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이야기

[백두산 야생화] 갈퀴나물 '용사(勇士)의 모자(帽子)'

林 山 2025. 2. 27. 17:52

2024년 7월 17일 한강토(조선반도, 한반도) 최고봉이자 조선민족(朝鮮民族, 한겨레)과 만주족(滿洲族)의 영산(靈山)인 흰머리뫼(백두산, 白頭山, 2,744m)에서 살아가는 들꽃 뫼꽃을 만나기 위해 인천 국제공항에서 국적기를 타고 중국(中國) 지린성(吉林省) 옌볜 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 옌지(延吉) 차오양촨국제공항(朝阳川国际机场)에 내렸다.  

차오양촨(朝阳川)에서 처음 만난 야생화(野生花)는 황금색 꽃이 인상적인 금혼초였다. 금혼초는 황해도와 강원도 이북 지방에 자생하는 식물이기 때문에 남한에서는 만나기가 힘든 야생화다. 금혼초, 애기우산나물, 도라지, 좁은잎사위질빵, 가는금불초, 딱지꽃, 가는장대, 너삼(苦蔘, 너삼), 짚신나물, 꼬리풀, 가는쑥부쟁이, 용머리, 참시호, 꽃층층이꽃, 큰뱀무, 까치수염, 박주가리, 메꽃, 솔체꽃, 둥근잎삽주, 원지(遠志), 무릇, 벼룩이울타리에 이어 홍자색(紅紫色) 꽃이 한창 피어나고 있는 갈퀴나물을 만났다. 백두산(白頭山)으로 가는 머나먼 만주(满洲) 옌볜까지 와서 갈퀴나물을 만나게 될 줄은 몰랐다. 갈퀴나물은 남한(南韓, 대한민국, 한국, 남조선) 전역의 어느 산에서나 흔하게 볼 수 있는 식물이다. 하지만 중국 만주에서도 자라고 있는 갈퀴나물을 바라보면서 한강토와 이 지역이 역사적으로뿐만 아니라 생태학적으로도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느꼈다.  

백두산에 오기 위해 남의 나라 중국(中國) 땅을 거쳐 참으로 먼 길을 돌아서 왔다. 백두산은 판문점을 거쳐 육로로 가면 단 몇 시간이면 닿을 수 있는 거리다. 한강토의 지름길을 두고도 남의 나라 중국 땅으로 돌아서 가야만 하는 어처구니없는 상황에 서글픔을 금할 수 없었다.  

남한과 북한(北韓,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 북조선)이 상호불가침협정(相互不可侵協定)을 체결하고, 대사 교환(大使交換)을 한 뒤 민간인 자유 왕래를 실현했더라면 이렇게 남의 나라 땅을 통해 빙 돌아서 오지 않아도 되었을 것이다. 남과 북으로 갈라져 아직도 같은 민족끼리 오가지도 못하는 부끄러운 나라, 못난 민족이다. 남북한 간 민간인 자유 왕래를 가로막는 세력이 영원히 사라지기를 천지신명(天地神明)님께 빌고 또 빈다. 민간인 자유 왕래 실현을 가로막는 악(惡)의 세력을 몰아내는 것이야말로 민족사의 최대 사명이 아닌가 한다. 

 

갈퀴나물(중국 지린성 옌볜 차오양촨, 2024. 7. 17)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국생관)에는 갈퀴나물이 피자식물문(被子植物門, Magnoliophyta) > 목련강(木蓮綱, Magnoliopsida) > 장미아강(薔薇亞綱, Rosidae) > 콩목(豆目, Fabales) > 콩과(豆科, Fabaceae) > 나비나물속(Vicia)의 여러해살이 덩굴식물로 분류되어 있다.  

국가표준식물목록(국표),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생정), 국제식물명색인(IPNI), 왕립식물원 큐(KEW) 등재(登載) 갈퀴나물의 학명(學名, Scientific name)은 비키아 아모에나 피셔 엑스 세랭제(Vicia amoena Fisch. ex Ser.)이다. 국표 등재 학명 이명(學名異名, synonymy)은 Vicia rapunculus Debeaux, Vicia amoena Fisch. ex Ser. f. albiflora P.Y.Fu & Y.A.Chen, 비합법명(非合法名, invalidly published name)은 Vicia amoena Fisch. ex Ser. f. albiflora Y.N.Lee, Vicia amoena Fisch. ex Ser. f. albiflora Y.N.Lee 등이 있다.  

속명(屬名, generic name) '비키아(Vicia)'는 라틴어 명사 '비키아(vicia, 영어 vetch, 야생 완두, 살갈퀴)'에서 유래한 횡단언어(橫斷言語, Translingual)다. 야생 완두 또는 살갈퀴 등 나비나물속(vetchs)과 콩류(beans) 등을 포함한 콩과(Fabaceae) 내의 분류학적 속(屬)이다.  

종명(種名, specific name) '아모에나(amoena)'는 라틴어 형용사 '아모에누스(amoenus, 영어 pleasant, 즐거운, lovely, 사랑스러운, delightful, 기쁜, 유쾌한, 매혹적인, charming, 매력적인)'의 주격/호격/여성/단수형이다. '아모에누스(amoenus)'의 기원은 밝혀지지 않았다. 아마도 '아모(amo, 영어 I love, 사랑한다)', '미노(mino, 영어 I drive forth, 앞으로 나아가다)'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원명명자(原命名者) '피셔(Fisch.)'는 신성 로마 제국에서 태어난 러시아의 식물학자 프리드리히 에른스트 루트비히 피셔(Friedrich Ernst Ludwig Fischer, 1782~1854)이다. 그는 1823년부터 1850년까지 상트페테르부르크 식물원 원장을 역임했다.  

'엑스(ex)'는 원명명자가 유효 출판(有效出版)을 하지 못하고, 다음 사람이 유효 출판을 했다는 뜻이다. 유효 출판자명(有效出版者名) '세랭제(Ser.)'는 리옹 식물원(Jardin de Plantes de Lyon) 관장을 역임한 프랑스 의사이자 식물학자 니꼴라 샤를 세랭제(Nicolas Charles Seringe, 1776~1858)이다. 세랭제는 1825년 'Prodromus Systematis Naturalis Regni Vegetabilis ... (DC.)'에서 갈퀴나물의 학명을 유효 출판했다. 

국표 등재 학명 Vicia amoena Fisch. ex Ser.의 추천 국명(國名, Korean common name)은 갈퀴나물(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비추천명은 갈퀴덩굴, 갈키나물(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등, 1937), 녹두두미, 말굴레풀(조선식물지, 임록재, 1996+), 참갈귀, 큰갈퀴나물, 흰갈퀴나물, 말굴레(조선식물지, 임록재, 1996+) 등이 있다.  

갈퀴나물은 다른 물체를 감아 올라가는 덩굴손이 갈퀴 모양과 비슷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여겨진다. 말굴레는 탁엽(托葉)이 말의 목을 감싼 말갈퀴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꽃말은 '용사(勇士)의 모자(帽子)'이다. 옛날 로마 병정들의 투구처럼 생긴 꽃에서 유래한 꽃말로 보인다.  

국표 등재 갈퀴나물의 추천 영문명(英文名, English common name)은 체더 베취(Cheder vetch, 한반도 자생식물 영어이름 목록집 개정판, 국립수목원, 2022)이다. '체더(Cheder) 살갈퀴(vetch)'라는 뜻이다. '체더(cheder, 히브리어 חדר)'는 직역하면 '방(room)', 속어(俗語)로 '독방(獨房)'이라는 뜻인데, 유대교와 히브리어의 기초를 가르치는 전통적인 초등학교다. 영문명 이름 유래는 찾지 못했다.  

국표, Flora of Mikawa(三河の植物観察, FOM) 등재 갈퀴나물의 추천 일본명(日本名, Japanese common name)은 츠루후지바카마(ツルフジバカマ, 蔓藤袴)이다. '덩굴(蔓) 등골나물(藤袴)'이라는 뜻이다.  

츠루후지바카마(蔓藤袴)라는 이름은 보라색(紫色) 꽃이 후지바카마(フジバカマ, 藤袴, 등골나물)의 꽃과 비슷하다는 것에서 유래했다. 또한 잎이 붙어 있는 탁엽을 하카마(はかま, 袴)로 보고 전체를 등(フジ, 藤)에 비유했다는 설도 있다. 하카마(袴)는 일본 옷의 겉에 입는 주름 잡힌 하의(下衣)다. 지금은 하오리(はおり, 羽織)와 함께 정장(正裝)을 할 때 입는다. 꽃이 등(フジ, 藤)을 닮고 덩굴(蔓) 모양이라서 덩굴등(蔓藤), 탁엽이 하카마(袴)를 닮았다고 하여 츠루후지바카마(蔓藤袴)라는 이름이 붙었다는 설도 있다. 등색(藤色)의 하카마(袴)로 생각하고, 하나의 꽃으로 보면 꽃받침(萼)은 허리(腰)이고 꽃잎(花弁·花瓣) 모양은 하카마(袴)로 보이며, 꽃차례(花序) 전체로 보면 상부 꽃봉오리(蕾)가 하카마(袴)로 보인다고 한다. 일본에서 갈퀴나물의 꽃말은 '순수한 마음(無垢な心), 순수한 사랑(純粋な愛)'이다.  

중국식물지(中国植物志, FRPS, 1998), FOM 등재 갈퀴나물의 중국명(中國名, Chinese common name)은 샨예완떠우(山野豌豆, 中国主要植物图说·豆科)이다. '산과 들(山野)에 나는 완두(豌豆)'라는 뜻이다. FRPS 등재 속명(俗名)은 뤄떠우양(落豆秧), 떠우완완(豆豌豌, 东北, 山西), 빠이화샨예완떠우(白花山野豌豆), 쥐안마오샨예완떠우(绢毛山野豌豆) 등이 있다.  

갈퀴나물은 한강토 전국 각처의 들에서 자란다. 중국, 몽골, 일본, 러시아에도 분포한다. 산야의 습윤한 풀밭, 관목림에서 자란다(국생정). 갈퀴나물은 한강토 전역에 나며, 일본, 중국, 몽골, 러시아 극동 지방 등에 분포한다(국생관).  

츠루후지바카마(蔓藤袴)는 일본(北海道, 本州, 四国), 조선(朝鮮, 조선반도, 한반도, 한강토), 중국, 몽골, 러시아, 카자흐스탄 등지에 분포한다(FOM). 샨예완떠우(山野豌豆)는 중국 똥베이(东北), 화베이(华北), 샨시(陕西), 간쑤(甘肃), 닝샤(宁夏), 허난(河南), 후베이(湖北), 샨똥(山东), 쟝쑤(江苏), 안후이(安徽) 등지에 분포한다. 해발 80~7500m의 초원, 언덕, 덤불 또는 혼합림에서 자란다. 또한 시베리아와 러시아 극동 지방, 조선(朝鲜), 일본, 몽골에도 분포한다(FRPS).  

갈퀴나물의 뿌리는 땅속줄기(根莖)가 뻗으면서 번식한다. 줄기는 덩굴성으로 길이 80~180cm 정도까지 자란다. 덩굴손으로 다른 물체를 감아 가면서 위로 올라간다. 줄기에는 능선(稜線)이 있어 네모지고 잎 뒷면과 더불어 잔털이 있거나 없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10~16개의 소엽(小葉)으로 된 짝수 깃 모양 겹잎(偶數羽狀複葉)이며, 극히 짧은 엽병(葉柄)이 있고 엽축(葉軸) 끝에는 2~3개로 갈라진 덩굴손이 있다. 소엽은 긴 타원형(長楕圓形) 또는 피침형(披針形)이며, 예두(銳頭) 또는 둔두(鈍頭)이고 예저(銳底)이며, 길이 15~30mm, 폭 4~10mm로서 끝에 돌기(突起)가 약간 있다. 잎 양면에는 털이 성글게 있거나 없고 측맥(侧脉) 끝에 돌출로 생긴 작고 낮은 톱니가 있다. 탁엽은 3각상 부채형(三角狀扇形)으로 윗머리에 1~2개의 톱니가 있다. 

화경(花莖)은 길이 2~7cm로서 액생(腋生)한다. 꽃차례는 길이 4~8cm로서 한쪽으로 치우쳐서 많은 꽃이 총상(總狀)으로 달린다. 꽃은 6~9월에 홍자색 접형(蝶形)으로 핀다. 꽃 길이는 12~15mm이고 포(苞)가 작다. 꽃받침은 종형(鐘形)으로서 5개의 불규칙한 조각으로 갈라지며, 밑부분의 것이 가장 길고 꽃받침통보다 짧거나 같다. 기꽃잎(旗瓣)과 날개꽃잎(翼瓣)은 길이가 같고 용골꽃잎(龍骨瓣)은 날개꽃잎보다 짧다. 

열매는 협과(莢果, legume)이다. 협과는 납작한 긴 타원형이며 길이 2~2.5cm, 너비 5mm로서 털이 없다. 꼬투리 안에는 2~4개의 검고 둥근 종자(種子)가 들어 있다. 종자는 8~9월에 성숙한다. 

갈퀴나물은 목초(牧草)나 밀원식물(蜜源植物)이다. 어린 식물체는 나물로 한다. 갈퀴나물의 줄기와 잎을 중국 동북 지구에서는 투골초(透骨草)라고 이르며 풍습관절통(风湿关节痛), 염좌상(捻挫傷) 등의 치료에 쓴다(다음백과 국생정). 

샨예완떠우(山野豌豆)는 단백질 함량이 최대 10.2%에 달하는 우수한 사료용 풀로 가축에게 인기가 많다. 민간요법에서는 이를 터우구차오(透骨草)라 부른다. 습기를 제거(去湿)하고 열을 내리며 해독(清热解毒)하는 효과가 있어 부스럼이나 외상(疮)의 세제(洗剂)로 사용된다. 이 종은 번식이 빠르고 재생능력이 강하다. 방풍(防风), 모래 고정(固沙), 토양과 물 보존과 녹비(绿肥)에 사용되는 작물 중 하나다. 꽃이 피는 기간이 길고 색상이 밝아서 울타리, 황무지 언덕에 심거나 조경, 인공 초원, 이른 봄에 꿀을 얻는 식물로 이용할 수 있다(FRPS). 

갈퀴나물, 등갈퀴나무, 큰갈퀴의 경엽(莖葉)을 산야완두(山野豌豆)라 하며 약용한다. 거풍습(祛風濕), 활혈서근(活血舒筋), 지통(止痛)의 효능이 있다. 류머티즘통, 염좌상, 무명종독(無名腫毒), 음낭습진(陰囊濕疹)을 치료한다(다음백과 국생정). 

투골초, 산야완두는 전국 한의과대학 본초학(本草學) 교과서나 동의보감(東醫寶鑑)에는 수재(收載)되어 있지 않은 본초명이다. 따라서, 한의사들은 투골초, 산야완두를 임상에서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갈퀴나물(중국 지린성 옌볜 차오양촨, 2024. 7. 17)

 

국표 등재 갈퀴나물의 유사종(類似種, similarity species) 자생식물(自生植物, indigenous plant)은 가는갈퀴[Vicia angustifolia L. var. minor (Bertol.) Ohwi], 가는등갈퀴(Vicia tenuifolia Roth), 가는살갈퀴(Vicia sativa L. subsp. nigra Ehrh.), 광릉갈퀴[Vicia venosa (Link) Maxim. var. cuspidata Maxim.], 광양나비나물(Vicia unijuga A.Braun var. vesnusta Nakai), 긴잎나비나물[Vicia unijuga A.Braun f. angustifolia (Makino) Makino ex W.T.Lee], 나래완두(Vicia anguste-pinnata Nakai), 나비나물(Vicia unijuga A.Braun), 넓은잎갈퀴(Vicia japonica A.Gray), 네잎갈퀴나물(Vicia nipponica Matsum.), 노랑갈퀴(Vicia chosenensis Ohwi), 노루목등갈퀴(Vicia cracca L. f. leucantha Nakai), 들완두(Vicia bungei Ohwi), 등갈퀴나물(Vicia cracca L.), 벌완두(Vicia amurensis Oett.), 살갈퀴(Vicia sativa L.), 새완두[Vicia hirsuta (L.) Gray], 숲갈퀴나물[Vicia amurensis Oett. var. pallida (Trautv.) Kitag.], 애기나비나물(Vicia unijuga A.Braun var. kaussanensis H.Lév.), 얼치기완두[Vicia tetrasperma (L.) Schreb.], 연리갈퀴[Vicia venosa (Link) Maxim.], 울산나비나물(Vicia unijuga A.Braun var. ulsaniana M.Kim & H.Jo), 잔나비나물(Vicia bifolia Nakai), 큰나비나물(Vicia unijuga A.Braun var. ouensanensis H.Lév.), 큰네잎갈퀴[Vicia ramuliflora (Maxim.) Ohwi], 큰등갈퀴(Vicia pseudo-orobus Fisch. & C.A.Mey.), 함경나비나물(Vicia ohwiana Hosok.), 흰꽃나비나물(Vicia unijuga A.Braun f. albiflora Nakai) 등 28종이 있다.  

가는갈퀴(영 국표 Lesser narrow-leaf vetch, FOM narrow-leaved vetch, common vetch, 일 ホソバヤハズエンドウ, 細葉烏野豌豆)는 두해살이풀이다. 원줄기는 밑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사각형이며 다소 옆으로 눕는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엽병이 짧고 3~7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1회 우상 복엽(一回羽狀複葉)으로서 끝이 덩굴손으로 된다. 소엽은 선형(線形) 또는 선상 긴 타원형(線狀長楕圓形)이며 길이 15~25mm, 너비 2~5mm로서 원두(圓頭) 또는 절두(截頭)이고, 밑부분의 것은 흔히 거꿀달걀 모양(倒卵形)이며 길이 6~10mm로서 요두(凹頭, 잎끝이 원형이고 잎맥의 끝은 오목하게 패인 모양)이고 탁엽이 2개로 갈라진다. 꽃은 4월 잎겨드랑이에 1~2개씩 홍자색으로 핀다. 꽃받침은 끝이 5개로 갈라지고 기꽃잎 끝이 파진다. 살갈퀴와 비슷하지만 소엽이 선상 긴 타원형인 것이 다르다. 

가는등갈퀴(영 Fine-leaf vetch, 국표 일본명 ホシバクサフジ는 ホソバクサフジ의 誤記로 보임)는 한강토 전역에 나며, 러시아, 중국, 중앙아시아, 유럽 등에 분포한다.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높이 1.5m, 능선이 있고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깃꼴 겹잎(羽狀複葉)이며 소엽은 3~13쌍이다. 소엽은 선형 또는 선상 피침형(線狀披針形)으로 길이 1~3cm이다. 턱잎은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다. 꽃은 6~8월에 보라색으로 피며, 줄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총상꽃차례(總狀花序)에 한쪽으로 치우쳐 달린다. 꽃받침은 통형(筒形)이고 끝이 5갈래로 갈라지며, 꽃받침조각은 끝이 뾰족하다. 열매는 협과, 장타원형이며 길이 2.5cm, 편평하고 털이 없다. 씨가 5개씩 들어 있다. 등갈퀴나물에 비해 꽃차례의 길이가 잎과 같거나 2배 정도 길기 때문에 구별된다. 

가는살갈퀴(영 국표 Narrow-leaf vetch, FOM common vetch, garden vetch, 일 ヤハズエンドウ, 矢筈豌豆, 別名 カラスノエンドウ, 烏野豌豆, 중 窄叶野豌豆)는 한강토 중부 이남에 나며, 러시아, 일본, 이란, 북아메리카, 유럽 등에도 분포한다.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높이 60~150cm, 덩굴지거나 다른 물체를 감고 오르며, 단면은 네모나고, 연한 털이 있거나 없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짧으며, 3~7쌍의 소엽으로 된 깃꼴 겹잎이다. 잎끝 덩굴손은 가늘고 길며, 3갈래로 갈라진다. 소엽은 선형 또는 선상 긴 타원형으로 길이 15~30mm, 폭 2~6mm, 끝이 둥글다. 밑부분 소얍은 도란형으로 길이 6~10mm, 끝이 다소 오목하다. 턱잎은 2개, 갈라진 반 화살 모양이고, 가장자리는 뾰족한 톱니 모양이다. 꽃은 4~6월 위쪽의 잎겨드랑이에 1~2개가 모여 붉은색을 띤 보라색으로 달린다. 꽃 길이는 10~18mm이다. 꽃자루는 짧다. 꽃받침은 종 모양으로 길이 8~12mm, 끝이 뾰족하게 갈라지며, 갈래조각은 1.5~3.0mm쯤이다. 열매는 협과, 납작하고, 길이 2.5~5.0cm, 폭 0.6cm쯤이다. 살갈퀴와 비슷하지만 소엽이 선상 긴 타원형인 점이 다르다. 

광릉갈퀴(영 Gwangneung vetch, 일 국표 チョウセンヨツバハギ, 朝鮮四つ葉萩, FOM エビラフジ, 箙藤)는 한강토 황해도 이북, 경기도, 강원도, 전북, 경북 등에 나며, 일본에도 분포한다.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80~100cm, 세로로 능선이 있고 짧은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4~6쌍의 소엽으로 된 깃꼴겹잎이며, 끝에 있는 덩굴손은 짧은 가시 모양이다. 잎자루는 길이 8~10mm다. 잎몸은 좁은 난형(狹卵形)으로 길이 2.8~6.5cm, 폭 0.7~2.4cm, 밑부분은 둥글며, 끝은 길게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턱잎은 2개, 삼각상 반달 모양으로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꽃은 6~7월에 붉은 자주색으로 피며, 윗부분은 잎겨드랑이에 총상꽃차례를 이루고 한쪽으로 치우쳐 달린다. 꽃받침잎은 5갈래로 얕게 갈라진다. 꽃부리는 나비 모양이다. 열매는 협과, 7~8월에 익으며, 3~4개의 씨가 들어 있다. 나래완두에 비해 소엽이 난형이며, 꽃차례는 길이 2~4cm로 꽃이 듬성하게 달리고 보다 늦게 6~7월에 피므로 구분된다. 어린순을 식용한다.  

광양나비나물(영 Sweet two-leaf vetch, 일 フジガエソウ)은 한강토 전역에서 자란다. 여러해살이풀이다. 키는 높이 0.4~1m 정도이다. 줄기는 능각(稜角)이 있고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엽병이 짧다. 소엽은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며 양끝이 좁고 끝이 둔하며 가시 같은 돌기가 있고 길이 1.5~5.5cm, 너비 4~15mm로서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탁엽은 엽병보다 길며 반전형(半箭形)이고 양끝이 날카롭다. 나비나물과 비슷하지만 잎이 훨씬 좁으며 간혹 밑부분에 나비나물과 같은 잎이 달리고 가지에 좁고 긴 잎이 달리는 것도 있다. 꽃은 6~8월에 피며 길이 13mm 정도로서 남자색(蓝紫色)이고 액생하는 총상꽃차례에 달린다. 꽃차례는 길이 3cm 정도이고 털이 없으며 화경은 길이 2~4cm이다. 꽃받침조각은 길이 4mm 정도로서 복모(伏毛, sericeous)가 약간 있고 작은포(小苞)는 소돌기(少突起) 같다. 

긴잎나비나물(영 Narrow two-leaf vetch, 일 フジガエソウ)은 한강토 전역에 나며 일본, 중국 동북 지방, 몽고, 러시아 극동 지방, 시베리아에도 분포한다. 여러해살이풀이다. 키는 높이 30~100cm이다. 줄기는 모여 나고 능선이 있어 네모지며 털이 거의 없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1쌍의 소엽으로 되며, 소엽은 선형으로 길이 1.5~5.5cm, 너비 4~15mm이고 끝은 길게 뾰족하며 밑은 둔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탁엽은 2개로 갈라지거나 톱니가 있다. 꽃은 6∼8월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총상꽃차례에 홍자색으로 핀다. 꽃이 한쪽으로 치우쳐서 달린다. 꽃받침은 끝이 5개로 갈라지고 열편(裂片)은 선형이며 꽃부리는 나비 모양이다. 열매는 협과로 넓은 피침형(廣披針形)이다. 

나래완두(영 Korean bird vetch, 일 국표 レンリエンドウ, FOM ホソバノエンドウ, 細葉豌豆)는 전남 완도, 무등산, 백양산, 경남 금정산, 지리산, 경북 가야산 등 남부 지방에 분포하는 한강토 고유종이다.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다소 똑바로 서서 자라고, 능선이 있으며,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는 40~50cm 정도다. 잎은 어긋나고 짝수 깃꼴 겹잎으로 덩굴손의 흔적이 있다. 소엽은 3~5쌍이며 좁은 타원형(狹楕圓形), 길이 1.5~4.0cm로 잎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5~6월에 적자색(赤紫色)으로 피는데 꽃부리는 나비 모양이다. 꽃차례는 잎겨드랑이에서 2~5개씩 달리고 매우 짧다. 암술은 1개, 수술은 10개인데, 이 중 9개는 융합되어 있다. 열매는 꼬투리 모양으로 신장형(腎臟形)의 종자가 들어 있다. 나래완두는 꽃차례의 길이가 1~2cm로 작고, 꽃이 밀집해 붙는 점에서 다른 종들과 구별된다. 

나비나물(영 Two-leaf vetch, 일 ナンテンハギ, 南天萩, 중 歪头菜)은 한강토 전역에 나며 일본, 중국 동북 지방, 몽골, 극동 러시아에도 분포한다. 여러해살이풀이다. 키는 높이 30~100cm에 이른다. 뿌리는 목질의 뿌리줄기가 있다. 원줄기는 뿌리에서 여러 대가 뭉쳐나와 곧추서거나 약간 비스듬히 자라며 전체에 털이 거의 없고 네모진다. 잎은 어긋나며 길이 3~8cm, 너비 2~4cm 정도인 난형(卵形) 또는 넓은 피침형의 소엽이 한 쌍을 이루어 달린다. 소엽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없고 끝이 길게 뾰족해지며 밑부분이 둔하다. 턱잎은 2개로 갈라지거나 톱니가 있다. 꽃은 잎겨드랑이에 한쪽으로 치우쳐서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꽃은 8월에 홍자색의 나비 모양으로 피는데 길이는 12~15mm이다. 꽃받침은 통형이고 끝이 5개의 선형 조각으로 갈라진다. 열매는 협과로 길이 3cm 정도인데 털이 없다. 잎이 1쌍의 소엽으로 되어 있고, 끝에 덩굴손이 없는 점에서 여러 쌍의 소엽과 덩굴손이 있는 다른 종들과 쉽게 구별된다. 

넓은잎갈퀴(영 Wide-leaf Asian vetch, 일 ヒロハクサフジ, 広葉草藤, 중 东方野豌豆)는 한강토, 러시아, 일본, 중국 동북과 화북 지방에 분포한다.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다. 땅속줄기가 옆으로 길게 뻗으면서 번식한다. 길이는 1m 정도로 자란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5~7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짝수 깃 모양 겹잎으로서 끝이 2~3개로 갈라지는 덩굴손으로 된다. 소엽은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원두 또는 요두이고 둔저이며 길이 10~20mm, 너비 6~10mm로서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흰빛이 도는 녹색이며 백색 털이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측맥(侧脉)은 적고 주맥(主脉)과 예각(銳角, 45~60˚)을 이룬다. 탁엽은 작고 2개로 갈라진다. 총상꽃차례는 길이 2~3cm로서 잎보다 짧으며 한쪽으로 치우쳐서 10개 정도의 꽃이 달린다. 꽃은 6~8월에 홍자색으로 핀다. 접형화(蝶形花)는 길이 10~14mm이며 꽃받침은 통형이고 꽃받침 열편은 5개로서 뚜렷하며 삼각형이다. 협과는 장타원이며 길이 2~2.5cm, 너비 6mm로서 편평하고 털이 없으며 종자가 4개 정도 들어 있으며 8~9월에 익는다. 

네잎갈퀴나물(영 Four-leaf vetch, 일 ヨツバハギ, 四葉萩)은 한강토 전역에 자생한다. 러시아, 중국에도 분포한다.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높이 40~80cm 정도로 곧게 자라고 모서리가 있으며 어릴 때는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며 2~3쌍의 소엽으로 된 짝수 깃꼴 겹잎이다. 덩굴손은 짧은 가시 모양으로 흔적만 남아 있다. 소엽은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양 끝이 좁아진다. 턱잎은 2장이고 난형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자루에 총상꽃차례 또는 겹총상꽃차례를 이루어 한쪽을 향해서 달리며, 보라색이다. 꽃받침은 5개로 얕게 갈라지며, 화관(花冠)은 나비 모양이다. 열매는 협과이다.  

노랑갈퀴(영 Yellow-flower vetch, 일 국표 キバナヨツバハギ, ウィキペディア チョウセンエビラフジ)는 한반도 중북부에 분포하는 고유종이다.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높이 80cm 정도이며 매우 단단하다. 전체에 털이 없고 줄기는 곧게 선다. 잎은 짝수의 깃 모양 겹잎이 어긋나게 달리며 작은 잎은 2~5쌍으로 좁은 타원형이다. 덩굴손의 흔적이 끝에 있다. 턱잎은 송곳형으로 끝이 뾰족하며 일찍 떨어진다. 6월에 자줏빛이 도는 노란색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나오는 총상화서에 달리는데 접형화관이다. 암술은 1개, 수술은 10개인데, 이 중 9개는 융합되어 있다. 열매는 협과로 2~4개의 신장형의 종자가 들어 있다. 

노루목등갈퀴(영 White turfed vetch, 일  シロバナクサフジ)는 한반도 함경북도 노루목에 자생한다. 기본종인 등갈퀴나물에 비해 꽃이 흰색이다. 흰꽃말굴레라고도 한다. 노루목등갈퀴라는 국명은 이 식물의 특징이 나타나 있지 않다. 국명을 흰등갈퀴로 명명할 것을 강력하게 추천한다.  

들완두(영 Long peduncle vetch, 일 국표 ノエンドウ, 野豌豆, FOM トウエンドウ, 唐豌豆, 중 大花野豌豆)의 원산지는 조선(朝鮮), 중국이다(FOM). 한강토 경기도 이북에 나며 중국 동북 지방 등에도 분포한다. 여러해살이풀이다. 키는 높이 30cm에 이른다. 원줄기는 다소 사각형으로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비스듬히 올라간다. 모든 줄기에 털이 없다. 잎은 2~5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짝수 겹잎이며 끝에 덩굴손이 갈라지기도 한다. 소엽은 도란형 또는 좁은 장타원형으로 길이 20mm, 폭 7m 정도이다. 꽃은 5월에 윗부분의 엽액(葉腋)에서 총상화서로 달리며 보라색이다. 꽃받침은 5갈래로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은 세모꼴이다. 화관은 나비 모양이고 열매는 협과이다.  

등갈퀴나물(영 Turfed vetch, 일 クサフジ, 草藤, 중 广布野豌豆)은 북아메리카,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에 분포한다.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길이 80~150cm, 능선이 있으며 잔털이 난다. 잎은 어긋나며 짝수 깃꼴 겹잎이고 소엽은 8~12쌍이며 끝에 여러 갈래로 갈라진 덩굴손이 있다. 소엽은 피침형 또는 선형이다. 꽃은 5~6월에 남자색(蓝紫色)으로 피며,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총상꽃차례에 한쪽으로 치우쳐서 달린다. 화관은 나비 모양이다. 열매는 협과, 장타원형이며 5개 정도의 씨가 들어 있다. 

벌완두(영 Amur vetch, 일 ノハラクサフジ, 野原草藤, 중 黑龙江野豌豆)는 한강토 중부 이북에 자생하며 일본, 중국 동북부, 러시아 우수리, 헤이룽강 등지에 분포한다.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다. 키는 길이 1m에 이른다. 뿌리줄기는 옆으로 뻗는다. 잎은 어긋나고, 5~8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우수 깃꼴 겹잎이며, 끝은 2~3개로 갈라진 덩굴손이 된다.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측맥은 둔각으로 갈라진다. 소엽은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 길이 15~33mm, 폭 2~6mm이다. 턱잎은 막질(膜質)이고 톱니가 있거나 2갈래로 갈라진다. 꽃은 6~8월에 남자색으로 피는데 길이 1cm의 총상꽃차례에 달린다. 꽃차례 길이는 2~5cm이다. 열매는 협과로 길이 2cm이며, 납작한 타원형이다. 4~5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벌완두는 소엽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측맥이 둔각으로 갈라지는 데 반해 갈퀴나물은 턱잎 가장자리에 치아상 톱니(歯牙状鋸齒)가 있고, 소엽 측맥이 예각으로 갈라지므로 구별된다. 어린순을 식용한다. 

살갈퀴(영 Infield narrow-leaf vetch, 일 ヤハズエンドウ, 矢筈豌豆 広義, 중 救荒野豌豆)는 한강토 전역에 분포한다. 두해살이풀이다. 줄기 길이는 60~150cm 정도이다. 줄기는 밑부분에서 많이 갈라져 옆으로 자라고 전체에 털이 있으며 원줄기는 네모진다. 잎은 어긋나고 3~7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짝수 깃 모양 겹잎으로서 끝이 갈라지는 덩굴손으로 된다. 소엽은 거꿀달걀 모양 또는 넓은 달걀 모양이며 절두, 요두 또는 미철두(微凸頭)이고 둔저이며 길이 2~3cm, 너비 4~6mm로서 측맥은 예각이고 가장자리에 잔털이 나며 밋밋하다. 탁엽은 2개로 갈라지며 흔히 톱니가 있고 1개의 선(腺)이 있다. 꽃은 5월경에 피며 길이 12~18mm로서 홍자색이고 잎겨드랑이에 1~2개의 꽃이 달린다. 꽃받침은 길이 8~12mm로서 5개로 뾰족하게 갈라진다. 열매는 협과로 편평하고 털이 없으며 길이 3~4cm로서 흑색 종자가 10개 정도 들어 있다. 

새완두(영 국표 Hairy vetch, FOM hairy tare, tiny vetch, 일 スズヌノエンドウ, 雀野豌豆, 중 小巢菜)는 한강토 전남북, 경남북, 제주도에 자생하며, 북아프리카, 아시아, 유럽 등에도 분포한다. 두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밑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높이 30~60cm, 전체에 잔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며 깃꼴 겹잎이고 소엽은 6~8쌍이며 덩굴손이 있다. 소엽은 긴 타원형으로 길이 10~17mm, 폭 2~3mm이며, 끝이 둥글거나 자른 모양이다. 꽃은 4~6월에 피는데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길이 2~3cm의 총상꽃차례에 3~7개가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진다. 꽃부리는 나비 모양이며, 자줏빛이 도는 흰색이다. 열매는 협과, 장타원형이며 1~2개의 씨가 들어 있다. 

숲갈퀴나물(영 Pale Amur vetch)은 한반도 충청북도 이북, 만주, 아무르, 우수리, 다후리아에 분포한다(국생정). 국생관 미등재종이다. 숲갈퀴나물에 대한 정보는 알려진 것이 거의 없다.  

애기나비나물(영 Hallasan two-leaf vetch)은 제주도 한라산에 분포한다. 여러해살이풀이다. 키는 높이 20cm 정도이다. 줄기는 모여 나며 경질(硬質)이고 네모지며 가지를 치고 곧추서거나 비스듬히 올라간다. 줄기 전체에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2개의 소엽으로 된다. 소엽은 달걀 모양 또는 난상 타원형으로 길이 15mm 내외이고 양끝은 뾰족하며 다른 한쪽은 예리한 톱니가 있다. 꽃은 6∼8월에 홍자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에서 화경이 나와 끝에 소수의 꽃이 총상으로 달린다. 꽃받침은 끝이 5개로 얕게 갈라지고 꽃부리는 나비 모양이다. 열매는 삭과로 타원형이다. 

얼치기완두(영 국표 Lentil vetch, FOM smooth tare, slender vetch, four-seed vetch, 일 カスマグサ, かす間草, 중 四籽野豌豆)는 한강토 주로 남부 지방에 나며, 타이완, 일본, 중국, 아시아, 유럽 등에 분포한다. 덩굴성 두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길이 30~60cm, 아래쪽에 가지를 많이 치며 어릴 때 털이 약간 있다. 잎은 어긋나고 깃꼴 겹잎이며 소엽은 6~12장이고 끝은 덩굴손으로 된다. 소엽은 좁은 타원형으로 길이 12~17mm, 폭 2~4mm이며, 양 끝이 날카롭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턱잎은 긴 타원형이다. 꽃은 5~6월에 피는데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총상꽃차례에 달리며 연한 홍자색이다. 꽃받침은 끝이 5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협과, 긴 타원형 또는 타원형이고 길이 8~10mm, 털이 없으며, 3~6개의 씨가 들어 있다. 새완두와 가는살갈퀴의 중간형이다. 가축 먹이로 쓴다.  

연리갈퀴(영 Venose vetch, 일 ホソバヨツバハギ, 別名 ホソバノヨツバハギ, 중 柳叶野豌豆, 脈葉野豌豆)는 한강토 전역의 산지에 난다. 여러해살이풀이다. 키는 길이 40cm 정도까지 자란다. 원줄기는 곧추서거나 비스듬히 자라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능선이 있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2~6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짝수 깃 모양 겹잎이다. 소엽은 긴 타원상 피침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며 길이 2~7cm, 너비 2~6mm로서 양끝이 좁고 탁엽은 달걀 모양이며 길이가 1cm 이상이다. 총상꽃차례는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나오고 화경이 길며 약간의 꽃이 한쪽으로 치우쳐서 달린다. 꽃은 7월에 피며 길이 16mm 정도로서 보라색이고 꽃부리는 접형(蝶形)이다. 꽃받침은 끝이 5개로 갈라지고 긴 털이 약간 있으며 첫째 열편이 가장 길고 밑부분이 넓은 삼각형으로서 끝이 길게 뾰족해진다. 열매는 선상 타원형의 협과이다. 

울산나비나물(영 Ulsan two-leaf vetch)은 국표에 학명, 국명, 영문명 등만 등재되어 있다. 국생정, 국생관 미등재종이다. 김무열과 조현이 울산나비나물의 학명을 최초로 출판한 'Korean Endemic Pl. 221(2017)'을 구글에서 검색했으나 찾지 못했다.  

잔나비나물(영 Lesser two-leaf vetch, 일 ミヤマタニワタシ, 深山谷渡)은 한반도 남부, 일본에 분포한다. 여러해살이풀이다. 근경은 가늘고 옆으로 뻗는다. 줄기는 높이 30cm 정도이다. 줄기는 곧추 자라는데 마디마다 휘어서 구불구불하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엽병은 매우 짧고 1쌍의 소엽으로 된 겹잎이고 엽축 끝에 침형의 짧은 덩굴손이 있다. 소엽은 피침형이고 길이 5~10cm, 너비 1.5~3cm이며 윗부분은 길게 뾰족하고 밑부분은 쐐기 모양이다. 잎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의 잔톱니형 거치가 있고 매우 얇다. 탁엽은 2개이며 반화살 모양이고 길이 7~12mm이다. 꽃은 6월~8월경 잎겨드랑이에 총상꽃차례를 이루고 한쪽으로 향해 적자색으로 여러 개 모여 핀다. 꽃차례는 잎보다 짧고 가지를 치지 않거나 때로 밑에서 2개로 갈라진다. 포는 좁은 달걀 모양 또는 피침형이고 길이 3~9mm이며 끝은 뾰족하고 때로는 톱니가 있고 떨어지지 않는다. 꽃받침은 통 모양이고 길이 4~5mm이며 윗부분은 5갈래로 갈라졌다. 꽃받침 거치는 끝이 가시털 모양이다. 꽃잎은 윗부분이 자색이고 아래부분은 푸른 빛을 띤 백색 또는 백색이다. 기꽃잎은 긴 거꿀달걀 모양이며 끝은 오목하다. 날개꽃잎은 기꽃잎보다 짧다. 종자낭에는 털이 없으나 암술대에는 털이 있다. 열매는 협과이며 속에는 2~4개의 종자가 들어있고 7월~9월경에 익는다. 

큰나비나물(영 Large two-leaf vetch)은 한강토 중부 이북의 산이나 들에서 자란다. 여러해살이풀이다. 키는 높이 30~100cm 정도이다. 땅 속에 단단한 목질의 근경이 있고 뿌리가 건장하다. 줄기는 여러 대가 한 군데에서 나와 곧추 또는 약간 비스듬히 자라며 전체에 털이 거의 없고 원줄기는 능선으로 인하여 네모진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엽병은 짧으며 1쌍의 소엽으로 구성된다. 소엽은 달걀 모양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길이 10cm, 너비 5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끝이 길게 뾰족해지며 밑부분이 둔저이다. 탁엽은 2개로 갈라지거나 톱니가 있다. 총상꽃차례는 잎겨드랑이에서 나오며 길이 2~4cm로서 많은 꽃이 한쪽으로 치우쳐서 달린다. 화경은 길이 0~6cm로서 일정하지 않으며 밑에서부터 흔히 갈라진다. 꽃은 8월에 홍자색으로 피며 길이 12~15mm이다. 꽃받침은 통형이고 끝이 5개의 선형 조각으로 갈라진다. 열매는 협과로서 선상 긴 타원형이고 길이 3cm이며 털이 없다. 종자는 4~5개이다. 

큰네잎갈퀴(영 Northern meadow vetch, 일 オオバノヨツバハギ, 大葉の四葉萩, 중 北野豌豆)는 국생정에 '연리갈퀴에 비해 소엽이 보통 3쌍이고 난상 피침형 또는 달걀 모양이다.'라고만 나와 있다. 국표, 국생관에는 학명, 국명 등만 기재되어 있다. 큰네잎갈퀴는 일본, 조선(朝鮮), 중국, 러시아에 분포한다. 여러해살이풀이다. 키는 높이 40~100cm 정도이다. 줄기는 잔털이 있거나 털이 없다. 탁엽은 반모형(半矛形)~비스듬한 달걀형, 길이 8~12(16)㎜, 폭 10~13㎜, 가장자리는 매끄럽거나 기부에 톱니가 있다. 소엽은 (2)3~4개가 붙으며, 피침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다. 총상꽃차례는 2~3개 분지하며 길이 4~5㎝, 잎보다 짧으며 꽃이 4~9개 드문드문 달린다. 꽃받침은 비스듬한 종형이다. 화관은 청색, 청자색 또는 자적색, 드물게 흰색도 있다. 기꽃잎은 장원형 또는 장도란형, 중간에서 잘록하며 길이 11~14(18)㎜, 날개꽃잎이나 용골꽃잎과 거의 길이가 같고, 끝은 미요형(微凹形)이다다. 씨방은 짧은 자루가 있고 선형이다. 협과는 장원상 능형(長圓状菱形)이고 길이 25~50㎜, 폭 5~7㎜, 양끝이 첨예형(尖鋭形)이다. 종자는 1~4개, 타원형이다. 화기(花期)와 과기(果期)는 6~9월이다(FOM). 

큰등갈퀴(영 Large-leaf vetch, 일 オオバクサフジ, 大葉草藤, 중 大叶野豌豆)는 한강토, 러시아 극동, 몽골, 일본, 중국 동북부에 분포한다. 한강토에서는 경기도 이북, 제주도 등에 난다. 여러해살이 덩굴식물이다. 줄기 길이는 80~150cm 정도이다. 줄기는 털이 다소 있거나 없다. 잎은 2~5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우상 복엽이며 끝에 있는 덩굴손은 갈라지거나 갈라지지 않는다. 소엽은 달걀 모양이고 예두 또는 둔두이며 길이 3~5cm, 너비 15~30mm로서 마르면 황갈색(黃褐色)이 돌고 뒷면의 잎맥이 튀어나온다. 탁엽은 녹색이고 뾰족하게 갈라진다. 꽃차례는 잎겨드랑이에서 나오며 길이 4~8cm로서 화경이 길고 중앙 이상에서 한쪽으로 치우쳐서 많은 꽃이 총상으로 달린다. 꽃은 9월에 피며 길이 13~15mm로서 자주색이고, 꽃받침조각은 낮은 삼각형이다. 협과는 길이 25~30mm로서 털이 없고 적갈색으로 익으며 종자는 둥글고 흰색이다. 갈퀴나물에 비해 소엽의 크기가 크며, 끝이 둔하거나 날카로워 구분된다. 들완두와 비교하여 덩이줄기가 없으며, 소엽은 난형이고 길이 3~5cm로 비교적 길므로 다르다. 

함경나비나물(영 Dense-flower two-leaf vetch, 중 头序歪头菜)는 한반도 함경북도에 난다. 키는 높이 30cm에 달한다. 잎은 짝수 깃 모양 겹잎으로 소엽은 2쌍으로 타원형이다. 턱잎은 달걀 모양 피침형이다. 꽃은 잎겨드랑이에서 나오는 총상꽃차례에 달리고 홍자색으로 피며 접형화관이다. 꽃받침 열편이 판통보다 길다. 암술은 1개, 수술은 10개인데 이 중 9개는 동합되어 있다. 열매는 협과 모양으로 콩팥 모양의 종자가 들어 있다. 

흰꽃나비나물(영 White beautiful two-leaf vetch, 일 シロバナナンテンハギ, 白花南天萩, 중 白花歪头菜)은 국표에 학명, 국명, 영문명 등만 기재되어 있다. 국생관 미등재종이다. 국생정에는 '김주환 등이 2009년 6월 17일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청일면 신대리에서 표본을 채집했고, 표본은 경원대학교 식물표본관에 소장되어 있다.'고만 기재되어 있을 뿐이다. 네이멍구(内蒙古) 따칭산(大青山)에 난다. 여러해살이풀이다. 키는 높이 (15)40~100(180)cm 정도이다. 뿌리줄기는 두껍고 거의 목질이며, 주뿌리는 길이 8~9cm, 지름 2.5cm이고, 섬유질이 잘 발달되어 있고, 흑갈색(黑褐色) 표피를 가지고 있다. 보통 여러 개의 줄기가 무리 지어 자라며, 능선이 있고 부드러운 털이 듬성듬성 덮여 있다. 줄기 밑의 표피는 홍갈색(红褐色)이나 자갈홍색(紫褐红色)이다. 잎 끝은 가는 가시로 되어 있다. 때때로 덩굴손이 보이고, 턱잎은 도끼 모양이거나 거의 피침형이며, 길이 0.8~2cm, 너비 3~5mm이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소엽은 한 쌍이고 란상피침형(卵状披针形) 또는 거의 마름모꼴(菱形)이며 길이 1.53~7(11)cm, 너비 1.5~4(5)cm, 끝부분은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작은 톱니가 있으며 밑부분은 쐐기 모양이고 양쪽에 털이 희박하게 있다. 총상꽃차례는 하나, 드물게 원뿔 모양의 복합 총상꽃차례로 가지가 갈라지는데, 잎보다 훨씬 길고 길이 4.5~7cm이다. 꽃차례 축의 한쪽 윗부분에 8~20개의 꽃이 빽빽하게 분포되어 있다. 꽃받침은 보라색이고 비스듬한 종 모양 또는 종 모양이며 길이 약 0.4cm, 지름 0.2~0.3cm이고 털이 없거나 거의 없다. 꽃받침 이빨은 꽃받침통보다 확실히 짧다. 꽃잎은 청자색, 보라빛 빨간색 또는 연한 파란색이며 길이 1~1.6cm이다. 기꽃잎은 거꾸로 된 비올라 모양인데 중앙이 좁고 끝이 둥글고 오목하며 길이 1.1~1.5cm, 너비 0.8~1cm이다. 날개꽃잎은 끝이 둔하고 길이 1.3~1.4cm, 너비 0.4cm이다. 용골 꽃잎은 날개꽃잎보다 짧다. 씨방은 선형이고 털이 없으며, 2~8개의 씨가 들어있고, 씨방자루가 있다. 암술대의 윗부분은 사방에 털이 덮여 있다. 협과는 납작하고, 장방형이며, 길이 2~3.5cm, 너비 0.5~0.7cm이고, 털이 없으며, 황갈색(棕黄色) 표피가 있고, 거의 가죽 같으며, 양쪽 끝이 점차 뾰족해지고, 끝에 부리가 있으며, 성숙하면 배쪽과 등쪽이 갈라지고, 열매잎(果瓣)이 꼬여 있다. 씨앗은 3~7개 들어 있으며, 납작한 구형이고 지름이 0.2~0.3cm이다. 개화기는 6~7월, 결실기(果期)는 8~9월이다(百度百科). 

국표 등재 갈퀴나물의 유사종 외래식물(外來植物, alien plant)은 각시갈퀴나물(Vicia dasycarpa Ten.), 구주갈퀴덩굴(Vicia sepium L.) 등 2종이 있다.  

각시갈퀴나물(영 국표 Grazing vetch, FOM smooth vetch, winter vetch, Woollypod vetch, Thick fruited Vetch, 일 ナヨクサフジ, 弱草藤, 중 苕子, 欧洲苕子)은 유럽 원산의 귀화식물로 한강토 전역의 들판에 자라는 덩굴성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길이 50~200cm 정도로 뻗는다. 잎은 어긋나며, 소엽 10쌍으로 된 깃꼴겹잎이다. 턱잎은 선형이고 길이 5~10mm, 밑부분에 1개의 톱니가 있다. 꽃은 5~8월에 보라색으로 피며,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긴 꽃자루에 한쪽 방향으로 밀집되는 총상꽃차례를 이룬다. 꽃받침은 종형으로 열편보다 통부가 길다. 열매는 협과, 길이 3~5cm, 폭 5~10mm, 3~8개의 씨가 들어 있다. 울릉도, 제주도 등에 나며, 유럽에 분포한다. 벳지에 비해 전체에 털이 드문드문 흩어져 있고 턱잎이 선형이므로 구분된다. 

구주갈퀴덩굴(영 국표 Hedge vetch, FOM bush vetch, 일 イブキノエンドウ, 伊吹豌豆, 중 野豌豆)는 유럽 원산의 귀화식물로 한강토 남부 지방에 나며, 전 세계 온대 지역에 분포한다.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줄기는 옆으로 뻗는다. 줄기는 덩굴지며, 길이 60~120cm, 능선이 있고, 털이 듬성하게 있다. 잎은 어긋나며, 4~7쌍의 소엽으로 된 깃꼴 겹잎이고, 끝은 3갈래로 갈라지는 덩굴손으로 된다. 소엽은 좁은 난형으로 길이 1.5~3.0cm, 폭 1.0~1.5cm, 끝은 둔하며, 가장자리에 부드러운 털이 있다. 턱잎은 2장, 반달 모양, 톱니가 있다. 꽃은 5~6월에 자주색으로 피며,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대에 1~4개씩 달린다. 꽃받침은 자주색을 띠며, 털이 듬성하게 있고, 갈래조각의 길이는 서로 다르다. 열매는 협과, 길이 3~4cm, 씨가 6~10개 들어 있다. 가는살갈퀴에 비해 꽃받침 조각의 길이가 서로 다르며, 가장 밑의 것이 가장 길고 꽃잎은 짙은 자주색을 띠므로 구분된다.  

2025. 3. 29. 林 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