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10월 초순 경기도 광주에 있는 남한산(南漢山, 522m)을 찾았다. 남한산성(南漢山城) 남문(南門)인 지화문(至和門) 바로 근처에서 이제 막 꽃이 피어난 주홍서나물을 만났다. 주홍서나물이라는 이름은 좀 낯설다. 그것은 주홍서나물이 외국에서 들어온 귀화식물(歸化植物)이기 때문이다. 주홍서나물은 1991년 전의식(全義植) 전 한국식물연구회장이 남해도, 제주도, 부산 등지에서 채집해 학계에 보고한 바 있다. 일본에는 1950년대에 귀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홍서나물은 초롱꽃목(Campanulales) 국화과(菊花科, Asteraceae) 주홍서나물속(Crassocephalum)의 한해살이풀이다. 국가표준식물목록(국표)에는 분홍너슬국화가 북한 추천명으로 실려 있다. 주홍서나물은 국표에 왜래식물, 귀화식물로 등재되어 있다. 주홍서나물속 식물은 한강토(조선반도)에서 주홍서나물 단 1종밖에 없다. 주홍서나물의 꽃말은 '가을의 여인(女人)'이다.
국표,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생정) 등재 주홍서나물의 학명은 크라소케팔룸 크레피디오이데스 (벤섬.) S.무어[Crassocephalum crepidioides (Benth.) S.Moore]이다. 속명 '크라소케팔룸(Crassocephalum)', 종소명 '크레피디오이데스(crepidioides)'의 기원은 찾지 못했다. '벤섬(Benth.)'은 '19세기 최고의 식물분류학자'라는 평을 들은 UK 식물학자 조지 벤섬(George Bentham, 1800~1884)이다. 'S.무어(S.Moore)'는 UK 식물학자 스펜서 르 마샹 무어(Spencer Le Marchant Moore, 1850~1931)이다.
국표, 국생정 등재 주홍서나물의 영어명은 에볼로(Ebolo)인데, 영어사전이나 구글링을 해도 나오지 않는 이름이다. 일문판 'Flora of Mikawa(三河の植物観察, FOM)' 등재 영어명은 씨크헤드(thickhead), 파이어위드(fireweed)이다. '씨크헤드(thickhead)'는 통꽃의 모양, '파이어위드(fireweed)'는 불이 난 땅에 잘 자라는 특징을 표현한 이름인 듯하다. FOM 등재 일본명은 베니바나보로기쿠(ベニバナボロギク, 紅花襤褸菊)이다.
FOM, 중문판 위키백과(維基百科), 바이두백과(百度百科) 등재 주홍서나물의 중국명은 예통하오(野茼蒿)다. '야생(野) 쑥갓(茼蒿)'이라는 뜻이다. 중국 혁명전쟁(革命戰爭, revolutionary war) 당시 홍군(红军)이 대장정(大长征)을 하면서 쑥갓 같은 이런 나물을 자주 먹었다고 해서 예통하오(野茼蒿)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維基百科에는 거밍차이(革命菜), 짜오허차오(昭和草), 페이지차오(飞机草) 등의 이명이 실려 있다. 거밍차이(革命菜)는 중국 혁명전쟁 시대에 혁명가들이 이 풀로 허기를 채웠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라고 한다. 중국에서는 혁명전쟁(革命戰爭)을 해방전쟁(解放戰爭)이라고도 부른다. 百度百科에는 예탕하오(野塘蒿), 예띠황쥐(野地黄菊), 안난차이(安南菜) 등의 이명이 실려 있다.
주홍서나물은 제주도와 남부지방에 분포한다(국생정). 베니바나보로기쿠(紅花襤褸菊)는 귀화종(帰化種)이다. 원산지는 아프리카이다. 제2차 세계대전 후에 일본 각지로 퍼졌다(FOM). 예통하오(野茼蒿)는 아프리카, 태국, 동남아시아, 타이완 및 중국에 분포한다. 중국에서는 윈난(云南), 푸졘(福建), 후베이(湖北), 쓰촨(四川), 쟝시(江西), 구이저우(贵州), 시짱(西藏), 광동(广东), 광시(广西), 후난(湖南) 등지의 해발 300~1,800m 지대 물가와 산비탈 길가, 관목 사이에서 자란다(維基百科). 예통하오(野茼蒿)의 원산지는 열대 아프리카이다. 아프리카, 중국, 태국, 타이완, 동남아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현재 중국에는 윈난과 시난(西南), 화중(华中), 화동(华东), 화난(华南) 등지에 고루 분포한다. 쓰촨, 충칭(重庆), 후베이, 구이저우, 광동, 광시, 하이난(海南), 쟝시, 쩌쟝(浙江), 푸졘, 홍콩(香港), 아오먼(澳门, 마카오), 시짱, 깐수(甘肃) 등지에 분포한다(百度百科).
주홍서나물의 키는 30~70㎝ 정도이다. 줄기는 연약하고 곧추 서며, 가지를 치고 성긴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기(互生) 잎차례이며 잎자루가 있다. 아래쪽 잎은 불규칙하게 우상(羽狀)으로 분열하며, 달걀 모양(卵形) 또는 긴 타원 모양(長楕圓形)으로 양끝이 예두(銳頭)이고, 가장자리는 크기가 다른 거치(鋸齒)가 있으며, 양면에 성긴 털이 있다. 위쪽 잎은 좁은 긴 타원 모양으로 양 끝이 길게 뾰족하며, 성기게 톱니가 있다.
꽃은 7~10월에 주홍색(朱紅色)으로 핀다. 머리 모양 꽃차례는 모두 아래를 향하여 매달리며 총상꽃차례를 이룬다. 총포(總苞)는 원통형(圓筒形)이며, 길이 9~10㎜, 기부(基部) 근처가 뚜렷하게 부풀었고, 외총포편(外總苞片)은 선형(線形)이고 길이 1.5~2㎜이다. 내총포편(內總苞片)은 선형이며 길이 8~9㎜로서 크기가 같고, 1열로 배열되며, 배면(背面)에 거칠고 성긴 털이 있다. 혀꽃은 없고 통상화(筒狀花)는 긴 관상(冠狀)으로 판통(瓣筒)은 흰색이다. 판연(瓣緣)은 적색으로 5열한다. 관모(冠毛)는 흰색이고, 판통보다 짧다. 암술머리는 2개로 갈라지고 끈 모양이며, 끝이 가늘어진다.
주홍서나물의 줄기와 잎은 나물로 먹을 수 있다. 흔히 볼 수 있는 산나물이다. 타이완 보건복지부 식품의약국에서 승인한 식품에 사용할 수 있는 원료이다(維基百科). 예통하오(野茼蒿)의 신선한 줄기와 잎은 토끼가 즐겨 먹는다. 삶아서 돼지에게 먹일 수도 있다. 농촌에서 돼지에게 흔히 사용하는 풋사료다(百度百科).
예통하오(野茼蒿)는 안심기(安心气), 양비위(养脾胃), 소담음(消痰饮), 이장위(利肠胃)의 효능이 있다(本草纲目). 감모발열(感冒发热), 이질(痢疾), 장염(肠炎), 요로감염(尿路感染), 영양불량성수종(营养不良性水肿), 유선염(乳腺炎) 등을 치료한다(百度百科).
2023. 7. 17. 林 山
#주홍서나물
'야생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꽃층층이꽃 '제비둥지' (0) | 2023.07.20 |
---|---|
큰벼룩아재비 '그리움' (0) | 2023.07.19 |
담배풀 '기분(氣分)' (0) | 2023.07.14 |
좀깨잎나무 '사랑의 흔적(痕跡)' (0) | 2023.07.11 |
모시물통이 '기분 전환(氣分悛換)' (0) | 2023.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