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이야기

메밀 '연인(戀人), 인연(因緣), 사랑의 약속(約束)'

林 山 2023. 7. 3. 19:27

2022년 10월 초순 점심을 먹으러 충주 예성로를 따라 내려가는데, 어느 집 앞 화단에 새하얀 메밀꽃이 활짝 피어 있었다. 메밀꽃을 보자마자 문득 학창 시절에 읽었던 이효석의 단편 소설 '메밀꽃 필 무렵'이 떠올랐다. 소설의 주인공 허생원이 봉평장을 보고 대화장을 향해 70리 밤길을 걷는 장면에 '산허리는 온통 메밀밭이어서 피기 시작한 꽃이 소금을 뿌린 듯이 흐뭇한 달빛에 숨이 막힐 지경이다.'라는 구절이 나온다. 달빛이 내려앉은 메밀꽃에 대한 묘사가 워낙 강렬해서 지금도 잊혀지지 않는다. 

메밀(제주시 애월읍, 2023. 6. 9. 촬영 김경희)

메밀은 마디풀목(Polygonales) 마디풀과(Polygonaceae) 메밀속(Fagopyrum)의 한해살이풀이다. 북방(北方) 대륙계(大陸系)인 메밀은 식용 재배식물이다. 메밀은 '산(메, 뫼)에서 나는 밀'이라는 뜻에서 그 이름이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메밀의 생김새가 세모져서 '모가 난 밀'이라는 뜻에서 모밀로 불리다가 메밀이 되었다는 설도 있다. 지금도 메밀을 모밀로 부르기도 한다. 메밀꽃의 꽃말은 '연인(戀人), 인연(因緣), 사랑의 약속(約束)'이다.  

국가표준식물목록(국표)과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생정)에 등재된 메밀의 학명은 파고피룸 에스쿨렌툼 묀히(Fagopyrum esculentum Moench)다. 속명 '파고피룸(Fagopyrum)'은 '너도밤나무(beech)'라는 뜻의 라틴어 '파고스(fagus)'와 '밀(wheat)'이라는 뜻의 고대 그리스어 '푸로스(purós)'의 합성어에서 유래한 다국어 고유명사다. 종소명 '에스쿨렌툼(esculentum)'은 '먹기에 적합한(fit for eating), 먹기에 좋은(good to eat), 먹을 수 있는(eatable, edible, esculent), 맛있는(delicious), 영양가 있는(nourishing), 먹을 것이 많은(full of food)' 등의 뜻을 가진 라틴어 형용사 '에스쿨렌투스(ēsculentus)'의 어미 변화형이다. '에스쿨렌투스(ēsculentus)'는 중세 라틴어 명사 '이스카(isca)'의 대체어로서 '음식(food)'이란 뜻을 가진 '에스카(ēsca)'에 '가득한(full of), 풍부한(abounding in)'의 뜻을 가진 형용사화 접미사 '-울렌투스(-ulentus)'가 붙어서 이루어진 라틴어 형용사이다. '-울렌투스(-ulentus)'는 라틴어 형용사화 접미사 '-일렌투스(-ilentus), -올렌투스(-olentus)'의 대체어다. '묀히(Moench)'는 독일의 식물학자이자 마부르크 대학의 식물학 교수를 지낸 콘라드 묀히(Conrad Moench, 1744~1805)다. 

국표 등재 메밀의 추천 영어명은 '브랭크(Brank)'이다. 브랭크(brank)는 13세기에 영국에서 말을 함부로 하거나 남을 험담하는 여자를 처벌하는 도구였다. 쇠창틀 속에 범법자의 머리를 넣고 입에는 뾰족한 금속 재갈로 혀를 찌르게 한 도구이다. 누가 정체불명의 '브랭크(Brank)'를 메밀의 영어명으로 추천한 것일까? 몹시 궁금하다. 국생정 등재 영어명은 벅위트(Buckwheat)이다. 일문판 Flora of Mikawa(三河の植物観察, FOM) 등재 영어명은 벅위트(buckwheat), 커먼 벅위트(common buckwheat), 재퍼니즈 벅위트(Japanese buckwheat), 실버헐 벅위트(silverhull buckwheat)이다.  

국표, 국생정, FOM 등재 메밀의 일본명은 소바(ソバ, 蕎麦)다. '메밀 교(蕎)'와 '보리, 귀리, 메밀 맥(麦)'의 합성어다. FOM에는 후츠우소바(フツウソバ, 普通蕎麥)라는 이명도 실려 있다. FOM, 중문판 바이두백과(百度百科), 위키백과(維基百科) 등재 중국명은 챠오마이(荞麦)이다. 百度百科에는 톈챠오(甜荞), 징창차오(净肠草), 우마이(乌麦), 싼쟈오마이(三角麦) 등의 이명이 실려 있다.   

메밀(서울 서래섬, 2015. 9. 30. 촬영 박원순)

메밀은 중앙아시아 지역에 분포한다. 한강토(조선반도)에서는 전국 각지에서 재배한다(국생정). 소바(蕎麦)는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남북아메리카, 호주, 뉴질랜드 등 전 세계에서 재배되고 있다. 일본, 러시아, 파키스탄, 북아메리카, 호주, 뉴질랜드 등지에서는 경작지를 벗어나 야생화되고 있다. 원산지는 중국 티베트와 윈난성(雲南省)으로 추정되고 있다. 소바는 중국에서도 널리 재배되는 식용 식물이다(FOM). 

챠오마이(荞麦)와 쿠챠오마이(苦蕎麥, 타타르 메밀)는 일반적으로 중국 남서부의 쓰촨(四川), 윈난(雲南), 시짱(西藏, 티베트) 접경 지역에서 기원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 이유는 톈챠오(甜蕎)와 쿠챠오(苦蕎, 타타르 메밀) 관련 야생종이 주로 이 지역에 분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화석과 미세화석(주로 꽃가루)에 대한 연구를 통해 BC 5000년 전의 재배 톈챠오(甜蕎)가 중국 북부 황토 고원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챠오마이(荞麦)는 BC 2000년 이전에 유라시아 전역으로 전파되었으며, 히말라야 남쪽 기슭을 통해 서쪽으로 코카서스 지역과 유럽으로 전파되었다고 추정된다. 푸통챠오마이(普通蕎麥)는 전 세계 메밀 재배의 90% 이상을 차지한다. 주로 메밀을 재배하는 나라는 러시아, 중국, 일본, 폴란드, 캐나다, 브라질, 남아프리카공화국, 호주 등이다. 최근 몇 년 동안 US의 메밀 재배는 급격히 감소했다(維基百科). 

일본의 식물학자 호시카와 기요츠카(星川清親)는 메밀이 중국에서 조선반도를 거쳐 8세기에 일본에 전파되었다고 추정했다. 메밀의 원산지는 아시아 북동부, 바이칼 호수 인근에서 중국 동북부이며 구체적인 전파 과정은 탕(唐)나라 때 북쪽에서 남쪽의 중국 본토로 유입되었다. 송(宋)나라 때 화난(華南) 지역에서 널리 재배되었다. 이후 인도차이나 북부로 전파되어 8세기에 조선반도를 거쳐 일본에 전해졌다. 같은 시기에 중국에서 인도에 전파되었다. 13~14세기에 메밀은 시베리아, 러시아 남부 또는 터키를 통해 유럽으로 유입되었다. 17세기에는 벨기에, 프랑스, 이탈리아, UK 등지에 전래되었다. 1625년 네덜란드 식민자들은 메밀을 허드슨 강을 통해 US로 들여왔고, 이후 캐나다와 남아메리카로 전래되었다. 

많은 학자들은 챠오마이(荞麦, 메밀)의 기원이 중국에 있고, 톈챠오(甜荞, 단메밀)는 북방, 쿠챠오(苦荞, 타타르메밀)는 남서쪽에서 기원했다고 추정하고 있다. 최근 메밀 종자 출토 상황을 분석한 결과 메밀의 기원은 중국 동북 지방으로 나타났다(百度百科).

메밀(충주시 교현동, 2022. 10. 4)

메밀의 키는 40~70cm 정도이다. 원줄기는 가지가 갈라지고, 속이 비어 있으며, 연한 녹색이지만 흔히 붉은빛이 돌고 마디마다 부드러운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엽병(葉柄)이 길며 심장형(心臟形)으로서 끝이 뾰족하다. 양쪽 기부(基部) 열편(裂片)의 끝도 뽀족하며, 길이 3~10cm이고 털이 없다. 잎집의 탁엽(托葉)은 엷은 막질(膜質)이고 매우 짧다.

꽃은 6~10월에 흰색 또는 붉은빛이 도는 흰색으로 핀다. 총상꽃차례는 잎겨드랑이와 가지 끝에서 나오고, 꽃자루 밑에 작은포가 있다. 화피(花被)는 깊게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길이 2~3mm로서 달걀 모양이며, 암술대는 3개이다.

열매는 수과(瘦果, achene)다. 수과는 예리하게 세모진 달걀 모양이고, 길이 5~6mm로서 익으면 갈색이나 암갈색, 때로는 은회색을 띤다. 종자는 씨껍질의 내부에 가루 상태의 배젖이 있고, 배젖 안에 S자 모양의 떡잎이 구겨져 들어 있다. 과실을 교맥(蕎麥)이라고 한다.

메밀(충주시 교현동, 2022. 10. 4)

메밀 전분은 과자 원료, 맥주 원료, 모밀국수의 원료로 쓰이며, 맥아와 혼합하여 증류주를 만든다. 밀원식물로도 중요하다(국생정).

메밀가루는 밀가루보다 색이 진하여 프랑스인들이 흑빵(黑麵包)을 만들거나 버섯과 비슷한 맛을 내는 작은 팬케이크를 만드는 데 사용한다. 일본인은 메밀국수(蕎麥麵)를 만들고, 조선인은 냉떡(涼糕)을 만든다. 폴란드인들은 껍질을 벗기지 않은 메밀로 죽(粥)을 만들고, 유럽인들은 죽을 쑤거나 전분으로 국물이 걸쭉한 탕을 만든다. 러시아인은 구운 파이를 만든다. 메밀국수에는 심혈관 질환을 완화할 수 있는 루틴이 함유되어 있고, 당단백질이 매우 적기 때문에 당단백질을 흡수하지 못하는 사람도 먹을 수 있다. 그러나 메밀은 알레르겐 중 하나이기 때문에 일부 사람들은 섭취 후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쓰촨, 윈난, 구이저우(貴州)나 고산 지대에 거주하는 이족(彝族)의 주식 중 하나가 메밀이다. 이족은 쓴맛이 나지만 고산 기후에 적합한 쿠챠오마이(苦蕎麥)를 즐겨 먹는다. 북부 이어(彝語) 방언 지역에서는 결혼식 때 챠오빙(蕎餅, 메밀떡)을 준비한다. 현지 한족은 이를 챠오빠빠(蕎粑粑)라고 부른다. 챠오빙(蕎餅)이 꼭 필요한 이유는 현지 이어 방언에서 '蕎麥(ŋgɤ˧, 메밀)'와 '思念(ŋgɤ˧, 그리움)'의 발음이 같기 때문이다. 

메밀은 또한 밀원 식물의 하나다. 그러나 메밀의 줄기와 잎은 독성이 있어 많이 먹으면 중독되어 피부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다. 하지만 어린 새싹은 독성이 없고, 영양이 풍부하다. 메밀싹 차이마이먀오(蕎麥苗)는 훌륭한 건강 먹거리이다. 

메밀의 껍질은 베개와 방석을 채우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메밀 껍질은 비교적 단단하고 열을 전달하거나 반사하지 않는다. 특히 깃털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들은 메밀 껍질 베개가 깃털 베개보다 더 좋다. 

맥주를 만들 때 다른 곡물을 메밀로 대체하면 맥주의 당단백질 함량을 줄이고, 당단백질에 민감한 셀리악병(Celiac Disease)을 앓고 있는 사람들에게 적합한 '당단백질 프리 맥주'를 생산할 수 있다. 일부 수제 아이스크림 가게는 메밀을 사용하여 콜레스테롤이 없고, 칼로리가 낮으며, 유제품이 들어가지 않은 메밀 아이스크림을 만들고 있다. 타타르 메밀을 가공한 후 차로 마실 수 있다. 이를 '타타르 메밀 차'라고 한다. 맛은 약간 쓰지만 향이 강하고 저렴하여 중국 남서부의 소규모 레스토랑에서 매우 인기가 있다(維基百科). 

국생정에는 '메밀의 종자를 교맥(蕎麥), 줄기와 잎(莖葉)을 교맥갈(蕎麥秸)이라 하며 약용한다. 교맥은 개위관장(開胃寬腸), 하기소적(下氣消積)의 효능이 있다. 교장사(급성장염, Cholera), 장위적체(腸胃積滯), 만성하리(慢性下痢), 금구리(噤口痢), 적유단독(赤游丹毒), 등에 생기는 옹저(癰疽), 화상을 치료한다. 교맥갈은 음식이 목에 막히는 것과, 옹종(癰腫)을 치료한다. 또 지혈, 악육(惡肉)을 침식(侵蝕)할 수 있다. 잎은 하기(下氣), 명목총이(明目聰耳), 활장(滑腸)을 한다. 줄기와 잎은 모세혈관의 취약성(脆弱性)에 의한 고혈압에 쓰면 뇌출혈을 예방할 수 있고, 모세혈관의 허약성에서 오는 각종 출혈증과 비결핵성의 폐출혈을 예방한다. 또 당뇨병성 망막증을 치료한다.'고 나와 있다. 
  
동의보감에는 '교맥(蕎麥, 메밀)은 성질이 평(平)하면서 차고[寒]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장위(腸胃)를 든든하게 하고 기력을 돕는다. 그리고 여러 가지 병을 생기게 한다고는 하나 5장에 있는 더러운 것을 몰아 내고 정신을 맑게 한다[본초]. ○ 오랫동안 먹으면 풍(風)이 동(動)하여 머리가 어지럽다. 돼지고기나 양고기와 같이 먹으면 풍라(風癩, 문둥병)가 생긴다[본초]. 교맥엽(蕎麥葉, 메밀잎)은 나물로 만들어 먹는다. 기를 내리고 귀와 눈을 밝아지게 한다[본초]. 교맥양(蕎麥穰, 메밀대)을 태워 잿물을 받아 집짐승의 헌데[瘡]를 씻어 준다[일용].'고 나와 있다. 

교맥, 교맥갈, 교맥엽, 교맥양 등은 전국 한의과대학 본초학 교과서에는 등재되어 있지 않다. 한의사들도 임상에서 메밀 관련 한약재를 거의 쓰지 않는다. 

메밀(충주시 교현동, 2022. 10. 4)

국표 등재 메밀의 유사종 외래식물에는 쓴메밀[Fagopyrum tataricum (L.) Gaertn.] 단 1종만 있다. 쓴메밀(두메메밀, 타타리메밀, India buckwheat, Bitter buckwheat, Green buckwheat, Tartary buckwheat, ダッタンソバ, 韃靼蕎麥, 苦荞)은 국표에 국명, 학명, 영문명, 북한명, 이명 등만 등재되어 있다. 국생정 미등재종이다. 쓴메밀은 중국 깐수(甘粛), 광시자치구(広西自治区), 구이저우, 허베이(河北), 헤이룽쟝(黒竜江), 후베이(湖北), 후난(湖南), 지린(吉林), 랴오닝(遼寧), 네이멍구(内蒙古), 칭하이(青海), 샨시(陝西, 山西), 쓰촨, 신쟝(新疆), 티베트, 윈난, 아프가니스탄 , 인도 , 몽골 , 네팔 , 러시아에 분포한다. 부탄, 미얀마, 일본에서는 재배한다.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에는 귀화했다. 유럽, 북아메리카 등지에서 재배되고 있다.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게 서고, 키는 30~70㎝ 정도이다. 줄기는 녹색 또는 보라빛을 띠고 있으며, 유두상(乳頭狀, papillose) 돌기(突起)가 1측면에 있다. 잎은 넓은 삼각형이고, 잎 양면 맥에 유두상 돌기가 있다. 꽃은 5~7월 흰색 또는 담홍색으로 핀다. 총상꽃차례는 정생(頂生) 또는 액생(腋生)한다. 화피는 5갈래로 깊게 갈라진다. 화피편은 타원형이다. 수술은 8개로서 화피보다 짧다. 수과는 숙존성(宿存性) 화피에서 돌출하며, 흑갈색에 긴 달걀 모양이다. 3능이 있고 표면에 홈이 있으며, 중간보다 아래각은 둥글고 윗부분은 날카로우며 모서리에 구불구불한 치아가 있다.

 

2023. 7. 3. 林 山

#메밀 #교맥 #蕎麥 #소바 #쓴메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