 국가표준식물목록(국표)에는 들깨풀이 이명으로 실려 있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생정)에는 함주초, 철현채(鐵莧菜)가 이명, 들깨풀이 비추천명으로 등재되어 있다. 꽃말은 '행복의 열쇠, 가련(可憐)'이다.
국표, 국생정 등재 깨풀의 학명은 아칼리파 아우스트랄리스 린네(Acalypha australis L.)이다. 속명 '아칼리파(Acalypha)'는 '쐐기풀(nettle)'이란 뜻의 '아칼레페(akalḗphē)' 기원의 고대 그리스어 '아칼루페(akalúphē)'에서 유래한 라틴어 고유명사이다. 종소명 '아우스트랄리스(australis)'는 '남쪽(south)'의 뜻을 가진 '아우스테르(auster)'에 형용사화 접미사 '-알리스(-ālis)'가 붙어서 이루어진 라틴어 형용사로서 '남쪽 또는 남부에 위치한, 남향의, 남반구의(southern)'라는 뜻이다. '린네(L.)'는 스웨덴의 식물학자 칼 폰 린네(Carl von Linn'e, 1707~1778)이다. 린네는 생물 분류학의 기초를 놓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하여 현대 식물학의 시조로 불린다.
국표와 국생정, 일본어판 Flora of Mikawa(三河の植物観察, FOM) 등재 깨풀의 영어명은 에이션 카퍼립(Asian copperleaf)이다. '아시아 깨풀'이란 뜻이다. 국표와 국생정, FOM 등재 일본명은 에노키구사(エノキグサ, 榎草)이다. '팽나무 풀'이라는 뜻이다. 잎이 팽나무 잎을 닮아서 얻은 이름이다. FOM에는 아미가사소우(アミガサソウ, 編笠草)라는 이명도 실려 있다. '삿갓풀'이라는 뜻이다. FOM, 중국어판 바이두백과(百度百科), 위키백과(维基百科)에 등재된 중국명은 티에셴차이(铁苋菜)다. 줄기와 잎이 철처럼 자줏빛이 도는 붉은색이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깨풀은 한강토, 중국, 일본, 러시아, 필리핀에 분포한다. 한강토에서는 중부 이남 지역의 길가, 밭머리, 집 주변의 빈터에 자란다(국생정). 에노키구사(榎草)는 일본 재래종(在来種)이다. 일본 전토, 한강토, 중국, 러시아, 필리핀, 라오스, 베트남 등지에 분포한다. 호주, 인도로 귀화하고 있다(FOM). 티에셴차이(铁苋菜)는 중국 창쟝(长江) 이남 황허(黄河) 중하류(中下游) 연해(沿海) 및 시난(西南), 화난(华南) 등의 각 성(省)에 분포한다. 한강토, 월남(越南, 베트남), 일본, 필리핀에도 있다(维基百科). 티에셴차이(铁苋菜)는 동북아에서 동남아에 이르는 지역에 널리 분포한다. 중국에서는 서부 고원이나 건조 지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성에 자란다. 극동 러시아, 한강토, 일본 등에도 분포한다. 평원이나 산비탈의 습한 경작지와 초원에서 자라며, 습한 곳을 좋아한다. 고산과 평평한 일반적인 토양에서도 자란다(百度百科).
깨풀의 키는 30~50cm 정도로 자란다. 전체에 짧은 털이 밀생(密生)한다.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달걀 모양 또는 넓은 피침형(披針形)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원저(圓底)이며, 길이 3~8cm, 너비 1.5~3.5cm로서 밑부분에서 3~5맥이 갈라진다. 잎 표면에는 복모(伏毛, sericeous)가 드문드문 있고, 뒷면에는 맥 위에 털이 있다. 잎 가장자리에는 둔한 톱니가 있다. 엽병(葉柄)은 길이 1~4cm이다.
꽃은 7~8월에 핀다. 잎겨드랑이에서 짧은 화경(花莖)이 있는 꽃차례가 나오고, 수꽃은 윗부분에 이삭꽃차례로 달린다. 포(苞)는 갈색이고 삼각상 달걀 모양으로서 톱니가 있으며, 꽃차례 기부(基部)에 달리는 암꽃을 둘러싼다. 수꽃의 꽃받침은 4개로 갈라지고 막질(膜質)이다. 수술은 8개로서 밑부분이 붙어 있다. 보통 2개의 암꽃이 달린다. 암꽃은 꽃받침이 3개로 깊게 갈라진다. 씨방은 둥글고 털이 있다. 암술대는 3개이다.
열매는 삭과(蒴果)이다. 삭과는 지름 3mm 정도로서 털이 있고 대가 없으며 둥글다. 종자는 길이 2mm 정도로서 넓은 달걀 모양이고 흑갈색이며, 윤이 나고 밋밋하다. 종자는 9월에 성숙한다.
깨풀의 어린순은 나물로 먹는다(국생정). 깨풀은 어린순을 나물로 먹으며, 목초로도 이용한다(우리 주변 식물 생태도감). 티에셴차이(铁苋菜)는 우유보다 인체에 더 잘 흡수되는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다. 카로틴 함량이 높고 철분과 칼슘 함량이 시금치보다 훨씬 높아 인체에 풍부한 영양소를 공급하여 몸을 튼튼하게 하고 신체의 면역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장수 나물'로 알려져 있다. 신선한 야채 중 최고다(百度百科).
깨풀의 전초(全草)를 철현(鐵莧)이라 하며 약용한다. 청열이수(淸熱利水), 살충, 지혈의 효능이 있다. 세균성하리(細菌性下痢), 복하(腹下), 해수토혈(咳嗽吐血), 변혈(便血), 자궁출혈, 감적(疳積), 복창(腹脹), 피부염, 습진(濕疹), 창상출혈(創傷出血)을 치료한다(국생정). 철현은 전국 한의과대학 본초학 교과서나 동의보감에 등재되지 않은 식물이다. 한의사들은 임상에서 철현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티에셴차이(铁苋菜)는 청열이습(清热利湿), 양혈해독(凉血解毒), 수렴지혈(收敛止血), 소적(消积)의 효능이 있다. 현대 연구에 의하면 항균(抗菌), 항염(抗炎), 평천(平喘), 혈소판(血小板) 증가, 지사(止泻) 작용도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런 효능으로 장염(肠炎), 세균성이질(细菌性痢疾), 아메바성이질(阿米巴痢疾), 소아감적(小儿疳积), 토혈(吐血), 뉵혈(衄血, 코피), 뇨혈(尿血), 변혈(便血), 자궁출혈(子宫出血), 옹절창양(痈疖疮疡), 외상출혈(外伤出血), 습진(湿疹), 피부염(皮炎), 독사교상(毒蛇咬伤) 등을 치료한다. 티에셴차이는 중국 3종 신약 셴차이황롄수쟈오낭(苋菜黄莲素胶囊)의 주원료다(百度百科).
국표 등재 깨풀의 유사종 재배식물에는 아칼리파 고드세피아나(Acalypha godseffiana Mast.), 아칼리파 렙탄스(Acalypha reptans Sw.), 아칼리파 윌케시아나(Acalypha wilkesiana Müll.Arg.), 아칼리파 윌케시아나 '호프마니'(Acalypha wilkesiana 'Hoffmannii'), 아칼리파 헤르조기아나(Acalypha herzogiana Pax & K.Hoffm.), 아칼리파 히스피다(Acalypha hispida Burm.f.) 등 6종이 있다. 설명은 생략한다.
2023. 6. 16. 林 山
#깨풀 #철현채 #철현
'야생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밀 '연인(戀人), 인연(因緣), 사랑의 약속(約束)' (0) | 2023.07.03 |
---|---|
마타리 '미인(美人)' (0) | 2023.06.29 |
덩굴별꽃 '추억(追憶)' (1) | 2023.06.15 |
그늘사초 (0) | 2023.06.08 |
가는잎그늘사초 '강인함' (1) | 2023.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