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이야기

[백두산 야생화] 꿩의다리

林 山 2024. 12. 20. 17:16

2024년 7월 19일 중국(中國) 지린성(吉林省) 방문 이틀째 되는 날 한강토(조선반도, 한반도) 최고봉이자 조선민족(朝鮮民族, 한겨레)과 만주족(滿洲族)의 영산(靈山)인 흰머리뫼(백두산, 白頭山, 2,744m) 북파(北坡) 천문봉(天文峰, 2,620m)에 올랐다. 신령한 하늘연못(천지, 天池) 북쪽에 우뚝 솟은 천문봉 기슭에 끝없이 펼쳐진 천상(天上)의 화원(花園)에는 두메양귀비, 좁은잎돌꽃, 천지괭이눈, 바위구절초, 구름송이풀, 두메자운, 구름범의귀, 호범꼬리, 나도개미자리, 하늘매발톱, 두메분취, 나도황기, 씨범꼬리, 바위솜나물, 바위돌꽃, 노랑만병초, 담자리꽃나무, 구름국화, 좀참꽃, 둥근범꼬리, 고산봄맞이 등 온갖 뫼꽃 들꽃들이 피어나 저마다 아름다움을 자랑하고 있었다.  

고산봄맞이를 마지막으로 천문봉 정상부에서 조금 내려와 헤이펑커우(黑風口)로 자리를 옮겼다. 한자어로 '흑풍구(黑風口)'라 불리는 곳이다. '헤이펑(黑風)'은 '폭풍(暴風), 광풍(狂風)', '펑커우(風口)'는 '바람받이, 바람이 통하는 곳, 바람구멍'을 뜻한다. 곧 '강풍 또는 미친 바람이 부는 바람받이'라는 뜻이다. 지명처럼 헤이펑커우에는 사람을 날려버릴 듯한 강풍이 불어오고 있었다. 하지만 헤이펑커우에서 바라보는 비룡폭포(飛龍瀑布, 白頭瀑布)는 그야말로 장관이었다. 선경(仙境)이 있다면 바로 이런 곳을 두고 한 말이 아닐까! 중국인들은 비룡폭포를 창바이푸부(長白瀑布)라고 부른다.  

헤이펑커우에는 천문봉 정상부와는 또 다른 야생화의 세계가 펼쳐져 있었다. 헤어펑커우에서는 고본(藁本), 가는다리장구채, 오랑캐장구채, 긴개싱아 등을 만났다. 긴개싱아를 마지막으로 헤이펑커우를 떠나 비룡폭포 대협곡과 소천지(小天池)가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전망대에 이르렀다. 전망대 근처에서 설령쥐오줌풀에 이어 선명한 붉은색 꽃이 예쁘게 피어 있는 패랭이꽃을 만났다. 남한 전국 어디에서나 흔하게 자라는 패랭이꽃을 백두산에서도 만나니 몹시 반가왔다. 마치 타향에서 정든 친구를 만난 느낌이라고나 할까!  

천문봉 기슭에서 자라는 들꽃 뫼꽃들을 보고 창바이산(長白山) 북파 산문(山門)으로 내려왔다. 천문봉을 오르는 관문인 북파 산문에는 창바이산빙설훈련기지(長白山高原氷雪訓鍊基地)가 있다. 이 기지는 말하자면 중국 국가대표팀 동계 훈련 선수촌이다. 선수촌 주변에는 천문봉 북파와는 또 다른 들꽃 뫼꽃의 세계가 펼쳐져 있었다. 북파 산문에서 큰오이풀에 이어 꿩의다리 꽃을 만났다. 꿩의다리는 남한의 산과 들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식물이다. 하지만, 중국 땅 백두산 북파 산문에서 만난 꿩의다리는 남다른 의미로 다가왔다.   

백두산에 오기 위해 남의 나라 중국(中國) 땅을 거쳐 참으로 먼 길을 돌아서 왔다. 백두산은 판문점을 거쳐 육로로 가면 단 몇 시간이면 닿을 수 있는 거리다. 지름길을 두고도 남의 나라로 돌아서 가야만 하는 상황에 치미는 분노를 금할 수 없다. 남한과 북한이 상호불가침협정(相互不可侵協定)을 체결하고, 대사 교환(大使交換)을 한 뒤 민간인 자유 왕래를 실현했더라면 이렇게 남의 나라 땅을 통해 빙 돌아서 오지 않아도 되었을 것이다. 남과 북으로 갈라져 아직도 같은 민족끼리 오가지도 못하는 못난 민족이다. 남북간 민간인 자유 왕래를 가로막는 세력이 영원히 사라지기를 천지신명(天地神明)님께 빌고 또 빈다. 민간인 자유 왕래 실현을 가로막는 악(惡)의 세력을 몰아내는 것이야말로 시대의 명령이 아닐까 한다.  

 

장백산빙설훈련기지간개석(長白山高原氷雪訓鍊基地簡介石, 2024. 7. 19.)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국생관)에는 꿩의다리가 피자식물문(被子植物門, Magnoliophyta) 목련강(木蓮綱, Magnoliopsida) 목련아강(木蓮亞綱, Magnoliidae) 미나리아재비목(Ranunculales)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꿩의다리속(Thalictrum) 꿩의다리종(aquilegifolium) 꿩의다리변종(sibiricum)의 여러해살이풀로 분류되어 있다.  

다음백과 국생관은 피자식물문 대신에 현화식물문(顯花植物門, Anthophyta)이란 분류명을 사용하고 있다. 피자식물문과 현화식물문은 같은 개념이다. 피자식물(被子植物, 속씨식물, Angiosperms)은 꽃이 피는 식물이다. 따라서, 진정한 현화식물(顯花植物, Phanerogams, flowering plants)은 피자식물이라고 할 수 있다. 피자식물은 남극을 제외한 거의 모든 대륙에 약 25만 종 이상이 퍼져 살고 있는 지구 최우점종(最優占種)이다.  

국가표준식물목록(국표),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생정), 국제식물명색인(IPNI), 큐(Kew) 등재(登載) 꿩의다리의 학명(學名, Scientific name)은 탈릭트룸 아퀼레기폴리움 린네. 바르. 시비리쿰 레겔 & 틸링(Thalictrum aquilegiifolium L. var. sibiricum Regel & Tiling)이다. 국생관 등재 원기재명(原記載名)은 Thalictrum aquilegifolium L.이다. 국표 등재 이명(異名, synonymy)에는 Thalictrum contortum L., Thalictrum taqueti H.Lév., Thalictrum dunnianum H.Lév., Thalictrum aquilegiifolium L. var. asiaticum Nakai, Thalictrum aquilegiifolium L. subsp. asiaticum (Nakai) Kitag., Thalictrum taqueti H.Lév. 등이 있다.   

속명(屬名, generic name) '탈릭트룸(Thalictrum)'은 '꿩의다리(meadowrue)'라는 뜻을 가진 고대 그리스어 '탈릭트론(tháliktron)'에서 유래한 근대 라틴어 고유명사다. 꿩의다리속은 종의 경계가 잘 알려져 있지 않아서 분류학적으로 어려운 속이라고 한다. 

종명(種名, specific name) '아퀼레기폴리움(aquilegiifolium)'은 '매발톱속(Aquilegia)과 같은 잎을 가진'이라는 뜻이다. 매발톱의 잎과 비슷한 꿩의다리 잎을 표현한 이름이다. 실제로 꿩의다리 잎은 매발톱의 잎과 비슷하지만 보다 더 가늘다.   

원명명자(原命名者) '린네(L.)'는 스웨덴의 식물학자 칼 폰 린네(Carl von Linn'e, 1707~1778)이다. 린네는 생물 분류학의 기초를 놓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하여 현대 식물학의 시조로 불린다. 린네는 1753년 'Species Plantarum(식물의 종)'에서 꿩의다리 종명을 확립한 학명을 세계 최초로 출판했다.  

'바르(var.)'는 '바리안트(variant, 변종)'의 약자다. 변종명(變種名, variety or mutant name) '시비리쿰(sibiricum)'은 '시베리아의(Siberian)'라는 뜻의 근대 라틴어 형용사 '시비리쿠스(sibiricus)'의 주격/대격(對格)/호격(呼格) 중성 단수형이다. 자생지 또는 발견지가 시베리아임을 표현한 이름이다.  

신명명자(新命名者) '레겔(Regel)'은 독일 원예가이자 식물학자 에두아르트 아우구스트 폰 레겔(Eduard August von Regel, 1815~1892)이다. 그는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러시아 제국 식물원 관장으로 일하며 경력을 마감했다. '틸링(Tiling)'은 지금의 라트비아에서 태어난 러시아계 USA 의사이자 박물학자 하인리히 실베스터 테오도르 틸링(Heinrich Sylvester Theodor Tiling, 1818~1871)이다. 틸링은 1845년부터 1851년까지 시베리아 아얀(Ayan)에 있는 '러시아 북미 회사'에서 의사로 근무했다. 그는 아얀의 기온과 강우량을 매일 기록하는 한편 이 지역의 모든 식물을 당시 상트페테르부르크 식물원장인 레겔과 함께 설명했다. 레겔과 틸링은 1859년 'Nouveaux Mémoires de la Société Impériale des Naturalistes de Moscou. Moscow'에서 꿩의다리가 변종임을 밝힌 학명을 세계 최초로 출판했다.  

 

장백산빙설훈련기지(長白山高原氷雪訓鍊基地, 2024. 7. 19.)

 

국표 등재 학명 Thalictrum aquilegiifolium L. var. sibiricum Regel & Tiling의 추천 국명(國名, Korean common name)은 꿩의다리(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등, 1937)다. 비추천명은 가락풀(조선식물지, 임록재, 1996+), 아시아꿩의다리(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등, 1949), 한라꿩의다리(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등, 1949), 아세아꿩의다리(조선식물지, 임록재, 1996+) 등이 있다. 꿩의다리라는 이름은 꿩의 발을 닮은 잎의 모양과 꿩의 다리처럼 가늘고 긴 줄기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국표 등재 꿩의다리의 추천 영문명(英文名, English common name)은 사이비어리언 칼럼바인 메도우루(Siberian columbine meadow-rue, 한반도 자생식물 영어이름 목록집 개정판, 국립수목원, 2022)이다. '시베리아(Siberian)에 자라는 매발톱(columbine)과 비슷한 잎을 가진 꿩의다리(meadow-rue)'라는 뜻이다. 

국표, Flora of Mikawa(三河の植物観察, FOM) 등재 꿩의다리의 추천 일본명(日本名, Japanese common name)은 만센카라마츠(マンセンカラマツ, 満鮮唐松)다. '만주와 한강토(満鮮)에 나는 꿩의다리(唐松草)'라는 뜻이다. 가라마츠소우(唐松草)는 꿩의다리 꽃의 형태가 낙엽송(唐松)의 잎을 연상시키는 데서 유래했다. 

국표, FOM, 중국식물지(中国植物志) 등재 꿩의다리의 중국명(中國名, Chinese common name)은 탕숭차오(唐松草)다. '낙엽송(唐松)의 잎을 닮은 꽃이 피는 풀(草)'이라는 뜻이다. 일본명 가라마츠소우(唐松草)와 그 유래가 같다. 중국식물지 등재 속명(俗名, trivial name)은 투황롄(土黄连, 内蒙古), 쯔화둔(紫花顿, 山东), 헤이한즈투이(黑汉子腿), 마웨이롄(马尾连), 차오황롄(草黄连) 등이 있다. 국표 등재 별명(別名, Synonym)은 이궈바이펑차오(翼果白蓬草, 中国藥用植物志)다. 

 

꿩의다리(백두산 북파 산문, 2024. 7. 19.)

 

꿩의다리는 한강토 전도에 나며 구아대륙(歐亞大陸, 유라시아아)의 북온대 및 아한대에 분포한다. 산지에 자란다(국생정). 꿩의다리는 한강토 전역에 자생하며, 러시아, 몽골,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국생관). 

만센카라마츠(満鮮唐松)는 일본, 조선(朝鮮, 한강토), 중국, 몽골, 러시아에 분포한다(FOM). 탕숭차오(唐松草)는 중국 쩌쟝(浙江)의 톈무산(天目山)ㅒ, 샨중(山东), 허베이(河北), 샨시(山西), 네이멍구(内蒙古), 랴오닝(辽宁), 지린(吉林), 헤이룽쟝(黑龙江)에 분포한다. 해발 500~1800m 사이의 초원, 산지의 삼림 언저리의 풀밭이나 숲속에 자란다. 한강토(朝鲜), 일본, 러시아 시베리아 지역에도 분포한다(中国植物志). 

꿩의다리 키는 높이는 50~100cm 정도이다. 국내에 분포하는 꿩의다리속 식물 가운데 금꿩의다리 다음으로 크게 자란다. 전체에 털이 없고, 흰빛이 조금 돈다. 줄기는 곧추 서고 분지(分枝)하며 원줄기는 능선(稜線)이 있으며 속이 비었고 녹색(綠色) 또는 자주색(紫朱色) 바탕에 분백색(粉白色)이 돈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하부(下部)의 것은 엽병(葉柄)이 기나 위로 갈수록 짧아져 없어지고 2~3회 우상(羽狀)으로 갈라지며 제1, 제2 마디에 작은잎턱잎이 있다. 소엽(小葉)은 거꿀달걀모양(倒卵形) 또는 심원형(心圓形)이고 길이 1.5~3.5cm, 너비 1~3cm로서 3~4개로 갈라지며 원두(圓頭)이다. 

꽃은 7∼8월에 백색(白色) 또는 대홍색(帶紅色)으로 피며 줄기 끝에 편평꽃차례(扁平花序)로 달린다. 꽃잎은 없고 꽃받침조각은 4~5개로 조락성(早落性, caducity)이며 수술은 많고 환상(環狀)으로 배열한다. 

열매는 수과(瘦果, achene)다. 수과는 5~10개씩 달리고 3~4개의 익상 돌출물(翼狀突出物)이 있으며 거꿀달걀모양 또는 타원형(楕圓形)이다. 수과는 속씨식물이 생산하는 열매의 한 종류로서 바람을 타고 가볍게 잘 날아가도록 수척한 씨앗이라는 뜻이다. 수과의 특징은 소형이고 건조하며, 과피(果皮)가 단단하고 열개(裂開)하지 않는다. 한 개의 종자(種子)를 가지고 있으며, 원래 한 개의 심피(心皮, carpel)로 된 과실(果實)이다. 익어도 터지지 않으며, 씨가 작다.   

꿩의다리의 어린잎과 줄기는 식용한다(국생정). 탕숭차오(唐松草)는 관상적 가치가 있어서 중국 온대 지방과 북아열대(北亚热带) 지방의 공원이나 정원의 숲 아래를 녹화(绿化)하기 위한 지피식물(地被植物)로 재배한다(百度百科). 

탕숭차오(唐松草)는 옹종창절(痈肿疮疖)을 치료하는 데 쓴다(山东中草药手册). 황달형간염(黄疸型肝炎), 복사(腹泻) 등의 증상을 치료한다(内蒙古中草药). 탕숭차오(唐松草)는 뿌리와 뿌리줄기(根茎)를 약으로 쓴다. 청열사화(清热泻火), 조습해독(燥湿解毒)의 효능이 있어 열병심번(热病心烦), 습열사리(湿热泻痢), 폐열해수(肺热咳嗽), 목적종통(目赤肿痛), 옹종창절을 치료하는 데 쓴다(百度百科). 

 

꿩의다리(백두산 북파 산문, 2024. 7. 19.)

 

국표 등재 꿩의다리 유사종(類似種, similarity species) 자생식물(自生植物, indigenous plant)은 그늘꿩의다리(Thalictrum osmorhizoides Nakai), 금꿩의다리(Thalictrum rochebruneanum Franch. & Sav.), 긴잎꿩의다리(Thalictrum simplex L. var. brevipes H.Hara), 꼭지연잎꿩의다리(Thalictrum ichangense Lecoy. ex Oliv.), 꽃꿩의다리(Thalictrum petaloideum L.), 남방꿩의다리[Thalictrum acutifolium (Hand.-Mazz.) B. Boivin], 묏꿩의다리(Thalictrum sachalinense Lecoy.), 바이칼꿩의다리(Thalictrum baicalense Turcz.), 발톱꿩의다리(Thalictrum sparsiflorum Turcz. ex Fisch. & C.A.Mey.), 산꿩의다리(Thalictrum tuberiferum Maxim.), 연잎꿩의다리(Thalictrum coreanum H.Lév.), 은꿩의다리(Thalictrum actaeifolium Siebold & Zucc. var. brevistylum Nakai), 자주꿩의다리(Thalictrum uchiyamae Nakai), 좀꿩의다리[Thalictrum minus L. var. hypoleucum (Siebold & Zucc.) Miq.], 큰꿩의다리(Thalictrum kemense Fr.), 큰산꿩의다리(Thalictrum filamentosum Maxim.) 등 16종이 있다.  

그늘꿩의다리(영 Shady meadow-rue, 일 ヒカゲカラマツ, 日陰唐松)는 함경북도 백두산 등에 분포하는 한강토 고유종이다. 해발 1,200~1,800m의 산지 숲속 그늘진 곳에 자란다. 땅속줄기는 수염뿌리 모양의 곁가지가 있거나 없다. 원줄기에 털이 없고, 높이는 20~40cm이다. 뿌리잎은 길이 10~12cm이고, 3회 3출엽(三回三出葉)이며, 잎자루는 아랫부분이 다소 넓어져서 줄기를 감싸고 길이는 2~3mm이다. 꽃은 7월에 백색으로 핀다. 꽃은 줄기 끝에 원추꽃차례(圓錐花序)로 달리고 작은꽃자루는 아주 가늘다. 열매는 수과이며 1~4개가 모여나 갈라지고, 편평한 방추형(紡錘形)으로 세로줄이 있으며 길이는 0.7~1.2cm이다. 열매 자루는 길이가 4~11mm로 끝이 길게 좁아지고, 암술머리는 수축되어 안으로 굽는다. 산꿩의다리에 비해 열매가 더 길며 뒤로 굽고 작은잎은 도란형이라 구별된다. 음지꿩의다리라고도 한다. 

금꿩의다리(영 Yellow-filamentous meadow-rue, meadow rue, 일 シキンカラマツ, 紫錦唐松, オオシキンカラマツ, 중 紫花唐松草)는 강원, 경기 등 한강토 중부 이북에 나며, 일본에도 분포한다. 산지 숲속의 그늘지고, 음습한 사면 및 계곡 주변에 자란다. 줄기는 높이 1.2~2.4m 정도이고 곧게 선다. 가지가 갈라지고 전체에 털이 없으며 보통 자줏빛이다. 잎은 어긋나고 짧은 잎자루가 있으며 3~4회 3장의 작은잎이 나온 형태이다. 작은잎은 가죽질이고 가장자리에 3개의 톱니가 있다. 턱잎은 밋밋하다. 꽃은 담자색(淡紫色)으로 7~8월에 피는데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원추꽃차례로 달린다. 꽃잎은 없고 꽃받침은 타원형이며 4개이다. 열매는 수과로 15~20개씩 붙고, 날개 같은 능선이 있고 긴 타원형이며, 자루는 길이 5mm이다. 암술대는 끝이 거의 굽지 않고 다소 길다. 유사종에 비해 키가 크고 잎이 2~3개로 갈라지는 것이 특징이다. 잎과 줄기는 식용하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금가락풀이라고도 한다. 

긴잎꿩의다리(영 Narrow-leaf meadow-rue, Short-stalk slimtop meadow-rue, 일 ノカラマツ, 野唐松, 중 短梗箭头唐松草)는 한강토 전역에 나며,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으며 번식한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60~150cm이다. 줄기에는 예리한 모가 있으며 중부까지는 가지가 갈라지지 않는다. 잎은 어긋나고, 아래쪽의 것은 3출하며 2~3회 깃꼴로 갈라지고, 잎자루가 있다. 작은잎은 쐐기형, 도란형으로 길이 2~4cm, 너비 4~15mm이다. 꽃은 7~8월에 연한 황색(軟黃色) 꽃이 원추꽃차례에 달려 핀다. 꽃잎은 없고, 꽃받침 조각은 4~5장, 넓은 난형(廣卵形), 3맥이 있다. 열매는 수과로 난형, 3~5개이며 8~10개의 능선이 있다. 열매 자루는 짧다. 좀꿩의다리에 비해 줄기에 예리한 모가 있고 꽃차례가 가늘고 길며 잎은 1~3회 깃꼴로 삼출하므로 구별된다. 어린순을 식용한다. 

꼭지연잎꿩의다리(영 Pallid lotus-leaf meadow-rue, 일 トウハスノハカラマツ, 唐蓮葉唐松, 중 盾叶唐松草)는 한강토 강원도, 충북, 경북 및 북부 지방에 나며, 중국에도 분포한다. 석회암 지대의 물가, 바위 지대 풀밭에 자란다. 뿌리는 모두 수염뿌리다. 줄기는 자주빛이 돌며, 높이 15~40cm, 털이 없으며 곧게 선다. 잎은 길이 2~4cm, 폭 1.5~4.0cm이며, 1~2회 3출엽이거나 하나가 꽃자루와 만나는 지점에 난다. 잎 가장자리에 이 모양으로 갈라지며 둥글다. 꽃은 5~7월에 흰색 또는 연한 자주색(軟紫朱色)으로 핀다. 꽃받침은 난형으로 길이 3mm쯤이며, 일찍 떨어진다. 꽃잎은 없다. 수술은 길이 4~6mm이다. 열매는 수과, 열매자루는 가늘고, 길이 1.5mm쯤이다. 방패 모양의 잎과 꽃이 모두 아름다우므로 관상 가치가 높다. 희귀식물로서 학술적인 가치가 높고, 약용자원으로서의 가치도 있다. 

꽃꿩의다리(영 Petaloid meadow-rue, 일 ハナカラマツ, ミユキカラマツ, ヒロハハナカラマツ, 중 瓣蕊唐松草, 腎葉白蓬草)는 북방계 식물로 한강토 북부 지방, 강원도 석회암 지대, 부산 등 남부 지방에 나며, 몽골, 중국, 러시아 시베리아 등에 분포한다. 바닷가 풀밭, 석회암 지대의 숲속에 자란다. 줄기는 높이 18~80cm이며, 가지가 갈라지고, 털이 없다. 잎은 모두 뿌리에서 나며, 3~4회 삼출 또는 깃꼴로 갈라진다. 잎자루는 길이 10cm쯤이다. 꽃은 7~8월에 흰색으로 핀다. 꽃자루는 길이 0.5~2.5cm이다. 꽃받침은 4장이며, 흰색이고, 일찍 떨어진다. 꽃잎은 없다. 삭과는 열매자루가 없고, 길이 4~6mm이며, 겉에 날개 같은 줄이 8개 있다. 관상적, 학술적, 유전자원으로서의 가치가 높다.   

남방꿩의다리(영 Southern meadow-rue, 중 尖叶唐松草)는 국표, 국생정, 국생관에 학명, 국명 등만 등재되어 있고, 식물에 대한 설명은 없다. 남방꿩의다리는 중국 남중부, 남동부에 분포한다(Plants of the World Online). 그러나, 최근 한강토 제주도에서 남방꿩의다리가 자생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표본은 비엔나대학교에 소장되어 있다. 남방꿩의다리는 괴경(塊莖)이 없는 뿌리, 포복엽(匍匐葉), 어긋나는 줄기 잎, 정단(頂端)이 날카로운 소엽, 희끄무레한 색상의 난형 꽃받침 등이 특징이다(Thalictrum acutifolium (Hand.-Mazz.) B. Boivin: a new record to the flora of the Jeju-do, Korea).  

묏꿩의다리(영 Sachalin meadow-rue, Northern-mountain meadow-rue, 일 エゾカラマツ, 蝦夷唐松, ミヤマアキカラマツ)는 한강토 북부 지방에 나며, 러시아 사할린, 일본 홋카이도 등에 분포한다. 북부 지방의 높은 산에 자란다. 줄기는 높이 45~70cm, 곧추서며,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며, 잎자루는 줄기 위로 갈수록 짧아진다. 잎몸은 2~3회 3출 겹잎이며, 작은잎은 쐐기 모양의 넓은 도란형 또는 마름모상 원형으로 길이 1.7~4.0cm, 끝은 2~3개로 얕게 갈라진다. 턱잎은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작은 턱잎은 1~2번째 마디에 있으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6~7월에 피는데 흰색, 줄기와 가지 끝에 여러 개가 모여 총상꽃차례(總狀花序)를 이룬다. 꽃자루는 길이 10~15mm다. 꽃잎은 없고 꽃받침잎은 3~4개, 타원형, 길이 3mm, 흰색이다. 수술은 많고 길이 5~6mm다. 씨방은 둥글고, 5~10개로 짧은 자루가 있으며, 암술대는 꼬인다. 열매는 수과로 난형, 7~8개의 능선이 있고, 암술대는 남아 있어 끝이 갈고리처럼 구부러진다. 바이칼꿩의다리에 비해 턱잎의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열매에 7~8개의 능선이 있어 구분된다. 잎과 뿌리는 약용한다. 갈미꿩의다리, 북산가락풀, 북산꿩의다리, 산꿩의다리라고도 한다. 

바이칼꿩의다리(영 Baical meadow-rue, 일 ハルカラマツ, 春唐松, ニッコウカラマツソウ, ニッコウカラマツ, 중 贝加尔唐松草)는 한강토 북부 지역에 나며 일본, 중국, 우수리, 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깊은 산에 난다. 줄기는 곧추서고 털이 없으며 높이 50~100cm이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2회 삼출엽으로 길이 9~16cm다. 소엽은 마름모꼴, 길이 1.8~4.5cm, 둥글거나 3갈래로 갈라진다. 꽃은 6~7월에 원추화서로 달리며, 노란빛이 도는 흰색(黃帶白色)이다. 열매는 수과로 넓은 타원형이고 8개의 맥이 있다. 

발톱꿩의다리(영 Few flower meadow-rue, 일 ツリフネカラマツ, 釣船唐松, カラフトカラマツ, 중 散花唐松草)는 한강토 북부 지방에 자생하며, 러시아, 중국, 북미 등에 분포한다. 높은 산 숲속 풀밭에 자란다. 줄기는 곧추서며 윗부분에서 가지를 치고, 높이 60~100cm, 전체에 털이 없다. 뿌리잎과 줄기잎이 모두 있다. 잎은 어긋나며, 1~2회 3출겹잎(三出複葉)으로 갈래조각은 도란형, 끝은 둥글거나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길이 3~9cm이다. 줄기 윗부분 잎은 비교적 작으며, 잎자루는 없거나 매우 짧다. 꽃은 6~7월에 피는데 줄기 끝에서 원추꽃차례를 이룬다. 꽃자루는 길이 2cm 정도로 꽃이 진 다음에 갈고리 모양으로 구부러진다. 꽃받침잎은 4~5장으로 난형, 흰색이다. 꽃잎은 없다. 수술은 10~15개이다. 열매는 수과, 9월에 익으며, 양면에 세로줄이 3개씩 있다. 산꿩의다리에 비해 열매는 반달 모양으로 그물맥이 있으므로 구분된다. 발톱가락풀이라고도 한다. 꽃의 꿀주머니(거)가 안쪽으로 말려진 모양이 매의 발톱을 오므린 듯한 모양이어서 발톱꿩의다리라는 이름이 붙었다. 

산꿩의다리(영 Tuberous-root meadow-rue, 일 ミヤマカラマツ, 深山唐松, ケミヤマカラマツ, 중 深山唐松草, 深山白蓬草)는 한강토 전역에 자생하며, 러시아 아무르, 우수리,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주로 숲속의 그늘에 자란다. 종종 덩이뿌리가 발달한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20~60cm, 털이 없다. 뿌리잎은 1장이며, 2회 3출겹잎, 길이 15~22cm이다. 잎자루는 길이 7~13cm이다. 줄기잎은 2장이 마주나며, 작고, 잎자루가 없다. 꽃은 6~7월에 피는데 줄기 끝에 산방꽃차례(繖房花序)처럼 한 면에 배열하며, 흰색이다. 꽃받침은 4~5장, 타원형, 길이 2mm쯤, 일찍 떨어진다. 꽃잎은 없다. 수술은 많고, 길이 5~8mm이다. 암술은 2~5개이고, 암술대가 거의 발달하지 않는다. 열매는 수과, 가는 자루가 있으며, 조금 납작한 편이고, 8~10월 익는다. 자주꿩의다리에 비해 잎은 얇고, 꽃받침은 흰색이므로 구분된다. 

연잎꿩의다리(영 Korean meadow-rue, 일 ハスノハカラマツ, 蓮葉唐松, ハスバカラマツ)는 한강토 강원도 설악산 이북에 자생하며, 중국 만주에 분포한다. 높은 산 능선의 바위 지대나 풀밭에서 드물게 자란다. 뿌리는 흑갈색(黑褐色)이고 곤봉 모양으로 된 굵은 뿌리도 있다. 줄기는 높이 30~60cm이다. 잎은 1~2번 3갈래로 갈라지는 겹잎이며, 기다란 잎자루는 둥근 모양의 작은 잎이 잎 뒷면 아래부터 약간 올라가서 달린다. 둥근 방패 모양으로 붙으며 길이 5.5~7.5cm, 너비 6~8cm,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 톱니가 있다. 잎 뒷면은 분처럼 흰빛이며 몸 전체에 털이 없다. 꽃은 5~8월에 줄기 끝의 원추꽃차례에 피며, 원뿔 형태를 이룬다. 꽃받침잎은 4~5장, 꽃이 피자마자 떨어진다. 꽃잎은 없고, 자주색 또는 흰색 수술이 꽃을 이룬다. 흰색 계통의 4~5개의 꽃받침잎이 있으며, 능선과 맥이 뚜렷한 납작한 열매가 열린다. 열매는 수과이고 열매자루는 길이 0.5mm 이하로 매우 짧다. 방패 모양의 잎이 특징이다. 꼭지연잎꿩의다리는 잎 길이 2~4cm, 폭 1.5~4cm로 조금 작고, 열매자루는 1.5mm쯤으로 길며, 뿌리가 모두 수염뿌리이므로 구분된다. 어린잎과 줄기는 식용한다.   

은꿩의다리(영 Silver meadow-rue, 일 チョウセンシギンカラマツ, 朝鮮紫銀唐松)는 한강토 경기도, 충북 등 중부 이남에 자생하며, 일본에도 분포한다. 산지의 숲속의 돌이 많은 곳에서 자란다. 키는 높이 30~60cm이다. 줄기는 곧게 서고 전체에 털이 없고 가지가 갈라지며 약간 단단하다. 잎은 어긋나고 2~3회 세 장의 작은잎으로 이루어진다. 작은잎은 길이 1~4cm의 넓은 달걀형 또는 네모난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 깊고 거친 톱니가 있다. 꽃은 7~9월에 붉은빛이 도는 흰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원추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열매는 좁은 달걀 모양의 수과이며, 9~10월에 익는데 열매꼭지가 없고 세로로 골이 있으며 끝이 점점 뾰족해져 부리 모양이 된다. 한강토산 꿩의다리속 종들은 대부분 작은잎의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발달하고, 끝이 둔한 반면, 은꿩의다리는 작은잎의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발달하고, 잎끝이 뾰족한 점에서 구별된다. 어린잎과 줄기를 식용한다. 참꿩의다리, 쩌른꿩의다리, 참가락풀, 음지가락풀이라고도 한다. 

자주꿩의다리(영 Seoul meadow-rue, 일 ムラサキカラマツ, 紫唐松, チョウセンカラマツ)는 제주도, 전남, 경기도, 강원도, 함경남북도 등에 분포하는 한강토 고유종이다. 산지 숲속의 그늘진 사면이나 계곡 주변에 흩어져 자란다. 키는 높이 60cm 정도까지 자라며, 전체적으로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며, 뒷면은 분백색을 띤다. 잎몸은 2~3회 3출엽으로 작은잎은 넓은 난형 또는 원형이고, 밑부분이 둥글거나 얕은 심장저이며, 윗부분 가장자리에 3~5개의 둔한 톱니가 있고, 끝이 대개 둥글며, 뒷면이 다소 회청색(灰靑色)이다. 꽃은 6~8월에 줄기 끝의 엉성한 산방꽃차례에 붙어 흰빛이 도는 자주색(白帶紫朱色)으로 피며, 작은꽃자루는 가늘다. 꽃받침은 3~4개, 꽃잎은 없고, 약(葯)과 수술대는 흰빛이 도는 자주색이다. 열매는 수과로 3~5개씩 붙고, 자루는 1~2mm이며, 암술대는 반듯하고 짧다. 관상용으로 심는다. 자주가락풀이라고도 한다.    

좀꿩의다리(영 East Asian low meadow-rue, 일 アキカラマツ, 秋唐松, タカトオグサ, ヒロハノアキカラマツ, 중 東亞唐松草, 小果白蓬草)는 한강토, 중국, 몽골, 사할린, 치시마 열도(千島列島), 일본에 분포한다. 한강토에서는 전국 각지의 산야에서 자란다. 줄기는 높이 40~120cm 정도로 자란다. 원줄기는 곧게 서며 털이 없고 능선이 있으며 상부에서 분지한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2~3회 3출엽으로서 우상으로 갈라지며 엽병은 짧거나 없고 탁엽(托葉)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으며 밑부분에 작은잎턱잎이 있다. 소엽은 긴 타원형, 거꿀달걀 모양 또는 삼각상 거꿀달걀 모양이고 길이 1~3cm, 폭 8~20mm로서 끝이 2~3개로 갈라지며 원저(圓底) 또는 심장저이고 끝은 뾰족하며 앞뒷면에 털이 없고 뒷면은 분백색이 돌며 엽병 기부는 줄기를 감싼다. 7~8월에 지름 5~7mm의 황록색의 꽃이 큰 원뿔모양꽃차례에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3~4개로서 꽃잎 같고 빨리 떨어지며 3맥이 있고 긴 타원형이다. 꽃잎은 없다. 수술은 10~17개로 많으며 수술대 끝에 길이 2mm의 꽃밥이 달리고 암술은 2~6개이다. 수과는 거꿀달걀 모양이며 길이 3mm로서 날개 모양인 8개의 능선이 있고 9월에 익는다. 

큰꿩의다리(영 Long-stalk low meadow-rue, 일 オオカラマツ, 大唐松, コカラマツ, ウスバカラマツ, 중 長梗亞歐唐松草)는 한강토 전역에 자라며, 러시아 사할린, 일본, 중국 동부, 온대 아시아, 유럽 등에 분포한다. 산지의 숲 가장자리, 햇빛이 드는 숲속, 돌이 많은 곳 등에서 자란다. 줄기는 높이 40~120cm, 원줄기에 보통 능선이 있으며, 전체에 털이 없다. 잎자루는 4cm쯤이다. 잎은 어긋나고, 2~3회 3출엽인데 깃꼴로 갈라진다. 잎몸은 길이 20cm쯤이다. 턱잎은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고, 밑에 작은 턱잎이 있다. 작은잎은 긴 타원형, 도란형 또는 삼각상 도란형으로 길이 1~3cm, 폭 8~20mm, 끝은 2~3개로 갈라진다. 잎 뒷면은 흰 가루를 뿌린 듯하다. 꽃은 7~8월에 피는데 줄기 끝에 원추꽃차례로 달리고, 황록색이다. 꽃잎은 없고, 꽃받침조각은 3~4개로 일찍 떨어진다. 수술은 많다. 열매는 수과, 도란형이며, 9월에 익는데 8개의 능선이 있다. 줄기가 대개 가지를 치고, 능각(稜角)이 없는 점에서 대개 가지를 치지 않고, 줄기에 현저한 능각이 있는 긴잎꿩의다리와 구별된다. 또한 작은잎몸은 대개 도란형인 점에서 긴 장타원형인 긴잎꿩의다리와 구별된다.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다. 

큰산꿩의다리(영 Filamentous meadow-rue, 일 オオミヤマカラマツ, 大深山唐松, 중 花唐松草)는 한강토 전역의 산지에서 자란다. 뿌리가 흔히 굵어진다. 줄기는 높이 50cm에 달하며 털이 없고 곧게 서며 가지를 친다. 잎은 밑에서 1개씩 나오며 엽병이 길고 흔히 2~3회 3출엽이며 작은잎턱잎이 없고, 줄기잎은 엽병이 짧거나 없고 1~2회 3출엽이다. 소엽은 뒷면이 분백색이고 긴 타원형 또는 사각상 달걀 모양이며 끝이 둔하고 넓은 예저(銳底) 또는 심장저이며 길이 1.5~8cm, 폭 1~5cm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흔히 2~3개로 갈라지며 탁엽이 거의 없다. 꽃은 7~8월에 피고 백색이며 원줄기 윗부분에 산방상으로 달리고 꽃받침조각은 4~5개로서 타원형이며 일찍 떨어지고 꽃잎이 없다. 수술은 많으며 환상으로 배열되고 수술대는 윗부분이 넓으며 밑부분은 실처럼 가늘고 꽃밥은 길이 1mm 정도로서 긴 타원형이다. 수과는 2~6개이며 길이 3~4mm의 대가 있고 거꿀피침 모양 또는 거꿀달걀 모양이며 편평하고 길이 3~5mm로서 양쪽에 1~4맥이 있으며 끝에 남아 있는 암술대는 굵고 짧으며 밖으로 굽지 않는다. 

국표 등재 꿩의다리 유사종 재배식물에는 노랑꿩의다리(Thalictrum speciossimum L.), 돌꿩의다리(Thalictrum saxatile Vill.), 반들꿩의다리(Thalictrum lucidum L.), 중국금꿩의다리(Thalictrum delavayi Franch.), 큰미국꿩의다리(Thalictrum dasycarpum Fisch. & C.A.Mey. & Ave-Lall.), 흰꽃꿩의다리(Thalictrum aquilegifolium var. album) 등 7종이 있다.  

2024. 12. 22. 林 山
#꿩의다리 #Siberiancolumbinemeadowrue #マンセンカラマツ #満鮮唐松 #唐松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