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10월 초순 경기도 광주에 있는 남한산(南漢山, 522m)을 찾았다. 남한산성(南漢山城) 남문(南門)인 지화문(至和門)에서 동문(東門)인 좌익문(左翼門)을 향해 성곽길을 따라가다가 양지바른 곳에 쓴 묘지에서 아주 작은 흰색 꽃이 앙증맞게 피어 있는 큰벼룩아재비를 만났다. 큰벼룩아재비 가까운 곳에는 붉은색의 작은 꽃층층이꽃이 피어나고 있었다. 꽃층층이꽃은 잎겨드랑이마다 꽃이 층층으로 핀다고 해서 얻은 이름이다.
꽃층층이꽃은 통화식물목(筒花植物目, Tubiflorales) 꿀풀과(Lamiaceae) 층층이꽃속(Clinopodium)의 여러해살이풀이다. 국가표준식물목록(국표)에는 자주층꽃, 층층이꽃 등의 이명이 실려 있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생정)에는 자주층꽃이 비추천명으로 등재되어 있다. 꽃층층이꽃의 꽃말은 '제비둥지'이다.
국표, 국생정 등재 꽃층층이꽃의 학명은 클리노포디움 키넨세 (벤섬) 쿤체 바. 그란디플로룸 (막시모비치.) H.하라[Clinopodium chinense (Benth.) Kuntze var. grandiflorum (Maxim.) H.Hara]이다. 속명(屬名) '클리노포디움(Clinopodium)'은 영어 접두사 '클리노(clino)'가 라틴어 '포듐(podium)' 앞에 붙어서 이루어진 고유명사로서 여러 나라에서 통용된다. '클리노(clino)'는 '기운(to lean)'의 뜻을 가진 고대 그리스어 '클리노(klínō)'에서 유래했으며, '경사 또는 각도(slope or angle)', '침상, 기대는(bed, reclining)'의 뜻이다. '포디움(podium)'은 '토대, 기부(基部), 기슭(foot), 기저(基底), 바닥(base)'의 뜻을 가진 고대 그리스어 '포디온(pódion)'을 차용한 라틴어 명사로서 '(특히 원형극장의) 밸커니(balcony)'를 뜻한다. '포디온(pódion)'은 '(작은) 발, 기슭(foot)'의 뜻을 가진 고대 그리스어 '포우스(poús)'에서 유래했다. 꽃받침 밑부분이 부풀어오른 것을 표현한 이름이다.
종소명(種小名) '키넨세(chinense)'는 라틴어 '키넨시스(chinēnsis)'의 주격 중성형 단수 형용사이다. '키넨시스(chinēnsis)'는 '시넨시스(Sinēnsis)'와 동의어(同義語)로서 '중국의(Chinese)'라는 뜻이다. '시넨시스(Sinēnsis)'는 '중국, 중국인(China, the Chinese people)'이란 뜻의 고대 그리스어 '시나에(Sīnae)'에 '~의 또는 ~에서 온[Of or from (a place)]'의 뜻인 라틴어 접미사 '-엔시스(-ēnsis)'가 붙어서 이루어진 것이다. 최초 발견지 또는 자생지가 중국이라는 뜻이다.
'벤섬(Benth.)'은 '19세기 최고의 식물분류학자'라는 평을 들은 UK 식물학자 조지 벤섬(George Bentham, 1800~1884)이다. '쿤체(Kuntze)'는 독일의 식물학자 카를 에르네스트 오토 쿤체(Carl Ernst Otto Kuntze, 1843~1907)다.
'바(var.)'는 '변종(變種, variety, variant)'의 약자이다. 변종명 '그란디플로룸(grandiflorum)'은 '큰( large)'이란 뜻의 라틴어 '그란디스(grandis)'와 '꽃(flower)'이란 뜻의 '플로스(flōs)'가 합쳐서 된 라틴어 '그란디플로루스(grandiflorus)'에서 어형 변화가 일어난 것이다. 꽃의 모양을 표현한 이름이다.
'막시모비치(Maxim)'는 러시아의 식물학자 카를 막시모비치(Karl Maximovich, 1827~1891)이다. 막시모비치는 평생 그가 방문한 극동 아시아의 식물군을 연구하고 많은 새로운 종의 이름을 지었다. 그는 1852년 상트 페테르부르크 식물원에서 식물 표본 수집 큐레이터로 일했으며, 1869년에는 감독이 되었다. 'H. 하라(H. Hara)'는 일본의 식물학자 하라 히로시(原寛, 1911~1986)이다. 하라는 도쿄대학에서 공부했으며, 1957년에는 도쿄대학의 교수가 되었다. 1968년~1971년 그는 새로 설립된 도쿄대학 박물관 관장이었다. 하라는 이끼 전문가로 알려져 있다.
다음백과 국생정 학명은 클리노포디움 키넨세 바. 그란디플로라 (막시모비치.) 기타가와[Clinopodium chinense var. grandiflora (Maxim.) Kitag.]이다. 아종명 '그란디플로라(grandiflora)'는 라틴어 '그란디플로루스(grandiflōrus)'의 주격 여성형 단수 형용사다. '기타가와(Kitag.)'는 일본의 식물학자로서 양치식물을 전문적으로 연구한 기타가와 마사오(北川政夫, Kitagawa Masao, 1910~1995)이다.
국표, 국생정 등재 꽃층층이꽃의 영어명은 라지-플라워 에이션 칼라민트(Large-flower Asian calamint)이다. '큰 꽃 아시아 탑꽃'이란 뜻이다. 국표, 국생정, 일문판 Flora of Mikawa(三河の植物観察, FOM) 등재 일본명은 구루마바나(クルマバナ, 車花)이다. 꽃이 여러 단의 바퀴 모양으로 윤생(輪生)하는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FOM, 중문판 바이두백과(百度百科), 위키백과(维基百科) 등재 중국명은 펑룬차이(风轮菜)다. '펑룬(风轮)'은 '바람개비', '차이(菜)'는 '채소'다. 꽃이 여러 단의 바람개비 모양으로 돌려나는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百度百科에는 쿠다오차오(苦刀草), 예량펀텅(野凉粉藤) 등의 이명도 등재되어 있다.
꽃층층이꽃은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산야(山野)에서 흔히 자란다(국생정). 구루마바나(車花)의 원산지는 한강토(조선반도), 일본 홋카이도(北海道), 혼슈(本州), 시코쿠(四国), 규슈(九州), 치시마(千島, 쿠릴열도)이다(FOM). 펑룬차이(风轮菜)는 타이완과 같은 아열대 지역 해발 800m 이하의 개활지와 황폐지에서 주로 자란다(维基百科). 펑룬차이(风轮菜)는 중국, 타이완, 티베트 등지에 분포한다. 중국 쟝쑤(江苏), 쩌쟝(浙江), 안후이(安徽), 쟝시(江西), 후베이(湖北), 후난(湖南), 광시(广西), 광둥(广东), 쓰촨(四川), 구이저우(贵州) 등지의 산비탈 숲, 풀숲 및 도랑에서 자란다(百度百科).
꽃층층이꽃의 키는 15~40cm이다. 줄기 전체에 짧은 흰색 털이 있으며, 원줄기는 네모지고 밑부분이 약간 옆으로 자라다가 위로 곧게 선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달걀 모양 또는 긴 타원형(長楕圓形)이고 둔두(鈍頭)에 원저(圓底)이다. 잎 길이는 2~4cm, 너비 1~2.5cm로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엽병(葉柄)은 길이 2~20mm이다.
꽃은 7~10월에 붉은색으로 핀다.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다수의 꽃이 층층으로 조밀하게 달린다. 포(苞)는 선형(線形)이고, 길이 5~8mm로서 긴 털이 있다. 꽃받침은 길이 6~8mm로서 5개로 갈라지고, 붉은빛이 돌며 털이 많다. 꽃부리는 길이 8~12mm로서 붉은빛이 돌고, 겉에 잔털이 있으며, 순형(脣形)이다. 하순(下脣)은 깊게 3개로 갈라지고, 짙은 반점(斑點)과 털이 있다. 둘긴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고, 암술머리는 2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분과(分果)다. 분과는 둥글고 지름 6mm 정도로서 약간 편평하다.
꽃층층이꽃의 어린잎과 줄기는 나물로 먹는다(국생정). 펑룬차이(风轮菜)는 잎을 따서 데친 다음 물에 담가 냄새를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서 기름과 소금으로 간을 해서 먹는다(救荒本草). 펑룬차이(风轮菜)는 생명력과 적응력이 강해서 숲 가장자리와 길가에 지피식물(地被植物)로 심기에 적합한 식물이다(百度百科).
층층이꽃과 산층층이꽃의 전초(全草)를 풍륜채(風輪菜)라 하며 약용한다. 소풍청열(疏風淸熱), 해독소종(解毒消腫)의 효능이 있다. 감기, 서체(暑滯), 급성 담낭염(急性膽囊炎), 간염, 장염, 이질, 이하선염, 유선염(乳腺炎), 알레르기성 피부염, 급성 결막염 등을 치료한다. 외용할 때는 짓찧어서 바르거나 달인 물로 씻는다(국생정). 풍륜채는 전국 한의과대학 본초학 교과서나 동의보감에는 등재되어 있지 않다. 한의사들은 임상에서 풍륜채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펑룬차이(风轮菜)는 소풍청열(疏风清热), 해독소종(解毒消肿)의 효능이 있어 감모발열(感冒发热), 중서(中暑), 인후종통(喉咙肿痛), 백후(白喉, 디프테리아), 아은출혈(牙龈出血), 외상출혈(外伤出血) 등을 치료한다. 또한 플라보노이드와 사포닌을 함유하고 있으며, 지혈(止血), 항균(抗菌), 항염(抗炎), 혈당강하(降血糖), 항종양(抗肿瘤), 항방사선(抗辐射) 등의 생물학적 활성 효능이 있다(百度百科).
국표 등재 꽃층층이꽃의 유사종 자생식물에는 탑꽃[Clinopodium multicaule (Maxim.) Kuntze], 개탑꽃[Clinopodium fauriei (H.Lév. & Vaniot) H.Hara], 두메층층이[Clinopodium micranthum (Regel) H.Hara], 두메탑풀[Clinopodium sachalinense (F.Schmidt) Koidz.], 산층층이[Clinopodium multicaule (Maxim.) Kuntze var. shibetchense (H.Lév.) Melnikov], 애기탑꽃[Clinopodium gracile (Benth.) Kuntze], 층층이꽃[Clinopodium chinense (Benth.) Kuntze var. parviflorum (Kudô) H.Hara] 등 7종이 있다.
탑꽃(Many-stem wild calamint, ヤマトウバナ, 山塔花)은 일본 혼슈(本州) 중부 지방 서쪽, 시코쿠, 규슈, 오키나와(沖縄)에 분포한다. 국생정에는 분포지가 나와 있지 않다. 키는 10~30cm이다. 원줄기가 네모지고 모여나기하며, 비스듬히 서서 가지가 갈라지고, 밑을 향한 털이 있다. 꽃은 6~8월에 흰색으로 핀다. 개탑꽃(Wild calamint, アラゲトウバナ)은 국표에 국명, 학명, 이명, 영문명만 등재되어 있다. 국생정 미등재동이다. FOM에도 일본명만 등재되어 있다. 두메층층이(Small-flower mountain calamint, イヌトウバナ, 犬塔花, ミヤマクルマバナ)의 원산지는 한강토, 일본, 러시아이다. 한강토에서는 중부 이남에 분포한다. 키는 20~50cm이다. 층층이꽃에 비해 대형이고, 전체에 다소 털이 많다. 두메층층이란 깊은 산에 자라는 층층이꽃이라는 뜻이다. 꽃은 8월에 연한 홍색으로 핀다. 꽃부리는 흰색이지만 흔히 붉은색이 돈다. 두메층층이의 이명이 개탑꽃이다. 두메탑풀(Alpine calamint, ミヤマトウバナ, 深山塔花)은 한강토, 일본 홋카이도, 혼슈 돗토리현(鳥取県) 히노야마(氷ノ山) 이북 지방에 분포한다. 치시마(千島, 쿠릴열도), 사할린에도 난다. 키는 20~30cm이다. 줄기는 네모지고 약간 뭉쳐나며, 마디에 가는 털이 나 있다. 꽃은 7~9월에 핀다. 흰색에 붉은 맥이 있는 꽃이 핀다. 원뿔 모양 꽃차례를 이루고 작은 꽃들이 밀착하며, 다소 이삭 모양을 띤다. 꽃부리는 입술꽃이고 꽃받침보다 길다. 양쪽 꽃잎에는 붉은 맥이 있고 아래 꽃잎에는 빨간 반점이 있다.
산층층이(Mountain Asian calamint, ヤマクルマバナ, 山車花, エゾクルマバナ、アオクルマバナ、アオミヤマトウバナ、オオミヤマトウバナ)의 원산지는 한강토, 일본 본토 4개 섬이다. 한강토에서는 경기도, 강원도 이남과 울릉도에 분포한다. 키는 15~40cm이다. 전체가 녹색이고 붉은빛이 돌지 않는다. 꽃은 7~8월에 흰색으로 핀다. 꽃받침에 짧은 샘털이 있다. 애기탑꽃(Slender wild calamint, トウバナ, 塔花, 细风轮踩)의 원산지는 일본, 중국, 타이완, 인도, 태국,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베트남, 인도네시아다. 키는 15~30cm이다. 꽃은 7~8월에 연한 홍색으로 핀다. 탑꽃과 비슷하나 줄기가 연약하여 애기탑꽃이라 한다. 층층이꽃(Small-flower Asian calamint, クルマバナ, 車花)은 국표에 국명, 학명, 이명, 영문명만 실려 있다. 국생정 미등재 국명이다. 일본대백과전서(日本大百科全書)에는 Clinopodium coreanum (H.Lév.) Hara subsp. coreanum과 Clinopodium chinense (Benth.) Kuntze var. parviflorum (Kudô) H.Hara가 구루마바나(クルマバナ, 車花), 곧 꽃층층이꽃으로 등재되어 있다. 국표에 층층이꽃은 꽃층층이꽃의 이명으로 등재되어 있다. 층층이꽃과 꽃층층이꽃은 동일종이 아닌가 한다.
2023. 7. 20. 林 山
#층층이꽃 #꽃층층이꽃 #탑꽃
'야생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초나무 '온화(溫和), 희생(犧牲)' (0) | 2023.07.27 |
---|---|
거북꼬리 '사랑의 흔적(痕跡)' (1) | 2023.07.25 |
큰벼룩아재비 '그리움' (0) | 2023.07.19 |
주홍서나물 '가을의 여인(女人)' (0) | 2023.07.17 |
담배풀 '기분(氣分)' (0) | 2023.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