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이야기

[백두산 야생화] 설령쥐오줌풀

林 山 2024. 12. 16. 14:48

2024년 7월 19일 중국(中國) 지린성(吉林省) 방문 이틀째 되는 날 한강토(조선반도, 한반도) 최고봉이자 조선민족(朝鮮民族, 한겨레)과 만주족(滿洲族)의 영산(靈山)인 흰머리뫼(백두산, 白頭山, 2,744m) 북파(北坡) 천문봉(天文峰, 2,620m)에 올랐다. 신령한 하늘연못(천지, 天池) 북쪽에 우뚝 솟은 천문봉 기슭에 끝없이 펼쳐진 천상(天上)의 화원(花園)에는 두메양귀비, 좁은잎돌꽃, 천지괭이눈, 바위구절초, 구름송이풀, 두메자운, 구름범의귀, 호범꼬리, 나도개미자리, 하늘매발톱, 두메분취, 나도황기, 씨범꼬리, 바위솜나물, 바위돌꽃, 노랑만병초, 담자리꽃나무, 구름국화, 좀참꽃, 둥근범꼬리, 고산봄맞이 등 온갖 뫼꽃 들꽃들이 피어나 저마다 아름다움을 자랑하고 있었다. 

 

백두산 북파 천문봉 가는 길(2024. 7. 19.)

 

고산봄맞이를 마지막으로 천문봉 정상부에서 조금 내려와 헤이펑커우(黑風口)로 자리를 옮겼다. 한자어로 '흑풍구(黑風口)'라 불리는 곳이다. '헤이펑(黑風)'은 '폭풍(暴風), 광풍(狂風)', '펑커우(風口)'는 '바람받이, 바람이 통하는 곳, 바람구멍'을 뜻한다. 곧 '강풍 또는 미친 바람이 부는 바람받이'라는 뜻이다. 지명처럼 헤이펑커우에는 사람을 날려버릴 듯한 강풍이 불어오고 있었다. 하지만 헤이펑커우에서 바라보는 비룡폭포(飛龍瀑布, 白頭瀑布)는 그야말로 장관이었다. 선경(仙境)이 있다면 바로 이런 곳을 두고 한 말이 아닐까! 중국인들은 비룡폭포를 창바이푸부(長白瀑布)라고 부른다.    

 

비룡폭포 대협곡(2024. 7. 19)

 

헤이펑커우에는 천문봉 정상부와는 또 다른 야생화의 세계가 펼쳐져 있었다. 헤어펑커우에서는 고본(藁本), 가는다리장구채, 오랑캐장구채, 긴개싱아 등을 만났다. 긴개싱아를 마지막으로 헤이펑커우를 떠나 비룡폭포 대협곡과 소천지(小天池)가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전망대에 이르렀다. 전망대 근처에서 보라색을 띤 분홍색 꽃이 피어 있는 설령쥐오줌풀 한 포기를 만났다. 설령쥐오줌풀은 북한(北韓,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조선) 등 한강토 북부 지방에 자생하는 식물이라서 남한(南韓, 대한민국, 한국, 남조선)서는 만나기가 어렵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생정)에는 경기도 남한산, 광주 무등산 등지에 자생한다고는 하는데, 필자는 아직 남한에서 설령쥐오줌풀을 한 번도 보지 못했다. 

 

비룡폭포 대협곡 소천지(2024. 7. 19)

 

백두산에 오기 위해 남의 나라 중국(中國) 땅을 거쳐 참으로 먼 길을 돌아서 왔다. 백두산은 판문점을 거쳐 육로로 가면 단 몇 시간이면 닿을 수 있는 거리다. 지름길을 두고도 남의 나라로 돌아서 가야만 하는 상황에 치미는 분노를 금할 수 없다. 남한과 북한이 상호불가침협정(相互不可侵協定)을 체결하고, 대사 교환(大使交換)을 한 뒤 민간인 자유 왕래를 실현했더라면 이렇게 남의 나라 땅을 통해 빙 돌아서 오지 않아도 되었을 것이다. 남과 북으로 갈라져 아직도 같은 민족끼리 오가지도 못하는 못난 민족이다. 남북간 민간인 자유 왕래를 가로막는 세력이 영원히 사라지기를 천지신명(天地神明)님께 빌고 또 빈다. 민간인 자유 왕래 실현을 가로막는 악(惡)의 세력을 몰아내는 것이야말로 시대의 명령이 아닐까 한다. 

 

비룡폭포 대협곡(2024. 7. 19)

 

설령쥐오줌풀은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국생관)에 피자식물문(被子植物門, Magnoliophyta) 목련강(木蓮綱, Magnoliopsida) 국화아강(菊花亞綱, Asteridae) 산토끼꽃목(Dipsacales) 마타리과(Valerianaceae) 쥐오줌풀속(Valeriana)의 여러해살이풀로 분류되어 있다.   

국가표준식물목록(국표), 국제식물명색인(IPNI), 큐(Kew) 등재(登載) 설령쥐오줌풀의 학명(學名, Scientific name)은 발레리아나 아무렌시스 P.A.스미르노프 엑스 코마로프(Valeriana amurensis P.A.Smirn. ex Kom.)다. 국표 등재 이명(異名, synonymy)에는 Valeriana officinalis L. var. incisa (Rupr.) Nakai ex T.Mori, Valeriana amurensis P.A.Smirn. ex Kom. f. leiocarpa H.Hara, Valeriana sambucifolia J.C.Mikan ex Pohl subsp. amurensis (P.A.Smirn. ex Kom.) H.Hara 등이 있다.   

속명(屬名, generic name) '발레리아나((Valeriana)'는 로마 황제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발레리아누스(Publius Licinius Valerianus, 200~260)의 이름을 따서 칼 폰 린네(Carl von Linné, 1707~1778)가 명명했다. 발레리아누스는 이 식물을 약재로 사용했다고 한다. '발레리아누스(Valerianus)'는 로마의 한 가문 씨족명 '발레리아(Valeria)'와 '강해지다(to be strong)'라는 뜻의 라틴어 동사 '발레오(valeo)'에서 유래했다. 

종명(種名, specific name) '아무렌시스(amurensis)'는 '아무르(Amur)의'라는 뜻의 라틴어 형용사다. 처음 발견된 곳 또는 자생지가 극동 아시아의 아무르(Amur) 강 유역임을 나타낸다. 아무르 강은 러시아와 중국의 경계를 이루는 강으로 러시아, 중국, 몽골에 걸쳐 있다. 중국에서는 헤이룽쟝(黑龙江)이라고 부른다.   

원명명자(原命名者) 'P.A.스미르노프(P.A.Smirn)'는 제정 러시아와 옛 소련 식물학자 파벨 알렉산드로비치 스미르노프(Pavel Aleksandrovich Smirnov, 1896~1980)다. '엑스(ex)'는 처음 이름을 붙인 사람이 유효 출판을 하지 못하고, 다음 사람이 유효 출판을 했다는 뜻이다. '코마로프(Kom)'는 제정 러시아와 옛 소련 식물학자 블라디미르 레온티에비치 코마로프(Vladimir Leontyevich Komarov, 1869~1945)다. 코마로프는 1932년 'Izvestiya Botanicheskogo Sada, Akademii Nauk SSSR. Leningrad [St. Petersburg]'에서 설령쥐오줌풀의 학명을 출판했다.  

국표 등재 학명 Valeriana amurensis P.A.Smirn. ex Kom.의 국명(國名, Korean common name)은 설령쥐오줌풀(추천명,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털쥐오줌풀(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등, 1949), 털바구니나물(조선식물지, 임록재, 1996+) 등이 있다. 설령쥐오줌풀은 북한의 함경산맥(咸鏡山脈)을 가로지르는 양강도(兩江道) 백암군(白岩郡)과 함경북도(咸鏡北道) 어랑군(漁郞郡)의 경계에 솟아 있는 설령(雪嶺, 2,272m)에 자생하고, 뿌리에서 쥐의 오줌과 비슷한 냄새가 나는 풀이라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국표 등재 설령쥐오줌풀의 추천 영문명(英文名, English common name)은 아무어 벌리리언(Amur valerian, 한반도 자생식물 영어이름 목록집 개정판, 국립수목원, 2022)이다. 라틴어식 발음은 아무르 발레리안이다. '아무르 강(Amur) 또는 헤이룽 강(黑龍江) 유역에 자생하는 쥐오줌풀(valerian)'이라는 뜻이다.   

아토미군뽀우후(あとみぐんぽうふ, 跡見群芳譜) 등재 학명 Valeriana amurensis의 일본명(日本名, Japanese common name)은 게카노코소우(ケカノコソウ, 毛鹿子草)다. '털(毛) 쥐오줌풀(鹿子草)'이라는 뜻이다.  

중국식물지(中国植物志) 등재 학명 Valeriana amurensis P. A. Smirn. ex Kom., 이명 Valeriana officinalis var. incisa, Valeriana amurensis f. leiocarpa의 중국명(中國名, Chinese common name)은 헤이수이시에차오(黑水缬草, 中国高等植物图鉴)다. '아무르 강 또는 헤이룽 강(黑水)에 자생하는 쥐오줌풀(缬草)'이라는 뜻이다.      

설령쥐오줌풀은 한강토, 중국, 러시아에 분포한다. 서울(남한산성), 전남(무등산), 함북(설령, 관모봉)에 야생한다. 산골짜기 습초지에서 자란다(국생정). 설령쥐오줌풀은 한강토 북부 지방에 나며, 러시아 극동, 중국 동북부 등에 분포한다(국생관).  

헤이수이시에차오(黑水缬草)는 중국 헤이룽쟝성(黑龙江省)과 지린성(吉林省)에 난다. 산비탈 초원이나 낙엽송과 자작나무 숲 아래에 자란다. 러시아, 조선(朝鲜, 한강토)에도 분포한다(中国植物志).  

 

백두산 북파 천문봉 능선(2024. 7. 19.)

 

설령쥐오줌풀의 근경(根莖)은 짧고 수염뿌리가 뭉쳐 자라며 강렬한 냄새가 난다. 키는 높이 50~60cm(국생관) 또는 70~90(140)cm(국생정) 정도이다. 줄기는 곧게서며 지름 1cm에 이르고, 기부(基部)에 홈줄이 있으며, 역모(逆毛)가 다소 있고 윗부분에 퍼진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며 첫째 줄기잎과 기는줄기의 잎은 엽병(葉柄)이 난원형(卵圓形)으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갈라지지 않는다. 두번째 줄기잎과 기는줄기의 잎은 3출복엽(三出複葉)으로서 꼭대기 소엽(小葉)은 길이 10cm에 이른다. 줄기 중간의 잎은 가장 크고 길이 8~13(20)cm이며 9~11개 소엽으로 이루어진 우상복엽(羽狀複葉)이다. 소엽은 달걀 모양(卵形), 피침형(披針形) 또는 거꿀피침 모양(倒披針形)으로 끝이 뾰족하며 결각상(缺刻狀)의 톱니가 있다. 소엽 표면에는 털이 거의 없으며 뒷면에 퍼진 털이 있다. 

꽃은 6~7월에 길이 5~5.5mm의 분홍꽃이 줄기와 가지 끝에서 편평꽃차례(扁平花序)로 핀다. 포(苞)와 작은포는 선형(線形)이며 갈색의 샘털이 있고 꽃자루에서 샘털이 밀생(密生)한다. 꽃부리는 판통(瓣筒)이 길이 4mm로 뒷부분이 넓고 5개로 갈라지며 수술은 3개이다. 

열매는 수과(瘦果, achene)다. 수과는 거꿀달걀 모양(倒卵形)으로 길이 2~3mm이다. 종자(種子)는 7~8월에 익는다. 수과는 수많은 종의 속씨식물이 생산한 말린 식물의 일종이다. 수과의 영어 낱말 어킨(achene)은 입을 크게 벌리는 것을 뜻하는 그리스어 카이네인(χαίνειν, khaínein)에서 유래했다. 폐과(閉果)의 하나로서 메밀, 해바라기, 민들레, 삼, 미나리아재비 등의 열매가 일반적인 수과에 속한다. 장미, 딸기의 씨도 수과이다.  

설령쥐오줌풀은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어린 순을 나물로 한다. 민간에서 뿌리를 향료로서 담배에 섞어 피우기도 한다(국생정). 설령쥐오줌풀은 가을철에 캔 뿌리를 약재로 쓴다(국생관). 

쥐오줌풀, 넓은잎쥐오줌풀, 좀쥐오줌풀, 설령쥐오줌풀의 뿌리(根)와 근경(根莖)을 힐초(缬草)라 하며 약용한다. 정신불안, 위약(胃弱), 요통(腰痛), 월경불순, 신경쇠약, 무월경, 월경곤란, 뇌신경, 심장, 위 등의 쇠약 및 만성신경증, 요붕증(尿崩症), 동계(動悸), 히스테리, 극산병(克山病), 심장쇠약의 합병증에 따르는 심근염(心筋炎) 등 심장병, 산후 심장병, 류머티성 심장병), 위장경련(胃腸痙攣), 관절염, 타박상, 외상출혈(外傷出血) 등을 치료한다(다음백과 국생정).  

커샨병(克山病)은 중국 헤이룽쟝성 커샨현(克山縣)에서 발견된 풍토병이다. 해발 500m 이상 되는 일부 산악 지대에서 볼 수 있으며, 심장 근육이 썩는 병이다. 미량 원소, 비타민, 필수 아미노산 등이 모자랄 때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헤이수이시에차오(黑水缬草)는 뿌리와 근경을 약으로 쓴다. 맛은 맵고 쓰며(辛苦), 성질은 약간 차다(微寒). 영심안신(宁心安神), 거풍제습(祛风除湿), 정경지통(定痉止痛), 생기지혈(生肌止血)의 효능이 있다. 신허실면(肾虚失眠), 백합병(百合病), 아증(疴症), 위복창통(胃腹胀痛), 요퇴통(腰腿痛), 질타손상(跌打损伤) 등을 치료한다(百度百科). 

백합병(百合病)은 정신병의 일종이다. 말이 없고 잠을 자지 못하며, 걷지 못하고 먹지 못하며, 오한과 발열 증상이 있는 듯 없는 듯하고 정신이 불안하며, 간혹 혼자 중얼거리고 입안이 쓰며, 소변이 붉고 맥이 미삭(微數)한 등 내열증상(內熱症狀)을 수반한다. 신경쇠약이나 히스테리 혹은 일부 열병 후기에 몸이 쇠약해진 경우에도 나타나며, 갱년기증후군에서도 이러한 병증이 나타날 수 있다. 아증(疴症)은 긴 병, 잘 낫지 않는 병, 고질병을 말한다. 

힐초 또는 흑수힐초(黑水缬草)는 전국 한의과대학 본초학(本草學) 교과서나 동의보감(東醫寶鑑)에는 수재(收載)되지 않은 한약재다. 따라서, 한의사들은 임상에서 힐초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설령쥐오줌풀(백두산 북파 천문봉 능선, 2024. 7. 19.)

 

국표 등재 설령쥐오줌풀의 유사종(類似種, similarity species) 자생식물(自生植物, indigenous plant)은 긴잎쥐오줌풀[Valeriana dageletiana Nakai ex F.Maek. var. integra (Nakai) Nakai ex F.Maek.], 넓은잎쥐오줌풀(Valeriana dageletiana Nakai ex F.Maek.), 쥐오줌풀(Valeriana fauriei Briq.) 등 3종이 있다.   

긴잎쥐오줌풀(Long-leaf valerian)은 한강토 전국에 분포한다. 근경은 짧고 굵으며 잔뿌리가 사방으로 성글게 뻗어 있다. 키는 높이 40~80cm이다. 줄기는 밑에서 뻗는 가지가 자라서 번식하고 마디 부근에 긴 흰색털이 있다. 근생엽(根生葉)은 꽃이 필 때가 되면 없어지며 줄기잎은 마주나기하고 5~7개로 갈라진다. 꽃은 5~8월에 피고 붉은빛이 돌며 가지끝과 주지(主枝) 끝에 산방상(繖房狀)으로 달린다. 통처럼 생긴 꽃부리는 5개로 갈라진다. 화통(花筒)은 길이 5~7mm로서 한쪽이 약간 부풀고 3개의 수술이 길게 꽃 밖으로 나온다. 열매는 건과(乾果)로 피침형이며 길이 4mm 정도로서 윗부분에 꽃받침은 관모상(冠毛狀)으로 된다. 

넓은잎쥐오줌풀(Wide-leaf valerian, タケシマカノコソウ, 竹島鹿子草)은 경북 울릉도에 자생하는 한강토 고유종이다. 줄기는 높이 35~100cm로 곧게 서서 자란다. 지하에 기는줄기를 내고 마디에 흰색 털이 밀생할 뿐 전체에 털이 없다. 잎은 대생(對生)하고 3~7개의 소엽으로 된 우상복엽(羽狀複葉)이다. 소엽은 난형, 타원형 또는 장타원형(長楕圓形)으로 양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톱니가 불규칙하게 있으나 때로 거의 밋밋한 것도 있다. 꽃은 연한 홍색이고 산방화서(繖房花序)로 달리며 포는 길이 1cm 정도로 선형이나 총포(總苞)는 잎 모양이다. 화관(花冠)은 종형(鐘形)으로 5열하며 3개의 수술이 화관 밖으로 나온다. 열매는 피침형이고 겉에 백색 털이 있으며 꽃받침은 관모상이다. 6~7월에 꽃이 핀다. 쥐오줌풀에 비해 전체적으로 크고 마디 외에 털이 없어 구별된다. 섬오줌풀, 긴잎쥐오줌풀, 섬쥐오줌풀, 넓은잎바구니나물이라고도 한다. 

쥐오줌풀(Korean valerian, カノコソウ, 鹿子草, 缬草)은 한강토 전역에 나며, 중국 동북부, 일본, 러시아 사할린 등에 분포한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40~80cm이고, 마디에 흰 털이 난다. 뿌리는 좋지 않은 냄새가 강하다. 줄기잎은 마주나며, 아래쪽 것은 잎자루가 긴 깃꼴겹잎으로 갈래는 난형 또는 선상 피침형(線狀披針形)이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드문드문 있다. 꽃은 5~6월에 피고 줄기 끝의 산방상 원추꽃차례(繖放狀圓錐花序)에 많이 달리며, 연한 분홍색 또는 흰색이고, 지름 3~4mm다. 꽃차례는 지름 5~7cm다. 꽃부리는 통 모양으로 길이 4~5mm이고, 5갈래로 갈라진다. 열매는 수과이며 7~8월에 결실한다. 가시 모양의 우산털(雨傘毛, 갓털)이 나 있다. 

국표 등재 설령쥐오줌풀의 유사종 재배식물(栽培植物, cultivated plants)은 애리조나쥐오줌풀(Valeriana arizonica A.Gray) 1종이 있다. 원산지는 USA 유타주, 애리조나주, 뉴멕시코주, 콜로라도주, 텍사스주이다. 키는 45cm 정도까지 자란다. 해발 1,400~2,400m의 침엽수림에서 자란다. 

2024. 12. 16. 林 山
#설령쥐오줌풀 #Amurvalerian #ケカノコソウ #毛鹿子草 #黑水缬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