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이야기

나도수정초 '숲속의 요정(妖精, Fairy)'

林 山 2024. 5. 30. 16:15

식물의 세계에는 신비롭고 신기한 것들이 많다. 2024년 5월도 끝나갈 무렵에 경기도 안성의 어느 산에서 만난 나도수정초도 신기한 식물 가운데 하나다. 나도수정초를 처음 보는 사람들은 대부분 버섯(mushroom, toadstool)이라고 오해하기 쉽다. 하지만, 꽃이 피고 열매를 맺는다는 점에서 나도수정초는 분명 초본식물(草本植物, herbaceous plants)이다.   

나도수정초는 생김새도 매우 특이하다. 나도수정초를 가만히 들여다보고 있으면 마치 외계인을 마주보고 있는 듯한 느낌이 들기도 한다. 그래서, 나도수정초를 파란 눈의 외계인 'ET'라는 별명으로 부르기도 한다.  

 

나도수정초(경기도 안성, 2024. 5. 26)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국생관)의 나도수정초 분류는 식물계(植物界, Plantae) 피자식물문(被子植物門, Magnoliophyta) 목련강(木蓮綱, Magnoliopsida) 딜레니아아강(Dilleniidae) 진달래목(Ericales) 수정난풀과(Monotropaceae) 나도수정초속(Monotropastrum)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예전에는 수정난풀에 통합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분리된 종이다. 1속 1종 식물이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생정)에는 나도수정초가 진달래목 노루발과(Pyrolaceae) 나도수정초속의 여러해살이풀로 분류되어 있다. 이는 앵글러 분류 체계를 따른 것이다. APG Ⅳ 분류 체계는 나도수정초를 진달래과(Ericaceae)로 분류하고 있다. 

 

다음백과 국생관은 피자식물문 대신에 현화식물문(顯花植物門, Anthophyta)이란 분류명을 사용하고 있다. 피자식물문과 현화식물문은 같은 개념이다. 피자식물(被子植物, 속씨식물, Angiosperms)은 꽃이 피는 식물이다. 따라서, 진정한 현화식물(顯花植物, Phanerogams, flowering plants)은 피자식물이라고 할 수 있다. 피자식물은 남극을 제외한 거의 모든 대륙에 약 25만 종 이상이 퍼져 살고 있는 지구 최우점종(最優占種)이다.

 

나도수정초(경기도 안성, 2024. 5. 26)

 

나도수정초는 부생식물(腐生植物, saprophyte)이다. 부생식물은 생물의 사체(死體)라든가 분해 과정에 있는 살아있는 물체(生體)로부터 영양을 얻는 생물이다. 균류(菌類)나 세균(細菌)은 부생식물이다. 부생식물은 광합성(光合成)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엽록체(葉綠體)를 가지지 않는다.

 

나도수정초(경기도 안성, 2024. 5. 26)

 

국가표준식물목록(국표) 등재(登載) 나도수정초의 학명(學名, Scientific name)은 모노트로파스트룸 후밀레 (D.돈) H.하라[Monotropastrum humile (D.Don) H.Hara]다. 국생관의 원기재명은 모노트로파 후밀리스 F. 슈미트(Monotropa humilis F. Schmidt)다. 나도수정초가 나도수정초속으로 떨어져나오기 전에는 나도수정난풀속으로 분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속명(屬名, generic name) '모노트로파스트룸(Monotropastrum)'은 근대 라틴어 명사 '모노스트로파(Monotropa)'와 '스투룸(strum)'의 합성어다. '모노스트로파(Monotropa)'는 '혼자 살아가는(living alone)'이라는 뜻을 가진 그리스어 '모노트로포스(monotropos)'의 여성형 '모노스트로페(monotropē)'에서 유래했다. '모노트로포스(monotropos)'는 '몬-(mon-) + 트로포스(tropos)'의 형태로 '트레페인(trepein, to turn)'에서 유래했다. '트로포스(tropos)'는 '의존, 회전(turn)' 또는 '방향(way)'을 뜻한다. 이는 줄기 윗부분이 급격히 휘어진 모양을 의미한다. 식물학적 맥락에서는 기생성 또는 마이코-헤테로트로픽(myco-heterotrophic)-광합성보다는 곰팡이에 기생하여 먹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얻는(depending on fungi for nutrition)-식물을 뜻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메리엄-웹스터에는 '스투룸(strum)'이 언어 역사적으로 '모방적인, 흉내내기 좋아하는(imitative)'이라는 뜻이 있다고 한다. 줄기 윗부분이 급격히 휘어진 수정난풀을 닮은 특징을 표현한 이름으로 보인다.    

종명(種名, specific name, species epithet) '후밀레(humile)'는 '낮은(low, lowly), 작은(small), 가냘픈(slight), 얕은(shallow), 짧은 또는 키가 작은(short)'의 뜻을 가진 라틴어 형용사 '후밀리스(humilis)'의 주격/대격/호격 중성 단수형이다. 키가 작고 가냘픈 특징을 표현한 이름이다.     

'D.Don'은 스코틀랜드의 식물학자 데이비드 돈(David Don, 1799~1841)이다. 'H. 하라(H. Hara)'는 일본의 식물학자 하라 히로시(原寛, 1911~1986)다. 하라는 토우쿄우대학(東京大學)에서 공부했으며, 1957년에는 토우쿄우대학의 교수가 되었다. 1968년~1971년 그는 새로 설립된 토우쿄우대학 박물관 관장을 역임했다. 하라는 이끼 전문가로 알려져 있다. 

 

나도수정초(경기도 안성, 2024. 5. 26)

 

국표 등재재 국명(國名, common name)은 나도수정초(추천명), 수정난풀, 수정란풀, 수정란 등이 있다. 국생정 등재 추천 국명은 나도수정초, 비추천명은 수정난풀이다. 다음백과 국생정 등재 이명(異名, Synonym)은 나도수정난풀이다. 나도수정초는 수정난풀과 비슷하다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나도수정초의 꽃말은 '숲속의 요정(妖精, Fairy)'이다.  

 

나도수정초(경기도 안성, 2024. 5. 26)

 

국표, 국생정, 다음백과 국생관 등재 나도수정초의 영문명은 고스트 플랜트(Ghost plant)다. '유령, 귀신(Ghost) 식물(plant)'이라는 뜻이다. 유령을 닮았다는 뜻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일본어판 Flora of Mikawa(三河の植物観察, FOM) 등재 Monotropastrum humile (D.Don) Hara.(나도수정초), Monotropa humilis D. Don의 일문명(日文名, Japanese name)은 긴류우소우(ギンリョウソウ, 銀竜草)다. '백룡풀(銀竜草)'이라는 뜻이다. 긴류우소우(銀竜草)라는 이름은 비늘조각잎(鱗片葉)에 싸인 식물체의 모습을 백룡(銀竜)에 비유한 데서 유래했다. FOM 등재 별명(別名, Synonym)은 유우레이구사(ユウレイグサ, 幽霊草)다. 영문명 '고스트 플랜트(Ghost plant)'의 유래와 같다. 유우레이타케(ユウレイタケ, 幽霊茸)라고 부르기도 한다. '유령버섯(幽霊茸)'이라는 뜻이다. 긴류우소우의 꽃말은 '가만히(몰래) 지켜보다(そっと見守る), 수줍어하다(はにかむ, 含羞む)'이다.   

FOM, 중국어판 바이두백과(百度百科) 등재 나도수정초의 중문명(中文名, Chinese name)은 치우궈쟈샤징란(球果假沙晶兰)이다. '구과(毬果, connifer cone, strobile)가 달리는 나도수정초속(假沙晶兰) 식물'이란 뜻이다.   

 

나도수정초(경기도 안성, 2024. 5. 26)

 

언제부터인지 국표는 그동안 기재해왔던 국명의 출처와 연도를 삭제했다. 국표는 국명의 출처와 연도를 다시 기재해야 한다. 출처와 연도는 국명의 유래를 밝히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자료이기 때문이다. 국표는 북한명(北韓名, North Korean name)과 중문명도 등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북한명은 국명만큼 중요하고, 중문명은 많은 국명의 유래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일문명과 영문명을 등재하면서 북한명과 중문명을 등재하지 않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   

 

나도수정초(경기도 안성, 2024. 5. 26)

 

나도수정초는 한강토(조선반도, 한반도) 등 동아시아, 인도, USA 등지에 분포한다. 한강토에서는 전역에 난다. 전국적으로 10여 곳 이상의 자생지가 있으며, 개체수는 많지않다. 자생지 확인 및 유전자원의 보전이 필요하다(국생정). 나도수정초는 한강토 중부 이남에 나며, 러시아 사할린, 일본, 중국 및 인도차이나, 히말라야 등지에 분포한다(국생관).  

긴류우소우(銀竜草)는 조선(朝鮮, 한강토, 조선반도, 한반도), 일본, 중국, 타이완(台湾), 러시아, 인도, 부탄, 네팔, 인도네시아, 라오스, 미얀마, 타이, 베트남에 분포한다(F0M). 

치우궈쟈샤징란(球果假沙晶兰)은 티베트(西藏), 윈난(云南), 쓰촨(四川) 등지의 해발 900~3100m 지대에서 주로 자라는데, 햇빛을 좋아하지 않으며, 모래가 많은 토양을 좋아한다. 주요 번식 방법은 파종(播种)이다(百度百科).

 

나도수정초(경기도 안성, 2024. 5. 26)

 

나도수정초의 키는 높이 10~30cm이다. 줄기는 곧추서는데, 굵고 원주형(圓柱形)이며 꽃밑에 약간의 털이 있을 뿐 거의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빽빽이 나고 퇴화하여 비늘조각 모양(鱗片形)이며, 좁은 장타원형(狹長楕圓形) 또는 좁은 난상 장타원형(狹卵狀長楕圓形)이다. 잎 길이는 1~2cm, 너비 5~8mm이고, 끝은 둔하거나 둥글며 약간 육질(肉質)이다. 

꽃은 7~8월에 은백색(銀白色)으로 피고 줄기 끝에 1개가 달리며 통상 종형(筒狀鍾形)으로 밑을 향한다. 과시(果時)에는 곧추서고 길이 약 2cm이다. 꽃받침조각은 일찍 떨어진다. 꽃잎은 5개이다. 씨방은 1실이고 측막태좌(側膜胎座, parietal placenta)이다. 열매는 장과(漿果)로 타원상 구형(楕圓狀球形)이다. 

 

나도수정초(경기도 안성, 2024. 5. 26)

 

치우궈쟈샤징란(球果假沙晶兰)은 약재로 쓴다. 보폐지해(补肺止咳)의 효능이 있어 허해(虚咳) 치료에 쓴다(百度百科). 나도수정초는 동의보감이나 전국 한의과대학 본초학 교과서에는 실려 있지 않는 약초다. 한의사들은 임상에서 나도수정초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2024. 5. 31. 林山

#나도수정초 #수정난풀 #Ghostplant #ギンリョウソウ #銀竜草 #ユウレイグサ #幽霊草 #幽霊茸 #球果假沙晶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