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7월 17일 한강토(조선반도, 한반도) 최고봉이자 조선민족(朝鮮民族, 한겨레)과 만주족(滿洲族)의 영산(靈山)인 흰머리뫼(백두산, 白頭山, 2,744m)에서 살아가는 들꽃 뫼꽃을 만나기 위해 인천 국제공항에서 국적기를 타고 중국(中國) 지린성(吉林省) 옌볜 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 옌지(延吉) 차오양촨국제공항(朝阳川国际机场)에 내렸다.
차오양촨(朝阳川)에서 처음 만난 야생화(野生花)는 황금색 꽃이 활짝 피어 있는 금혼초였다. 금혼초는 황해도와 강원도 이북 지방에 자생하는 식물이기 때문에 남한에서는 만나기가 힘든 야생화다. 금혼초, 애기우산나물, 도라지, 좁은잎사위질빵, 가는금불초, 딱지꽃, 가는장대, 너삼(苦蔘, 너삼), 짚신나물에 이어 꼬리풀도 만났다. 꼬리풀은 꼬리처럼 생긴 기다란 총상꽃차례(總狀花序)에 아주 작은 연보라색 꽃들이 다닥다닥 붙어서 한창 피어나고 있었다. 꼬리풀은 한강토 전역에 자라기에 남한에서도 쉽게 만날 수 있는 식물이다. 고향 까마귀도 타향에서 만나면 반갑다고 했다. 백두산으로 가는 머나먼 옌볜까지 와서 꼬리풀을 만나니 무척이나 반가왔다.
백두산(白頭山)에 오기 위해 남의 나라 중국(中國) 땅을 거쳐 참으로 먼 길을 돌아서 왔다. 백두산은 판문점을 거쳐 육로로 가면 단 몇 시간이면 닿을 수 있는 거리다. 지름길을 두고도 남의 나라 땅으로 돌아서 가야만 하는 어처구니없는 상황에 서글픔을 금할 수 없었다.
남한(南韓, 대한민국, 한국, 남조선)과 북한(北韓,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 북조선)이 상호불가침협정(相互不可侵協定)을 체결하고, 대사 교환(大使交換)을 한 뒤 민간인 자유 왕래를 실현했더라면 이렇게 남의 나라 땅을 통해 빙 돌아서 오지 않아도 되었을 것이다. 남과 북으로 갈라져 아직도 같은 민족끼리 오가지도 못하는 못난 민족이다. 남북한 간 민간인 자유 왕래를 가로막는 세력이 영원히 사라지기를 천지신명(天地神明)님께 빌고 또 빈다. 민간인 자유 왕래 실현을 가로막는 악(惡)의 세력을 몰아내는 것이야말로 민족사의 과업이라고 할 수 있다.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국생관)에는 꼬리풀이 피자식물문(被子植物門, Magnoliophyta) > 목련강(木蓮綱, Magnoliopsida) > 국화아강(菊花亞綱, Asteridae) > 현삼목(玄蔘目, Scrophulariales) > 현삼과(玄蔘科, Scrophulariaceae) > 꼬리풀속(Pseudolysimachion)의 여러해살이풀로 분류되어 있다. 국생관 분류 체계는 크론퀴스트 시스템(Cronquist system)을 따르고 있다.
다음백과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생정)은 꼬리풀을 통화식물목(筒花植物目, 통꽃식물목, Tubiflorales) > 현삼과 > 개불알풀속(Veronica)으로 분류하고 있다. 통화식물목은 지치과, 마편초과, 꿀풀과, 가지과, 현삼과, 능소화과 등 6과로 분류됐었다. 크론퀴스트 시스템에서 현삼과는 현삼목에 딸린 과다. 통화식물목은 현대 분류 체계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는 목명(目名)이다. 개불알풀속은 속씨식물문(Angiospermae) 질경이과(Plantaginaceae)에 딸린 속이다. 이전에는 현삼과로 분류됐었다. APG II 분류 체계에서는 질경이과로 분류한다.
국가표준식물목록(국표), 국제식물명색인(IPNI), 왕립식물원 큐(KEW) 등재(登載) 꼬리풀의 학명(學名, Scientific name)은 프세우돌리시마키온 리나리이폴리움 (팔라스. 엑스 링크) 홀룹[Pseudolysimachion linariifolium (Pall. ex Link) Holub]이다. 국표 등재 학명이명(學名異名, synonymy)은 Veronica linariifolia Pall. ex Link, 비합법명(非合法名, invalidly published name)은 P. linariifolium (Pall. ex Link) Holub f. album (T.B.Lee) Y.N.Lee이다. 국생광 등재 원기재명(原記載名)은 V. linariifolia Pall. ex Link, 학명이명은 P. linariifolium var. dilatatum (Nakai & Kitag.) Y. N. Lee(큰꼬리풀), V. linariifolia f. alba T. B. Lee, V. linariifolium f. alba T. B. Lee 등이 있다.
속명(屬名, generic name) '프세우돌리시마키온(Pseudolysimachion)'은 고대 그리스어 접두사 '프세우데스(pseudḗs, 영어 lying, false, 가짜의, 거짓의)'에서 유래한 라틴어 접두사 '프세우도(Pseudo, 영어 false, fake, 가짜의, 거짓된)'가 '리시마키온(Lysimachion, Lysimachia, 까치수염속)' 앞에 붙어서 이루어진 말인데, '가짜 까치수염속 식물'이라는 뜻이다. 리시마키아(Lysimachia)는 고대 시칠리아(Sicilia) 왕인 리시마쿠스(Lysimachus)를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는데, 그는 미친 황소에게 까치수염속 식물을 먹여서 달랬다고 한다. 까치수염속 식물을 닮은 꽃차례를 표현한 속명이다.
종명(種名, specific name) '리나리이폴리움(linariifolium)'은 라틴어 명사 '리눔(līnum, 영어 flax, linen, string, 로프, 줄, 끈) + 형용사화 접미사 '-아리우스(-ārius)'에서 유래한 '리나리우스(linarius)'의 복수형 '리나리이(līnāriī)'와 라틴어 명사 '폴리움(folium, 영어 leaf, petal, 잎, 꽃잎)'의 합성어다. 줄 모양(線形)의 좁은 잎을 표현한 종명이다.
원명명자(原命名者) '팔라스(Pall.)'는 프로이센 출신으로 러시아에서 활동한 동물학자/식물학자/민족지학자/탐험가/지리학자/지질학자/자연사학자/분류학자 페터 지몬 팔라스(Peter Simon Pallas, 1741~1811)이다. 그는 박물학자들이 수집해서 제공한 식물을 바탕으로 러시아 식물상인 '플로라 로시카(Flora Rossica, 1784~1815)'를 썼다.
'엑스(ex)'는 처음 이름을 붙인 사람이 유효출판(有效出版)을 하지 못하고, 다음 사람이 유효출판을 했다는 뜻이다. 유효출판자(有效出版者) '링크(Link)'는 독일의 박물학자이자 식물학자 요한 하인리히 프리드리히 링크(Johann Heinrich Friedrich Link, 1767~1851)이다.
괄호 안의 인명은 원명명자다. 린네가 창안한 이명법(二名法, binomial nomenclature)에서는 식물의 학명이나 속명이 바뀌는 경우 먼저 학명을 출판한 원명명자를 괄호 안에 기재한 뒤 신명명자(新命名者)를 기재해야 한다.
신명명자 '홀룹(Holub)'은 유럽 식물군 연구에 크게 기여한 체코 식물학자 요제프 루트비히 홀룹(Josef Ludwig Holub, 1930~1999)이다. 홀룹은 여러 지역의 멸종 위기에 처한 종에 대한 레드북(Redbook) 작성에 기여했다. 홀룹은 1967년 'Folia Geobotanica & Phytotaxonomica. Prague.'에서 꼬리풀의 속명을 개불알풀속(Veronica)에서 꼬리풀속(Pseudolysimachion)으로 변경한 학명을 출판했다.
국표 등재 학명 P. linariifolium (Pall. ex Link) Holub의 추천 국명(國名, Korean common name)은 꼬리풀(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등, 1937), 비추천명은 가는잎꼬리풀(한국쌍자엽식물지 초본편, 박만규, 1974), 자주꼬리풀(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흰꼬리풀 등이 있다. 꼬리풀은 멀리서 보았을 때 길게 늘어진 꽃차례가 꼬리처럼 보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국표 등재 꼬리풀의 추천 영문명(英文名, English common name)은 리니어-립 스파이크 스피드웰(Linear-leaf spike speedwell, 한반도 자생식물 영어이름 목록집 개정판, 국립수목원, 2022)이다. '선형엽(線形葉, Linear-leaf)과 수상화서(穗狀花序, 이삭꽃차례, spike)를 가진 꼬리풀(speedwell)'이라는 뜻이다. 꼬리풀은 총상화서(總狀花序, 총상꽃차례, raceme)인데, 어찌하여 수상화서라고 하는지 모르겠다. 수상화서는 꽃차례 또는 꽃이 핀 모양이 이삭을 닮은 것을 말하며 무한화서(無限花序)이다. 가늘고 긴 꽃대에 꽃들이 이삭처럼 촘촘히 달려있어서 총상화서(總狀花序, 총상꽃차례, raceme)와 비슷하다. 하지만, 수상화서는 꽃자루가 없는 점이 다르다.
국표 등재 꼬리풀의 추천 일본명(日本名, Japanese common name)은 호소바히메토라노오(ホソバヒメトラノオ, 細葉姬虎の尾)다. '가는 잎(細葉) 작은(姬) 큰까치수염(虎の尾)'이라는 뜻이다. 호소바히메토라노오(細葉虎の尾)는 가는 잎(細葉)이 협피침형(狭披針形)이고, 작은(姬) 꽃들이 호랑이 꼬리(虎の尾, 큰까치수염)처럼 생긴 꽃이삭(花穂)에 피어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Flora of Mikawa(三河の植物観察, FOM) 등재 학명 V. linariifolia Pall. ex Link, 학명이명 P. linariifolium (Pall. ex Link) Holub의 일본명은 호소바토라노오(ホソバトラノオ, 細葉虎の尾, 広義)다. '가는 잎(細葉) 큰까치수염(虎の尾)'이라는 뜻이다.
중국식물지(中国植物志, FRPS) 등재 꼬리풀의 중국명(中國名, Chinese common name)은 시예수이만징(细叶水蔓菁)이다. '좁은 잎(细叶)을 가진 꼬리풀(水蔓菁)'이라는 뜻이다. FRPS 등재 이명은 시예포포나(细叶婆婆纳, 东北植物检索表), 시예수이화(细叶穗花) 등이 있다.
꼬리풀은 한강토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산기슭이나 풀밭에서 자란다(국생정). 꼬리풀은 한강토 전역에 자생하며, 러시아 극동 지방, 동시베리아, 몽골, 중국 동북 지방, 타이완(台湾) 등지에 분포한다(국생관).
호소바토라노오(細葉虎の尾)의 원산지는 일본, 조선(朝鮮, 조선반도, 한반도, 한강토), 중국 몽골, 러시아이다(FOM). 시예수이만징(细叶水蔓菁)은 중국 동북 지방과 네이멍구(内蒙古)에 분포한다. 조선(朝鲜), 일본, 몽골(蒙古), 러시아 동시베리아 지역에도 있다. 습지, 초원, 덤불, 듬성듬성한 숲 아래에 난다(FRPS).
꼬리풀의 키는 높이 40~70cm까지 자란다. 줄기는 흔히 가지가 다소 갈라지며, 위를 향한 굽은 털이 있고 곧게 선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길이 4~8cm, 폭 5~8mm로서 거꿀피침 모양(倒披針形) 또는 피침상 선형(披針사狀線形)으로 끝이 뾰족하고, 기부(基部)가 좁아지면서 엽병(葉柄) 같이 되며, 상반부에 몇 개의 톱니가 있고 뒷면 맥(脈) 위에 굽은 털이 있다.
꽃은 7~8월 줄기 끝 길이 10~30cm의 총상꽃차례에 남색(藍色) 또는 연한 보라색, 청자색(靑紫色)으로 핀다. 꽃차례에는 짧고 굽은 털이 있다. 꽃받침은 길이 2mm로서 4개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裂片)은 끝이 둔하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꽃부리는 지름 6mm 정도이고 4개로 갈라지며, 수평으로 퍼지고 털이 있다. 수술 2개, 암술 1개이며, 화관(花冠) 밖으로 길게 뻗어 난다.
열매는 삭과(蒴果, capsule)이다. 삭과는 편평한 둥근 모양이고 꽃받침보다 다소 길며, 끝이 파지고 길이 6~7mm의 암술대가 남아 있으며, 꽃받침에 싸여 있다. 삭과는 열개과(裂開果)에 속하는 열매의 한 종류이다. 열매가 익어서 성숙하면 위에서 아래로 향해 껍질이 갈라지며(裂開) 종자(種子)가 밖으로 나온다.
국표 등재 꼬리풀의 유사종(類似種, similarity species) 자생식물(自生植物, indigenous plant)은 갯꼬리풀[P. sieboldianum (Miq.) Holub], 구와꼬리풀[P. dauricum (Steven) Holub], 긴산꼬리풀[P. longifolium (L.) Opiz], 넓은산꼬리풀[P. ovatum (Nakai) T.Yamaz.], 넓은잎꼬리풀[P. kiusianum (Furumi) Holub], 둥근산꼬리풀[P. rotundum (Nakai) Holub], 봉래꼬리풀[P.n kiusianum (Furumi) Holub subsp. kiusianum (Furumi) T.Yamaz. var. diamantiacum (Nakai) T.Yamaz.], 부산꼬리풀[P. pusanensis (Y.N.Lee) Y.N.Lee], 산꼬리풀[P. rotundum (Nakai) Holub var. subintegrum (Nakai) T.Yamaz.], 섬꼬리풀[P. nakaianum (Ohwi) T.Yamaz.], 애기구와꼬리풀[P. pyrethrinum (Nakai) T.Yamaz. var. gasanensis M.Kim & H.Jo], 지리산꼬리풀[P. rotundum (Nakai) Holub var. coreanum (Nakai) T.Yamaz.], 큰구와꼬리풀[P. pyrethrinum (Nakai) T.Yamaz.], 큰꼬리풀[P. linariifolium (Pall. ex Link) Holub var. dilatatum (Nakai & Kitag.) Y.N.Lee], 큰산꼬리풀[P. kiusianum (Furumi) Holub var. glabrifolium (Kitag.) T.Yamaz.], 털꼬리풀[Pseudolysimachion linariifolium (Pall. ex Link) Holub var. villosulus (Nakai) Y.N.Lee] 등 16종이 있다.
갯꼬리풀(영 Coastal spike speedwell, 일 ハマトラノオ, 浜虎の尾, カントラノオ)은 국표에 학명, 국명, 외국명 등만 등재되어 있다. 국생정, 국생관 미등재종이다. 원산지는 일본 서남부 규슈(九州)에서 난세이 제도(南西諸島, なんせいしょとう)까지이다. 해발 0~50m의 바위 지대에서 자란다. 여러해살이풀이다. 키는 20~30cm 정도이다. 길게 누은 털이 있다. 아래쪽 잎은 엽병이 있고 난형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줄기잎은 타원형이고 가죽질이며 길이 3~5cm이다. 개화 시기는 가을철이다. 꽃은 긴 총상꽃차례에 빽빽하게 청자색으로 핀다.
구와꼬리풀(영 Dahurian spike speedwell, 일 キクバトラノヲ, 菊葉虎の尾, 중 大穗花)은 한강토 중부 이북에 자생하며, 러시아 극동 지방, 동시베리아, 몽골, 중국 동북 지방 등지에 분포한다. 산지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고, 위쪽에서 가지를 치며 높이 30~50cm, 구부러진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고,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18~25mm, 폭 15~22mm, 끝은 날카롭고 밑부분은 심장형이며, 가장자리는 깃 모양 또는 결각상으로 갈라진다. 잎자루는 길이 1~1.5cm, 줄기 위로 갈수록 짧아진다. 꽃은 7~8월 줄기 끝에서 나온 총상꽃차례에 흰색 또는 연분홍색으로 달린다. 포잎은 선형이다. 꽃받침과 꽃부리는 4갈래로 갈라진다. 꽃부리는 길이 5~7.5mm이다. 열매는 삭과, 9~10월에 익는다. 깃꼬리풀이라고도 한다. '구와'는 '국화(菊花)'의 사투리라고 하는데, 사전에는 나오지 않는 말이다.
긴산꼬리풀(영 국표 Long-leaf spike speedwell, FOM longleaf speedwell, garden speedwell, 일 국표 ヤマルリトラノオ, FOM セイヨウトラノオ, 西洋虎の尾, 중 兔儿尾苗)은 한강토 북부 지방에 나며, 러시아, 몽골, 중국 동북 지방, 카자흐스탄, 서남아시아, 유럽 등에 분포한다.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고, 높이 100cm, 털이 없거나 듬성하게 있다. 잎은 마주나거나 3~4개씩 돌려나고, 잎자루는 길이 2~4mm다. 잎은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으로 길이 4~15cm, 폭 1~3cm, 밑부분은 쐐기 모양, 끝은 길게 뾰족해지고, 가장자리에는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잎 표면과 뒷면 잎맥 위에 털이 듬성하게 있다. 꽃은 7~8월에 푸른 자주색으로 피며, 줄기 끝에서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은 4갈래로 갈라지며, 갈래조각은 난형이고 끝은 뾰족하다. 꽃부리는 4갈래로 갈라지고, 갈래조각은 벌어진다. 수술은 2개, 꽃부리 밖으로 나온다. 열매는 삭과, 난형이며, 길이 3m쯤, 암술대가 남아 있다. 종자는 9월에 익는다. 산꼬리풀에 비해 줄기에 털은 없거나 듬성하게 있으며, 꽃부리 통부는 꽃부리 열편보다 짧아 구분된다. 염증, 천식 등에 약용한다. 가는잎꼬리풀, 가는잎산꼬리풀, 산꼬리풀, 좀꼬리풀, 큰산꼬리풀이라고도 한다.
넓은산꼬리풀(영 Jejudo spike speedwell, 일 ヒロハヤマトラノオ, 山虎の尾, 広葉山虎の尾)은 일본, 한강토 제주도 한라산에 분포한다.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고, 윗부분에 누운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고, 3각상 난형, 밑부분은 둥글며,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꽃은 8~9월 줄기 끝 총상꽃차례에 보라색으로 달린다. 꽃차례는 밑에서 갈라지고, 꽃자루는 꽃받침의 길이와 비슷하다. 열매는 삭과다.
넓은잎꼬리풀(영 Long-hairy spike speedwell, 일 국표 ヒロハトラノオ, FOM ツクシトラノオ, 筑紫虎の尾 広義, 별명 ヒロハトラノオ, ヒロバトラノオ, 중 长毛穗花)은 일본, 한강토 중부 이남에 분포한다.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고, 높이 50~70cm, 전체에 짧은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며, 삼각상 난형 또는 좁은 삼각형, 밑부분은 얕은 심장형,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꽃은 7~8월 연한 보라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서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열매는 삭과다.
둥근산꼬리풀(영 Round-leaf spike speedwell, 일 マルバヤマトラノオ, 丸葉山虎の尾 広義, 중 无柄穗花)은 1997년 8월 14일 강원도 인제군 기린면 진동리에서 표본이 채집되었다. 키는 40~100cm 정도이다. 줄기는 털이 없다. 잎 길이는 2~4cm이다. 기부의 잎은 엽병이 불분명하다. 잎이 넓고 둥글게 생겨 둥근산꼬리풀이란 이름이 붙었다. 꽃은 연한 보라색으로 핀다.
봉래꼬리풀(영 Geumgangsan spike speedwell, 일 ミヤマトラノオ, 深山虎の尾)은 강원도 설악산, 금강산 비로봉 등에 분포하는 한강토 고유종이다.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고 높이 20~25cm이며 다소 붉은빛이 돌고 긴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고, 난형 또는 난상 장타원형으로 길이 2.5~4cm이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거나 수평이다. 잎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고 표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붉은빛이 돌고 다소 딱딱한 털이 산생하며 잎자루가 있다. 꽃은 7~8월 위쪽 잎겨드랑이와 줄기 끝 총상꽃차례에 연한 보라색으로 달린다. 꽃싸개잎은 피침형 또는 좁은 피침형으로 작은 꽃자루보다 약간 길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끝이 둔하다. 꽃부리는 4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난형이며 끝은 뾰족하고 수술은 2개이며 열매는 삭과이다. 잎이 가죽질로 삼각상 난형 또는 난형이며, 잎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이중 톱니가 있고, 꽃받침 열편이 선상 피침형으로 끝 부문이 둔한 점 등이 다른 꼬리풀속과 다르다. 좀꼬리풀이라고도 한다.
부산꼬리풀(영 Pusan spike speedwell)은 부산 바닷가에 자라는 한강토 특산식물이다. 여러해살이풀이다. 키는 20cm 정도로 자란다. 줄기는 높게 직립하여 자라지 않고 비스듬하게 누워서 자란다. 잎은 마주난다. 잎 모양은 두껍고 결각이 있다. 잎과 줄기에는 흰색의 잔털이 많이 나 있다. 꽃은 7∼8월 줄기 끝 총상꽃차례에 다닥다닥 붙어서 푸른색으로 핀다. 암술은 1개, 수술은 2개이다. 열매는 삭과이다.
산꼬리풀(영 Mountain spike speedwell, 일 ヤマトラノオ, 山虎の尾)은 제주도를 제외한 한강토 전역에 나며, 일본, 중국 동북 지방 등에 분포한다. 해발 600~800m 양지바른 곳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가 곧추서고 40~90cm까지 자라며, 식물 전체에 잔털이 드물게 난다. 잎은 서로 마주 보고 달리며, 길이 5~11cm, 너비 1.5~2.5cm의 넓은 피침형으로, 끝은 뾰족하고, 아래는 좁아지며, 가장자리에는 불규칙한 톱니들이 있고, 잎자루는 거의 없다. 꽃은 8월 줄기 끝에 달리는 길이 10~20cm 정도의 총상꽃차례에 무리 지어 자주색으로 핀다. 꽃받침은 4갈래로 깊게 갈라지고, 꽃받침 조각 끝은 뾰족하다. 통꽃으로 꽃부리는 지름이 약 8mm 정도이며, 깔때기 모양이다. 열매는 삭과(마른 열매)로 맺힌다. 산꼬리풀은 잎에 톱니만 있을 뿐 갈라지지는 않으며, 잎은 잎자루가 거의 없는 피침형이고, 꽃은 여러 개가 무리 지어 피고, 줄기에는 잔털이 드물게 나는 특징으로 다른 꼬리풀속 식물과 구분된다. 또한 꼬리풀의 잎 아래쪽에는 톱니가 없고 푸른빛이 도는 자주색으로 피므로 구분된다. 관상용으로 심는다. 북꼬리풀이라고도 한다.
섬꼬리풀(영 Ulleungdo spike speedwell, 일 タケシマクワガタ)은 경북 울릉도에 분포하는 한강토 고유종이다.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고 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높이 30cm 내외이고 전주에 털이 있다.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없어진다. 줄기잎은 마주나며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으로 길이 3.5~5cm이고 끝은 뾰족하며 밑은 둥글거나 거의 수평이고 가장자리는 불규칙한 결각과 더불어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길이 1~3cm이고 골이 파진다. 꽃은 6~7월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와 줄기 끝 총상꽃차례에 연한 하늘색으로 핀다. 꽃싸개잎은 난형으로 톱니가 있다. 작은 꽃자루는 길이 3~6mm이다. 꽃받침은 4개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넓은 피침형이며 꽃부리도 4개로 갈라지고 수술은 2개이다. 열매는 삭과로 편평한 타원형, 암술대가 남아 있다. 관상식물로 이용할 수 있다.
애기구와꼬리풀(영 Little large spike speedwell)은 국표에 학명, 국명, 영문명 등만 등재되어 있다. 국생정 미등재종이다. 국생관에는 2015년 8월 31일 경북 칠곡군에서 최초로 발견된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김무열과 조현은 2017년 'Korean Endemic Plants'에 애기구와꼬리풀의 학명을 출판했다. 원산지는 남한이다.
지리산꼬리풀(영 Korean spike speedwell, 일 オオヤマトラノオ, 大山虎の尾, 중 朝鲜穗花, 俗名 朝鲜婆婆纳)은 지리산 이북에서 자라는 한강토 고유종이다. 해발 800m 이상 높은 산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키는 높이 1m 정도이다. 줄기는 곧게 서며 털이 거의 없다. 잎은 마주나며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 끝이 길게 뾰족하며, 길이 10cm, 너비 2.2cm이다. 꽃은 7~8월 가지 끝 총상꽃차례에 하늘색으로 달린다. 꽃자루와 꽃차례 축에는 털이 있다. 꽃싸개잎은 선형이고 길이 2mm인 작은 꽃자루보다 짧다. 꽃받침과 꽃부리는 4개로 갈라지고 수술은 2개로서 길게 밖으로 나온다. 열매는 삭과, 9~10월에 결실한다. 관상용으로 심는다. 어린잎은 식용한다.
큰구와꼬리풀(영 Large spike speedwell, 일 オオキクバトラノオ, 大菊葉虎の尾)은 한강토 경북 경주시, 대구시에 분포한다. 여러해살이풀이다. 키는 30~50cm 정도이다. 줄기에 퍼진 털이 있으며, 전체에 연한 백색의 털이 밀생한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달걀 모양 또는 타원형이며 우상(羽狀)으로 완전히 또는 깊게 갈라진다. 열편은 끝이 둥글며 톱니가 약간 있거나 결각상이고 길이 3~5cm, 폭 1~2cm로서 양면에 연한 털이 다소 밀생한다. 꽃은 8월에 개화하고 정생하는 총상꽃차례는 길이 8~10cm로서 꼬부라진 털이 다소 밀생하고 작은 꽃들이 밀착한다. 작은 포는 선형이고 길이 2mm로서 꽃자루, 꽃받침 열편과 길이가 비슷하며 꽃자루가 보다 긴 것도 있다. 꽃부리는 길이 3~4mm로서 벽자색(碧紫色)이고 수술은 2개로서 밖으로 나오며 암술대에 복모가 다소 있다. 삭과는 납작한 도란상 원형이고 끝이 파지며 길이 5mm의 암술대가 달려 있다.
큰꼬리풀(영 Large linear-leaf spike speedwell, 일 オオホソバトラノオ, 大細葉虎の尾, 중 水蔓菁)은 한강토 전역의 산야에서 자란다. 여러해살이풀이다. 키는 높이 40~70cm이고 흔히 가지가 다소 갈라지며 위를 향한 굽은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넓은 피침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같이 되며 길이 4~8cm, 폭 5~8mm로서 특히 뒷면 맥 위에 굽은 털이 있고 윗부분에 톱니가 약간 있다. 꽃은 7~8월 정생하는 총상꽃차례에 청자색으로 달린다. 꽃차례는 길이 10~30cm로서 짧고 굽은 털이 있다. 꽃받침은 길이 2mm로서 4개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끝이 둔하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꽃부리는 지름 6mm로서 4개로 갈라져서 거의 수평으로 퍼진다. 수술은 2개이다. 열매는 꽃받침보다 다소 길고 편원형으로서 끝이 파지며 길이 6~7mm의 암술대가 달려 있다.
큰산꼬리풀(영 Smooth-leaf spike speedwell)은 지리산 이북에 나며 중국 동북 지방에 분포한다. 여러해살이풀이다. 키는 1m 정도이다. 줄기는 곧추서고 꽃차례 부분을 제외하고는 털이 거의 없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장타원형 또는 피침형으로 중앙부의 것은 길이 10cm, 나비 2.2cm이며, 끝은 길게 뾰족해지고 밑은 둥글며,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다. 잎에는 털이 거의 없거나 뒷면 가장자리 근처와 주맥에 약간 있으며 엽병은 없다. 꽃은 7~8월 위쪽의 잎겨드랑이와 줄기 끝 총상꽃차례에 하늘색으로 달린다. 포는 선형이고 꽃자루보다 짧다. 꽃받침은 4열하고 열편은 끝이 뾰족하다. 꽃부리는 4개로 갈라지고 수술은 2개이다. 열매는 삭과로 타원형이다.
털꼬리풀(영 Villous spike speedwell, 일 ケトラノオ, 毛虎の尾)은 제주도 또는 남쪽 바닷가 근처에 분포한다. 여러해살이풀이다. 키는 30~60cm 정도이다. 줄기는 퍼진 털이 밀생하며 가지가 그리 갈라지지 않는다. 잎은 인접하여 달리고 밑부분에서는 마주나기하며, 윗부분에서는 어긋나기하고 거꿀피침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다. 줄기 윗부분의 잎은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나 중앙 이하의 것은 밋밋하며 좁아져서 원줄기에 달리고 길이 2~3cm, 폭 4~9mm로서 양면에 털이 많다. 원줄기 끝에서 자란 꽃차례는 꽃이 밀착하여 총상꽃차례처럼 보인다. 꽃자루에는 털이 있다. 꽃받침은 4개로 완전히 갈라지고, 열편은 피침형이고 길이 2mm로서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꽃부리는 보라색, 길이 5mm이고, 열편은 달걀 모양 또는 긴 타원상 달걀 모양으로서 끝이 둔하다. 수술은 화관보다 길고, 암술대는 길이 4mm 정도이다. 열매는 길이 2.5mm 정도로서 편원형이며 털이 없고 끝에 암술대가 남아 있다.
2025. 2. 5. 林 山
#꼬리풀 #Linearleafspikespeedwell #ホソバヒメトラノオ #細葉虎の尾 #ホソバトラノオ #細葉虎の尾 #细叶水蔓菁 #细叶婆婆纳 #细叶穗花
'야생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두산 야생화] 용머리 '승천(昇天)' (0) | 2025.02.03 |
---|---|
[백두산 야생화] 가는쑥부쟁이 '그리움' (0) | 2025.02.03 |
[백두산 야생화] 짚신나물 (0) | 2025.01.29 |
[백두산 야생화] 고삼(苦蔘, 너삼) (0) | 2025.01.21 |
[백두산 야생화] 가는장대 (0) | 2025.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