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이야기

큰벼룩아재비 '그리움'

林 山 2023. 7. 19. 07:09

2022년 10월 초순 경기도 광주에 있는 남한산(南漢山, 522m)을 찾았다. 남한산성(南漢山城) 남문(南門)인 지화문(至和門)에서 동문(東門)인 좌익문(左翼門)을 향해 성곽길을 따라가다가 양지바른 곳에 쓴 묘지에서 아주 작은 흰색 꽃이 앙증맞게 피어 있는 큰벼룩아재비를 만났다. 큰벼룩아재비 꽃은 너무 쬐끄만해서 자세히 살피지 않으면 그냥 지나치기 십상이다.

큰벼룩아재비(경기도 광주 남한산, 2022. 10. 8)

 

큰벼룩아재비는 용담목(龍膽目, Gentianales) 마전과(馬錢科, Loganiaceae) 벼룩아재비속(Mitrasacme)의 한해살이풀이다. 국가표준식물목록(국표)에 등재된 북한명은 큰실종꽃풀(추천명)이다. 큰벼룩아재비의 꽃말은 '그리움'이다.

국표,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생정) 등재 큰벼룩아재비의 학명은 미트라사크메 피그마에아 R.브라운(Mitrasacme pygmaea R.Br.)이다. 속명 '미트라사크메(Mitrasacme)'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했으며, '연귀(mitre, 燕口, 제비촉)의 가장 높은 지점'을 암시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했다. 과일 캡슐이 연귀와 유사하다. 마이터(mitre)는 주교가 의식 때 쓰는 모자인 미트라의 뜻도 있다. 종소명 '피그마에아(pygmaea)'는 라틴어 형용사 '피그마에우스(pygmaeus)'의 어미 변화형이다. '신화 속의 피그미족(a mythical race of pygmies)'을 뜻하는 '피그마에이(Pygmaeī)'에서 유래한 '피그마에우스(pygmaeus)'는 '피그미 또는 난쟁이에 관한, 특히 아프리카의 신화(상상) 속 피그마에이 관한(Of or pertaining to a pygmy or dwarf, especially to the mythical Pygmaeī of Africa)' 또는 '키가 작은(Short, of reduced stature)'의 뜻이다. 'R.브라운(R.Br.)'은 호주를 탐험하면서 식물 조사를 한 UK 식물학자 로버트 브라운(Robert Brown, 1773~1858)이다.

국표, 국생정 등재 큰벼룩아재비의 영어명은 피그미 마이터워트(Pygmy mitrewort)이다. '소형 연귀풀'이라는 뜻이다. 일문판 'Flora of Mikawa(三河の植物観察, FOM)' 등재 영어명은 피그미 비숍스-햇(Pygmy bishops-hat)이다. '소형 주교 모자'라는 뜻이다. FOM 등재 일본명은 아이나에(アイナエ)이다. FOM, 중문판 바이두백과(百度百科) 등재 중국명은 수이톈바이(水田白)이다. 百度百科에는 아이싱꽝진차오(矮形光巾草), 샤오지먀오(小姬苗), 지먀오(姬苗), 뤄징지먀오(裸茎姬苗), 수이톈바이뤄징(水田白裸茎), 톈쯔차오(田字草) 등의 이명이 실려 있다.

벼룩아재비속 식물은 호주에 약 35종, 태평양의 섬과 열대 아시아에 수종, 한강토에는 1종 1변종이 있다. 큰벼룩아재비는 한강토(조선반도) 중부 이남에 분포한다. 들의 풀밭에 난다(국생정). 아이나에(アイナエ)는 일본 재래종(在来種)이다. 일본에는 혼슈(本州), 시코쿠(四国), 규슈(九州), 오키나와(沖縄)에 난다. 한강토, 중국, 타이완, 인도, 네팔,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미얀마, 필리핀, 타이, 베트남, 호주 등지에 분포한다(FOM). 수이톈바이(水田白)는 한강토, 호주, 인도네시아, 필리핀, 말레이시아, 베트남, 타이, 미얀마, 네팔, 인도,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보통 넓은 들판의 초원에서 자란다(百度百科).  

큰벼룩아재비(경기도 광주 남한산, 2022. 10. 8)

 

큰벼룩아재비의 키는 5~20cm 정도이다. 줄기는 곧게 서고, 밑에서 가지가 갈라지기도 한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줄기 밑에 모여나며, 달걀 모양 또는 긴 타원형(楕圓形)이다. 잎 길이는 7~15mm, 너비 3~6mm이다. 잎 끝은 뾰족하거나 둔하며 희미한 3맥이 있다. 잎 양면, 특히 가장자리에 돌기 같은 털이 있으며, 윗부분은 화경상(花莖狀)으로서 잎이 달리지 않는다.

꽃은 7~10월에 흰색으로 핀다. 꽃자루는 3~5개가 원줄기 끝에 산형(繖形, 傘形)으로 달리지만 때로는 2단으로 달리기도 하며, 길이 1~4cm로서 입상(粒狀)의 돌기가 소생(疎生)한다. 꽃받침은 4개로 갈라지며 열편(裂片) 끝이 뾰족하다. 꽃부리는 길이 4mm 정도로서 총형(總形)이며 4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4개이다.

열매는 삭과(蒴果)이다. 삭과는 둥글며 길이 3mm 정도로서 윗부분이 2개로 갈라진다. 암술대는 밑부분만 2개로 갈라진다.

수이톈바이(水田白)에는 루틴, 케르세틴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루틴은 지방간(脂肪肝, fatty liver, fatty liver disease, FLD, hepatic steatosis)에 탈지작용(脫脂作用)이 있고, 케르세틴은 거담지해(祛痰止咳), 평천(平喘)의 효능이 있다(百度百科).

국표 등재 큰벼룩아재비의 유사종 자생식물은 벼룩아재비(Mitrasacme indica Wight) 1종이 있다. 벼룩아재비(Annual mitrewort, ヒメナエ)는 한강토, 일본, 중국, 타이완, 인도, 말레이시아, 호주 등지에 분포한다. 키는 5~15cm 정도이다. 한강토에서는 강원도 양양군, 전라남도 등지에 난다. 남원, 덕산, 서울 근교의 왕릉 근방에서 채집되었다. 줄기가 섬세하고, 밑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윗부분에 입자상의 돌기가 있다. 꽃은 8~10월에 흰색으로 핀다.

2023. 7. 19. 林 山

#큰벼룩아재비 #벼룩아재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