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이야기

매화노루발 '소녀(少女)의 기도(祈禱)'

林 山 2024. 6. 5. 14:34

2024년 6월 1일 충남(忠南) 태안군(泰安郡) 안면도(安眠島) 기지포해변(機池浦海邊)을 찾았다. 안면도라는 이름은 옛날 고려(高麗), 조선(朝鮮) 시대에 세곡(稅穀)을 실은 조운선(漕運船)이 이 섬을 지나갈 때 침몰하는 일이 없어 '편하게 잘 수 있다(安眠)'는 뜻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기지포해변에 우거진 솔숲에서 때마침 꽃이 활짝 피어난 매화노루발 자생지(自生地)를 만났다. 매화노루발 자생지에는 군데군데 노루발풀도 함께 사이좋게 자라고 있었다. 매화노루발은 꽃 모양이 매화(梅花)를 닮았고, 잎맥이 노루발풀과 비슷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매화노루발(태안 안면도, 2024. 6. 1)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국생관)에는 매화노루발이 식물계(植物界, Plantae) 피자식물문(被子植物門, Magnoliophyta) 목련강(木蓮綱, Magnoliopsida) 딜레니아아강(Dilleniidae) 진달래목(Ericales) 노루발과(Pyrolaceae) 매화노루발속(Chimaphila)의 상록성(常綠性) 여러해살이풀로 분류되어 있다. 

 

매화노루발(태안 안면도, 2024. 6. 1)

 

국가표준식물목록(국표),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생정), 국생관 등재(登載) 매화노루발의 학명(學名, Scientific name)은 키마필라 자포니카 미쿠엘(Chimaphila japonica Miq.)이다. 국표, 국생관에는 Chimaphila astyla Maxim., Chimaphila fukuyamai Masam. 등이 학명이명(學名異名, synonymy)으로 등재되어 있다.   

속명(屬名, generic name) '키마필라(Chimaphila)'는 '겨울(winter)'이라는 뜻을 가진 그리스어 '케이마(cheima)'와 '연인(lover)'이라는 뜻을 가진 '필로스(philos)'의 합성어다. '윈터 러버(winter lover)'는 '겨울 연인' 또는 '겨울 애호가'의 뜻이다. 겨울에도 잎이 마르지 않는 상록성 식물의 특징을 표현한 이름이다. 종명(種名, specific name) '자포니카(japonica)'는 '일본의(of Japan)'라는 뜻의 라틴어 표현이다. 처음 발견된 곳 또는 자생지가 일본임을 나타낸다. 

'미쿠엘(Miq.)'은 네덜란드의 식물학자 프리드리히 안톤 빌헬름 미쿠엘 (Friedrich Anton Wilhelm Miquel, 1811~1871)이다. 그는 로테르담과 암스테르담, 위트레흐트 식물원 관장을 지냈다. 1862년부터는 레이던에 있는 네덜란드 국립 식물 표본실을 이끌었다. 미쿠엘은 1866년 'Annales Musei Botanici Lugduno-Batavi. Amsterdam'에서 매화노루발의 학명을 최초로 출판했다.  

 

매화노루발(태안 안면도, 2024. 6. 1)

 

국표, 국생관 등재 국명(國名, common name)은 매화노루발(추천명), 풀차, 매화노루발풀 등이 있다. 국생정 등재 추천명은 매화노루발, 비추천명은 풀차다. 매화노루발의 꽃말은 '소녀(少女)의 기도(祈禱)'이다.   

국표, 국생정 등재 매화노루발의 추천 영문명(英文名, English name)은 에이션 프린스스 파인(Asian prince's pine)이다. '아시아 왕자의 소나무'라는 뜻이다. 다음백과 국생정 등재 영문명은 '윈터 러버(Winter lover)'다.  

국표, 국생정, 일본어판 Flora of Mikawa(三河の植物観察, FOM) 등재 매화노루발의 추천 일문명(日文名, Japanese name)은 우메가사소우(ウメガサソウ, 梅笠草)다. 우메가사소우(梅笠草)는 꽃 모양이 매화(梅)와 비슷하고, 꽃이 갓(笠)처럼 아래쪽으로 피는 풀(草)이라는 뜻에서 그 이름이 유래했다. 꽃말은 '소박한 귀여움(素朴な可愛らしさ), 마음의 평화(心の平和), 용기(勇気), 엄한 상냥함(厳しい優しさ)'이다.  

FOM, 중국어판 위키백과(維基百科), 바이두백과(百度百科) 등재 매화노루발의 중문명(中文名, Chinese name)은 시둥차오(喜冬草)다. '겨울을 좋아하는(喜冬) 풀(草)'이라는 뜻이다. 維基百科에는 르번아이둥예(日本爱冬叶)라는 중문명도 실려 있다. '일본(日本) 겨울을 사랑하는 잎(爱冬叶)'이라는 뜻이다. 百度百科에는 메이리차오(梅笠草), 뤄한차오(罗汉草) 등의 별명이 실려 있다. '뤄한(罗汉)'은 '아라한(阿罗汉)'을 뜻하는 불교 용어다. 지명 '뤄한(罗汉)'은 후난성(湖南省) 청부현(城步县) 동쪽에 있는 산이름이다.  

 

매화노루발(태안 안면도, 2024. 6. 1)

 

매화노루발은 한강토(조조선반도, 한반도), 러시아(사할린), 부탄, 일본, 중국, 타이완 등지에 분포한다. 한강토에서는 전국 각처의 산지에 난다. 유럽, 북아메리카, 아시아에 7종, 한강토에는 1종이 분포한다(국생정). 

우메가사소우(梅笠草)의 원산지는 일본, 조선(朝鮮, 한강토, 조선반도, 한반도), 중국, 타이완, 러시아, 부탄이다. 일본에서는 홋카이도우(北海道), 혼슈우(本州), 시코쿠(四国), 큐우슈우(九州)에 분포한다(FOM).  

시둥차오(喜冬草)는 일본 각지, 사할린 섬(库页岛), 쿠릴 열도(千岛群岛), 조선반도(朝鲜半岛), 중국 대륙 중부와 동북 지방에 분포한다(維基百科). 시둥차오는 중국 지린(吉林), 랴오닝(辽宁), 샨시(山西), 샨시(陕西), 안후이(安徽), 후베이(湖北), 구이저우(贵州), 쓰촨(四川), 윈난(云南), 시장(西藏) 등지에 분포한다. 조선, 러시아, 일본, 타이완 등지에도 분포한다(百度百科).  

 

매화노루발(태안 안면도, 2024. 6. 1)

 

언제부터인지 국표는 그동안 기재해왔던 국명의 출처와 연도를 삭제했다. 국표는 국명의 출처와 연도를 다시 기재해야 한다. 출처와 연도는 국명의 유래를 밝히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자료이기 때문이다. 국표는 북한명(北韓名, North Korean name)과 중문명도 등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북한명은 국명만큼 중요하고, 중문명은 많은 국명의 유래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일문명과 영문명을 등재하면서 북한명과 중문명을 등재하지 않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  

 

매화노루발(태안 안면도, 2024. 6. 1)

 

매화노루발의 키는 높이 5~10cm 정도이다. 땅속줄기는 옆으로 뻗거나 기며 지름 0.5~1.0mm이다. 땅 위의 줄기는 가지가 약간 갈라지며, 밑부분이 약간 옆으로 굽는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층으로 모여서 돌려나기하는 것 같으며, 두껍고 가죽질이며 넓은 피침형(廣披針形)이고 짙은 녹색이다. 잎 끝은 뾰족하거나 둥글고 밑부분이 둥글며 길이 2~3.5cm, 너비 6~10mm로서 가장자리에 날카롭고 낮은 톱니가 약간 있다. 엽병(葉柄)은 길이 6~8mm로서 잎과 더불어 털이 없다. 

꽃은 5~6월에 흰색으로 핀다. 꽃 지름은 1cm 정도로서 반 정도 벌어진다. 원줄기 끝에서 자라는 길이 4~8cm의 꽃대 끝에 1~2개의 꽃이 밑을 향해 달리고, 윗부분에 1~2개의 포(苞)가 있으며 털 같은 잔돌기가 있다. 꽃받침조각은 막질(膜質)이고 길이 6~7mm로서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화관열편(花冠裂片)은 도란상 원형(도倒卵狀圓形)이고 길이 7~8mm이다. 

열매는 삭과(蒴果)이다. 삭과는 편구형(偏球形)이며, 지름 5mm 정도로서 대가 없는 암술머리가 붙어 있다. 노루발, 호노루발, 새끼노루발 등에 비해 잎은 땅 위의 줄기에서 달리며 잎자루가 짧고 잎몸은 넓은 피침형이며 총상꽃차례를 이루지 않으므로 구분된다.  

 

매화노루발(태안 안면도, 2024. 6. 1)

 

시둥차오(喜冬草)는 식물 모양이 아름다워서 화분에 심어 감상할 수도 있고 숲 아래의 지피식물(地被植物, ground cover plant)로도 사용할 수도 있다. 전초(全草)를 약으로 쓴다. 소염이뇨(消炎利尿), 자보강장(滋补强壮), 진통(镇痛) 등의 효능이 있다. 임병(淋病), 각종 수종(水肿)의 치료에 쓴다. 과로로 인한 피로 회복에도 쓴다(百度百科).  

 

매화노루발(태안 안면도, 2024. 6. 1)

 

매화노루발은 동의보감(東醫寶鑑)이나 전국 한의과대학 본초학(本草學) 교과서에는 수재되지 않은 본초명(本草名)이다. 따라서 한의사(韓醫師)들은 임상에서 매화노루발을 사용하지 않는다.  

 

매화노루발(태안 안면도, 2024. 6. 1)

 

국표 등재 매화노루발의 유사종(類似種, similarity species) 자생식물(自生植物, indigenous plant)에는 큰매화노루발[Chimaphila umbellata (L.) W.P.C.Barton] 1종이 있다.

큰매화노루발(Umbellate wintergreen, ipsissewa, Prince's pine, オオウメガサソウ, 大梅笠草, 伞形喜冬草)은 일본, 중국, 러시아, 북반구에 널리 분포한다. 키는 15cm 이하이다. 잎은 두꺼운 가죽질이고, 광택이 있다. 잎 상면은 털이 없고, 맥이 오목하며 기부는 쐐기형, 가장자리는 중간 이상 톱니가 있다. 잎 끝은 둔형(鈍形) 또는 유예형(類鋭形)이다. 꽃은 7월에 흰색으로 핀다. 간혹 장미색도 있다.

2024. 6. 7. 林 山
#매화노루발 #큰매화노루발 #Asianprincespine #ウメガサソウ #梅笠草 #喜冬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