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7월 17일 한강토(조선반도, 한반도) 최고봉이자 조선민족(朝鮮民族, 한겨레)과 칭(靑)나라 만주족(滿洲族)의 영산(靈山)인 흰머리뫼(백두산, 白頭山, 2,744m)에서 살아가는 들꽃 뫼꽃을 만나기 위해 인천 국제공항에서 국적기를 타고 중국(中國) 지린성(吉林省) 옌볜 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 옌지(延吉) 차오양촨국제공항(朝阳川国际机场)에 내렸다. 백두산(白頭山)에 오기 위해 중국(中國) 땅을 거쳐 참으로 먼 길을 돌아서 왔다. 백두산은 판문점을 거쳐 육로로 가면 단 몇 시간이면 닿을 수 있는 거리다. 내 나라 지름길을 두고도 남의 나라 땅으로 돌아서 가야만 하는 어처구니없는 상황에 서글픈 마음을 금할 수 없다.
남한(南韓, 대한민국, 한국, 남조선)과 북한(北韓,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 북조선)이 상호불가침협정(相互不可侵協定)을 체결하고, 대사 교환(大使交換)을 한 뒤 민간인 자유 왕래를 실현했더라면 이렇게 남의 나라 땅을 통해 빙 돌아서 오지 않아도 되었을 것이다. 남과 북으로 갈라져 아직도 같은 민족끼리 오가지도 못하는 참 지지리도 못난 민족이다. 남북한 사이에 민간인 자유 왕래를 가로막는 세력이 영원히 사라지기를 천지신명(天地神明)님께 빌고 또 빈다. 민간인 자유 왕래 실현을 가로막는 반민족(反民族) 세력을 몰아내는 것이야말로 시대적 사명이라고 할 수 있다.
차오양촨(朝阳川)에서 처음 만난 야생화(野生花)는 황금색 꽃이 활짝 피어 있는 금혼초였다. 금혼초는 황해도와 강원도 이북 지방에 자생(自生)하는 식물이기 때문에 남한에서는 만나기가 힘든 야생화다. 금혼초, 애기우산나물, 도라지, 좁은잎사위질빵, 가는금불초, 딱지꽃, 가는장대, 고삼(苦蔘, 너삼), 짚신나물, 꼬리풀, 가는쑥부쟁이, 용머리, 참시호, 꽃층층이꽃, 큰뱀무, 까치수염, 박주가리, 메꽃, 솔체꽃, 둥근잎삽주, 원지(遠志), 무릇에 이어 이름도 특이한 벼룩이울타리를 만났다.
벼룩이울타리는 가녀린 줄기에서 갈라진 가지마다 아주 작고 하얀 꽃들이 앙증맞게 피어 있었다. 북한의 함경남북도 이북 지방에만 자라는 북방계 식물이라서 남한에서는 벼룩이울타리를 볼 수가 없다. 그런 벼룩이울타리를 여기서 만나다니 무척이나 기쁘고 반가왔다.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국생관)에는 벼룩이울타리가 피자식물문(被子植物門, Magnoliophyta) > 목련강(木蓮綱, Magnoliopsida) > 석죽아강(石竹亞綱, Caryophyllidae) > 석죽목(石竹目, Caryophyllales) > 석죽과(石竹科, Caryophyllaceae) > 관모개미자리속(Eremogone)의 여러해살이풀로 분류되어 있다.
국가표준식물목록(국표), 국제식물명색인(IPNI), 왕립식물원 큐(Kew) 등재(登載) 벼룩이울타리의 학명(學名, Scientific name)은 에레모고네 윤케아 (M.비버슈타인) 펜츨[Eremogone juncea (M.Bieb.) Fenzl]이다. 국표 등재 학명 이명(學名異名, synonymy)은 Arenaria juncea M.Bieb., Arenaria dahurica Fisch. ex Ser., Arenaria tonsa Kitag. 등이 있다. 국생관 등재 원기재명(原記載名)은 Arenaria tonsa Kitag., Arenaria dahurica Fisch. et Ser., 학명 이명은 Arenaria juncea M. Bieb.이다.
속명(屬名, generic name) '에레모고네(Eremogone)'는 그리스어 '에레모(eremo, 영어 solitary, 외로운, 고독한, deserted, 사막의, 불모지대의, 버림받은)'와 '고네(gone, 영어 seed, 씨앗, offspring, 자손)'의 합성어에서 유래했다. 무인지경(無人之境)의 외지고 버림받은 황무지(荒蕪地)에서 자라는 특징을 표현한 이름이다.
종명(種名, specific name) '윤케아(juncea)'는 라틴어 형용사 '윤케우스(junceus)'의 주격/호격/여상/단수형이다. '윤케우스(junceus)'는 '윤쿠스(juncus, 영어 a rush, 러쉬, reed, 갈대)'의 어간에 형용사화 접미사 '에우스(-eus)'가 붙은 것이다. 러쉬(rush)는 골풀(燈心草, 고랭이)처럼 원통형(圆筒形) 줄기, 속이 빈 줄기 모양의 잎, 작은 꽃, 종종 습지나 물가에서 자라는 특징을 가진 식물이다. 골풀과 비슷한 특징을 표현한 이름이다.
원명명자(原命名者) 'M.비버슈타인(M.Bieb.)'은 코카서스와 노보로시야를 포함한 러시아 제국 남부 식물상과 고고학의 초기 탐험가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마르샬 폰 비버슈타인(Friedrich August Marschall von Bieberstein, 1768~1826)이다.
괄호 안의 인명(人名)은 원명명자다. 린네가 창안한 이명법(二名法, binomial nomenclature)에서는 식물의 학명이나 속명이 바뀌는 경우 먼저 학명을 출판한 원명명자를 괄호 안에 기재한 뒤 신명명자(新命名者)를 기재해야 한다.
신명명자 '펜츨(Fenzl)'은 오스트리아의 식물학자 에두아르트 펜츨(Eduard Fenzl, 1808~1879)이다. 펜츨은 1833년 'Versuch einer Darstellung der Geographischen Verbreitungs- and Vertheilungs-Verhaltnisse der Naturlichen Familie der Alsineen'에서 벼룩이울타리의 속명을 벼룩이자리속(Arenaria)에서 관모개미자리속(Eremogone)으로 변경한 학명을 출판했다.
국표 등재 학명 Eremogone juncea (M.Bieb.) Fenzl의 추천 국명(國名, Korean common name)은 벼룩이울타리(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등, 1937), 비추천명은 긴잎모래별꽃(조선식물지, 임록재, 1996+), 깃털모래별꽃(조선식물지, 임록재, 1996+) 등이 있다. 벼룩이울타리는 키가 약 50cm 정도로 벼룩이 뛰어넘지 못할 정도로 크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이 있다.
벼룩이울타리는 일본 식물 분류법에 따르면 노미노츠즈리속(ノミノツヅリ, 蚤の綴り屬, 벼룩이자리속) 식물이다. '노미노츠즈리(蚤の綴り)'는 이 속 식물의 잎 모양이 작은 '벼룩(蚤)'이 입는 '헝겊 또는 천조각(布切れ, 綴り)'과 비슷하다는 데서 유래했다.
국표 등재 벼룩이울타리의 추천 영문명(英文名, English common name)은 러쉬 샌드워트(Rush sandwort, 한반도 자생식물 영어이름 목록집 개정판, 국립수목원, 2022)이다. '골풀(Rush) 비슷한 벼룩이자리속 또는 개벼룩속 식물(sandwort)'이라는 뜻이다.
국표 등재 벼룩이울타리, Flora of Mikawa(三河の植物観察, FOM) 등재 학명 Arenaria juncea M.Bieb, 학명 이명 Eremogone juncea (M. Bieb.) Fenzl.(Arenaria subgen. Eremogone)의 일본명(日本名, Japanese common name, Flora of North America에는 Eremogone속)은 이토후스마(イトフスマ, 糸衾)이다. 이토후스마(糸衾)의 이름 유래는 찾지 못했다.
중국식물지(中国植物志, FRPS, 1996) 등재 벼룩이울타리의 중국명(中國名, Chinese common name)은 라오뉴진(老牛筋, 东北草本植物志)이다. '늙은 소(老牛)의 힘줄(筋)'이라는 뜻이다. 오래된 소(老牛)의 힘줄(筋)은 튼튼하고 질겨서 쉽게 끊어지지 않으며, 잡아당겨도 원래 모양으로 돌아가는 특징이 있는데, 매우 완고하고 고집 센 성격을 가진 사람이나 사물에 대한 은유적인 표현이다. 늙은 소의 힘줄을 닮은 특징을 표현한 이름으로 보인다.
FRPS 등재 속명(俗名)은 마오쩌우짜오쭈이(毛轴蚤缀, 东北植物检索表), 마오쩌우어부싀(毛轴鹅不食, 东北草本植物志), 샨인차이후(山银柴胡, 吉林省药品标准), 떵신차오짜오쭈이(灯心草蚤缀, 拉汉种子植物名称) 등이 있다.
벼룩이울타리는 한강토를 비롯하여 중국, 몽골, 일본, 러시아 극동부에 분포한다. 함경도의 국경 지역 산지에서 자란다. 산지, 산비탈 또는 돌밭 등 메마른 초지에서 잘 자란다(국생정). 벼룩이울타리는 한반도 함경북도, 함경남도 등에 나며, 러시아, 몽골, 중국 등에 분포한다(국생관).
이토후스마(糸衾)의 원산지는 일본, 조선(朝鮮, 조선반도, 한반도, 한강토), 중국, 몽골, 러시아 등이다(FOM). 라오뉴진(老牛筋)은 헤이룽쟝(黑龙江), 지린(吉林), 랴오닝(辽宁), 허베이(河北), 샨시(山西), 네이멍구(内蒙古), 닝샤(宁夏), 간쑤(甘肃) 서부, 샨시(陕西) 서북부 해발 800~2,200m의 초원, 사막화된 초원, 산골짜기의 숲이 드문 초원, 산비탈 풀밭, 바위틈에서 자란다. 조선(朝鲜), 몽골, 러시아에도 분포한다(FRPS).
벼룩이울타리의 뿌리는 곧고 굵다. 키는 높이 50cm 정도로 자란다. 줄기는 굵은 뿌리에서 모여나기하고, 상부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근생엽(根生葉)은 긴 선형(長線形)이며 원줄기 높이의 1/2정도이다. 줄기잎은 마주나기하고 근생엽과 같으며 밑부분이 엽초상(葉鞘狀)으로 맞붙어 줄기를 감싼다.
꽃은 7~8월 흰색으로 핀다. 취산꽃차례(聚繖花序)는 원줄기 끝과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달리며 짧은 화경(花莖)이 있는 꽃이 달린다. 화경은 길이 1~3cm이다. 꽃차례는 원줄기 윗부분과 더불어 샘털이 있고, 포(苞)는 작으며 피침상 달걀 모양(披針狀卵形)이다. 꽃받침조각은 5개이며 난상 피침형(卵狀披針形)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막질(膜質)이다. 꽃잎은 길이 6~10mm, 폭 3~5mm의 긴 거꿀달걀 모양(倒卵形)이다. 수술은 10개로 밑은 퍼져 붙고 뒷면에 샘털이 있다. 씨방은 짧은 자루가 있고,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蒴果, capsule)이다. 삭과는 달걀 모양(卵形)이고 꽃받침보다 다소 길다. 열매는 8~9월에 익어 끝이 6갈래로 터진다(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삭과는 열개과(裂開果)에 속하는 열매의 한 종류이다. 열매가 익어서 성숙하면 위에서 아래로 향해 껍질이 갈라지며(裂開) 종자가 밖으로 나온다.
중국 동북 지구에서 벼룩이울타리의 뿌리를 은시호(銀柴胡)의 대용(代用)으로 쓴다. 은시호의 정품은 Stellaria dichotoma var. lanceolata이다. 뿌리(根)를 은시호(銀柴胡)라 하며 약용한다. 청열양혈(淸熱凉血)의 효능이 있다. 허로기열(虛勞肌熱), 골증(骨蒸), 노학(勞瘧, 이틀거리), 수심작열(手心灼熱), 도한(盜汗), 소아오감(小兒五疳, 五脏疳, 心疳, 肝疳, 脾疳, 肺疳, 肾疳 등 5가지), 이수(羸瘦, 몸이 마르고 체중이 감소되는 병증)를 치료한다(다음백과 국생정).
본초명(本草名) 은시호(銀柴胡, 本草綱目)는 청열약(淸熱藥) 가운데 청허열약(淸虛熱藥)에 속한다. 본초 이명(異名)은 은호(銀胡), 산채근(山菜根), 사삼아(沙參兒) 등이 있다. 한강토와 중국에서 은시호는 학명 Stellaria dichotoma L. var. lanceolata Bunge.의 뿌리를 건조한 것이다. 은시호는 중국 샨시(陕西), 간쑤, 네이멍구, 닝샤 등지에서 많이 난다. 은시호의 성질(性)은 약간 차고(微寒) 무독(無毒)하며, 맛(味)은 달다(甘). 귀경(歸經)은 간(肝), 위경(胃經)으로 들어간다. 청허열(淸虛熱), 제감열(除疳熱)의 효능이 있다. 음허발열(陰虛發熱), 골증노열(骨蒸勞熱), 소아감열(小兒疳熱, 소아의 영양실조로 인한 발열) 등을 치료한다(全國韓醫科大學本草學敎科書).
학명 Eremogone juncea (M. Bieb.) Fenzl, 이명 Arenaria juncea, Arenaria dahurica(老牛筋)의 뿌리를 샨인차이후(山银柴胡, 산은시호)라 하며, 약으로 쓴다. 청열양혈(清热凉血)의 효능이 있다. 주로 간염(肝炎), 소아감적(小儿疳积, 영양 부족이나 기생충으로 인해 생기는 어린이의 빈혈증) 등을 치료한다(FRPS).
전국 한의과대학 본초학 교과서나 FRPS에 따르면 벼룩이울타리를 은시호 대용으로 쓰면 안 된다. 왜냐하면 은시호의 기원 식물은 학명 Stellaria dichotoma L. var. lanceolata Bge. 단 1종뿐이기 때문이다. 중국에서도 벼룩이울타리는 산은시호라는 별도의 본초명이 붙어 있다. 따라서 다음백과 국생정의 '뿌리를 은시호의 대용으로 쓴다.'거나 '벼룩이울타리 뿌리를 은시호라 하며 약용한다.'는 주장은 근거없는 명백한 오류다. 벼룩이울타리를 은시호 대용으로 할 수 있다는 내용이 어디에 나오는지 출처를 좀 알았으면 좋겠다.
국표 등재 벼룩이울타리의 유사종(類似種, similarity species) 자생식물(自生植物, indigenous plant)은 관모개미자리[Eremogone capillaris (Poir.) Fenzl] 1종만 등재되어 있다. 국표 등재 벼룩이울타리의 유사종 재배식물(栽培植物, cultivated plants)이나 외래식물(外來植物, alien plant)은 없다.
관모개미자리(영 Slender mountain sandwort, 일 カラフトツメクサ, 중 毛叶老牛筋)는 관모봉(冠帽峰, 2,541m) 해발 2,400m 지대에서 자란다. 여러해살이풀이다. 키는 높이 9cm 정도까지 자란다. 밑부분에는 지난해의 마른 잎이 남아있다. 잎은 밑부분에서 모여나기하며 선형이고 길이 2~9cm, 폭 0.5mm로서 밑부분에 긴 견모(絹毛)가 있으며 1맥이 있고 가장자리는 다소 막질이다. 줄기잎은 마주나기하며 선형이고 길이 3cm 정도로서 위로 올라갈수록 짧아지며 꽃대와 더불어 긴 견모가 다소 산생하고 끝이 뾰족하다. 꽃은 8월 원줄기와 가지 끝에 1송이씩 달린다. 꽃받침은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5mm 정도로서 가장자리가 백색 막질이다. 꽃잎은 흰색이며 길이 9mm 정도로서 끝이 둥글다. 수술은 길이 6mm 정도이다. 열매는 삭과로 털이 없으며 꽃받침과 길이가 비슷하거나 짧다.
2025. 3. 24. 林 山
'야생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두산 야생화] 백리향(百里香) '용기(勇氣)' (0) | 2025.02.27 |
---|---|
[백두산 야생화] 갈퀴나물 '용사(勇士)의 모자(帽子)' (0) | 2025.02.27 |
[백두산 야생화] 무릇 '인내(忍耐)' (0) | 2025.02.27 |
[백두산 야생화] 원지(遠志) '숨어사는 자(隱者)' (0) | 2025.02.27 |
[백두산 야생화] 둥근잎삽주 (0) | 2025.02.14 |